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646U - 고형얼음을이용한음식물용기 - Google Patents

고형얼음을이용한음식물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646U
KR19990033646U KR2019990007865U KR19990007865U KR19990033646U KR 19990033646 U KR19990033646 U KR 19990033646U KR 2019990007865 U KR2019990007865 U KR 2019990007865U KR 19990007865 U KR19990007865 U KR 19990007865U KR 19990033646 U KR19990033646 U KR 199900336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support plate
ice
solid bow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5324Y1 (ko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배 filed Critical 김정배
Priority to KR2019990007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32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6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6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3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면, 콩국수 등과 같이 여름철에 먹게되는 음식물에 얼음을 투입시켜 주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시원함을 그대로 느낀 상태에서 내용물을 먹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육수의 맛을 그대로 느낄수 있도록 한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식물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담겨지는 내용물의 량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를 갖도록 합성비닐재로 하여 상면이 개방된 얇은 두께의 비닐용기(10)와; 상기의 비닐용기가 상부로 부터 내면에 씌워질수 있도록 물을 얼려 바닥면 중앙에 통공(21)이 갖추어진 고형그릇(20)과; 상기 고형그릇의 하단면이 받쳐질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31) 외주연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고형그릇의 외주면을 감싸주는 받침편(32)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편의 상단부 양측면에 손으로 잡을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3)로 형성한 받침부(30)와; 상기 받침부의 받침판 상면내에는 고형그릇으로 부터 녹아 흘러내리는 물을 흡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흡수부(4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식물용기{a ice food vessel}
본 고안은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식물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면, 콩국수 등과 같이 여름철에 먹게되는 음식물에 얼음을 투입시켜 주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시원함을 그대로 느낀 상태에서 내용물을 먹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육수의 맛을 그대로 느낄수 있도록 한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식물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먹게되는 음식물 즉, 냉면, 콩국수, 화채 등은 찌는듯 한 더위속에서 음식물을 먹으면서 더위를 식힐수 있도록 되어 있는 여름철 별미의 음식물로서, 냉면과 콩국수 등과 같은 음식물은 자체의 맛을 내는 특수의 육수에 면이 담겨지도록 한 상태에서 면과 함께 육수를 마시게 되는데, 여름철의 더위를 식히기 위해 육수를 냉장고등에 보관시켜 육수가 차가운 상태에서 면과 함께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바로 삶아내서 찬물에 식혀준 면이 차가운 육수에 담겨지게되는데, 이때 면을 차가운 물에 식혀주더라도 시원함을 느낄수 있도록 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육수에 담겨지도록 하고있어 육수가 면의 온도에 의해 온도가 높아져 시원함을 그대로 느끼지 못하게 됨과 아울러, 면을 먹는도중 실내의 온도에 의해 육수를 마실때 시원함을 느끼지 못하게 됨에 따라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내에 얼음을 함께 투입시켜 얼음에 의해 육수와 면이 시원함을 유지시켜 주도록 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먹게되는 것이고, 육수에 담겨져 있는 얼음이 녹게되면 육수가 연하게 희석됨에 따라 육수 자체의 맛을 그대로 느끼지 못한 상태에서 마시게 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화채 역시 잘게 썰어준 과일을 시원한 쥬스 또는 우유등의 음료에 섞이도록 한 상태에서 먹을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으로서, 쥬스나 우유등의 음료는 냉장고등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서 시원함을 느낄수 있으나, 부피가 큰 수박등과 같은 과일은 그러하지 못해 여름철의 온도에 의해 뜨거워진 상태에서 그대로 잘게 썰어져 음료에 섞여 음료에 의해 시원함을 느끼는 상태에서 먹게되는데, 일정시간이 지나더라도 시원함을 그대로 느낄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용물내에 얼음을 투입시켜 얼음에 의해 시원함을 그대로 느낄수 있도록 하는데,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얼음이 녹아 쥬스 또는 우유등의 음료가 얼음에 의해 연하게 변하게 됨에 따라 음료 자체의 맛을 느낄수 없게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름철에 시원함을 느끼는 냉면, 콩국수 등과 같은 음식물 또는 과일화채를 먹고자 할때 내용물내에 얼음을 투입시켜 주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이 지나더라도 시원함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먹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육수및 음료가 얼음에 의해 희석되는 일이 없어 자체의 맛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마실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비닐용기 20:고형그릇
21:통공 30:받침부
31:받침판 32:받침편
33:손잡이 40:흡수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담겨지는 내용물의 량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를 갖도록 합성비닐재로 하여 상면이 개방된 얇은 두께의 비닐용기(10)를 형성하고, 상기의 비닐용기가 상부로 부터 내면에 씌워질수 있도록 물을 얼려 바닥면 중앙에 통공(21)이 갖추어진 고형그릇(20)을 형성하며, 상기 고형그릇이 상부로 부터 끼워져 안정되게 받쳐줄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30) 즉, 고형그릇의 하단면이 받쳐질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31) 외주연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고형그릇의 외주면을 감싸주는 받침편(32)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편의 상단부 양측면에 손으로 잡을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3)로 형성하여 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받침판 상면내에는 고형그릇으로 부터 녹아 흘러내리는 물을 흡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흡수부(40)로 갖추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형그릇(20)은 사용하고자 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크기와 모양은 각기 다르게 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형그릇은 고형그릇을 성형하는 성형기에 의해 얼려진 상태에서 저장고내에 보관되어 있다가 사용시마다 꺼내에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즉, 합성수지로 셩형된 받침부(30)의 받침판(31)에 흡수부(40)를 올려준 상태에서 고형그릇(20)을 받침편(32)내에 위치하도록 하면 고형그릇의 하단면은 받침판에 얹혀져 있는 흡수부(40)에 접하게 되고, 외주면은 상기 고형그릇의 형상및 모양에 따라 만들어진 받침편(32)에 받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고형그릇의 내부에 비닐용기(10)를 씌워준 다음 상기 비닐용기내에 내용물 즉, 육수와 면을 담아준 상태에서 먹으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형그릇(20)의 내면에 씌워진 비닐용기(10)내에 얼음이 담겨지지 않고 내용물만이 담겨진 상태에 있게되면 고형그릇(20)의 차가운 기온이 비닐용기(10)를 통해 담겨져 있는 육수로 전달되어 상기 비닐용기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완전히 먹을때 까지 시워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주게됨은 물론, 육수가 얼음에 의해 농도가 낮아지지 않아 육수의 맛을 그대로 느낀 상태에서 마실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을 먹을때 실내의 온도에 의해 고형그릇(20)이 서서히 녹게되는데, 상기 고형그릇의 내면으로 부터 녹아내리는 물은 바닥면 중앙에 갖추어진 통공(21)을 통해 외부로 빠지면서 받침판(31)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부(40)에 흡수되고, 외면으로 부터 녹아내리는 물은 고형그릇이 상부로 부터 하부로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어 외면을 타고 하부로 흘러내려 받침판에 갖추어진 흡수부(40)내에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있어 육수를 마시기 위해 고형그릇을 들어 기울이더라도 고형그릇으로 부터 녹아내린 물이 떨어지지 않아 육수를 마실때 아무런 불편함이 없이 마실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육수를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받침편(32)의 상단부 양측에 갖추어진 손잡이(33)를 잡고 들은 상태에서 육수를 마시면 되는데, 이때 입이 닿는 부위인 비닐용기(10)의 상단 외주연은 고형그릇(20)의 상단부를 덮어주도록 되어있어 육수를 마시는대 아무런 불편이 없이 마실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냉면, 콩국수 또는 화채 등과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만을 담아주는데 사용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생선회 등과 같이 국물이 없는 상태에서 음식물을 시원함을 유지할수 있는 접시 등과 같은 용기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생선회를 담아줄 경우에는 비닐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고형접시에 무채를 깔아준 상태에서 생선회를 올려주면 되는 것이고, 상기 고형접시의 하부에 녹아내리는 물을 받아줄수 있는 받침편을 사용하면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용도에 따라 맞는 형상과 모양을 가도록 얼려진 고형그릇을 이용하여 여름철의 별미인 냉면, 콩국수 또는 화채등을 담아준 상태에서 먹게되면 내용물에 직접적으로 얼음을 넣지않은 상태에서도 얼음으로 얼려진 고형그릇에 의해 비닐용기에 담겨져 있는 육수를 시원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줄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고, 얼음이 육수에 직접적으로 담겨지지 않아 녹는 얼음이 육수에 희석되는 일이 없어 육수의 농도가 변하지 않아 맛을 그대로 느낄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담겨지는 내용물의 량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를 갖도록 합성비닐재로 하여 상면이 개방된 얇은 두께의 비닐용기(10)와; 상기의 비닐용기가 상부로 부터 내면에 씌워질수 있도록 물을 얼려 바닥면 중앙에 통공(21)이 갖추어진 고형그릇(20)과; 상기 고형그릇의 하단면이 받쳐질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31) 외주연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고형그릇의 외주면을 감싸주는 받침편(32)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편의 상단부 양측면에 손으로 잡을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3)로 형성한 받침부(30)와; 상기 받침부의 받침판 상면내에는 고형그릇으로 부터 녹아 흘러내리는 물을 흡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흡수부(4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식물 용기.
KR2019990007865U 1999-05-10 1999-05-10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식물용기 KR200255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865U KR200255324Y1 (ko) 1999-05-10 1999-05-10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식물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865U KR200255324Y1 (ko) 1999-05-10 1999-05-10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식물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646U true KR19990033646U (ko) 1999-08-16
KR200255324Y1 KR200255324Y1 (ko) 2001-12-24

