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960U - 냉장고의 댐퍼커버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댐퍼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960U
KR19990035960U KR2019980001677U KR19980001677U KR19990035960U KR 19990035960 U KR19990035960 U KR 19990035960U KR 2019980001677 U KR2019980001677 U KR 2019980001677U KR 19980001677 U KR19980001677 U KR 19980001677U KR 19990035960 U KR19990035960 U KR 199900359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cold air
damper cover
refrigera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7744Y1 (ko
Inventor
강희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1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74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9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744Y1/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댐퍼커버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댐퍼단열재가 삽입되는 댐퍼커버의 개구부 입구측에 고정비드를 마련하여 댐퍼커버와 댐퍼단열재가 밀착되는 냉장고의 댐퍼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냉동실과 냉장실이 마련된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실에 결합되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댐퍼커버, 상기 댐퍼커버의 내부에 삽입되는 댐퍼단열재, 상기 댐퍼커버의 개구부에 상기 댐퍼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비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댐퍼커버를 냉장실 후측벽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며 고정비드로 인해 댐퍼커버와 댐퍼단열재가 밀착하여 냉기의 유출이 차단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댐퍼커버
본 고안은 냉장고의 댐퍼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내부에 댐퍼단열재가 설치되는 댐퍼커버에 댐퍼단열재를 고정하는 고정비드를 마련한 냉장고의 댐퍼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냉기로서 저장실을 냉각하여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저장실의 내부에는 다단 설치되는 선반을 포함한 여러 가지의 저장수단이 마련되어 식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냉장고 댐퍼커버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는 함체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단열재(11)가 마련된 냉장고본체(10)의 내부공간을 중간격벽(16)으로 상하 구획하여 중간격벽(16)의 상측으로는 냉동식품을 저장하는 냉동실(20)이 형성되고, 중간격벽(16)의 하측으로는 냉장식품을 저장하는 냉장실(30)이 형성된다. 이 저장실(20,30)은 전면이 개구되어있으며 각각의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에는 냉장고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냉동실(20)과 냉장실(30)을 개폐하는 도어(21,31)가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냉동실(20)과 냉장실(30)에는 식품을 분리 보관하기 위해 그 상측에 식품이 수납되는 선반(40)이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내측벽에 설치된다. 선반(40)은 식품이 올려질 수 있는 투명한 유리판으로 제작하여 상하측의 선반(40)에 수납되는 식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저장실(20,30)의 후방에는 냉기가 순환되는 냉기덕트(12)가 마련되어 있으며 냉동실(20) 후방의 냉기덕트(12)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13)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증발기(13)의 상측에는 증발기(13)에서 발생된 냉기를 냉동실(20)과 냉장실(30)로 공급하도록 냉기덕트(12)의 배면으로 송풍팬(14)이 설치되고,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배면에는 냉기덕트(12)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냉기토출구(15)가 마련된다. 그리고 중간격벽(16)에는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냉기를 증발기(13)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덕트(17)가 설치된다.
한편, 냉장실(30)의 배면에 형성되는 냉기덕트(12)에는 증발기(13)에서 열교환되어 저온으로 강하된 냉기의 이동을 조절하는 댐퍼(50)가 마련된다. 이 댐퍼(50)는 냉장실(30)측 냉기덕트(12)의 상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증발기(13)측에서 이동되는 냉기의 유입통로를 조절하여 냉장실(30)측으로 이동되는 냉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게 되어 냉장실(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냉장실(30)의 상측 후면에는 댐퍼(50)를 조절하는 댐퍼커버(60)가 마련된다. 이 댐퍼커버(60)는 냉장실(30) 후면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댐퍼(50)를 조절하는 다이얼(61)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이를 조작하여 냉장실(30)로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게된다. 그리고 댐퍼커버(60)는 후측이 개구되어 개구부(63)가 형성된 함체상으로 마련되어있으며 전면에는 냉기덕트(12)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냉기출구(62)가 마련되어 냉기덕트(12)의 냉기가 냉장실(30)로 유입되는 유로의 역할을 하게 되고, 양측에는 냉장실(30)의 내부와 결합되는 체결부(64)와 체결부(64)에 삽입되는 스크류(65)가 마련된다.
