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032A -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 Google Patents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032A
KR19990035032A KR1019970056752A KR19970056752A KR19990035032A KR 19990035032 A KR19990035032 A KR 19990035032A KR 1019970056752 A KR1019970056752 A KR 1019970056752A KR 19970056752 A KR19970056752 A KR 19970056752A KR 19990035032 A KR19990035032 A KR 19990035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ray
main
loading
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5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032A/ko
Priority to PCT/KR1998/000345 priority patent/WO1999023654A1/en
Priority to JP52599999A priority patent/JP2001511934A/ja
Priority to CN98801622A priority patent/CN1242863A/zh
Priority to EP98951797A priority patent/EP0950243A1/en
Publication of KR1999003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032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씨디체인저의 트레이의 이송과 드라이브 유닛의 승강을 단일한 동력원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씨디를 척킹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히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100)에 설치된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기어(40)와, 상기 메인기어(40)에 의해 회전하는 로딩기어(50)와, 상기 로딩기어(50)에 의해 이송되도록 트레이(10)에 형성된 랙기어(12)와, 상기 메인기어(40)에 의해 회전하는 캠기어(60)와, 상기 캠기어(60)에 의해 수평이동하여 드라이브 유닛(80)을 승강시키는 링크(70)를 구비한 것으로서, 하나의 구동모터(20)로 메인기어(40)를 회전시켜 로딩기어(50)를 통해 트레이(10)를 본체(100)에서 이송시키고, 플레이트(56) 및 링크(70)를 통해 드라이브 유닛(80)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씨디(90)를 척킹할 수 있으므로, 씨디(90)의 척킹에 필요한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본 발명은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 개의 씨디가 안착되는 룰렛을 장착한 트레이와, 상기 룰렛에 안착된 씨디를 척킹하는 드라이브 유닛을 한 개의 구동모터로 작동시킴으로써, 씨디의 척킹에 필요한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한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씨디체인저는 다수 개의 씨디를 내부에 삽입하고, 광학기록매체인 광디스크(Compact Disk: 이하에서는 씨디라 한다)를 재생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내장하여 선택된 씨디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씨디체인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씨디(150)를 안치하는 룰렛(130)을 트레이(120)에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하도록 하고, 이 트레이(120)를 본체의 틀을 형성하는 섀시(110)에 슬라이드되어 삽입되도록 설치하여 룰렛(130)에 안치된 씨디(150)가 광픽업 액츄에이터가 장착된 드라이브 유닛(140)에 척킹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룰렛(1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0) 상에 설치된 구동모터(132) 및 이 구동모터(132)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134)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120)는 일측에 랙기어(122)가 형성되고, 섀시(110)에 설치된 구동모터(124) 및 감속기어부(126)가 랙(122)기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트레이(120)가 섀시(1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브 유닛(140)은 구동모터(142) 및 감속기어부(144)에 의해 씨디(150)의 재생시에 상승하여 씨디(150)를 척킹하여 회전시키고, 광픽업 액츄에이터로 씨디(150)에 기록된 내용을 재생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씨디체인저의 작동은 먼저, 씨디(150)의 재생을 위해 트레이(120)를 이젝트시킬 때에는 제어회로부에서 구동모터(124)를 구동시킴에 따라 감속기어부(126)에서 일정한 속도로 감속되어 감속기어부(126)에 치합된 트레이(120)의 랙기어(122)을 이송시킨다. 이 랙기어(122)의 이송으로 트레이(120)는 수평이송되어 섀시(110)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이러한 트레이(120)의 인출과 함께 트레이(120) 상측에 설치된 룰렛(130)도 인출되는데, 트레이(120)가 인출되면서 토글스위치(128)를 온시킴에 따라 제어회로부에서 구동모터(124)의 구동을 정지시켜 트레이(120)의 이젝트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이젝트 된 트레이(120)에 설치된 룰렛(130)에 다수 개의 씨디(150)를 안치시키고 트레이(120)를 밀면, 트레이(120)가 삽입되면서 토글스위치(128)를 오프시켜 제어회로부에서 토글스위치(128)의 오프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24)를 역방향으로 재구동시키고, 이 구동모터(124)에 연동되는 감속기어부(126) 및 이에 치합된 랙기어(122)의 이송작용에 의해 트레이(120)는 수평이송되어 섀시(110) 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120)가 로딩되면 트레이(120)는 드라이브 유닛(140)의 상부에 위치하여 트레이(120) 상에 설치된 룰렛(130)에 안착된 씨디(150)가 드라이브 유닛(140)에 척킹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재생하고자 하는 씨디를 선택하면, 룰렛(130)은 구동모터(132)에 연동되는 기어(134)에 의해 회전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씨디(150)가 드라이브 유닛(140)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42)가 구동하여 감속기어부(144)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드라이브 유닛(140)을 상승시켜 씨디(150)를 척킹한다.
