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457U -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457U
KR19990034457U KR2019980000796U KR19980000796U KR19990034457U KR 19990034457 U KR19990034457 U KR 19990034457U KR 2019980000796 U KR2019980000796 U KR 2019980000796U KR 19980000796 U KR19980000796 U KR 19980000796U KR 19990034457 U KR19990034457 U KR 199900344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control box
air conditioner
front panel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0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457U/ko
Publication of KR19990034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457U/ko

Link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어박스(41)에 연결됨과 더불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선(51)이 제어박스(41)의 일측부에 위치된 바닥패널(31)에 형성되는 수용홈(32)을 통해 외부로 토출됨에 따라, 상기 전원선(51)과 전면패널(11) 또는 후면덮개(21)등과의 간섭이 방지되어 전원선(51)과 전면패널(11)등의 상호 압박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고, 상기 전원선(51)의 외압지지를 위한 스크류 고정작업등 부수공정이 폐지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덴서등 전기기기에 외부전원을 통전시키도록 연결된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증발기의 내부로 순환되면서 주위공기와 열교환작용되는 냉매에 의해 상기 증발기 주위의 냉각된 공기가 송풍되면서 공기조절이 요구되는 실내등의 온도조절을 이루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부에는 상기 냉매를 압축시킴과 더불어 순환시키는 압축기와, 이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온의 공기로 냉각시키는 응축기와, 이 응축기에서 상온으로 냉각된 냉매가 팽창되면서 주위의 공기와 열교환작용되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또, 상기 증발기의 일측에는 증발기 주위의 공기를 공기조절이 요구되는 실내등으로 송풍시키는 블로워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는 응축기의 내부에 수용된 냉매의 상온냉각을 위해 외부공기의 흡기 및 응축기로의 송풍을 이루는 팬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블로워나 팬등은 외부전원의 통전에 따라 회전작동되는 모터등에 의해 구동되며, 이 모터는 공기조화기의 일측에 설치된 제어박스의 콘덴서등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면서 송풍되는 냉각공기의 온도감지나, 압축기의 모터작동을 위해 상기 외부전원의 공급이 요구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전원은 건축물의 내측으로 설치된 콘센트등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전원선으로 연결되어 사용됨이 보편화 되어있으며, 상기 전원선은 일반적인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의 전선이 내설됨과 더불어 그 외측이 절연 피복으로 싸여 형성된다.
또, 상기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건축물의 창틀에 올려져 고정되도록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그 내부에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와, 압축기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바닥패널(131)의 상단에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와, 압축기 및, 블로워, 팬등이 설치되고, 상기 각 기기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전면패널(11)과, 후면덮개(21)가 취부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패널(131)은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상단에 압축기와, 증발기와, 응축기가 설치된다.
또, 상기 전면패널(11)은 상기 증발기가 설치된 바닥패널(131)의 전면부에 바닥패널(131)과 수직을 이루고 취부되며, 그 전면에 상기 증발기를 통해 열교환작용되는 실내공기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흡기구(13)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흡기구(13)의 일측에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개구된 토출구(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덮개(21)는 상기 바닥패널(131)과, 전면패널(11)에 접합되어 박스형상을 이루도록 상면과 후면 및 양측면이 판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각면에 외기가 흡입되도록 흡기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11)의 일측하단에 박스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다수의 전기부품이 내설된 제어박스(41)가 취부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선(51)은 상기 제어박스(41)의 내측에 컨넥터등을 매개로 연결되며, 이 전원선(51)은 제어박스(41)의 일측으로 토출된 후, 상기 전면패널(11)과, 후면덮개(21)와, 바닥패널(131)등을 통해 외측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선(51)의 외측연결은 종래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박스(41)의 일측으로 토출된 전원선(51)이 전면패널(11)과 후면덮개(21)의 접합지점을 통해 외측으로 토출된다.
또, 상기 전원선(51)은 제어박스(41)의 커넥터등에 연결되어 제어박스(51)의 후면형상을 따라 제어박스(41)의 일측, 즉 공기조화기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이 제어박스(41)의 일측부로 뻗어 연결된 전원선(51)이 제어박스(41)의 끝단에서 고정고리(161)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고리(161)는 상기 전원선(51)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원형의 띠형상을 이룬 고리부와, 이 고리부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고리(161)의 플랜지부를 통해 스크류(162)등이 삽입되어 상기 제어박스(41)의 일측에 체결되면서 고정고리(161)가 제어박스(41)의 일측에 고정된다.
