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298U - 서로 다른 종류의 보일러가 복합된 난방 장치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종류의 보일러가 복합된 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298U
KR19990034298U KR2019980000597U KR19980000597U KR19990034298U KR 19990034298 U KR19990034298 U KR 19990034298U KR 2019980000597 U KR2019980000597 U KR 2019980000597U KR 19980000597 U KR19980000597 U KR 19980000597U KR 19990034298 U KR19990034298 U KR 199900342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iler
heating
expansion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우
Original Assignee
이인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우 filed Critical 이인우
Priority to KR2019980000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298U/ko
Publication of KR19990034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298U/ko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종류의 보일러가 복합된 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난방용 보일러는 연탄 보일러와 기름 보일러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한가지의 연료만 사용해야 하므로 연료의 가격 변동에 따라 연료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서로 다른 계통의 연료를 사용하는 이종의 난방 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에 일체화 하는 것으로 각각의 보일러 본체를 하나의 팽칭관 및 보충수관으로 사이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보일러 본체로 부터의 송수관이 하나의 방열파이프로 접속되며, 상기 방열 파이프로부터의 환수관을 각각의 보일러 본체로 분기되어 순환되게하여 양쪽의 보일러를 동시에 가동하거나 개별적으로 가동할 수 있게 하면서 한쪽 보일러만 단독적으로 가동할 때 다른 보일러로 온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팽창관 전의 송수관과 팽창관 및 보충수관 전의 환수관에 체크 밸브를 설치하므로써 각각의 난방 장치를 동시에 가동하거나 선택적으로 가동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난방 장치를 보조적 수단으로 가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서로 다른 종류의 보일러가 복합된 난방 장치
본 고안은 보일러에 의한 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름 보일러와 연탄 보일러를 동시에 가동하거나 별도로 가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연료의 수급상황에 적절하게 맞추어 난방을 할 수 있는 기름 보일러와 연탄 보일러가 복합된 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난방용 보일러는 연탕 보일러와 기름 보일러가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데 난방을 위한 에너지가 석탄 계열의 에너지에서 유류 및 가스 계통의 에너지로 대체되면서 연탄을 이용하여 보일러는 보급이 중단되어 있는 실정에 있다.
석탄 계열의 에너지에서 연탄은 사용자가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지만 가격이 저렴한 특징이 있으며, 유류 계통의 에너지는 난방 장치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반면에 연탄보다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유류 및 가스 계통의 에너지는 상기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류 및 가스 계통의 에너지가 수급이 불안정하게 되거나 경제가 불황기의 국면에 있을 때에는 가격의 앙등으로 인하여 저소득층에서 사용하는데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주게 된다.
석탄 계열의 에너지는 상기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유류 및 가스 계통의 에너지가 수급되는 상황이 불안정하고 가격이 앙등할 때에 저렴하게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에너지와 연료는 사용자의 예측과 달리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보급이 불균형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순간에는 대체 연료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국으로부터의 에너지 수입이 곤란을 겪거나 국내의 시장 경제에 의하여 유류 및 가스 계통 에너지의 가격이 앙등하여 석탄 계열의 에너지가 경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이다.
본 고안은 서로 다른 계통의 연료를 사용하는 이종의 난방 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에 일체화 하므로서 각각의 난방 장치를 선택적으로 가동하거나 어느 하나의 난방 장치를 보조적 수단으로 가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각각의 보일러 본체를 하나의 팽창관 및 보충수관으로 사이클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각각의 보일러 본체로 부터의 송수관이 하나의 방열파이프로 접속하며, 상기 방열 파이프로부터의 환수관은 각각의 보일러 본체로 분기되어 순환되게 하여 양쪽의 보일러를 동시에 가동하거나 개별적으로 가동할 수 있게 하면서 한쪽 보일러만 단독적으로 가동할 때 다른 보일러로 온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수관 또는 환수관에 체크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난방 계통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난방 계통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난방 계통도
본 고안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보일러 본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팽창관 및 보충수관이 구비되고, 보일러 본체로부터 송수관과 방열 파이프 및 환수관을 통하여 온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순환 모터를 구비하는 난방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연료를 사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보일러 본체와; 상기 보일러 본체에 대하여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는 팽창관과; 상기 보일러 본체로부터 나오는 송수관이 동일한 방열 파이프에 접속되고, 이 방열 파이프로부터 환수관이 각각의 보일러 본체로 분기되는 순환 파이프와; 어느 한쪽의 보일러를 가동하지 않을 때에 가동되는 보일러의 온수와 압력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한쪽 보일러의 송수관과 난방 구역 사이에서 팽창관 전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와, 다른 한쪽 보일러의 환수관에서 팽창관 전의 설치되는 또하나의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역류 방지 수단과; 어느 한쪽의 보일러쪽에 설치되는 순환 펌프 고장시에 분산 팽창과 보조 열원 난방이 가능하도록 밸브를 구비하여 송수관으로부터 다른쪽 보일러 본체로 유입되는 환수관으로 연결되는 예비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를 하나의 난방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개별적 복합적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복합 시스템은 기름 보일러와 가스 보일러, 가스 보일러와 연탄 보일러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기름 보일러와 연탄 보일러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기름 보일러(1)와 연탄 보일러(2)가 하나의 난방 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기름 보일러(1)는 송수관(10)으로부터 분기되는 팽창관(11)을 통하여 팽창 팽크(12)에 연결되어 압력의 팽창과 보충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송수관(10)에는 기름 보일러(1)로부터 온수를 강제 공급하기 위한 순환 펌프(13)가 설치되어 있고 난방을 위한 방열 파이프, 또는 방열기 등이 설치된 난방 구역(3)과 연결되어 있다.
