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607A -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607A
KR19990035607A KR1019970057433A KR19970057433A KR19990035607A KR 19990035607 A KR19990035607 A KR 19990035607A KR 1019970057433 A KR1019970057433 A KR 1019970057433A KR 19970057433 A KR19970057433 A KR 19970057433A KR 19990035607 A KR19990035607 A KR 19990035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nformation
ram
record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7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607A/ko
Publication of KR1999003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607A/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은 배터리 팩에 RAM을 설치하여 배터리의 충전/방전횟수, 충전/방전날짜 등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후 배터리의 정보를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전자제품에 구비된 LCD등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은 배터리 팩에 배터리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RAM을 구비하여 충전/방전횟수, 충전/방전날짜 등 배터리의 각종 정보를 RAM에 기록하고,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RAM에 기록된 배터리의 각종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사용자에 의해 정보 표시키가 입력되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며, 사용한 후의 배터리의 각종 정보를 RAM에 기록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터리를 언제 충전하였고, 언제 사용하였으며, 사용횟수는 얼마나 되는지의 여부를 LCD 등을 통해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배터리의 수면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교체시기는 물론 배터리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
본 발명은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에 RAM을 설치하여 배터리의 충전/방전횟수, 충전/방전날짜 등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후 배터리의 정보를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전자제품에 구비된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기기 등의 각종 전자제품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이외에 보조 전원공급을 위해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휴대용 전화(Cellular Phone)에도 전원공급으로서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사용하고 난 후 다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충전용 배터리와 1회 사용이 가능한 일반용 배터리로 구분된다.
또한, 배터리의 종류로는 니켈-카드뮴(Ni-Cd) 배터리, 니켈-수소(Ni-MH) 배터리, 리튬-이온(Li-ion) 배터리 및 납축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배터리를 오디오 기기나 휴대용 전화 등의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할 때에는 제품의 LCD 등을 통해 배터리의 잔여용량을 표시하여 현재 배터리의 상태를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를 사용할 때 각종 전자제품에는 단순히 배터리의 잔여용량만을 표시해줄 뿐 배터리의 충전/방전횟수, 충전/방전날짜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없었기 때문에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충전/방전횟수, 충전/방전날짜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배터리 팩에 설치된 RAM에 배터리의 각종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내용을 LCD 등을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팩에 설치된 RAM의 구동전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도록 하여 별도의 전원회로 없이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정보의 저장과 표시과정의 흐름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 팩11 : 배터리
12 : RAM20 : 마이크로 컴퓨터
30 : 표시부40 : 키입력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은 배터리 팩에 배터리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RAM을 구비하여 충전/방전횟수, 충전/방전날짜 등 배터리의 각종 정보를 RAM에 기록하고,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RAM에 기록된 배터리의 각종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사용자에 의해 정보 표시키가 입력되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며, 사용한 후의 배터리의 각종 정보를 RAM에 기록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RAM에는 최초 충전날짜, 최종 충전날짜, 충전횟수 최초 방전날짜, 최종 방전날짜 및 방전횟수가 기록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0)은 전원공급이 없는 경우 보조 전원공급원으로서 각종 전자제품을 작동시킨다.
이 배터리 팩(10)에는 현재 배터리(11)의 충전/방전횟수, 충전/방전날짜 등 배터리(11)의 모든 정보가 기록되는 RAM(12)이 구비되어 있으며, 배터리(11)의 구동전압에 의해 동작된다.
상술한 RAM(12)에 기록되는 배터리의 각종 정보는 2진 데이터의 형식으로 저장된다.
마이크로 컴퓨터(20)는 배터리 팩(10)의 RAM(12)에 기록된 배터리(11)의 각종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사용자의 정보표시 키입력에 따라 후술되는 표시부(30)에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자제품을 사용한 후에는 배터리(11)의 각종 정보를 RAM(12)에 기록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부(30)는 키입력부(40)를 통한 사용자의 정보표시 키입력에 따라 배터리(11)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정보의 저장과 표시과정의 흐름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S1)는 각종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의 RAM에 기록된 배터리의 충전/방전횟수, 충전/방전날짜 등 배터리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이다.
제2단계(S2∼S3)는 사용자에 의한 정보 표시키가 입력되면 상술한 제1단계에서 읽어들인 배터리의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이다.
제3단계(S4∼S7)는 상술한 제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정보 표시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제4단계(S8)는 각종 전자제품에 장착된 배터리를 사용하고 난 후의 배터리의 정보를 RAM에 기록하는 단계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의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전원공급이 없는 경우 보조 전원공급원으로서 각종 전자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팩(10)이 장착되면 배터리 팩(10)의 RAM(12)에 기록된 배터리(11)의 정보를 마이크로 컴퓨터(20)가 읽어들인다(S1).
