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125A -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 Google Patents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125A
KR19990033125A KR1019970054384A KR19970054384A KR19990033125A KR 19990033125 A KR19990033125 A KR 19990033125A KR 1019970054384 A KR1019970054384 A KR 1019970054384A KR 19970054384 A KR19970054384 A KR 19970054384A KR 19990033125 A KR19990033125 A KR 19990033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oil
cooling cycle
evaporator
low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4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125A/ko
Publication of KR1999003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125A/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2원 냉각싸이클을 이루는 제 1 냉각싸이클과 제 2 냉각싸이클중 상기 제 2 냉각싸이클내를 순환하는 오일이 제 2 증발기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오일을 제 2 압축기로 신속히 회수하도록 하여 냉각효율을 높임은 물론 장기간 사용에도 좀처럼 고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 1 압축기(22)에서 압축된 냉매가 제 1 응축기(23)를 거쳐 제 1 모세관(25)을 통과한 다음 2중관식 열교환기(2)의 제 1 증발기(26)를 거쳐 상기 제 1 압축기(22)로 되돌아오는 제 1 냉각싸이클(21)과, 제 2 압축기(42)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제 2 압축기 일측에 오일분리관(4)으로 연결된 오일분리기(3)를 거쳐 상기 2중관식 열교환기(2)의 제 2 응축기(43)를 통과한 다음 제 2 모세관(45) 및 제 2 증발기(46)를 차례로 거쳐 다시 제 2 압축기(42)로 되돌아오는 제 2 냉각싸이클(41)을 갖는 2원 냉각싸이클(1)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세관(45)과 제 2 증발기(46) 사이에 설치된 보조 오일분리기(101)와, 상기 보조 오일분리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 2 증발기(46)와 제 2 압축기(42) 사이에 타단이 연결된 보조 오일수거관(102)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본 발명은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2원 냉각싸이클내에서 냉매와 함께 순환하는 오일을 수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는 극히 저온인 약 -40℃이하의 온도대에서 음식물 등을 냉동 및 냉장하는 제품으로서, 상기 저온 냉장고의 2원 냉각싸이클에 의한 냉매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2원 냉각싸이클(1)은 제 1 냉각싸이클(21)과 제 2 냉각싸이클(41)로 크게 나눠지는데, 상기 2원 냉각싸이클(1)에서는 각각 설치된 제 1 압축기(22)와 제 2 압축기(42)가 동시에 작동하므로 먼저 제 1 압축기(22)의 작동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내를 냉각하기 위해 제 1 압축기(22) 및 제 2 압축기(42)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 1 압축기에서 압축된 일차냉매가 제 1 응축기(23)를 거치면서 약 35℃의 고압 과냉액이 된다음 제 1 드라이어(24)를 통과하며 수분과 불순물을 걸러내고 계속해서 제 1 모세관(25)을 거치면서 저압의 저건도 일차냉매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저건도 일차냉매는 2중관식 열교환기(2)내의 제 1 증발기(26)를 거치면서 증발온도가 약 -30℃가 된 다음 제 1 압축기(22)로 되돌아 가는데, 이때 상기 제 2 압축기(42)는 제 1 압축기(22)와 함께 작동을 하므로 상기 제 2 압축기(42)에서 압축된 2차냉매는 오일분리기(3)를 거치게 된다.
상기 오일분리기를 거친 이차냉매는 2중관식 열교환기(2)의 제 2 응축기(43)를 통과하며 상기 제 1 증발기(26)를 지나는 일차냉매와 열교환한후 약 -20℃의 응축온도가 되어 제 2 드라이어(44)를 거치면서 수분과 불순물을 제거하며 제 2 모세관(45)을 거친다음 저압의 저건도 이차냉매가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차냉매는 제 2 증발기(46)를 거치면서 약 -90℃로 열교환되어 고내를 냉각한 다음 제 2 압축기(42)로 보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압축기로부터 나온 이차냉매는 오일과 함께 제 2 냉각싸이클(4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이차냉매 및 오일이 제 2 압축기(42)로부터 나오는 상태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개략적인 작용을 살펴보면 첨부된 도 2와같다.
