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671U - 냉장고 선반용 도어 - Google Patents

냉장고 선반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671U
KR19990035671U KR2019980001289U KR19980001289U KR19990035671U KR 19990035671 U KR19990035671 U KR 19990035671U KR 2019980001289 U KR2019980001289 U KR 2019980001289U KR 19980001289 U KR19980001289 U KR 19980001289U KR 19990035671 U KR19990035671 U KR 199900356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refrigerator
door
cold ai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영
이인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1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671U/ko
Publication of KR19990035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671U/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 선반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하는 식품이 수납된 선반에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각 선반의 전면에 투명한 재질의 선반용도어를 마련하여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냉장고 전체 신선도가 향상되는 냉장고 선반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냉장고본체, 저장실의 내부벽면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안내부재, 안내부재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선반, 각각의 선반 전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선반의 전면을 개폐하는 선반용도어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원하는 식품이 위치한 선반의 전면만을 개방하게되어 외부공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이 감소되어 냉장고의 온도를 다시 저온으로 맞추기 위한 냉장고의 운전시간이 감소하고, 이로써 소비전력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선반용 도어
본 고안은 냉장고 선반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저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각각의 선반 전면에 투명한 선반용도어를 마련하여 불필요한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냉장고 선반용 도어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냉기로서 저장실을 냉각하여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냉장고의 내부에는 안내부재가 양측으로 대향되게 다수개가 마련되고, 그 상측으로 식품이 수납되는 선반이 다단 설치되어 식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선반이 설치된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는 함체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단열재(17)가 마련된 냉장고본체(10)가 마련된다. 이 냉장고본체(10)의 저장실(20,30)은 중간격벽(18)에 의해 상하 구획되어, 중간격벽(18)의 상측으로는 냉동식품을 저장하는 냉동실(20)이 형성되고, 중간격벽(18)의 하측으로는 냉장식품을 저장하는 냉장실(30)이 형성된다.
저장실(20,30)은 전면이 개구되어있으며 각각의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에는 냉장고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냉동실(20)과 냉장실(30)을 개폐하는 도어(21,31)가 각각 마련된다.
냉장실(30)의 상측에는 전면에 개폐구(41)를 마련한 특선실(40)이 마련되어있다. 이 특선실(40)은 후설할 증발기(12)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증발기(12)에서 생성된 냉기가 하측에 있는 냉장실(30)보다 먼저 유입되어 냉장실(30)보다는 낮은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특정식품을 수납 보관하였다. 그리고 냉장실(30)의 하측에는 특선실(40)과는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냉장실(30)에 유입되고, 남은 냉기가 유입되는 야채실(50)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후방에는 냉기가 순환되는 냉기덕트(11)가 마련되어 있으며 냉동실(20) 후방의 냉기덕트(11)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12)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증발기(12)의 상측에는 증발기(12)에서 발생된 냉기를 냉동실(20)과 냉장실(30)로 공급하도록 냉기덕트(11)의 배면으로 송풍팬(13)이 설치되고,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배면에는 냉기덕트(11)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냉기토출구(16)가 마련된다. 그리고 중간격벽(18)에는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냉기를 증발기(12)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덕트(19)가 설치된다.
한편 냉동실(20)과 냉장실(30)에는 식품을 분리 보관하기 위해 그 상측에 식품이 수납되는 선반(70)이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외측벽에 마련되는 안내부재(60)에 설치된다. 이 안내부재(60)는 선반(70)을 냉장고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저장실(20,30)의 양측내벽에는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사출성형물인 냉장고의 내상을 제작할 때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다. 이 안내부재(60)는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되며, 전후방 수평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내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선반(70)은 이 안내부재(60)에 상측으로 착탈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식품이 올려질 수 있는 투명한 유리판으로 제작하여 상하측의 선반(70)에 수납되는 식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선반(70)의 양단은 안내부재(60)의 상측에 올려져서 설치되고, 이 선반(70)의 상측에는 식품이 수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냉장고는 냉장고본체(10)의 배면 하측에 마련된 압축기(14)에서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고, 이 압축기(14)에서 생성된 냉매는 미도시된 응축기를 통하여 증발기(12)로 유입된다. 