아울러, 댐퍼커버(60)와 냉장실(30) 후면벽의 사이에는 댐퍼커버(60)의 내부공간을 채워주며,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댐퍼단열재(70)가 마련된다. 이 댐퍼단열재(70)는 EPS재질로 마련되는 것으로 댐퍼커버(60)의 내부형상과 대응되게 마련되어 댐퍼커버(6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의 일반적인 작동은 다음과 같다. 송풍팬(14)의 회전으로 증발기(13)에서 생성된 냉기를 각각의 냉기덕트(12)를 통해 냉동실(20)과 냉장실(30)로 순환시키게 된다. 이로써 냉동실(20)과 냉장실(30)에 저장되는 식품은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저온 보관되고, 식품을 냉각시킨 냉기는 중간격벽(16)의 상하측에 각각 마련된 복귀덕트(17)를 통해 증발기(13)로 재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냉기덕트(12)를 통해 냉장실(30)측으로 유입되는 냉기는 댐퍼(50)에 의해 그 유로가 조절되어 유입되는 냉기의 양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 냉기는 냉장실(30)측에 마련된 냉기토출구(15)와 댐퍼커버(60)에 마련된 냉기출구(62)를 통해 냉장실(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장고의 댐퍼커버는 내부에 설치되는 냉장실의 후측벽면과의 사이에 단순히 댐퍼단열재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를 고정하는 수단이 마련되어있지가 않다. 이로써 냉장실의 후측벽에 댐퍼커버를 설치하기위해서는 댐퍼커버의 내부에 각종 부속물을 설치한후 댐퍼단열재를 내부에 삽입하고, 댐퍼단열재가 이탈되지않도록 조심스럽게 냉장실 내측벽에 밀착시킨후 체결부에 스크류를 삽입하여 고정하게되므로 조립이 불편하다. 또한 댐퍼커버의 내부에 삽입되는 댐퍼단열재가 댐퍼커버에 견고하게 밀착되지않아 냉기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댐퍼단열재가 삽입되는 댐퍼커버의 개구부 입구측에 고정비드를 마련하여 댐퍼커버와 댐퍼단열재가 밀착되는 냉장고의 댐퍼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냉장고 댐퍼커버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댐퍼커버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냉장고본체 120,130:저장실
120:냉동실 130:냉장실
150:댐퍼 160:댐퍼커버
161:다이얼 162:냉기출구
163:개구부 164:체결부
165:스크류 169:고정비드
170:댐퍼단열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냉동실과 냉장실이 마련된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실에 결합되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댐퍼커버, 상기 댐퍼커버의 내부에 삽입되는 댐퍼단열재를 가지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댐퍼커버의 개구부에는 상기 댐퍼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비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비드는 상기 개구부에 부분적으로 다수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댐퍼커버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는 함체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단열재(111)가 마련된 냉장고본체(110)의 내부공간을 중간격벽(116)으로 상하 구획하여 중간격벽(116)의 상측으로는 냉동식품을 저장하는 냉동실(120)이 형성되고, 중간격벽(116)의 하측으로는 냉장식품을 저장하는 냉장실(130)이 형성된다. 이 저장실(120,130)은 전면이 개구되어있으며 각각의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의 개구된 전면에는 냉장고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을 개폐하는 도어(121,131)가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에는 식품을 분리 보관하기 위해 그 상측에 식품이 수납되는 선반(140)이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의 내측벽에 설치된다. 선반(140)은 식품이 올려질 수 있는 투명한 유리판으로 제작하여 상하측의 선반(140)에 수납되는 식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저장실(120,130)의 후방에는 냉기가 순환되는 냉기덕트(112)가 마련되어 있으며 냉동실(120) 후방의 냉기덕트(112)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113)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증발기(113)의 상측에는 증발기(113)에서 발생된 냉기를 냉동실(120)과 냉장실(130)로 공급하도록 냉기덕트(112)의 배면으로 송풍팬(114)이 설치되고,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의 배면에는 냉기덕트(112)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냉기토출구(115)가 마련된다. 그리고 중간격벽(116)에는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의 냉기를 증발기(113)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덕트(117)가 설치된다.
한편, 냉장실(130)의 배면에 형성되는 냉기덕트(112)에는 증발기(113)에서 열교환되어 저온으로 강하된 냉기의 이동을 조절하는 댐퍼(150)가 마련된다. 이 댐퍼(150)는 냉장실(130)측 냉기덕트(112)의 상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증발기(113)측에서 이동되는 냉기의 유입통로를 조절하여 냉장실(130)측으로 이동되는 냉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게 되어 냉장실(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냉장실(130)의 상측 후면에는 댐퍼(150)를 조절하는 댐퍼커버(160)가 마련된다. 이 댐퍼커버(160)는 냉장실(130) 후면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댐퍼(150)를 조절하는 다이얼(161)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이를 조작하여 냉장실(130)로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게된다. 그리고 댐퍼커버(160)는 후측이 개구되어 개구부(163)가 형성되어있는 함체상으로 마련되어있으며 전면에는 냉기덕트(112)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냉기출구(162)가 마련되어 냉기덕트(112)의 냉기가 냉장실(130)로 유입되는 유로의 역할을 하게 되고, 양측에는 냉장실(130)의 내부와 결합되는 체결부(164)와 체결부(164)에 삽입되는 스크류(165)가 마련된다.