Family

ID=5475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865U KR200255324Y1 (ko) 1999-05-10 1999-05-10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식물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3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324Y1 (ko) 200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7213E1 (en) Container for producing cold foods and beverages
US7331194B2 (en) Coaster
CN201005406Y (zh) 自控恒温保温杯
US3269144A (en) Double wall tumbler having cooling means therein
JP3163283U (ja) 熱冷飲料用容器
CN104367108B (zh) 一种快速降温保温水杯
US6295831B1 (en) Chilling pitcher
WO2006072210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production, stockage et transport de repas rapides
KR200255324Y1 (ko)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식물용기
US8065888B2 (en) Low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for food item
JPH11253A (ja) 飲食用容器保冷コースタートレー及び保冷皿
EP3849385B1 (en) A drinking straw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0228520Y1 (ko) 생선회받침얼음용기
JPH09108088A (ja) コースタ
JP2007050178A (ja) クーラー装置
KR200365407Y1 (ko) 보냉기능을 갖는 맥주용기
KR200188871Y1 (ko) 용기
JP3227208U (ja) 清涼飲食体保冷容器
JP3228298U (ja) 飲料容器の保冷箱
KR200391138Y1 (ko) 박과 얼음을 이용한 하절기 음식용 복층구조의 그릇
CN212307480U (zh) 一种组合式酒具套装
KR101981187B1 (ko) 얼음 포켓
JP2004053229A (ja) ビールサーバー設置冷蔵庫
KR200397902Y1 (ko) 회접시
JPH02377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