이때 냉매는 저온,저압의 상태이므로 증발기(12)와 냉장고 내부의 공기는 열교환된다. 그리고 열교환되어 저온으로 강하된 공기는 송풍팬(13)에 의해 냉기덕트(11)로 따라 이동되면서 냉기덕트(11)에 마련된 댐퍼(15)에 의해 냉장실(30)측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이 조절된다. 그리고 냉기덕트(11)를 따라 이동된 공기가 냉기토출구(16)를 통해 냉동실(20)과 냉장실(30)로 유입되어 식품을 냉각시킨 뒤 중간격벽(18)에 마련된 복귀덕트(19)를 통해 증발기(12)로 재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장고는 선반에 수납된 식품을 꺼내려 할 때 도어를 열고, 선반의 상측에 수납된 식품을 외부로 인출하게된다. 이때 저장실의 내부의 냉기는 개구된 전면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고, 외부의 공기는 저장실로 유입되어 저장실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로써 냉장고의 온도를 다시 저온으로 맞추기 위해서는 냉장고의 운전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식품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도어를 개방할 때 외부공기의 유입은 불가피하지만 이 외부공기의 유입은 내부에 수납된 식품의 신선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즉 원하는 위치에 있는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 냉동실이나 냉장실의 도어를 개방할 때 냉동실이나 냉장실 전체의 식품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하는 식품이 수납된 선반에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각 선반의 전면에 투명한 재질의 선반용도어를 마련하여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냉장고 전체 신선도가 향상되는 냉장고 선반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선반이 설치된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이 설치된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냉장고본체 120,130:저장실
121,131:도어 140:특선실
141:개폐구 150:야채실
160:안내부재 170:선반
171:회동축 180:선반용도어
181:회동부 182:회동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냉장고본체, 상기 저장실의 내부벽면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선반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선반 전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선반의 전면을 개폐하는 선반용도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선반용도어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현가되어 상기 선반의 하측 전면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용도어는 상기 선반에 수납된 식품을 식별할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이 설치된 냉장고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전면이 개구된 저장실(120,130)을 갖는 냉장고본체(110)를 포함한다. 냉장고본체(110)는 함체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단열재(117)가 마련되어있고,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120,130)은 중간격벽(118)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이때 중간격벽(118)의 상측으로는 냉동식품을 저장하는 냉동실(120)이 형성되고, 중간격벽(118)의 하측으로는 냉장식품을 저장하는 냉장실(130)을 형성된다.
저장실(120,130)은 전면이 개구되어있으며 각각의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의 개구된 전면에는 냉장고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을 개폐하는 도어(121,131)가 각각 마련된다.
냉장실(130)의 상측에는 전면에 개폐구(141)를 마련한 특선실(140)이 마련되어있다. 이 특선실(140)은 후설할 증발기(112)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증발기(112)에서 생성된 냉기가 하측에 있는 냉장실(130)보다 먼저 유입되어 냉장실(130)보다는 낮은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특정식품을 수납 보관하였다. 그리고 냉장실(130)의 하측에는 특선실(140)과는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냉장실(130)에 유입되고, 남은 냉기가 유입되는 야채실(150)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의 후방에는 냉기가 순환되는 냉기덕트(111)가 마련되어 있으며 냉동실(120) 후방의 냉기덕트(111)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112)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증발기(112)의 상측에는 증발기(112)에서 발생된 냉기를 냉동실(120)과 냉장실(130)로 공급하도록 냉기덕트(111)의 배면으로 송풍팬(113)이 설치되고,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의 배면에는 냉기덕트(111)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냉기토출구(116)가 마련된다. 그리고 중간격벽(118)에는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의 냉기를 증발기(112)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덕트(119)가 설치된다.
한편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에는 식품을 분리 보관하기 위해 그 상측에 식품이 수납되는 선반(170)을 설치하기 위한 다수개의 안내부재(160)가 마련되어있고, 이 안내부재(160)의 상측으로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선반(170)이 다수개 마련되어 안내부재(160)에 설치된다. 안내부재(160)는 선반(170)을 냉장고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의 양측내벽에는 높이를 달리한 다수개의 형성되는 것으로, 이 안내부재(160)는 사출성형물인 냉장고의 내상을 제작할 때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전후방 수평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내측으로 돌출되어 선반(170)이 설치될 수 있는 걸림턱의 구조로 마련되며 하나의 선반(170)을 고정하기 위해서 좌우측 한쌍의 안내부재(160)가 마련된다.