이 RAM(12)에는 배터리(11)의 최초/최종 충전날짜, 최초/최종 방전날짜, 충/방전횟수 등의 각종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때의 정보는 2진 데이터의 형식으로 저장된다.
예를 들면, RAM(12)의 최상위 비트가 "1"이면 충전 데이터이고, "0"이면 방전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어드레스 0000h∼0002h에는 최초 충전날짜가, 어드레스 0003h∼0005h에는 최종 충전날짜가, 어드레스 0006h∼0021h에는 충전횟수가 년, 월, 일의 형식으로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어드레스 0022h∼0024h에는 최초 방전날짜가, 어드레스 0025h∼0027h에는 최종 방전날짜가, 어드레스 0028h∼0043h에는 방전횟수가 년, 월, 일의 형식으로 기록된다.
이와 같이 RAM(12)에 기록된 배터리(11)의 각종 정보를 읽어들인 후에는 사용자에 의해 정보 표시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2).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한 정보 표시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제어에 따라 RAM(12)에서 읽어들인 배터리(11)의 정보가 표시부(30)를 통해 표시된다(S3).
그러나 상술한 정보 표시키 입력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정보 표시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것인지를 판단하여(S4) 충전을 수행하며(S5), 충전이 아닌 경우에는 배터리(11)를 사용하는 방전인지를 판단하여(S6) 방전을 수행한다(S7).
이처럼 각종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배터리(11)를 사용하고 난 후에는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1)의 각종 정보를 RAM(12)에 기록하게 된다(S8).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RAM(12)에 기록되는 배터리(11)의 각종 정보가 최초 충전날짜, 최종 충전날짜, 충전횟수, 최초 방전날짜, 최종 방전날짜 및 방전횟수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다른 정보를 기록하여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에 의하면, 배터리를 언제 충전하였고, 언제 사용하였으며, 사용횟수는 얼마나 되는지의 여부를 LCD 등을 통해 즉시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배터리의 수명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교체시기는 물론 배터리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배터리의 사용내역 정보가 기록되는 RAM이 구비되어 외부전원공급이 없는 경우 보조 전원공급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팩;
    상기 배터리 팩의 RAM에 기록된 상기 배터리의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한 후 상기 배터리의 각종 정보를 상기 RAM에 기록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및;
    정보 표시키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RAM에 기록된 상기 배터리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2. 각종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의 RAM에 기록된 배터리의 사용내역 정보를 읽어들이는 제1단계와,
    사용자에 의한 정보 표시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1단계에서 읽어들인 배터리의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정보 표시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배터리를 사용하고 난 후의 배터리의 정보를 RAM에 기록하는 제4단계를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정보의 저장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AM에는;
    최초 충전날짜, 최종 충전날짜, 충전횟수, 최초 방전날짜, 최종 방전날짜 및 방전횟수가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정보의 저장방법.
KR1019970057433A 1997-10-31 1997-10-31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 KR19990035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433A KR19990035607A (ko) 1997-10-31 1997-10-31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433A KR19990035607A (ko) 1997-10-31 1997-10-31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607A true KR19990035607A (ko) 1999-05-15

Family

ID=6608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433A KR19990035607A (ko) 1997-10-31 1997-10-31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6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54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 battery status
JP3244737B2 (ja) 電池の寿命報知装置
JP2006228490A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充電システムおよび電池パック充放電システム
EP0620555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erroelectric memory
WO2006071575A2 (en) Self-labeling energy storage units
JP4794760B2 (ja) 電池パック
US5932989A (en)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 detect the presence of a battery charger
WO2011013248A1 (ja) 残量表示方法、残量表示プログラム、残量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H02294231A (ja) 交換型充電電池パック用充電装置
JP3820846B2 (ja) 充電方法、二次電池ユニット及び充電器
US6377025B1 (en) Mobile phone battery pack with recording device for memorizing recharged number of times
US6069468A (en) Battery pack
KR19990035607A (ko) 배터리 정보의 표시장치 및 저장방법
JPH08265984A (ja) 電源装置
JP2011101484A (ja) 充電式電池、充電器及び充電システム
JP3952366B2 (ja) 小型電気機器および電池パック
JP2002078211A (ja) バッテリー駆動型の電子機器
EP0653826A2 (en) Battery-driven electronic appliance
JPH06310179A (ja) 電池の負荷装置、充電装置及び電池パック
JP3452136B2 (ja) 二次電池を内蔵した情報処理装置
JPH03277130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JP2006092850A (ja) 電池パック
JPH0583865A (ja) 充電回数記録方式及び表示方式
JPH10189058A (ja) 電池装置
JP2004281076A (ja) 表示器付き電池および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