KR100873906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906B1
KR100873906B1 KR1020070029470A KR20070029470A KR100873906B1 KR 100873906 B1 KR100873906 B1 KR 100873906B1 KR 1020070029470 A KR1020070029470 A KR 1020070029470A KR 20070029470 A KR20070029470 A KR 20070029470A KR 100873906 B1 KR100873906 B1 KR 100873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blocking member
air
in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045A (ko
Inventor
김기진
최강호
송치오
김동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719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8096096A/ja
Publication of KR20080033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진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후면패널과 전면패널로 이루어진 본체와, 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송풍팬을 포함하며, 열교환기와 후면패널의 사이에 차단부재가 마련되어 이 차단부재로 인해 열교환기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공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와 차단부재 및 압출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후면패널
11a : 지지면 12 : 전면패널
12a : 흡입구 13 : 열교환기
15 : 흡입그릴 15a,15b : 토출구
17 : 송풍팬 19 : 연결부재
20 : 차단부재 21 : 지지부
22 : 압출부재 23: 압출부재의 상면부
24 : 압출부재의 전면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의 면적에 따라 열교환기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공기의 흡입을 위해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의 토출을 위해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마련되어 있다. 이 실내기의 내부에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송풍시키는 송풍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설치되는 열교환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하지 않고 토출되지 않도록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은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고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열교환된 공기와 접촉하여 이슬을 형성하여 실내로 이슬이 토출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종래에서는 실내기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면적 조건에 따라 크기가 작은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성능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크기가 작은 열교환기가 설치된 실내기에서는 열교환기의 크기가 작아진 만큼 본체의 내부 에서 일정공간이 형성되므로 이 일정공간을 통해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열교환기는 고가의 금형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으로써 다양한 모델을 개발할 경우 그 때마다 금형을 수정하기가 쉽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공간의 면적에 따라 열교환기를 변경하여도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의 전방에 결합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패널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후면패널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후면패널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흐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EPS재질의 차단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차단부재의 전면과 상면에는 상기 열교환기와 사익 차단부재의 사이에 공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압출성형된 압출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압출부재는 상기 차단부재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차단부재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상면부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차단부재의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차단부재의 사이에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전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패널의 전면에는 상기 차단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에 고정되는 후면패널(11)과, 후면패널(11)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면패널(12)을 포함하는 본체(10)가 마련된다.
전면패널(12)에는 전면 대부분과 상면에 실내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12a)가 형성되고, 조화된 공기의 배출을 위해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토출구(12b)가 형성된다.
전면패널(12)의 전방에는 이 전면패널(12)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흡입그릴(15)이 마련되며, 이 흡입그릴(15)에는 전면패널(12)의 흡입구(12a)와 연통되는 다수의 통풍구(15a,15b)가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그릴(15) 내측에는 통풍구(15a,15b)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 주는 프리필터(16)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흡입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13), 공기의 송풍을 위한 송풍장치가 설치된다.
열교환기(13)는 흡입구(12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가로방 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본체(10) 내부의 후방 상부로부터 전방 하부에 이르는 상하 폭을 가진다. 열교환기(13)의 양단에는 연결부재(19)가 마련되어 이 연결부재(19)를 통해 본체(10)에 고정되게 되며, 열교환기(13)의 하단은 전면패널(12)의 내측 하부에 지지된다.
송풍장치는 열교환기(13)의 후방에 설치되는 횡 방향의 길이가 긴 횡류형 송풍팬(17)과, 송풍팬(17)을 구동하도록 후면패널(11)에 장착되며 송풍팬(17)과 축을 통해 연결되는 구동모터(18)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실내기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면적에 따라 실내기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13)의 형상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 크기가 작은 열교환기(13)가 설치되면, 이 열교환기(13)의 크기가 작아진 만큼 열교환기(13)와 후면패널(11)의 사이에 일정공간이 형성된다.