상기의 드라이브 유닛(140)은 척킹된 씨디(150)를 회전시키면서 광픽업 액츄에이터로 씨디(150)에 기록된 내용을 재생한다.
한편, 씨디(150)가 재생되는 동안에도 트레이(120)와 룰렛(130)은 재생되는 씨디(150)와 독립되어 있으므로 트레이(120)의 이젝트가 가능하고, 트레이(120)가 이젝트되면 재생되는 씨디(150)를 제외한 나머지 씨디(150)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씨디체인저는 트레이(120)의 이송을 위한 구동모터(124) 및 이 구동모터(124)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어부(126)와 드라이브 유닛(140)의 승강을 위한 구동모터(142) 및 이 구동모터(14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어부(144)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 수 및 조립 공정 수가 많아서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씨디체인저의 트레이의 이송과 드라이브 유닛의 승강을 하나의 모터로 작동시킴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의 절감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씨디체인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구조의 작용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구조의 작용을 도시한 개략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구조의 작용을 도시한 개략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구조의 작용을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레이 12 : 랙기어
14 : 로딩홈 20 : 구동모터
30 : 릴레이기어 32 : 상단기어
40 : 메인기어 42,54,74 : 중심축
44 : 회동 기어치 50 : 로딩기어
52 : 하단기어 56 : 플레이트
60 : 캠기어 62 : 반원기어
64 : 궤도 70 : 링크
72 : 걸림돌기 80 : 드라이브 유닛
90 : 씨디
본 발명은 본체 상에서 인서트 또는 이젝트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 개의 씨디를 안치하는 룰렛과, 상기 룰렛에 안치된 씨디를 척킹하여 기록을 재생하는 드라이브 유닛이 구비된 씨디체인저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로딩기어와, 상기 로딩기어에 의해 이송되도록 트레이에 형성된 랙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에 의해 수평이동하여 드라이브 유닛을 승강시키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는 단일한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메인기어가 회전하여 로딩기어를 통해 트레이를 이송시키고, 캠기어를 통해 링크를 수평이동시켜 드라이브 유닛을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의 이송 및 드라이브 유닛의 승강에 필요한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한다.
본 실시예는 본체 상에서 인서트 또는 이젝트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 개의 씨디를 안치하는 룰렛과, 상기 룰렛에 안치된 씨디를 척킹하여 기록을 재생하는 드라이브 유닛이 구비된 씨디체인저에 있어서, 트레이의 이송 및 드라이브 유닛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이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에 설치된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기어(40)와, 상기 메인기어(40)에 의해 회전하는 로딩기어(50)와, 상기 로딩기어(50)에 의해 이송되도록 트레이(10)에 형성된 랙기어(12)와, 상기 메인기어(40)에 의해 회전하는 캠기어(60)와, 상기 캠기어(60)에 의해 수평이동하여 드라이브 유닛(80)을 승강시키는 링크(7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동모터(20)는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그 속도를 감속시키고 회전력을 증가시켜 메인기어(40)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측에 반경이 작은 상단기어(32)를 형성하여 메인기어(40)에 치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랙기어(12)는 로딩기어(50)의 회전에 의해 트레이(10)가 이송되도록 메인기어(40)의 좌우측에 직선으로 형성하고, 또 로딩기어(50)가 메인기어(40)의 전방에서 양측으로 주행하도록 랙기어(12)의 양단을 곡선으로 연결한다.
