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396U - 열쇠구멍을막는장치 - Google Patents

열쇠구멍을막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396U
KR19990035396U KR2019990010843U KR19990010843U KR19990035396U KR 19990035396 U KR19990035396 U KR 19990035396U KR 2019990010843 U KR2019990010843 U KR 2019990010843U KR 19990010843 U KR19990010843 U KR 19990010843U KR 19990035396 U KR19990035396 U KR 199900353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hole
key
lock
remote control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2019990010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396U/ko
Publication of KR19990035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396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14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with keys of which different parts operate separate mechanism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1)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금고, 자판기, 공중전화기,자동차 등의 잠금 장치를 열쇠구멍에 열쇠를 넣어서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장치에서 열쇠를 이용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2)고안의 목적
종래의 자물쇠를 이용한 개폐장치는 열쇠구멍에 열쇠를 넣어서 열수 있는데, 만능열쇠, 유사열쇠, 핀 등과 같은 불법적인 도구를 열쇠구멍에 넣어서 자물쇠를 열수 있어서 도난의 가능성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얇은 철판을 움직여서 열쇠 구멍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여 보안을 이중적으로 하는 데 있다.
(3)고안의 구성
본 고안은 리모컨을 이용해서 얇은 철판(대표도 2)을 움직일 수 있도록 얇은 철판(대표도 2)아래면에 홈을 만들고, 모터에 의해서 구동하는 기어에 맞물리는 구조를 이용하였다. 자물쇠를 열기 위해서는 리모컨을 이용해 얇은 철판(대표도 2)을 오른쪽으로 움직여서 열쇠구멍(대표도 1)을 보이게 하고 그 다음에 열쇠를 이용해야 한다.
주인이 외출을 할 때는 열쇠를 이용해 자물쇠를 잠그고 리모컨을 이용해 얇은 철판(대표도 2)을 왼쪽으로 움직여서 열쇠구멍(대표도 1)을 막게 된다.