또, 상기 제어박스(41)의 일측으로 전원선(51)이 토출된 상태에서 전면패널(11)과 후면덮개(21)가 취부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패널(11)의 끝단과 후면덮개(21)의 끝단이 상호 접합되면서 전면패널(11)과 후면덮개(21)의 접합면 사이틈을 통해 상기 전원선(51)이 외측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박스(41)의 내측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와 연결된 전원선(51)이 제어박스(41)의 후면형상을 따라 일측으로 뻗어 연결되고, 이 제어박스(41)의 일측으로 연결된 전원선(51)의 일지점이 고정고리(161)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박스(41)의 일측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전원선(51)의 일지점은 고정고리(161)의 고리부 내측면에 의해 압박되면서 수용되고, 상기 고정고리(161)가 제어박스(41)의 일측에 스크류(162)를 매개로 고정됨에 의해 제어박스(41)의 일측끝단에 고정된다.
또, 상기 제어박스(41)의 일측에 고정됨과 더불어, 외측으로 뻗어 형성된 전원선(51)의 일부가 전면패널(11) 및 후면덮개(21)의 접합틈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1)과 후면덮개(21)의 접합지점 사이틈을 통해 외측으로 토출된 전원선(51)이 그 끝단에 형성된 플러그등을 매개로 건축물의 콘센트에 연결되어 공기조화기의 각 전기기기로 외부전원이 통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원선(51)이 전면패널(11)의 끝단과 후면덮개(21)의 끝단 사이에 끼워져 외측으로 토출됨에 따라, 상기 각 접합끝단이 상호 밀착되면서 상기 전원선(51)이 양측에서 압박 및 굴곡됨은 물론, 상기 전면패널(11)과 후면덮개(21) 끝단의 과도한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전원선(51)의 피복이나 전선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전면패널(11)과 후면덮개(21)의 접합지점 사이틈에 전원선(51)이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11)의 끝단 및, 이 전면패널(11)의 끝단과 접하는 후면덮개(21)의 끝단이 전원선(51)의 두께에 의해 각각 외측 또는 내측으로 굴곡변형되고, 이 전면패널(11)과 후면덮개(21)의 굴곡부(112, 122)형성에 의해 외관이 저하됨은 물론, 전면패널(11)과 후면덮개(21)의 파손이 발생됨과 더불어, 상기 굴곡부(112, 122)를 통한 공기조화기의 내외공기가 유통되면서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면패널 및 후면덮개의 최초 외관이 변형됨 없이 전원선이 제어박스에서 외측으로 연결됨에 따라, 외관미가 향상됨과 더불어, 상기 전면패널이나 후면덮개등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고, 상기 전원선의 외부토출을 위한 각 패널간의 이격틈이 축소되어 열교환효율이 향상되는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어박스에 연결된 전원선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설치된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안착된 전원선이 타부품과 간섭됨 없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 바닥패널에 배선토출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박스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선 설치부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제어박스부의 사시도,
도 4는 종래 전원선 설치부의 단면도,
도 5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전면패널 13 - 흡기구
14 - 토출구 21 - 후면덮개
31 - 바닥패널 32 - 수용홈
41 - 제어박스 51 - 전원선
61 - 고정돌기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종래 형상을 도시한 도 3 및 도 4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선이 제어박스의 일측에서 외부로 토출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상기 전원선이 바닥패널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전원선(51)이 바닥패널(31)의 일측에 형성된 배선토출수단에 의해 수용됨과 더불어, 외측으로 토출되어 건축물의 콘센트등에 연결된다.
상기 전원선(51)은 공기조화기의 일측 하단에 고정됨과 더불어, 내측에 다수의 전기기기가 설치된 제어박스(41)에서 외측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박스(41)는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됨과 더불어, 공기조화기의 바닥패널(31) 일측 모서리부에 장착된다.
또, 상기 제어박스(41)의 일측에 설치된 컨넥터등에 상기 전원선(51)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이 전원선(51)의 타측 끝단이 공기조화기의 외측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원선(51)은 상기 제어박스(41)의 후면 형상을 따라 제어박스(41)의 일측으로 뻗어 형성되고, 이 제어박스(41)의 일측으로 뻗어 형성된 전원선(51)이 상기 바닥패널(31)에 형성된 배선토출수단을 통해 외측으로 뻗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배선토출수단은 상기 전원선(51)이 삽입·안착되도록 바닥패널(31)에 함몰된 수용홈(32)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수용홈(32)은 상기 제어박스(41)가 설치된 바닥패널(31)의 일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상기 전원선(5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함몰된다.
