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655U - 냉장고의 케비넷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케비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655U
KR19990035655U KR2019980001273U KR19980001273U KR19990035655U KR 19990035655 U KR19990035655 U KR 19990035655U KR 2019980001273 U KR2019980001273 U KR 2019980001273U KR 19980001273 U KR19980001273 U KR 19980001273U KR 19990035655 U KR19990035655 U KR 199900356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plate
refrigerator
rear plate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1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655U/ko
Publication of KR19990035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655U/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케비넷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케비넷 외상의 후판을 개선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케비넷(100)은 외상(110)과 내상(120)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사이에 우레탄 발포액이 주입되어 단열벽(130)이 형성되는데, 강성이 요구되지 않는 외상(110)의 후판(113)을 난연성종이재질(113a)로 구성하며 강판으로 이루어진 측판(112)에 가장자리를 따라 후판(113)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부(112a)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측판(112)의 결합부(112a)에 종이재질의 후판(113) 양단부가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케비넷(100) 후판(113)의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이고, 이의 조립라인에서 후판(113)의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조립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케비넷
본 고안은 단열벽이 마련되도록 내상과 외상으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케비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성이 요구되지 않는 케비넷 외상의 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각종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종래 냉장고는 외형 몸체를 이루는 케비넷 내부에 앞면이 개방된 저장실로서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획되어 있으며, 냉동실과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케비넷 앞면부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냉동실의 후방에는 냉기를 생성하여 냉동실과 냉장실로 공급하는 별도의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와 순환팬이 내장되어 있다. 순환팬은 증발기에서 열교환되어 생성되는 냉기를 냉동실과 냉장실로 강제 송풍시킨다.
이러한 냉기를 냉동실과 냉장실로 안내하도록 냉기유출구가 형성된 냉동실덕트와 냉장실덕트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으며,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중간격벽 내에는 순환팬의 흡입력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증발기로 안내하는 복귀덕트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 케비넷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상으로 이루어진 상판(미도시)과 양 측판(11a) 및 후판(11b)으로 이루어져 함체상으로 결합된 외상(11)과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된 내상(미도시)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에 우레탄 발포액의 충진으로 단열벽(미도시)이 구성된다. 이 때, 우레탄 발포는 후술하는 기계실(20)의 천정면에 형성된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수행되는데, 이를 통해 주입된 발포액은 내상(미도시)과 외상(11)사이의 틈새에 발포되면서 충진되어 내상(미도시)과 외상(11)을 견고하게 고정하며 단열벽(미도시)을 이룬다.
또한 케비넷(10) 후방의 하부에는 기계실(20)이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냉동사이클로 공급하는 압축기(21)와 냉각팬(23), 응축기(22) 및 증발접시(미도시) 기타 전장상자(미도시)가 장착되고, 기계실(20)의 후방을 덮는 커버판(30)이 스크류(31)결합되어 있다.
커버판(30)은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냉각팬(23)의 작동에 따라 외부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통기구(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판(30)의 테두리부를 따라 스크류구멍(33)이 형성되어 이를 관통하도록 스크류(31)가 결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냉장고의 제조과정시 강판으로 구성된 외상(11)을 지그(미도시)를 통해 고정시키고, 기계실(20) 커버판(30)을 분해한 상태에서 기계실(20) 천정면에 형성된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내상(미도시)과 외상(11) 사이에 우레탄 발포액을 주입 포밍한다. 이 때, 지그(미도시)를 통해 외상(11)을 고정하는 이유는 우레탄 포밍시 외상(11)의 상판(미도시)과 측판(11a) 및 후판(11b)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우레탄 포밍이 완료된 후, 기계실(20)에 압축기(21)와 응축기(22) 및 냉각팬(23), 기타 전장품을 장착하고, 기계실(20) 커버판(30)을 스크류(31) 결합한다.