또 메인기어(40)의 중심축(42)과 로딩기어(50)의 중심축(54)을 플레이트(56)로 연결하여 로딩기어(50)의 하단기어(52)가 메인기어(40)에 치합된 상태로 메인기어(40)의 중심축(4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10)에는 로딩기어(50)의 중심축(50)을 가이드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로딩홈(14)을 형성한다. 이 로딩홈(14)은 로딩기어(50)가 랙기어(12)를 이송시키는 구간은 직선으로 형성하여 로딩기어(50)가 랙기어(12)의 곡선을 따라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랙기어(12)가 충분히 이송된 다음에는 로딩기어(50)가 랙기어(12)의 곡선을 따라 주행하도록 곡선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로딩기어(50)는 하방에 반경이 작은 하단기어(52)를 형성하여 메인기어(40)에 치합되게 함으로써, 메인기어(4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랙기어(12)에 전달한다.
한편, 메인기어(40)에는 별도의 회동 기어치(44)를 형성하고, 이 회동 기어치(44)에 치합되는 반원기어(62)를 캠기어(60)에 형성하여 메인기어(40)의 회전력을 캠기어(6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70)는 중심축(64)을 중심으로 양단이 회동되게 하고, 이러한 링크(70)의 양단에 드라이브 유닛(80)을 승강시키는 승강 로드(66)를 구비함으로써, 로딩기어(50)의 회전에 의해 링크(70)가 회동되어 드라이브 유닛(80)을 승강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링크(70)의 일측에는 걸림돌기(72)를 형성하고, 캠기어(60)에 상기 걸림돌기(72)의 이송을 안내하는 궤도(64)를 형성하여 캠기어(60)의 회전운동에 의해 링크(70)가 수평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드라이브 유닛(80)은 양측의 승강 로드(76)가 당기는 작용에 의해 일측은 상승하고 타측은 하강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링크(70)가 중심축(7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일측의 승강 로드(76)가 당겨지고 타측의 승강 로드(76)가 밀려지면 드라이브 유닛(80)의 양측이 동시에 상승 또는 동시에 하강되게 한다.
또한 랙기어(12)에 접촉하여 트레이(10)가 본체(100)로부터 이젝트된 것을 감지하는 트레이오픈 스위치(미도시) 및 링크(70)의 승강 로드(76)에 접촉하여 드라이브 유닛(80)이 씨디(90)를 척킹한 것을 감지하는 척킹완료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0)가 본체(10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씨디(90)를 룰렛에 안치시키기 위하여 트레이(10)를 오픈시킬 때에는 구동모터(20)를 회전시켜 릴레이기어(30)를 회전시킨다. 이때 릴레이기어(30)는 반경이 작은 상단기어(32)가 메인기어(40)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메인기어(40)는 그 회전수가 감소되고 회전력은 증가된다.
상기의 메인기어(40)가 회전함에 따라 메인기어(40)의 타측에 치합된 로딩기어(50)의 하단기어(52)가 회전하여 로딩기어(50)에 치합된 랙기어(12)를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랙기어(12)와 일체로 이동하는 트레이(10)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로부터 오픈된다.
이때 로딩기어(50)는 중심축(54)이 로딩홈(14)의 직선으로 형성된 부분에 가이드 되므로 주행하지 않고 랙기어(12)를 이송시키게 되고, 메인기어(40) 및 로딩기어(50)의 중심축(42,54)을 연결하고 있는 플레이트(56)는 로딩기어(50)의 하단기어(52)가 메인기어(40)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 로딩기어(50)의 하단기어(52)는 로딩기어(50)에 직접 형성된 기어치보다 반경이 작으므로, 메인기어(4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랙기어(12)에 전달하게 되어 트레이(10)가 빠른 속도로 이송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0)가 본체(100)로부터 적정하게 오픈되면, 랙기어(12)가 트레이오픈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구동모터(20)의 작동을 중지시킴에 따라, 이 구동모터(20)에 연동되는 릴레이기어(30)와 메인기어(40) 및 로딩기어(50)의 회전이 일시에 중지된다.
