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691A - Flexible fixed headrest - Google Patents

Flexible fixed head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691A
KR19990035691A KR1019970057524A KR19970057524A KR19990035691A KR 19990035691 A KR19990035691 A KR 19990035691A KR 1019970057524 A KR1019970057524 A KR 1019970057524A KR 19970057524 A KR19970057524 A KR 19970057524A KR 19990035691 A KR19990035691 A KR 19990035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rod
wire frame
flexible fixed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영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691A/en
Publication of KR1999003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691A/en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고정식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헤드레스트 본체(1)가 2개의 지지로드(2)에 의해 시트백(3)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2)를 상부 로드(10)와 하부 로드(12)로 분리 절단한 후, 상기 상부 로드(10)의 하단부(12)와 상기 하부 로드(11)의 상단부(13) 사이를 적절한 길이의 와이어 프레임(14)으로 연결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14) 부분을 플라스틱(15)으로 감싸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헤드레스트를 사용하면, 탑승자에게 최상의 편안함과 안전성을 제공하는 잇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fixed headrest, wherein the support rod (2) is provided in a headrest in which the headrest main body (1) is mounted on the seatback (3) by two support rods (2). ) Is cut and cut into the upper rod 10 and the lower rod 12, and a wire frame having an appropriate length between the lower end 12 of the upper rod 10 and the upper end 13 of the lower rod 11 14), and is configured to wrap the wire frame 14 part with plastic 15, and the use of such headrests provides the best comfort and safety for the occupant.

Description

가요성 고정식 헤드레스트Flexible fixed headrest

본 발명은 가요성 고정식 헤드레스트(Head Res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지지로드부에 와이어 프레임과 플라스틱를 적용함으로써 전후방향으로 가요성을 부여한 형태의 가요성 고정식 헤드레스트에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fixed head re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fixed head rest in a form in which flexibility is applied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by applying a wire frame and plastic to a support rod of a head restraint for an automobile. It's about the rest.

일반적으로, 자동차 좌석등받이의 상단에 장착된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레인트(Head Restraint)의 약어로써, 그 본래의 기능은 안전벨트(Safety Belt)와 협력하여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시 승객의 몸이 뒤로 젖혀지더라도 목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의 정도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In general, the head restraint mounted on the top of the seat back of the car is an abbreviation for Head Restraint, and its original function is to cooperate with the safety belt so that the passenger's body can be damag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r collision of the car. Even when flipped back, the impact on the neck is minimized.

또한, 헤드레스트의 다른 기능은 주행 또는 정차중 승객이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대어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안락함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function of the headrest is to provide comfort so that passengers can rest in a comfortable position by leaning their heads on the headrest while driving or stopping.

헤드레스트의 종류에는 시트백 위에 베개와 같이 장착한 삽입식과 시트백과 일체로 되어 있는 일체식이 있으며, 일체식으로 된 것은 등이 높은 시트라는 것으로서 하이백 시트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There are two types of headrests: an insertion type mounted on a seat back like a pillow and an integral type integrated with a seat back. An integrated type is sometimes referred to as a high back seat as a seat having a high back.

도 1에는 종래의 삽입식 헤드레스트 구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헤드레스트 몸체(1)에는 2개의 지지로드(2)가 제공되어 있어 좌석등받이(3) 내부에 형성된 지지로드 가이드(4)에 삽입되어 지지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insertable headrest structure. The headrest body 1 of this kind is provided with two support rods 2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upport rod guides 4 formed in the seat back 3.

또한, 종래의 헤드레스트 몸체(1)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베개 모양이며, 헤드레스트 몸체(1) 정면의 중간부분이 약간 함몰된 형태로 되어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onventional headrest body 1 is generally a pillow shape, the middle portion of the front of the headrest body 1 is slightly recessed.

이러한 헤드레스트 몸체(1)는 승차자의 키 또는 머리위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조절은 상기 지지로드(2)에 형성된 고정흠(도시되지 않았음)과 상기 지지로드 가이드(4) 상부의 돌기부(도시되지 않았음)의 교합에 의해 행해진다.The height of the headrest body 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r head position of the occupant, this adjustment is a fixing flaw (not shown) formed on the support rod 2 and the support rod guide 4 This is done by the mating of the upper protrusions (not shown).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 몸체(1) 외피의 재질은 좌석등받이(3)와 동일한 직물, 합성수지, 또는 가죽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헤드레스트 몸체(1) 내부의 재질은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스폰지 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headrest body (1)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fabric, synthetic resin, or leather as the seat back (3), the material inside the headrest body (1), such as a sponge that can act as a buffer It is preferable to become.

한편, 도 2에는 자동차의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하였을 때 탑승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의 간격을 보여주는 도면이 측면도로 도시되어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지지로드(2)는 가용성이 없기 때문에 탑승자가 착석하였을 때 헤드레스트 본체(1)와 탑승자의 두부(5) 사이에 일정한 간격(d)이 항상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rest and the headrest of the occupant when the occupant is seat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2, since the support rod 2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not soluble, a constant distance d between the headrest body 1 and the head 5 of the occupant is occupied when the occupant is seated. Always maintained.

따라서, 탑승자의 다양한 착좌 자세가 있을 수 있으나 헤드레스트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탑승자에게 불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충돌 사고시 충격을 제한적으로 흡수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may be a variety of seating posture of the occupant, but the headrest is fixed, so as not only to provide inconvenience to the occupan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only absorb the shock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the car.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지지로드부에 와이어 프레임과 플라스틱를 적용함으로써 전후방향으로 가용성을 부여한 형태의 가요성 고정식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stationary headrest in the form of providing availabilit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applying a wire frame and plastic to the support rod of the headrest for automobiles.

도 1은 종래의 삽입식 헤드레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insertion headrest.