난방 구역(3)은 기름 보일러(1)와 환수관(14)으로 연결되는 순환 사이클을 구성한다.
환수관(14)에는 후술하는 연탄 보일러(2)를 단독 가동할 경우 연탄 보일러(2)에 의한 열원이 기름 보일러의 순환 사이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팽창관(11) 전의 위치에 체크 밸브(15)가 형성되어 있다.
연탄 보일러92)는 송수관(20)으로부터 분기되는 팽창관(21)을 통하여 팽창 탱크(12)에 연결되어 압력을 팽창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송수관(20)에는 통상적인 온도 조절 스위치(22)가 형성되어 있고 기름 보일러(1)의 송수관(10)과 함께 난방 구역(3)에 접속되는데, 난방 구역(3)에 접속되기 직전의 위치에서 팽창관(21)전에 체크 밸브(23)가 설치되어 기름 보일러(1)만을 단독 가동할 때 열원이 연탄 보일러(2)의 사이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패창관(21)은 안전밸브로 대체될 수 있다.
난방 구역(3)은 기름 보일러(1)와 순환 사이클을 구성하면서 또한 연탄 보일러(2)와 환수관(24)으로 연결되는 순환 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환수관(24)에는 통상적인 순환 펌프(25)가 설치되어 온수를 강제 순환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연탄 보일러(2)의 순환 펌프(25)가 고장날 경우 압력을 분산 팽창시키고 기름 보일러(1)의 순환 펌프(13)의 힘으로 보조 열원에 의한 난방이 가능하도록 기름 보일러(1)와 체크 밸브(15) 사이의 환수관(14)과 연탄 보일러(2)의 온도 조절스위치(22)와 체크 밸브(23) 사이의 송수관(20)은 예비관(4)으로 연결되어 있고, 예비관(4)은 슬리스 밸브(5)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연탄 보일러(2)를 가동하지 않고 기름 보일러(1)를 가동하면 순환 펌프(13)에 의하여 온수가 송수관(10)을 통하여 난방 구역(3)으로 공급되어 난방을 하게 되고, 환수관(14)을 통하여 기름 보일러(1)로 순환하면서 난방을 하게 된다.
이때, 기름 보일러(1)의 송수관(10)과 연탄 보일러(2)의 송수관(20)이 난방 구역(3)으로 통하는 배관을 형성하게 되는데, 송수관(10)으로부터 난방 구역(3)으로 공급되는 온수는 연탄 보일러(2)쪽의 송수관(20)에서 팽창관(21)전에 설치된 체크 밸브(23)에 의하여 연탄 보일러(2)쪽으로 역류하지 않고 모두 난방 구역(3)으로 흐르게 되고, 난방을 마치고 회수되는 물은 순환 펌프(13)의 흡입력과 정지된 상태에 있는 연탄 보일러(2)쪽의 순환 펌프(24)에 의하여 연탄 보일러(2)로 유입되지 않고 체크밸브(15)를 통하여 기름 보일러(1)로 돌아가게 된다.
기름 보일러(1)를 가동하지 않고 연탄 보일러(2)만 가동할 때에는 순환 펌프(25)의 강제 공급으로 연탄 보일러(2)로부터 송수관(20), 난방 구역(3), 환수관(24), 연탄 보일러(2)를 통하는 난방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송수관(20)으로부터 난방 구역(3)으로 공급되는 온수는 순환 펌프(25)의 흡입력과 기름 보일러(1)쪽 송수관(10)에 형성되어 정지된 상태에 있는 순환펌프(13)에 의하여 기름 보일러(1)쪽으로 온수가 역류하지 않게 되고, 난방을 마치고 회수되는 물은 환수관(14)에 설치된 체크 밸브(15)에 의하여 기름 보일러(1)로 유입되지 않고 순환 펌프(24)의 흡입력에 의하여 모두 연탄 보일러(2)로 회수된다.
물론 기름 보일러(1)와 연탄 보일러(2)를 동시에 가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만일 연탄 보일러(2)의 가동 중에 순환 펌프(24)가 고장이 나면 송수관(20)에 고압에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때에는 슬리스 밸브(5)를 열어주면 예비관(4)을 통하여 고압·고온의 온수가 기름 보일러(1)로 유입되어 기름 보일러(1)에 의한 난방을 보조하는 역할을 계속 수행하게 된다.