이어서 오픈된 트레이(10)에 설치된 룰렛에 다수 개의 씨디(90)를 안치하고, 트레이(10)를 본체(100) 내로 밀어 넣으면, 랙기어(12)가 다시 트레이오픈 스위치에서 이탈됨에 따라 구동모터(20)에 전원이 재인가되어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기어(30)와 메인기어(40) 및 로딩기어(50)를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랙기어(12)를 본체(100)의 내측으로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랙기어(12)가 형성된 트레이(10)가 도 5과 같이, 본체(100)의 내부로 이송되어 트레이(10)에 설치된 룰렛에 안치된 씨디(90) 중 하나가 드라이브 유닛(8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10)가 이송되는 동안에는 메인기어(40)의 회동 기어치(44)가 캠기어(60)의 반원기어(62)에 치합되지 않으므로, 이 캠기어(60)의 궤도(64)에 걸림돌기(72)가 결합된 링크(70) 및 드라이브 유닛(80)은 유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재생하고자하는 씨디(90)가 드라이브 유닛(8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룰렛을 회전시키고, 재생 모드를 선택하여 구동모터(20)를 계속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기어(40)가 계속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딩기어(50)를 회전시킨다. 이 때 트레이(10)는 본체(100) 내로 충분히 인서트된 상태이므로, 로딩기어(50)의 중심축(54)이 트레이(10)의 로딩홈(14)의 곡선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로딩기어(50)가 랙기어(12)의 곡선 부분에 위치하여 곡선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기어(40)의 회동 기어치(44)가 캠기어(60)의 반원기어(62)를 회전시켜 궤도(64)를 회전시킴으로써, 이 궤도(64)에 결합된 링크(70)의 걸림돌기(72)를 이동시켜 링크(70)가 중심축(74)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링크(70)가 회동하면, 링크(70)의 일측단에 결합된 승강 로드(76)가 당겨지고 타측단에 결합된 승강 로드(76)가 밀려져 드라이브 유닛(80)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브 유닛(80)은 상승하며 트레이(10) 상에 설치된 룰렛에 안치된 씨디(90)를 척킹하고, 승강 로드(76)가 척킹완료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구동모터(20)의 작동을 중지시켜 릴레이기어(30)와 메인기어(40)의 회전 및 링크(70)의 이송을 중지시킨다. 이어서 드라이브 유닛(80)에 장착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씨디(90)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한편, 씨디(90)를 재생하는 중에는 로딩기어(50)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랙기어(12)에 치합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룰렛에 안치된 씨디(90)를 교환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20)를 계속하여 같은 방향으로 작동시켜 릴레이기어(30)를 트레이(10)의 인서트시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릴레이기어(30)의 상단기어(32)에 치합된 메인기어(40)가 회전하고, 메인기어(40)의 회전에 의해 메인기어(40)에 치합된 로딩기어(50)의 하단기어(52)가 회전하여 로딩기어(50)에 치합된 랙기어(12)를 이송시킨다.
상기와 같이 랙기어(12)가 이동함에 따라 랙기어(12)와 일체로 이동하는 트레이(10)가 도 8과 같이 본체(100)로부터 이젝트된다.