Description

열쇠구멍을 막는 장치{The device of closing a keyhole}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금고,자판기, 공중전화기,자동차 등의 열쇠구멍에 열쇠를 넣어서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장치에서 열쇠를 이용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열쇠를 넣어서 잠금 장치를 불법적으로 해제할 수 없도록 열쇠와 잠금장치의 구조를 다양하게 또는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만능열쇠, 유사열쇠, 핀과 같은 도구에 의하여 열쇠구멍을 통해서 불법적으로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열쇠구멍을 통해 잠금 장치를 불법적으로 해제 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얇은 철판을 이용해 열쇠구멍을 막는데 있으며, 무선으로 얇은 철판을 움직이게 하는 것에 있다.
대표도 : 열쇠구멍을 얇은 철판으로 막은 그림
1 : 안쪽에 위치한 열쇠구멍
2 : 열쇠구멍을 막는 얇은 철판
도면1 :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그림
3 : 안쪽에 위치한 열쇠구멍
4 : 열쇠구멍을 막는 얇은 철판
5 : 얇은 철판을 고정할 수 있는 나사 1
6 : 얇은 철판을 고정할 수 있는 나사 2
7 : 기어와 물려서 움직일 수 있게 밑면에 홈을 판 철판
8 : 기어
9 : 전원 공급부
10 : 기어와 모터를 연결하는 축
11 : 모터가 들어가는 부분
12 : 리모컨이 보낸 신호를 받는 수신장치가 들어가는 부분
13 : 얇은 철판을 무선으로 조정하는 리모컨
도면 2 : 도면1의 7의 단면도
14 : 도면1의 8의 기어와 물려서 움직일 수 있게 밑면에 홈을 판 부분
도면 3: 도면 1의 8인 기어의 부분 확대도
도면 4: 얇은 철판을 무선으로 조정하는 리모컨의 송신 처리부
15 : 버튼 입력부
16 : 마이크로 프로세서
17 : 송신 ID 생성부
18 : 반송파 생성부
19 : 신호 합성부
20 : 신호 증폭부
21 : 적외선 발광부
도면 5 : 리모컨이 보낸 신호를 받아 얇은 철판을 움직이는 처리부
22 : 적외선 센서
23 : 대역 필터
24 : 증폭기
25 : TTL 레벨 변환부
26 : 마이크로 프로세서
27 : 모터 제어부
28 : 모터
29 : 얇은 철판 이동부
본 고안은 리모컨(도면1의 13)을 이용해서 얇은 철판(도면 1의 4)을 움직일 수 있도록 얇은 철판(도면1의 4) 아래면에 홈(도면 2의 14)을 만들고 모터(도면1의 11)에 의해서 구동하는 기어(도면1의 8)에 맞물리는 구조를 이용하였다.
잠근 장치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건전지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 받는 리모컨(도면1의 13)을 이용해 얇은 철판(도면1의 4)을 오른쪽으로 움직여서 열쇠구멍(도면1의 3)을 보이게 하고 그 다음에 열쇠를 이용해야 한다. 잠금 장치를 잠그려고 할 때는 열쇠를 이용해 잠금장치를 잠그고 리모컨(도면1의 13)을 이용해 얇은 철판(도면1의 4)을 왼쪽으로 움직여서 열쇠구멍(도면1의 3)을 막아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의 3은 본 고안이 막으려고 하는 열쇠구멍(도면1의 3)이 안쪽에 있는 모습이고 도면1의 4는 열쇠구멍(도면1의 3)을 막는 얇은 철판이다. 얇은 철판(도면1의 4)을 좌우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부(도면1의 9)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고, 얇은 철판(도면1의 4)의 아래 부분에 기어(도면1의 8)와 맞물려서 움직일 수 있게 밑면에 홈을 판 철판(도면1의 7)을 놓고, 이를 얇은 철판(도면1의 4)과 결합하기 위해서 도면1의 5와 6의 나사로 고정을 한다.
홈을 판 철판(도면1의 7)에 도면1의 8의 기어를 맞물리게 놓고 기어 축(도면1의 10)을 통해 모터와 연결한다.
리모컨(도면1의 13)에 의해서 열쇠구멍(도면1의 3)이 보이게 하기 위해서 해제 버튼 스위치를 누르면 기어 축(도면1의 10)이 오른쪽으로 돌게 하여 얇은 철판(도면1의 4)이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리모컨(도면1의 13)에 의해서 열쇠구멍(도면1의 3)을 보이지 않게 하려면 기어 축(도면1의 10)을 왼쪽으로 돌게 하여 얇은 철판(도면1의 4)이 왼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도면 2는 도면1의 7의 단면도를 보인 것이며, 도면2의 14는 기어와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 도면1의 7의 아래면에 홈을 낸 모습이다. 모터(도면1의 11)의 회전방향에 의해서 기어에 맞물려서 좌우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 도면2의 14와 같이 홈을 내었다.
도면 3은 도면 2의 14와 맞물리는 기어(도면 1의 8)의 부분 확대도이며 모터(도면1의 11)와 기어 축(도면1의 10)으로 연결되어 얇은 철판(도면1의 4)을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도면 4는 리모컨(도면1의 13)의 송신 처리부이며 리모컨(도면1의 13)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도면4의 16)는 사용자의 버튼입력(도면4의 15)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송신 ID를 생성(도면4의17)하게 된다. 생성된 송신 ID는 반송파 생성부(도면4의 18)에서 만들어진 반송파와 신호합성(도면4의 19)을 하게 되고, 신호증폭(도면4의 20)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적외선 발광부(도면4의 21)에서 적외선이 발광하게 된다.
이로서, 리모컨(도면1의 13)의 송신 ID가 수신부(도면1의 12)의 적외선 센서로 전달된다. 본 고안에서 쓰이는 리모컨(도면1의 13)의 송신방법은 기존에 있는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한다.
도면 5는 리모컨(도면1의 13)이 보낸 신호를 받아 얇은 철판(도면1의 4)을 움직이는 처리부이며 적외선 수신부의 적외선 수신 센서(도면5의 22)로 들어온 송신 ID는 리모컨(도면1의 13)의 반송파에 대응하는 대역 통과 필터(도면5의 23)를 통하여 들어오고, 미약한 송신 ID는 증폭기(도면5의 24)를 통하여 일정 신호 레벨로 끌어 올리고, TTL 레벨 변환부(도면5의 25)에 의하여 수신측 마이크로 프로세서(도면5의 26)가 감지 할 수 있는 +5V 레벨로 변환한다.
수신측 마이크로 프로세서(도면5의 26)는 ROM에 리모컨(도면1의 13)의 송신 ID를 미리 저장해 놓은 데이터와 수신된 송신 ID를 비교하여 모터 제어부(도면5의 27)을 제어한다. 이때, 수신측 마이크로 프로세서(도면5의 26)가 정회전의 명령을 내리면 모터 제어부(도면5의 27)는 모터(도면5의 28)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킨다. 최종적으로 얇은 철판(도면1의 4)은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어 열쇠구멍이 보이게 된다.
반대로, 수신측 마이크로 프로세서(도면5의 26)가 역회전의 명령을 내리면 모터 제어부(도면5의 27)는 모터(도면5의 28)을 왼쪽으로 회전시킨다. 최종적으로 얇은 철판(도면1의 4)은 왼쪽으로 움직이게 되어 열쇠구멍이 보이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금고,자판기, 공중전화기,자동차 등의 열쇠구멍에 열쇠를 넣어서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장치에서 무선 송신장치를 이용해서 열쇠구멍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막아서 만능 열쇠, 유사열쇠, 핀과 같은 도구를 이용해 열쇠구멍을 통해 불법적으로 잠금을 해제하려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Claims (5)