또한, 선반(170)은 안내부재(160)의 상측으로 착탈가능하도록 판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측에는 식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안내부재(16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선반(170)은 식품이 올려질 수 있는 투명한 유리판으로 제작하여 상하측의 선반(170)에 수납되는 식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이 선반(170)의 전면에는 투명한 재질로 마련된 선반용도어(180)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선반용도어(180)는 상하측으로 다수개가 마련되는 선반(170)의 전면을 개폐할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각각의 선반(170)을 구획시켜주어 사용자가 원하는 식품이 위치한 선반(170)의 전면을 개방하여 저장실(120,130) 내부의 냉기유출을 감소시키기위한 것이다. 이 같이 선반용도어(180)가 회동하기 위해서 선반(170)의 전면 양측에는 일부가 절개되어있으며 이 절개된 내부에는 회동축(171)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 회동축(171)과 대응되도록 선반용도어(180)의 상측선단 양측에는 회동부(181)가 마련된다. 이 회동부(181)는 일측이 개구된 원형관으로서 내부에 마련되는 회동홈(182)은 일측이 개구되어있으며 그 입구는 회동축(171)의 지름보다 작도록 마련되어 회동축(171)이 억지 삽입되어 내부에서 회동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선반(170)을 안내부재(160)에 설치할 때 각 선반(170)의 사이는 선반용도어(180)가 개폐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로 간격을 마련한다. 이로써 선반(170)에 설치된 선반용도어(180)는 하측의 선반(170)과의 사이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냉장고는 냉장고본체(110)의 배면 하측에 마련된 압축기(114)에서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고, 이 압축기(114)에서 생성된 냉매는 미도시된 응축기를 통하여 증발기(112)로 유입된다. 이때 냉매는 저온,저압의 상태이므로 증발기(112)와 냉장고 내부의 공기는 열교환된다. 그리고 열교환되어 저온으로 강하된 공기는 송풍팬(113)에 의해 냉기덕트(111)로 따라 이동되면서 냉기덕트(111)에 마련된 댐퍼(115)에 의해 냉장실(130)측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이 조절된다. 그리고 냉기덕트(111)를 따라 이동된 공기가 냉기토출구(116)를 통해 냉동실(120)과 냉장실(130)로 유입되어 식품을 냉각시킨 뒤 중간격벽(118)에 마련된 복귀덕트(119)를 통해 증발기(112)로 재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안내부재(160)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선반(170)은 상하측과 전후면이 밀폐되어 냉장실(130)을 구획하여 각각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그 내부에 수납되는 식품을 사용자가 인출할때는 도어(121,131)를 개방한후 투명한 선반용도어(180)를 통해 선반(170)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하후 선반용도어(180)를 열어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선반용 도어는, 선반에 수납된 식품을 꺼내려 할 때 도어를 열고, 투명한 선반용도어를 통해 선반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한후 선반용도어를 개방하여 식품을 인출하므로 원하는 식품이 위치한 선반의 전면만을 개방하게된다. 즉 저장실의 일부분만이 개방되므로 외부공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이 감소되어 냉장고의 온도를 다시 저온으로 맞추기 위한 냉장고의 운전시간이 감소하고, 이로써 소비전력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공기의 저장실 유입이 감소하여 저장된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냉장고본체, 상기 저장실의 내부벽면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선반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선반 전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선반의 전면을 개폐하는 선반용도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용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용도어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현가되어 상기 선반의 하측 전면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용 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용도어는 상기 선반에 수납된 식품을 식별할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용 도어.
KR2019980001289U 1998-02-05 1998-02-05 냉장고 선반용 도어 KR199900356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289U KR19990035671U (ko) 1998-02-05 1998-02-05 냉장고 선반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289U KR19990035671U (ko) 1998-02-05 1998-02-05 냉장고 선반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671U true KR19990035671U (ko) 1999-09-15

Family

ID=6971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289U KR19990035671U (ko) 1998-02-05 1998-02-05 냉장고 선반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67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9352A1 (en) * 2006-05-30 2007-12-0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eventing leakage of cooling air for refrigerator
KR100801625B1 (ko) * 2006-11-06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 냉장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9352A1 (en) * 2006-05-30 2007-12-0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eventing leakage of cooling air for refrigerator
KR100885411B1 (ko) * 2006-05-30 2009-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기 유출 방지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885410B1 (ko) * 2006-05-30 2009-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기 유출 방지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885409B1 (ko) * 2006-05-30 2009-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기 유출 방지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1013632B1 (ko) * 2006-05-30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 유출 방지장치
KR100801625B1 (ko) * 2006-11-06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10840A1 (en) Refrigerator
KR102627719B1 (ko) 냉장고
US7059142B2 (en) Refrigerator having temperature controlled chamber
KR100690702B1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냉기 토출장치
KR20070074209A (ko) 냉장고
KR101283190B1 (ko) 도어에 증발기가 설치된 냉장고
KR101480458B1 (ko) 냉장고
KR20070010547A (ko) 냉장고
KR19990035671U (ko) 냉장고 선반용 도어
KR100614315B1 (ko) 냉장고
KR20000034726A (ko) 홈바룸의 에어커튼 장치
KR100414269B1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100585695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댐퍼
KR100451344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의 급속냉동장치
KR100404467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090008159U (ko) 냉장고
KR200142470Y1 (ko) 냉장고
KR100438939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200292004Y1 (ko) 냉장고
KR200217745Y1 (ko) 냉장고의 특선실선반
KR100479493B1 (ko) 냉장고
KR19990032117U (ko) 냉장고 선반의 셔터
JP2002107033A (ja) 冷蔵庫
KR20210153479A (ko) 냉장고
US20160223245A1 (en) Refrigerator having cooling air circulating structure for preventing fr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