또한, 상기 내측 수용홈(32) 끝단에 위치되는 전원선(51)부에 상기 수용홈(32)의 개구면적보다 큰면적을 갖는 고정돌기(61)가 체결되어 상기 수용홈(32)의 내측 끝단에 걸쳐진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어박스(41)의 컨넥터등에 연결된 전원선(51)이 제어박스(41)의 후면 형상을 따라 일측부로 뻗어 설치되고, 이 제어박스(41)의 일측부로 뻗어 설치된 전원선(51)이 바닥패널(31)의 수용홈(32)내로 안착됨과 더불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전원선(51)에 체결된 고정돌기(61)가 상기 수용홈(32)의 내측 끝단에 걸쳐 상기 전원선(51)이 일정길이 이상 외측으로 돌출됨이 방지된다.
또, 상기 수용홈(32)에 안착되어 고정된 전원선(51)의 끝부분이 공기조화기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건축물에 설치된 콘덴서등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바닥패널(31)의 상단 전면에 전면패널(11)이 취부되고, 이 전면패널(11)의 끝단에 접해 후면덮개(21)가 취부된다.
여기서, 상기 후면덮개(21)이나 전면패널(11)이 바닥패널(31)에 취부되면서 상기 수용홈(32)이 형성된 바닥패널(31)의 측부에 밀착되고,이때 상기 후면덮개(21)나 전면패널(11)의 내측면이 바닥패널(31)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수용홈(32)의 내측에 삽입된 전원선(51)이 상기 전면패널(11)이나 후면덮개(21)의 내측면과 소정폭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전면패널(11)과 후면덮개(21)이 상호 밀착됨과 더불어, 바닥패널(31)과 밀착되면서 공기조화기의 실내외측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원선(51)을 따라 외부전원이 통전되고, 이 전원선(51)으로 통전된 외부전원이 제어박스(41)의 각 전기기기를 통해 블로워나 팬 및 압축기등로 통전되면서 공기조화기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전원선(51)에 가해지는 외측으로 당겨지는 압력이 상기 수용홈(32)의 끝단에 걸쳐짐과 더불어, 후면덮개(21) 및 전면패널(11)에 지지된 고정돌기(61)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원선(51)의 일정길이 이상 외부토출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어박스등 전기기기의 전원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전원선이 타부품과 간섭됨 없이 공기조화기의 외측으로 토출됨에 따라, 전면패널이나 후면덮개등 부품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됨과 더불어, 상기 전원선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고, 전원선에 가해지는 외압의 지지를 위해 스크류의 고정작업등 부수공정이 폐지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어박스에 연결된 전원선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설치된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삽입된 전원선이 타부품과 간섭됨 없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 바닥패널에 배선토출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토출수단은 제어박스의 일측에서 외부로 연결된 전원선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제어박스가 설치된 바닥패널의 일측에서 내부로 함몰된 수용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
KR2019980000796U 1998-01-23 1998-01-23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 KR199900344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796U KR19990034457U (ko) 1998-01-23 1998-01-23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796U KR19990034457U (ko) 1998-01-23 1998-01-23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457U true KR19990034457U (ko) 1999-08-25

Family

ID=6971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796U KR19990034457U (ko) 1998-01-23 1998-01-23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45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4508B1 (ko) 공기조화기
KR19990034457U (ko) 공기조화기용 전원선의 배선토출장치
KR100755301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분할식 인쇄회로기판의 장착구조
JP3842889B2 (ja) 空気調和機の壁掛式室内ユニット
KR0120748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H0384344A (ja) 熱交換ユニット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200180841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판넬구조
KR1002679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EP0887598B1 (en) Air conditioner
KR200146093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회로기판 보호장치
JPH0929214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0120738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204607Y1 (ko) 공조기기
KR20000055577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와 쉬라우드 결합장치
KR100547688B1 (ko) 공기조화기의 팬하우징 설치구조
KR100820768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전선 연결구조
KR0125624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00010762U (ko) 유선 리모콘 연결용 전선의 고정 클램프
JP3268920B2 (ja) 空気調和装置
JP3162845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06147550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200162653Y1 (ko) 공기조화기의 전선연결장치 조립구조
KR20030067255A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설치구조
JPH07293927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