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864A -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터브커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터브커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4864A KR19990034864A KR1019970056577A KR19970056577A KR19990034864A KR 19990034864 A KR19990034864 A KR 19990034864A KR 1019970056577 A KR1019970056577 A KR 1019970056577A KR 19970056577 A KR19970056577 A KR 19970056577A KR 19990034864 A KR19990034864 A KR 199900348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
- washing machine
- cover
- drum washing
- hook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터브에 결합되는 터브 커버를 후크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서 터브커버의 착탈이 용이하고 견고한 밀폐력을 얻을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드럼세탁기 터브에 결합되는 터브커버를 착탈이 용이하고 밀폐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터브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후크와, 상기 후크가 걸려서 고정될수 있도록 터브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터브커버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럼세탁기의 터브에 결합되는 터브 커버를 후크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서 터브커버의 착탈이 용이하고 견고한 밀폐력을 얻을수 있는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터브커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드럼세탁기의 터브에 결합되는 터브커버는 도1과 같은 밴드(1)를 이용하여 고정시켰다.
즉, 상기의 밴드(1)는"ㄷ"자형의 단면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단을 보울트(2)와 너트(3)에 의해 죄어서 터브와 터브커버를 고정시켰다.
그러나, 상기의 보울트(2)와 너트(3)가 세탁기의 진동에 의해 풀려지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보울트(2)와 너트(3)가 풀려지면 터브와 터브커버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 되어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의 보울트(2)와 너트(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울트(2)와 너트(3)를 꽉조였을 경우에는 터브의 내부를 보수할 때 보울트(2)가 잘풀리지 않게 되어 밴드(1)의 분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밴드(1)는 제작의 어려움 때문에 재료비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 도2와 도3에 나타낸 클램프이다.
상기의 클램프(15)는 터브(11)의 플랜지(12)와 터브커버(13)의 플랜지(14)를 클램핑하여 고정시켰다.
그러나, 상기의 클램프(15)는 끝단부의 형상이 짧기 때문에 조립과 분리시에 착탈의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터브(11)에 형성된 플랜지(12)와 접촉하는 클램프(15)의 접촉부위가 첨예하게 날카롭기 때문에 터브(11)의 플랜지(12)를 파고 들어갈 위험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클램프의 첨예한 접촉부위에 의해 클램핑력이 부족하여 누수되는 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 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
터브와 터브커버를 긴밀하게 결합시켜서 터브커버의 착탈이 용이하고 우수한 밀폐력을 얻을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1은 종래 터브와 터브커버를 결합시키는 밴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 터브와 터브커버를 결합시키는 클램프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3은 도2 클램프의 사시도
도4는 본발명 터브와 터브커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5는 본발명 터브와 터브커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터브 102-걸림부
103-걸림공 104-터브커버
105-후크 112-걸림턱
본발명의 구성을 도4와 도5에 의해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드럼세탁기 터브(101)에 결합되는 터브커버(104)를 착탈이 용이하고 밀폐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터브(101)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후크(105)와, 상기 후크(105)가 걸려서 고정될수 있도록 터브(101)에 형성되는 걸림부(102)를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의 걸림부(102)는 플랜지로 구비 하였다.
또한, 상기 터브(101)에 형성된 걸림부(102)에는 터브커버(104)에 형성된 후크(105)를 결합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걸림부(102)외주면의 걸림턱(112)에 형성된 걸림공(103)을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실시예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4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터브(101)에 터브커버(104)를 밀어서 결합시키면 터브커버(104)에 형성된 후크(105)가 터브(101)의 걸림부(102)로 삽입되면서 터브커버(104)를 고정시킬수 있게 된다.
상기의 터브(101)에 결합된 터브커버(104)는 후크(105)의 압지력에 의해 터브커버(104)와 터브(101)의 걸림부(102)를 밀착시키게 되므로 우수하고 견고한 밀폐력을 얻을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의 터브(101)또는 터브커버(104)를 보수할 경우에는 이들을 분리 시켜야 하는바, 이때에는 상기 터브커버(104)에 형성된 후크(105)를 외측으로 민 뒤 분리하면 후크(105)가 터브(101)의 걸림부(102)로 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터브커버(104)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터브(101)와 터브커버(104)의 보수를 용이하게 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101)의 걸림부(102)은 환형상의 플랜지로 구비하여도 본발명의 목적에 부합되어진다.
한편, 도5는 본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상기 터브(101)의 걸림부(102)에 형성되는 걸림공(103)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걸림공(103)에는 도5와 같이 터브커버(104)의 후크(105)가 결합 되므로 본발명의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할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터브커버와 터브를 후크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서 우수한 밀폐력에 따른 누수현상을 막을수 있게 되고 착탈이 원활하게 되므로 보수시의 편리함을 얻을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 드럼세탁기 터브에 결합되는 터브커버를 착탈이 용이하고 밀폐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터브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후크와,상기 후크가 걸려서 고정될수 있도록 터브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터브커버의 결합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의 걸림부는 플랜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터브 커버의 결합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터브에 형성된 걸림부에는 터브커버에 형성된 후크를 결합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걸림부 외주면의 걸림턱에 형성된 걸림공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터브커버의 결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6577A KR19990034864A (ko) | 1997-10-30 | 1997-10-30 |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터브커버의 결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6577A KR19990034864A (ko) | 1997-10-30 | 1997-10-30 |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터브커버의 결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4864A true KR19990034864A (ko) | 1999-05-15 |
Family
ID=6604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56577A KR19990034864A (ko) | 1997-10-30 | 1997-10-30 |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터브커버의 결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3486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0012B1 (ko) * | 2000-04-20 | 2003-0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동 세탁기의 실링장치 |
-
1997
- 1997-10-30 KR KR1019970056577A patent/KR1999003486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0012B1 (ko) * | 2000-04-20 | 2003-0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동 세탁기의 실링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194118B1 (ko) | 파이프 단부에 끼워진 호스 단부 체결 장치 | |
KR950003297B1 (ko) | 파이프 결합기 | |
US5749603A (en) | Holding device for a hose clip | |
KR20080032623A (ko) | 호스와 파이프를 위한 플러그 타입 연결 장치 | |
US20030140462A1 (en) | Clamp holder | |
KR19990034864A (ko) |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터브커버의 결합구조 | |
JPH04231710A (ja) | クランプ | |
KR200209994Y1 (ko) | 세탁기의 배수호스 고정장치 | |
KR200212005Y1 (ko) | 급수관 연결구 | |
KR100257019B1 (ko) |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 |
KR20000005126U (ko) | 파이프 커플링 | |
KR200381665Y1 (ko) | 플랜지형 하수관 연결장치 | |
KR200145053Y1 (ko) |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 |
KR200146812Y1 (ko) | 가요 전선관용 커넥터 | |
KR200203763Y1 (ko) | 익스펜션 조인트 | |
KR0133326Y1 (ko) | 세탁기 | |
KR200183520Y1 (ko) | 탈착이 용이한 체결 클립 | |
KR200422695Y1 (ko) | 스터드볼트용 고정 클립 | |
KR200261448Y1 (ko) | 배관용 커플러 | |
KR0138743Y1 (ko) | 관 연결구 | |
KR200363189Y1 (ko) |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 |
KR19980012511U (ko) | 오일 호스용 캡 | |
KR100373735B1 (ko) | 브라운관용 삽입형 크램프 | |
KR100869301B1 (ko) | 배관용 파이프 행거 | |
KR200143065Y1 (ko) | 호스 연결용 클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