  1. 잠금 장치를 개폐하기 위해 마련해 둔 열쇠구멍을 막거나 여는 장치
  2. 1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을 이용해 열쇠구멍을 막거나 여는 장치
  3. 1항에 있어서 판을 이용해 열쇠구멍을 막거나 여는 장치
  4. 3항에 있어서 판을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기어를 이용하는 장치
  5. 4항에 있어서 판 아래 쪽에 홈을 내어서 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장치
KR2019990010843U 1999-06-17 1999-06-17 열쇠구멍을막는장치 KR199900353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843U KR19990035396U (ko) 1999-06-17 1999-06-17 열쇠구멍을막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843U KR19990035396U (ko) 1999-06-17 1999-06-17 열쇠구멍을막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396U true KR19990035396U (ko) 1999-09-06

Family

ID=5475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843U KR19990035396U (ko) 1999-06-17 1999-06-17 열쇠구멍을막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39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212B1 (ko) * 2000-11-02 2004-02-11 주식회사 뉴웰 도어록의 열쇠구멍 개폐장치
KR101277448B1 (ko) * 2013-03-25 2013-06-27 (주)휴머닉스 전기판넬 다목적 다중 잠금장치 시스템
KR101503045B1 (ko) * 2013-07-24 2015-03-18 임국건 작업용 차량의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212B1 (ko) * 2000-11-02 2004-02-11 주식회사 뉴웰 도어록의 열쇠구멍 개폐장치
KR101277448B1 (ko) * 2013-03-25 2013-06-27 (주)휴머닉스 전기판넬 다목적 다중 잠금장치 시스템
KR101503045B1 (ko) * 2013-07-24 2015-03-18 임국건 작업용 차량의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7725B1 (en) Remotely-operated self-contained electronic lock security system assembly
AU695915B2 (en) Electronic safety-lock
ES2012863A6 (es) Sistema de cerradura de puertas par un automovil.
WO2000009838A3 (en) Electro-mechanical latch assembly
CA2196750C (en) Remotely-operated self-contained electronic lock security system assembly
WO2010046677A1 (en) Door or window security system for mounting at a door or window frame
KR19990035396U (ko) 열쇠구멍을막는장치
EP2096239A1 (en) Remotely controlled module for a cylinder lock
KR20180106707A (ko) 디지털 도어락
JP3358859B2 (ja) 電動式ダイアル錠付き金庫
KR200407914Y1 (ko) 가구용 원격 잠금 시스템
KR200224925Y1 (ko) 자동잠금기능과 침입탐지 경보기능을 가진 도어잠금장치
JP2002168014A (ja) ドアロック遠隔操作装置
KR200208031Y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204780Y1 (ko) 도어 잠금장치
KR100380836B1 (ko) 잠금장치
KR101826692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JP2005139853A (ja) 電子式ドアロック装置
KR200226748Y1 (ko) 도어 잠금 시스템
KR200203955Y1 (ko) 무선 도어 보조 자물쇠 잠금 스위치 작동 장치
KR20050026745A (ko) 도난사고 방지형 전자식 도어록장치
KR200245223Y1 (ko)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도어 잠금장치
KR100479978B1 (ko) 도어록 백세트
KR100574687B1 (ko)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키뭉치
JP3219824U (ja) 扉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