이때 로딩기어(50)는 중심축(54)이 직선으로 형성된 로딩홈(14)에 가이드 되므로 주행하지 않고 랙기어(12)를 이송시키게 되고, 메인기어(40) 및 로딩기어(50)의 중심축(42,54)을 연결하고 있는 플레이트(56)는 로딩기어(50)의 하단기어(52)가 메인기어(40)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에서 트레이(10)가 이송되는 동안에는 메인기어(40)의 회동 기어치(44)가 캠기어(60)의 반원기어(62)에 치합되지 않으므로, 이 캠기어(60)의 궤도(64)에 걸림돌기(72)가 결합된 링크(70) 및 드라이브 유닛(80)은 유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트레이(10)가 이송된 상태에서도 씨디(90)의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트레이(10)가 본체(100)로부터 적정하게 오픈되면, 랙기어(12)가 트레이오픈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구동모터(20)의 작동을 중지시킴에 따라, 이 구동모터(20)에 연동되는 릴레이기어(30)와 메인기어(40) 및 로딩기어(50)의 회전이 일시에 중지된다.
이어서 오픈된 트레이(10)에 설치된 룰렛에 안치된 씨디(90)를 교환하고, 트레이(10)를 본체(100) 내로 밀어 넣으면, 랙기어(12)가 다시 트레이오픈 스위치에서 이탈됨에 따라 구동모터(20)에 전원이 재인가되어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기어(30)와 메인기어(40) 및 로딩기어(50)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랙기어(12)를 본체(100)의 내측으로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랙기어(12)가 형성된 트레이(10)가 도 7과 같이 본체(100)의 내부로 인서트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10)가 본체(100)로부터 이젝트되었다가 다시 인서트되는 동안에도 메인기어(40)의 회동 기어치(44)는 캠기어(60)의 반원기어(62)로부터 이탈되어 있어서, 이 캠기어(60)의 궤도(64)에 걸림돌기(72)가 결합된 링크(70)는 회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링크(70)에 연결된 승강 로드(76) 및 드라이브 유닛(80)이 유동하지 않게 되어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계속하여 씨디(90)를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재생중인 씨디(90)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재생하려면, 구동모터(20)를 씨디(90)의 재생 중 트레이(10)의 인서트시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 릴레이기어(30) 및 메인기어(40)를 회전시킨다.
이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0)가 본체(100) 내로 충분히 인서트된 상태이므로, 로딩기어(50)의 중심축(54)이 트레이(10)의 로딩홈(14)의 곡선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로딩기어(50)가 랙기어(12)의 곡선 부분에 위치하여 곡선을 따라 우측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기어(40)의 회동 기어치(44)가 링크(70)의 회동 기어치(72)에 치합되어 링크(70)를 중심축(7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링크(70)가 회동하면, 링크(70)의 일측단에 결합된 승강 로드(76)가 당겨지고 타측단에 결합된 승강 로드(76)가 밀려져 드라이브 유닛(80)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드라이브 유닛(80)이 하강하면 드라이브 유닛(80)에 척킹된 씨디(90)가 다시 룰렛에 안치된다.
이 때 승강 로드(76)가 척킹완료 스위치에서 이탈됨에 따라 드라이브 유닛(80)에 장착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씨디(90)의 재생을 중지한다.
이어서 재생하고자하는 씨디(90)가 드라이브 유닛(8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룰렛을 회전시키고, 재생하고자 하는 씨디(90)가 드라이브 유닛(80)의 상측에 위치하면, 다시 구동모터(2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릴레이기어(30) 및 메인기어(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메인기어(40)에 연동되는 로딩기어(50)가 다시 좌측으로 회전하고, 메인기어(40)의 회동 기어치(44)가 링크(70)의 회동 기어치(72)를 회동시켜 드라이브 유닛(80)을 상승시킴으로써, 씨디(90)를 척킹한다. 이때 승강 로드(76)가 척킹완료 스위치에 접촉하여 구동모터(20)의 회전을 중지시킴으로써 릴레이기어(30)와 메인기어(40) 및 로딩기어(50)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드라이브 유닛(80)에 장착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씨디(90)를 재생한다.
