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671U -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 - Google Patents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671U
KR19990036671U KR2019980002617U KR19980002617U KR19990036671U KR 19990036671 U KR19990036671 U KR 19990036671U KR 2019980002617 U KR2019980002617 U KR 2019980002617U KR 19980002617 U KR19980002617 U KR 19980002617U KR 19990036671 U KR19990036671 U KR 199900366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overtube
guide tube
electronic endoscope
esophag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국래
Original Assignee
이국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국래 filed Critical 이국래
Priority to KR2019980002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6671U/ko
Publication of KR19990036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671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의 내부를 보기위한 내시경 검사용 전자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시경과 오버튜브 사이에 가이드 튜브를 삽입시켜 목과 식도 사이를 단계적으로 넓혀감으로써 오버튜브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은 적어도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갖고 그 전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선단이 플랜지 형상을 갖는 오버튜브와, 상기 오버튜브 내부에 삽입되며 신체의 내부를 영상으로 전송하는 내시경을 포함하는 전자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오버튜브와 내시경 사이에 삽입되며, 그 전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선단이 플랜지 형상을 하며 그 길이가 상기 오버튜브보다는 길고 내시경보다는 짧은 가이드 튜브를 구비함으로써, 내시경 검사시 식도로 튜브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환자의 고통을 줄이며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
본 고안은 신체의 내부를 보기위한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시경과 오버튜브 사이에 가이드 튜브를 삽입시켜 목과 식도 사이를 단계적으로 넓혀감으로써 오버튜브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학에서 의사가 환자의 신체 내부를 직접 육안적으로 관찰하고 싶은 욕망은 필연적인 것이다. 따라서 신체에 어떤 자연적인 구멍이 있을 때 그곳을 통하여 내부를 들여다 보고 싶었지만, 빛은 직선으로만 전달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어왔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아무리 구부러진 곳도 들여다 볼 수 있는 방법으로서 섬유경과 전자 내시경이 개발되어서 쓰이고 있는 시대가 되었다. 또, 자연적으로 구멍이 없더라도 인위적으로 구멍을 만들고 기계를 삽입하여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는 단지 진단의 영역을 넘어서서 담낭제거술을 비롯한 외과적 치료 및 여러 가지 내과적 치료에도 널리 쓰이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의 역사는 크게 3기로 나눌 수 있는데, 제 1 기인 경성위경 시대, 제 2 기인 섬유경 시대, 그리고 제 3 기인 전자내시경 시대로 구분한다.
이 전자 내시경은 시야를 비디오 영상을 통하여 관찰하게 됨으로써 더 크고 자세한 상을 얻을 수 있게 되어서 최근 수십년 동안에 모든 섬유경이 전자내시경으로 교체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 최근에는 내시경 선단에 초음파감지탐침(probe)을 부착하여 내시경 검사와 동시에 초음파 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초음파 내시경이 개발되어서 쓰이고 있으며, 위 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양적 및 질적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 내시경 검사는 X-선 검사만으로 발견이 어려운 미소병변의 조직검사 및 치료를 위하여 실시하는 검사이다. 따라서, 외관상 건강한 사람도 인체 내부에 숨어 있는 암, 또는 조기암의 발견을 위하여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자 내시경의 동작 및 그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내시경적 식도 정맥류 결찰술(EVL)을 시행하기 위하여 삽입하는 종래의 전자 내시경의 구조도로서, 오버튜브(Overtube)(2) 내부에 내시경(1)이 삽입된 구조이다. 이때 오버튜브(2)의 직경은 1.8㎝ 정도이고, 내시경의 직경은 0.95㎝정도를 갖는다.
현재, 내시경적 식도 정맥류 결찰술(EVL)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오버튜브(Overtube)의 삽입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오버튜브가 삽입이 완료되면 내시경의 선단에 씌워진 캡 위에 고무줄을 씌워서 정맥류에 쏘게된다.
그러면, 내시경 검사시 튜브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에 내시경을 목으로 넣을 때에는 내시경의 선단부를 목의 모양대로 약간 구부린 상태로 진행하지만, 식도 입구를 통과할 때에는 각도(angle)를 중립(neutral)으로 하고 선단부의 저항을 술자의 손끝으로 느끼면서 환자의 삼키는 동작에 따라서 타이밍을 맞추어 밀어 넣는다.
식도입구를 넘어가는 방법으로는 맹목 삽입법과 직시하삽입입법이 있다. 그러나 양자는 근본적으로 동일한 과정으로서, 맹목 삽입법은 환자의 목젖의 움직임이나 삼키는 운동을 보아가면서 밀어넣는 방법이며, 직시하삽입법은 성대, 파열연골, 이상동(梨狀洞)을 직접 내시경으로 관찰하면서 이상동의 좌측에서부터 중앙부 앞쪽을 향하여 밀어 넣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내시경 검사용 전자 내시경에 있어서는, 내시경과 튜브 사이의 직경 차이가 크기 때문에 튜브의 선단에서 목과 식도 사이를 넘어가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며, 특히 환자가 예민한 경우에는 내시경과 튜브의 간격 차이로 인해 튜브의 선단이 목에서 식도로 삽입이 잘 안 될 때가 많았다. 이럴 경우 처음에 두어번 시도하여 잘 삽입이 안되면 일단 중지하고 국소마취제를 다시 물려주고 정신적으로 안정을 취하게 한 후 계속하여 시도함으로써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시경과 오버튜브 사이에 가이드 튜브를 삽입시켜 목과 식도 사이를 단계적으로 넓혀감으로써 오버튜브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전자 내시경 구조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 내시경의 구조도
도 3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내시경 2 : 오버튜브
3 : 가이드 튜브 4, 5 : 플랜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은,
적어도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갖고 그 전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선단이 플랜지 형상을 갖는 오버튜브와, 상기 오버튜브 내부에 삽입되며 신체의 내부를 영상으로 전송하는 내시경을 포함하는 전자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오버튜브와 내시경 사이에 삽입되며, 그 전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선단이 플랜지 형상을 하며 그 길이가 상기 오버튜브보다는 길고 내시경보다는 짧은 가이드 튜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의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자 내시경은 종래의 오버튜브(overtube)(2)와 내시경(1) 사이에 가이드 튜브(Guide tube)(3)가 삽입된 구조이다.