한편, 이러한 케비넷(10) 외상(11)의 후판(11b)은 양 측판(11a)과 결합되며 냉장고의 설치시 실내벽면과 인접되게 배치되는데, 종래의 냉장고는 별도의 강성이 요구되지 않는 케비넷(10) 외상(11)의 후판(11b)까지도 강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후판(11b)은 측판(11a)과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아 대량생산되는 조립라인에서 생선성저하의 결정적 요인이 되며, 냉장고 케비넷(10)의 제조원가 역시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냉장고의 케비넷이 외상과 내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사이에 우레탄이 발포되어 단열벽이 마련되는데, 강성이 요구되지 않는 케비넷 외상의 후판을 난연성 종이재질로 구성하여 냉장고의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 목적은 케비넷 측판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후판의 가장자리부분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냉장고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후방을 일부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로써, 후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케비넷 110..외상 111..상판
112..측판 112a..결합부 112b..결합공간
113..후판 113a..난연성종이 113b..알류미늄 테이프
120..내상 130..단열벽 700..기계실
710..압축기 720..응축기 730..냉각팬
800..커버판 810..스크류 820..통기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관을 이루는 외상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획되게 형성되는 내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상과 내상사이에 우레탄 발포액이 주입되어 단열벽이 마련된 케비넷을 갖춘 냉장고에 있어서,
외상은 함체상으로 결합된 상판과 양 측판 및 후판을 구비하며,
후판은 난연성 종이재질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냉장고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비넷 후판의 결합구조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개략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냉장고는 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을 이루는 외상(110)과 내상(120)으로 이루어진 케비넷(100) 내부에 냉동식품을 보관하는 냉동실(200)과 냉장식품을 보관하는 냉장실(3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개폐하는 도어(210,310)가 케비넷(100)의 앞면부에 회전운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다.
냉동실(200)의 후방에는 냉각실(400)이 형성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410), 생성된 냉기를 강제송풍하는 수단으로 순환팬(42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냉기의 공급을 안내하도록 냉동실(200)과 냉장실(300)의 후측벽에는 각각 다수개의 냉기유출구(620)가 상하로 배열된 냉동실덕트(600)와 냉장실덕트(610)가 세워져 설치된다.
각종 저장식품을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선반(320)이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냉동실(200)과 냉장실(300)은 중간격벽(50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게 마련되는데, 중간격벽(500)에는 냉기의 귀환을 위하여 냉동실복귀덕트(510)와 냉장실복귀덕트(520)가 증발기(410) 설치부위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냉동실(200)과 냉장실(300)을 형성하는 케비넷(100)의 내상(120)은 플라스틱 재로 사출성형되며, 외관을 이루는 외상(110)과 내상(120)사이에는 우레탄 발포액이 충진되어 단열벽(130)이 마련된다.
이러한 케비넷(100) 외상(110)은 양 측판(112)과 상판(111)과 후판(113) 등이 함체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상판(111)과 측판(112)은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커다란 강성이 요구되지 않는 후판(113)은 본 고안의 특징적 요소로 종이재질(113a)로 구성되어 있다.
후판(113)은 불에 타지 않는 난연성종이(113a)와 내수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의 합성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외표면에 알류미늄 테이프(113b)를 통해 테이핑처리를 하여 불에 타지 않으며 수분침투가 방지된다.
이러한 종이판상으로 이루어진 후판(113)은 측판(112)의 가장자리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데, 이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강판상으로 이루어진 측판(112)에는 내부에 결합공간(112b)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밴딩된 결합부(112a)가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112a)는 반대측 측판에도 동일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후판(113)의 양측단부가 측판(112)에 형성된 결합부(112a)의 결합공간(112b) 내부에 각각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도구없이 용이하게 가조립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우레탄 발포액을 주입하게 되면 견고하게 부착된다.
또한 케비넷(100) 후방의 하부에는 압축기(710)와 응축기(720) 및 냉각팬(730), 기타 전장품이 장착되도록 소정공간의 기계실(700)이 형성되어 있다. 기계실(700)의 천정부에는 내상과 외상 사이로 우레탄 발포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미도시)가 마련된다. 그리고 기계실(700) 개방부를 덮는 커버판(800)이 스크류(810)결합되는데, 여기에는 다수개의 통기구(820)가 형성되어 냉각팬(730)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유출입됨으로써 응축기(720)가 용이하게 응축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순환팬(420)이 회전하면 증발기(410)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동실덕트(600)와 냉장실덕트(610)의 냉기유출구(620)를 통해 냉동실(200)과 냉장실(300)로 공급되어 선반(320)에 수납 보관된 저장식품을 냉각시키면서 열교환된다.