예비관(4)은 연탄 보일러(2)의 열량이 적을 경우에도 기름 보일러(1)의 보조적으로 난방을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토대로 하면서 기름 보일러(1a)와 체크 밸브(15a) 사이의 환수관(14a)에 순환 펌프(13a)를 설치하고, 기름 보일러(1a)와 순환 펌프(13a) 사이에 팽창관(11a)을 접속시키며, 예비관(4a)은 순환 펌프(13a)와 체크 밸브(15a) 사이에 접속하여 난방 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작용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를 토대로 하면서 기름 보일러(1b)와 체크밸브(15b) 사이의 환수관(14b)에 순환 펌프(13b)를 설치하고, 예비관(4b)은 순환 펌프(13b)와 체크 밸브(15b) 사이에 접속하여 난방 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작용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기름 보일러와 연탄 보일러가 일체화된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여 연료의 공급이 불안정하고 가격의 변동이 생겨서 사용하는 연료를 대체하여야 할 경우가 생기더라도 기존의 난방 설비를 제거하거나 새로운 난방 설비를 시공하지 않고 연료만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두가지 연료를 동시에 적절한 비율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서 난방비를 절감하면서 효과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기름 보일러와 연탄 보일러를 복합시키므로서 기존의 기름 보일러로 구성된 보일러 보다 설치 면적이 감소하고 시공비가 저렴하며 지속적인 수명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

  1. 본 고안은 보일러 본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팽창관 및 보충수관이 구비되고, 보일러 본체로부터 송수관과 방열 파이프 및 환수관을 통하여 온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순환 모터를 구비하는 난방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사로 다른 연료를 사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보일러 본체와;
    상기 보일러 본체에 대하여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는 팽창관과;
    상기 보일러 본체로부터 나오는 송수관이 동일한 방열 파이프에 접속되고, 이 방열 파이프로부터 환수관이 각각의 보일러 본체로 분기되는 순환 파이프와;
    어느 한쪽의 보일러를 가동하지 않을 때에 가동되는 보일러의 온수와 압력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한쪽 보일러의 송수관과 난방 구역 사이에서 팽창관 전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와, 다른 한쪽 보일러의 환수관에서 팽창관 전에 설치되는 또하나의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역류 방지수단과;
    어느 한쪽의 보일러쪽에 설치되는 순환 펌프 고장시에 분산 팽창과 보조 열원 난방이 가능하도록 밸브를 구비하여 송수관으로부터 다른쪽 보일러 본체로 유입되는 환수관으로 연결되는 예비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보일러가 복합된 난방 장치.
KR2019980000597U 1998-01-16 1998-01-16 서로 다른 종류의 보일러가 복합된 난방 장치 KR199900342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597U KR19990034298U (ko) 1998-01-16 1998-01-16 서로 다른 종류의 보일러가 복합된 난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597U KR19990034298U (ko) 1998-01-16 1998-01-16 서로 다른 종류의 보일러가 복합된 난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298U true KR19990034298U (ko) 1999-08-25

Family

ID=6971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597U KR19990034298U (ko) 1998-01-16 1998-01-16 서로 다른 종류의 보일러가 복합된 난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29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377A (ko) * 2000-11-30 2002-06-05 김강수 기름연탄 겸용 자동보일러 설비 설치로 원가 절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377A (ko) * 2000-11-30 2002-06-05 김강수 기름연탄 겸용 자동보일러 설비 설치로 원가 절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63512A (en) Flue gas heat recovery system
US20090283057A1 (en) Hot-Water Supplying System of Boiler Equipped With Dual Pipe Heat Exchanger
KR100255702B1 (ko) 빌딩과 환기된 공기를 난방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173357A1 (en) Structured hot water demand flow control system with accommodation for thermal expansion
KR19990034298U (ko) 서로 다른 종류의 보일러가 복합된 난방 장치
KR102029825B1 (ko)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
US3123065A (en)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JP6111861B2 (ja) 貯湯給湯装置
JP2007120782A (ja) 熱湯循環システム
JP4421497B2 (ja) 排熱利用予熱システム
WO2012102185A1 (ja) 給湯システム
JPH09236207A (ja) ボイラ
KR100926015B1 (ko) 저탕식 보일러
KR810001454Y1 (ko) 기름겸용 태양열 온수 보일러
JP2951695B2 (ja) 給湯装置
JP3759073B2 (ja) 貯湯式給湯器
KR100360842B1 (ko) 전기 보일러가 포함된 보일러 시스템
KR0132627Y1 (ko) 정수위 조절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
JPH045925Y2 (ko)
RU221669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ервного режима отопления
KR980009058U (ko) 기름 및 연탄 보일러 겸용 난방시스템
KR200438302Y1 (ko) 저부하 및 고부하 운전이 가능한 대형증기보일러
JPH0439534A (ja) 給湯装置
JPH10176804A (ja) 竪型排熱回収ボイラとその運転方法
KR19980068608U (ko) 축열식전기보일러의압력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