열교환기(13)와 후면패널(11)의 사이에 형성된 일정공간에는 차단부재(20)는 흡입구(12a)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13)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역할을 하는 차단부재(20)가 마련된다. 이때의 차단부재(20)는 중량이 가볍고 가격이 저렴한 EPS(expandable Polystyrene;스티로폼)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차단부재(20)는 그 후단이 후면패널(11)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부(11a)에 지지되며, 열교환기(13)의 양단에 마련된 연결부재(19)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부재(20)의 전면에는 지지면(21)이 형성되며, 이 지지면(21)에 열교환기(13)의 후단 하면이 밀착되어 열교환기(13)를 지지하게 된 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단부재(20)의 상면으로부터 차단부재(20)와 열교환기(13)의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압출부재(22)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압출부재(22)는 차단부재(20)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부(23)와, 이 상면부(23)와 연결되어 열교환기(13)와 차단부재(20)의 사이에 밀착되는 전면부(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압출부재(22)의 상면부(23)는 EPS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재(20)의 저가 이미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압출부재(22)는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부재(22)의 전면부(24)는 열교환기(13)와 차단부재(20)의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는 구동모터(18)의 동작에 의해 송풍팬(17)이 회전함으로써 흡입그릴(15) 쪽으로부터 실내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고,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3)와 송풍팬(17)을 거친 후 토출구(12b)를 통해 다시 실내로 공급된다. 이때 흡입공기는 열교환기(13)를 거치면서 차가운 냉기(또는 온기)가 되고, 이 공기가 토출구(12b)를 통해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실내공간을 조화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실내공간의 면적 조건에 따라 열교환기(13)의 형상 및 크기를 변경 즉, 축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13)의 축소로 인해 형성된 일정공간에는 차단부재(20)가 설치된다.
차단부재(20)의 선단에는 지지면(21)이 형성되어 열교환기(13)와 밀착 지지되고, 후단에는 후면패널(11)의 지지부(11a)에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단부재(20)로 인해 상기와 같이 실내공간을 조화시키는 과정에서 흡입구(12a)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13)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내공간의 면적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델의 열교환기(13)를 설치하여도 중량이 가볍고 가격이 저렴한 EPS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재(20)를 변경함으로써 열교환기(13)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차단부재(20)의 상면과 차단부재(20)와 열교환기(13)의 사이에 걸쳐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압출부재(22)를 장착함으로써, EPS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재(20) 자체의 저가 이미지를 보완할 수 있으며, 차단부재(20)와 열교환기(13)의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EPS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재가 마련됨으로써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다양한 모델의 열교환기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의 전방에 결합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패널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후면패널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후면패널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흐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EPS재질의 차단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차단부재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차단부재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상면부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차단부재의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차단부재의 사이에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전면부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색상의 압출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의 전면에는 상기 차단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70029470A 2006-10-11 2007-03-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73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99745A JP2008096096A (ja) 2006-10-11 2007-07-31 空気調和機の室内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089 2006-10-11
KR20060099089 2006-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045A KR20080033045A (ko) 2008-04-16
KR100873906B1 true KR100873906B1 (ko) 2008-12-15

Family

ID=3929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470A KR100873906B1 (ko) 2006-10-11 2007-03-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3906B1 (ko)
CN (1) CN10050419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7566B2 (ja) * 2012-03-22 2014-03-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CN115435389A (zh) * 2021-06-01 2022-12-0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244B1 (ko) * 1998-08-22 2001-10-27 윤종용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244B1 (ko) * 1998-08-22 2001-10-27 윤종용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62098A (zh) 2008-04-16
CN100504197C (zh) 2009-06-24
KR20080033045A (ko)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4043B2 (en) Air conditioner
JP4539353B2 (ja) 空気調和装置
JPH11287473A (ja) 窓型エアコンのファンケ―シング
KR10087390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825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32222B1 (ko) 공기조화기
JP200809609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0048468A (ja) 空気調和機
JP3661250B2 (ja) 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の送風回路
KR100318984B1 (ko) 공기조화기
JP3900004B2 (ja) 空気調和機
JPH11287474A (ja) 窓型エアコンのファンケ―シング
KR100234970B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 및 지지장치
KR10059856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09229403A (ja) 空気調和機
CN1979018A (zh) 分体型空调器的壁挂式室内机
JP7181763B2 (ja) 熱交換換気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建物
KR100234971B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 및 지지장치
JP2010048470A (ja) 空気調和機
KR10115548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풍향 조절 방법
JP3178579B2 (ja) 空気調和機
JP2004163085A (ja) 室内空調機
KR100244319B1 (ko) 공기조화기의송풍장치
KR100477110B1 (ko) 공기조화기
KR100532351B1 (ko)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