마지막으로 씨디(90)의 재생을 마치고 트레이(10)를 오픈시킬 때에는, 구동모터(20)를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릴레이기어(30) 및 메인기어(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메인기어(40)에 연동되는 로딩기어(5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회동하여 메인기어(40)의 회동 기어치(44)에 치합된 캠기어(60)의 반원기어(62)를 회전시키고, 이 반원기어(62)가 회전함에 따라 캠기어(60)의 궤도(64)가 회전하여 링크(70)의 걸림돌기(72)를 이동시킴으로서, 링크(70)를 중심축(74)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승강 로드(76)를 이동시킴으로써, 드라이브 유닛(80)을 하강시켜 드라이브 유닛(80)에 척킹된 씨디(90)가 다시 룰렛에 안치되게 한다.
상기에서 승강 로드(76)가 이동할 때 척킹완료 스위치에서 이탈됨에 따라 드라이브 유닛(80)에 장착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씨디(90)의 재생을 중지한다.
이어서 계속하여 메인기어(40)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 로딩기어(50)의 중심축(54)이 트레이(10)의 로딩홈(14)의 곡선 부분에서 직선 부분으로 이동하고, 로딩기어(50)가 랙기어(12)의 직선 부분에 위치하여 더 이상 주행하지 않고 랙기어(12)를 본체의 외측으로 이젝트시킨다.
이에 따라 랙기어(12)와 일체로 이동하는 트레이(10)가 본체(100)의 외부로 오픈된다. 상기의 트레이(10)가 본체(100)로부터 적정하게 오픈되면, 랙기어(12)가 트레이오픈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구동모터(20)의 작동이 중지되고, 이 구동모터(20)에 연동되는 릴레이기어(30)와 메인기어(40) 및 로딩기어(50)의 회전이 중지됨으로써, 트레이(10)의 오픈이 완료된다.
그리고 씨디체인저의 사용을 중지할 때에는 트레이(10)를 본체(100) 내에 삽입시켜 두는데, 이 때에는 트레이(10)를 본체(100) 내로 밀어 넣으면, 랙기어(12)가 다시 트레이오픈 스위치에서 이탈됨에 따라 구동모터(20)에 전원이 재인가되어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기어(30)와 메인기어(40) 및 로딩기어(50)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랙기어(12)를 본체(100)의 내측으로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랙기어(12)가 형성된 트레이(10)가 본체(100)의 내부로 인서트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씨디체인저는 씨디(90)를 척킹하기 위하여 한 개의 구동모터(20)만을 사용한 구조로서, 메인기어(40)의 작용에 의해 트레이(10)의 인서트와 이젝트 및 씨디(90)를 재생하기 위한 드라이브 유닛(80)의 승강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0)에 설치된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기어(40)와, 상기 메인기어(40)에 의해 회전하는 로딩기어(50)와, 상기 로딩기어(50)에 의해 이송되도록 트레이(10)에 형성된 랙기어(12)와, 상기 메인기어(40)에 의해 회전하는 캠기어(60)와, 상기 캠기어(60)에 의해 수평이동하여 드라이브 유닛(80)을 승강시키는 링크(70)를 포함하여 구성된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로서, 하나의 구동모터(20)로 메인기어(40)를 회전시켜 로딩기어(50)를 통해 트레이(10)를 본체(100)에서 이송시키고, 플레이트(56) 및 링크(70)를 통해 드라이브 유닛(80)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씨디(90)를 척킹할 수 있으므로, 씨디(90)의 척킹에 필요한 구조를 간단히하여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을 절감시킴으로써 씨디체인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본체(100) 상에서 인서트 또는 이젝트되는 트레이(10)와, 상기 트레이(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 개의 씨디(90)를 안치하는 룰렛과, 상기 룰렛에 안치된 씨디(90)를 척킹하여 기록을 재생하는 드라이브 유닛(80)이 구비된 씨디체인저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기어(40)와, 상기 메인기어(40)에 의해 회전하는 로딩기어(50)와, 상기 로딩기어(50)에 의해 이송되도록 트레이(10)에 형성된 랙기어(12)와, 상기 메인기어(40)에 의해 회전하는 캠기어(60)와, 상기 캠기어(60)에 의해 수평이동하여 드라이브 유닛(80)을 승강시키는 링크(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40)의 중심축(42)과 로딩기어(50)의 중심축(54)을 연결하는 플레이트(5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0)와 메인기어(40)의 사이에는 반경이 작은 상단기어(32)를 상측에 형성한 릴레이기어(30)를 구비하여, 상기 릴레이기어(30)를 구동모터(20)에 치합되게 하고, 상단기어(32)를 메인기어(40)에 치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12)는 트레이(10)가 이송되도록 메인기어(40)의 좌우에 직선으로 형성하고, 메인기어(40)의 전방에서 로딩기어(50)가 주행하도록 양측을 곡선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0)에는 로딩기어(50)의 중심축(50)을 가이드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로딩홈(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어(50)는 