아울러, 댐퍼커버(160)와 냉장실(130) 후면벽의 사이에는 댐퍼커버(160)의 내부공간을 채워주며,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댐퍼단열재(170)가 마련된다. 이 댐퍼단열재(170)는 EPS재질로 마련되는 것으로 댐퍼커버(160)의 내부형상과 대응되게 마련되어 댐퍼커버(16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댐퍼커버(160)의 개구부(163)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고정비드(169)가 마련된다. 이 고정비드(169)는 개구부(163)의 상측과 중간측 그리고 하측에 다수개가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댐퍼커버(160)의 내부에 삽입되는 댐퍼단열재(170)가 댐퍼커버(160)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 고정비드(169)는 댐퍼커버(160)와 일체로 마련되는 사출물로서 개구부(163) 양측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의 일반적인 작동은 다음과 같다. 송풍팬(114)의 회전으로 증발기(113)에서 생성된 냉기를 각각의 냉기덕트(112)를 통해 냉동실(120)과 냉장실(130)로 순환시키게 된다. 이로써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에 저장되는 식품은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저온 보관되고, 식품을 냉각시킨 냉기는 중간격벽(116)의 상하측에 각각 마련된 복귀덕트(117)를 통해 증발기(113)로 재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냉기덕트(112)를 통해 냉장실(130)측으로 유입되는 냉기는 댐퍼(150)에 의해 그 유로가 조절되어 유입되는 냉기의 양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 냉기는 냉장실(130)측에 마련된 냉기토출구(115)와 댐퍼커버(160)에 마련된 냉기출구(162)를 통해 냉장실(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댐퍼커버(160)에 고정비드(169)를 마련함으로써 댐퍼단열재(170)와 댐퍼커버(160)의 사이는 밀착이 되면서 댐퍼커버(160)가 냉장실(130) 후측벽에 고정되기전에 댐퍼단열재(170)와 댐퍼커버(160)는 가조립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댐퍼커버는 댐퍼커버의 내부에 댐퍼단열재를 고정하는 고정비드를 마련함으로써 댐퍼커버와 댐퍼단열재의 개별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댐퍼커버를 냉장실 후측벽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며 고정비드로 인해 댐퍼커버와 댐퍼단열재가 밀착하여 냉기의 유출이 차단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내부에 냉동실과 냉장실이 마련된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실에 결합되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댐퍼커버, 상기 댐퍼커버의 내부에 삽입되는 댐퍼단열재를 가지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댐퍼커버의 개구부에는 상기 댐퍼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비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댐퍼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비드는 상기 개구부에 부분적으로 다수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댐퍼커버.
KR2019980001677U 1998-02-11 1998-02-11 냉장고의 댐퍼커버 KR200217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677U KR200217744Y1 (ko) 1998-02-11 1998-02-11 냉장고의 댐퍼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677U KR200217744Y1 (ko) 1998-02-11 1998-02-11 냉장고의 댐퍼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960U true KR19990035960U (ko) 1999-09-15
KR200217744Y1 KR200217744Y1 (ko) 2001-05-02

Family

ID=6971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677U KR200217744Y1 (ko) 1998-02-11 1998-02-11 냉장고의 댐퍼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7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401B1 (ko) * 2007-01-25 2008-06-23 신원이피피(주) 냉장고용 댐퍼 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401B1 (ko) * 2007-01-25 2008-06-23 신원이피피(주) 냉장고용 댐퍼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744Y1 (ko)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2898B2 (ja) 冷蔵庫の補助貯蔵システム
KR101680382B1 (ko) 모듈식 냉장고
KR20100111481A (ko) 냉장고
JP3649827B2 (ja) 冷蔵庫
US11828517B2 (en) Single air passageway and damper assembly in a variable climate zone compartment
KR100249425B1 (ko) 냉장고
KR19990035960U (ko) 냉장고의 댐퍼커버
US11747074B2 (en) Heater in a variable climate zone compartment
CN113906265A (zh) 遮蔽装置及具有该遮蔽装置的冰箱
JP2005069646A (ja) 冷蔵庫
WO2019165520A1 (en) Air passageways in a variable climate zone compartment
KR19990035963U (ko) 냉장고의 실내등
KR19990035970U (ko) 냉장고의 댐퍼커버
KR20000060269A (ko) 김치전용 냉장고
KR200292004Y1 (ko) 냉장고
KR19990035671U (ko) 냉장고 선반용 도어
JPH0537183Y2 (ko)
KR200156603Y1 (ko) 제빙기 겸용 쇼우케이스
KR100621038B1 (ko) 냉장고
JPH063028A (ja) 冷蔵庫
JPH09138051A (ja) 冷蔵庫
KR19990032107U (ko) 냉장고의 댐퍼커버
JPH05632B2 (ko)
JP2001033143A (ja) 冷蔵庫
KR19990032117U (ko) 냉장고 선반의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