그리고 열교환된 공기는 다시 냉동실복귀덕트(510)와 냉장실복귀덕트(520)를 통해 증발기(410)로 유입 재냉각되어 다시 냉동실(200)과 냉장실(300)로 공급됨으로써, 냉동실(200)과 냉장실(300)에 보관된 식품은 신선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냉장고는 통상적으로 케비넷(100) 후판(113)이 실내의 벽멱과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후판(113)은 양 측판(112)에 비해 강성이 요구되지 않는데 본 고안의 특징적인 것으로 난연성종이(113a)와 PE와 수분침투 방지를 위한 알류미늄테이프(113b) 처리된 합성 종이재질로 이루어져 이의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즉, 냉장고는 제조과정시 측판(112) 가장자리부에 후판(113)의 단부가 결합되어 함체상으로 마련되는데, 종이재질의 후판(113)은 측판(112)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부(112a)의 결합공간(112b)에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계속하여 이러한 외상(110)과 내상(120)사이에 우레탄 발포액을 충진하기 전에 지그(미도시)를 통해 외상(110) 전체를 고정하여 발포액 주입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기계실(700)에 마련된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우레탄 발포액을 주입하면 이것이 발포 건조되어 단열벽(130)이 형성되며, 기계실(700)에 압축기(710)와 응축기(720) 및 냉각팬(730) 등의 전장품을 장착한 후 커버판을 스크류 결합하면, 냉장고의 케비넷(100)조립이 완료된다.
이 때, 후판(113)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이재질로 구성되어 이의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또한 이의 결합이 측판(112)의 결합부(112a) 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조립 역시 용이하게 수행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케비넷은 외상과 내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사이에 우레탄 발포액이 주입되어 단열벽이 형성되는데, 강성이 요구되지 않는 외상의 후판을 난연성종이재질로 구성하며 강판으로 이루어진 측판에 가장자리를 따라 후판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부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측판의 결합부에 종이재질의 후판 양단부가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케비넷 후판의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이고, 이의 조립라인에서 후판의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조립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외관을 이루는 외상(110)과 냉동실(200)과 냉장실(300)이 구획되게 형성되는 내상(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상(110)과 상기 내상(120)사이에 우레탄 발포액이 주입되어 단열벽(130)이 마련된 케비넷(100)을 갖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외상(110)은 함체상으로 결합된 상판(111)과 양 측판(112) 및 후판(113)을 구비하며,
    상기 후판(113)은 난연성 종이재질(113a)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케비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113)의 외면에는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알류미늄 테이프(113b)를 이용하여 테이핑 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케비넷.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12)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후판(113)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공간(112b)이 형성된 결합부(112a)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케비넷.
KR2019980001273U 1998-02-05 1998-02-05 냉장고의 케비넷 KR199900356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273U KR19990035655U (ko) 1998-02-05 1998-02-05 냉장고의 케비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273U KR19990035655U (ko) 1998-02-05 1998-02-05 냉장고의 케비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655U true KR19990035655U (ko) 1999-09-15

Family

ID=6971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273U KR19990035655U (ko) 1998-02-05 1998-02-05 냉장고의 케비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65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635B1 (ko) 냉장고
KR20120106098A (ko) 냉장고
JP6655277B2 (ja) 冷蔵庫
JP2001147072A (ja) 電気冷蔵庫
KR200217742Y1 (ko) 기계실커버를갖춘냉장고의캐비닛
KR19990035655U (ko) 냉장고의 케비넷
KR19990035656U (ko) 냉장고의 케비넷
KR100308090B1 (ko) 냉장고
KR100299369B1 (ko) 냉장고
JP3600579B2 (ja) 冷蔵庫
KR100428504B1 (ko) 김치냉장고
JP2005069646A (ja) 冷蔵庫
KR100331998B1 (ko) 냉장고
KR200217732Y1 (ko) 냉장고의 발포액 안내구조
JP6955587B2 (ja) 冷蔵庫
KR200292004Y1 (ko) 냉장고
JP6674522B2 (ja) 冷蔵庫
KR200292006Y1 (ko) 냉장고
KR200217741Y1 (ko) 냉장고의우레판폼발포구조
JPH10259985A (ja) 冷蔵庫
KR200235174Y1 (ko) 냉장고
JPS608294Y2 (ja) 冷凍冷蔵庫
KR200457103Y1 (ko) 냉장고
JP3540576B2 (ja) 冷蔵庫
KR100528290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