상기 오버튜브(2)는 직경이 1.8㎝정도의 원통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선단에 플랜지(4)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오버튜브(2)에 삽입되는 본 고안의 가이드 튜브(3)는 오버튜브(2)의 직경(1.8㎝)보다는 작고 내시경(1)의 직경(0.95㎝)보다는 큰 원통형 모양으로 그 선단에 플랜지(5)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가이드 튜브(3)의 길이는 오버튜브(2)보다 2∼3㎝정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튜브(2)에 가이드 튜브(3)를 끼운 후, 가이드 튜브(3) 속으로 내시경(1)을 끼워 사용한다.
내시경 검사시, 술자는 환자의 목과 식도로 내시경과 오버튜브(2) 및 가이드 튜브(3)를 동시에 집어 넣어서 그 길이의 차이로 인해 목에서 식도 사이를 단계적으로 넓힘으로써 종래에 내시경(1)과 오버튜브(2)와의 직경 차이로 인해 오버튜브(2)의 선단이 목과 식도 사이를 넘어가는데에 따른 어려움을 줄였다.
여기서, 오버튜브(3)가 식도에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 튜브(3)는 뽑아낸다.
실제로, 본 고안에서 사용된 가이드 튜브(3)를 내시경 검사시 임상적으로 사용해본 결과, 식도로 오버튜브를 삽입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으며 또한 환자의 고통도 훨씬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에 의하면, 내시경과 오버튜브 사이에 가이드 튜브를 삽입하여 목과 식도 사이를 단계적으로 넓혀감으로써 오버튜브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내시경 검사시 식도로 튜브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환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적어도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갖고 그 전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선단이 플랜지 형상을 갖는 오버튜브와, 상기 오버튜브 내부에 삽입되며 신체의 내부를 영상으로 전송하는 내시경을 포함하는 전자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오버튜브와 내시경 사이에 삽입되며, 그 전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선단이 플랜지 형상을 하며 그 길이가 상기 오버튜브보다는 길고 내시경보다는 짧은 가이드 튜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
KR2019980002617U 1998-02-26 1998-02-26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 KR199900366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617U KR19990036671U (ko) 1998-02-26 1998-02-26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617U KR19990036671U (ko) 1998-02-26 1998-02-26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671U true KR19990036671U (ko) 1999-09-27

Family

ID=4051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617U KR19990036671U (ko) 1998-02-26 1998-02-26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66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1202A2 (en) * 2007-05-11 2008-11-2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dical scope carrier and scope as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1202A2 (en) * 2007-05-11 2008-11-2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dical scope carrier and scope as system and method
WO2008141202A3 (en) * 2007-05-11 2008-12-31 Univ Texas Medical scope carrier and scope as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3473C (en) Anoscope
AU2005292599B2 (en) Endoscopic apparatus with integrated hemostasis device
US20060149129A1 (en) Catheter with multiple visual elements
JP2000510378A (ja) 組織を貫通する医療機器システム
US20070260214A1 (en) Medical procedure through natural body opening
KR20010031806A (ko) 비디오 직장 내시경
JP2002537011A (ja) 移動可能な補助器具を備えた変形可能なファイバスコープ
US20050234299A1 (en) Proctoscope
US20150038799A1 (en) Device for examining and surgically operating on body cavities, in particular the anal and vaginal cavities
JP5052105B2 (ja) 経鼻内視鏡用ガイドチューブ
Nomura A Needle Otoscope: An Instrument ofEndotoscopy of the Middle Ear
CN108577904A (zh) 一种双钳道单孔可弯曲腹腔镜系统
KR19990036671U (ko) 가이드 튜브를 가지는 전자 내시경
CN208958192U (zh) 一种双钳道单孔可弯曲腹腔镜系统
KR20150003882U (ko) 가이드부를 가지는 내시경 및 캡슐 내시경
CN214342216U (zh) 一种用于消化内镜诊治的多钳道帽管辅助装置
JP3762508B2 (ja) 内視鏡装置
CN217565997U (zh) 一次性使用电子内窥镜套管
CN113349727B (zh) 一种电子输尿管内窥镜
JPH05305051A (ja) 内視鏡
JPH09299320A (ja) 内視鏡のアングル装置
Franklin et al. Endoscopy assistance in laparoscopic technique
RU22162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мотра прямой кишки
KR20010075787A (ko) 내시경 감염방지기구 및 그 장착장치
RU2247541C1 (ru) Лапароскопический троака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