하방에 반경이 작은 하단기어(52)를 형성하여 메인기어(40)에 치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40)에는 회동 기어치(44)를 형성하고, 상기 캠기어(60)에는 반원기어(62)를 형성하여 서로 치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70)는 중심축(64)을 중심으로 양단이 회동되게 하고, 상기 링크(70)의 양단에 드라이브 유닛(80)을 승강시키는 승강 로드(66)를 구비하며, 상기 링크(70)의 일측에 걸림돌기(72)를 형성하고, 상기 캠기어(60)에는 상기 걸림돌기(72)의 이송을 안내하는 궤도(6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KR1019970056752A 1997-10-31 1997-10-31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KR19990035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752A KR19990035032A (ko) 1997-10-31 1997-10-31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PCT/KR1998/000345 WO1999023654A1 (en) 1997-10-31 1998-10-30 Cd changer with a driving mechanism operated by a single driving source
JP52599999A JP2001511934A (ja) 1997-10-31 1998-10-30 単一動力源によって駆動される駆動メカニズムを有するコンパクト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
CN98801622A CN1242863A (zh) 1997-10-31 1998-10-30 带有由单一驱动源操纵的驱动机构的光盘换盘装置
EP98951797A EP0950243A1 (en) 1997-10-31 1998-10-30 Cd changer with a driving mechanism operated by a single driving sou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752A KR19990035032A (ko) 1997-10-31 1997-10-31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032A true KR19990035032A (ko) 1999-05-15

Family

ID=6604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752A KR19990035032A (ko) 1997-10-31 1997-10-31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0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175B1 (ko) * 2001-08-29 2004-04-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차량용 씨디플레이어의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175B1 (ko) * 2001-08-29 2004-04-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차량용 씨디플레이어의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59859A (ja) Datの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KR100249551B1 (ko) 씨디체인저의 씨디 척킹구조
JPS62183081A (ja) デイスク再生装置
KR19990035032A (ko)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KR19990035039A (ko)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JP3549734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19990035035A (ko) 단일 동력원에 의해 씨디가 척킹되는 씨디체인저
KR19990035040A (ko) 씨디체인저의 씨디 척킹구조
KR19990035034A (ko) 씨디체인저의 씨디 척킹구조
KR100287299B1 (ko) 씨디체인저의 단일모터방식 구동구조
KR100301089B1 (ko) 단일모터를 사용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피딩장치 및 그방법
KR19990025983A (ko) 씨디체인저의 씨디척킹구조
KR940002580B1 (ko)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9990025984A (ko) 씨디체인저의 씨디척킹구조
KR19990025987A (ko) 씨디체인저의 씨디척킹구조
KR100267795B1 (ko)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KR940004588B1 (ko)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200151060Y1 (ko) 디스크 플레이어
EP0950243A1 (en) Cd changer with a driving mechanism operated by a single driving source
KR100196392B1 (ko) 롤렛식 광디스크 구동장치 및 방법
KR0125218Y1 (ko)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콤팩트디스크 로딩장치
KR20000021211A (ko)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트레이 및 드라이브 유닛구동구조
KR100287300B1 (ko) 씨디체인저의 단일모터방식 구동구조
KR20000007146U (ko) 씨디플레이어의 캠기어 록킹구조
KR100258058B1 (ko)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