도 2는 자동차의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하였을 때 탑승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의 간격을 보여주는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occupant and the headrest when the occupant is seat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고정식 헤드레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exible fixed headres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헤드레스트 본체 2: 지지로드1: headrest body 2: support rod

3: 시트백 4: 지지로드 가이드3: seatback 4: support rod guide

10: 상부로드 11: 하부로드10: upper rod 11: lower rod

14: 와이어 프레임 15:플라스틱14: wire frame 15: plastic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레스트 본체가 2개의 지지로드에 의해 시트백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를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로 분리 절단한 후, 상기 상부 로드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로드의 상단부 사이를 적절한 길이의 와이어 프레임으로 연결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 부분을 플라스틱로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고정식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The above object is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eadrest in which the headrest main body is installed to be adjustable in the seatback by two support rods, the support rod is provided in the upper rod and the lower portion. After separating and cutting with a rod, the flexible fixed headrest is configured to connect and fix a wire frame having an appropriate lengt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rod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rod, and wrap the wire frame portion with plastic. Is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고정식 헤드레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고정식 헤드레스트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지지로드부를 보강하여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로드부를 절단하여 상부 로드(10)와 하부 로드(11)로 분리한 후, 상기 상부 로드(10)와 하부 로드(11) 사이에 와이어 프레임(14)을 적용한다. 그 후,상기 와이어 프레임(14) 부분을 플라스틱(15)으로 감쌈으로써, 와이어 프레임(14) 부분의 기능을 보완하고, 외관을 유려하게 한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exible fixed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flexible fixed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reinforcing a conventional headrest support rod. In more detail, after cutting the support rod to separate the upper rod 10 and the lower rod 11, the wire frame 14 is applied between the upper rod 10 and the lower rod (11). Thereafter, the wire frame 14 portion is wrapped with the plastic 15 to complement the function of the wire frame 14 portion and smooth the appearance.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고정식 헤드레스트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장착시와 동일하게 시트백(3;도 1참조)에 내장된 지지로드 가이드(4;도 1참조)에 헤드레스트의 하부 로드(11)를 적절한 깊이로 삽입하면 된다.In order to mount the flexible fixed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rod of the headrest is mounted on the support rod guide 4 (see Fig. 1) built in the seatback 3 (see Fig. 1) as in the conventional headrest mounting. 11) can be inserted to the appropriate depth.

헤드레스트의 지지로드부가 가요성을 지니도록 형성됨으로써 자동차에 탑승자가 착좌하여 탑승자의 두부가 헤드레스트에 닿을시 착좌자세의 영향을 보완하여 줌으로,탑승자는 최상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 사고시에도 헤드레스트의 완충력이 배가됨으로써 헤드레스트와 탑승자 두부와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upport rod of the headrest is formed to be flexible, so that the occupant sits on the car and compensates the influence of the seating posture when the head of the passenger touches the headrest, so that the passenger can feel the best comfort and also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r collision, the shock absorbing power of the headrest is doubled to minimize the impact between the headrest and the occupant's head.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사용하면, 탑승자에게 최상의 편안함과 안전성을 제공하는 잇점이 있다.After all, the use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the rider with the best comfort and safety.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Whil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

헤드레스트 본체(1)가 2개의 지지로드(2)에 의해 시트백(3)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2)를 상부 로드(10)와 하부 로드(12)로 분리 절단한 후, 상기 상부 로드(10)의 하단부(12)와 상기 하부 로드(11)의 상단부(13) 사이를 적절한 길이의 와이어 프레임(14)으로 연결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14) 부분을 플라스틱(15)으로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고정식 헤드레스트.In the headrest in which the headrest main body 1 is installed in the seatback 3 by the two support rods 2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the support rod 2 is attached to the upper rod 10 and the lower rod 12. After separating and cutting with),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12 of the upper rod 10 and the upper end portion 13 of the lower rod 11 is connected and fixed with a wire frame 14 of an appropriate length, the wire frame 14 Flexible headres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wrap the portion with a plastic (15).
KR1019970057524A 1997-10-31 1997-10-31 Flexible fixed headrest KR199900356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524A KR19990035691A (en) 1997-10-31 1997-10-31 Flexible fixed head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524A KR19990035691A (en) 1997-10-31 1997-10-31 Flexible fixed headr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691A true KR19990035691A (en) 1999-05-15

Family

ID=6608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524A KR19990035691A (en) 1997-10-31 1997-10-31 Flexible fixed head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69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3177B2 (en) Advanced elastomeric integral suspension seating system
KR19990035691A (en) Flexible fixed headrest
KR200147093Y1 (en) Rear collision buff device for the use of headrest
US3515434A (en) Seat arrangement
JP3672251B2 (en) Automotive seat cushion
KR19990035662A (en) Built-in rear center headrest
JP5632601B2 (en) Vehicle seat structure
KR19980011299U (en) Before and after adjustable headrest
KR19980011301U (en) Adjustable headrest
KR19990035664A (en) Headrest
KR0125234Y1 (en) Driver seat for a car
JP2536861Y2 (en) Car seat structure
KR19980046634U (en) Lumbar support structure of car seatback
KR100292865B1 (en) Device for controlling cushion of rear seat in vehicle
KR0166546B1 (en) Coin box in the rear seat for a vehicle
KR0138731Y1 (en) A car seat
KR0134235Y1 (en) Headrest of a car
KR200149569Y1 (en) Headrest built-in seat back of a car
KR200141721Y1 (en) Headrest of seat for a car
KR0145968B1 (en) Rotary headrest
KR20040045713A (en) safety seat of an automobile
KR19990050312A (en) Car Seat Frames
KR19980018013U (en) Headrest of car
KR19990053318A (en) Neck support means of car seat
KR970036817A (en) Headrest of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