먼저, 제 2 압축기(42)의 스테이터(Stator)(5)에 전원이 인가되면 로터(Rotor)(6)가 회전을 하게되고 상기 로터에 끼워진 크랭크 샤프트(Crank Shaft)(7)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가 회전을 하게되면 끝단의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8)의 회전으로 피스톤(9)이 왕복운동을 하여 상기 제 2 압축기(42)내에 있는 이차냉매를 압축하여 제 2 응축기(43)로 보내게되는데, 이때 상기 커넥팅 로드(8)의 회전으로 제 2 압축기(42)내의 저면에 채워진 오일이 크랭크 샤프트(7)의 저면에 고정된 원심 프로펠러(10)의 회전에 의해 홈(11)을 따라 상승하여 피스톤(9)측 및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8)측에 분배되어 윤활을 하게되고 상기 이차냉매와 함께 제 2 응축기(43)로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상기 오일은 제 2 냉각싸이클(41)의 흐름을 원활하지 못하게하여 저온 냉장고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오일을 수거하는 장치를 필요로하였는데, 여기서 상기 오일을 수거하는 종래의 장치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2 압축기(42)의 이차냉매 출구측에는 오일을 모으도록 오일분리기(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오일분리기의 일측에는 모아진 오일을 제 2 압축기(42)로 되돌려 보내도록 오일수거관(4)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같이 이차냉매와 함께 나온 오일중 상기 이차냉매는 오일분리기(3)내를 거쳐 제 2 응축기(43)로 보내지고 상기 오일은 오일분리기(3)내에 모아진 다음 오일수거관(4)을 통해 제 2 압축기(42)내로 되돌려 보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오일중 일부가 오일분리기에 모아지지 않고 이차냉매와 함께 제 2 냉각싸이클을 따라 흘러 상기 제 2 냉각싸이클내에 있거나 제 2 증발기내에 있게되어 제 2 압축기측으로 회수가 불가능하였는데, 이는 상기 제 2 증발기의 온도가 약 -90℃여서 오일의 점도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상기 제 2 증발기 및 제 2 냉각싸이클내에 다량의 오일이 적채되어 이차냉매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냉각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2원냉동 싸이클의 순환 밸런스(Balance)가 맞지 않게되면 제 2 압축기가 과열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제 2 압축기내 오일의 점도를 상승시키게 되었는데, 이럴 경우 원심 프로펠러에 의해 피스톤이나 커넥팅 로드측으로 보내는 오일량이 급격히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피스톤 등의 운동이 영향을 받아 제 2 압축기의 수명을 감소시키거나 고장이 발생되는 등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실추시키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제 2 냉각싸이클내를 순환하는 오일이 제 2 증발기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오일을 제 2 압축기로 신속히 회수하도록 하여 냉각효율을 높임은 물론 수명을 연장시키고 고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제 1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제 1 응축기를 거쳐 제 1 모세관을 통과한 다음 2중관식 열교환기의 제 1 증발기를 거쳐 상기 제 1 압축기로 되돌아오는 제 1 냉각싸이클과, 제 2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제 2 압축기 일측에 오일 수거관으로 연결된 오일분리기를 거쳐 상기 2중관식 열교환기의 제 2 응축기를 통과한 다음 제 2 모세관 및 제 2 증발기를 차례로 거쳐 다시 제 2 압축기로 되돌아오는 제 2 냉각싸이클을 갖는 2원 냉각싸이클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세관과 제 2 증발기 사이에 설치된 보조 오일분리기와, 상기 보조 오일분리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 2 증발기와 제 2 압축기 사이에 타단이 연결된 보조 오일수거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구성을 갖는 저온 냉장고의 2원 냉각싸이클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 2 압축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구성을 갖는 저온 냉장고의 2원 냉각싸이클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압축기를 일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압축기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2중관식 열교환기 3 : 오일분리기
4 : 오일수거관 41 : 제 2 냉각싸이클
42 : 제 2 압축기 43 : 제 2 응축기
45 : 제 2 모세관 46 : 제 2 증발기
101 : 보조 오일분리기 102 : 보조 오일수거관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일 실시예로 나타낸 첨부된 도 3내지 도 5를 참고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구성을 갖는 저온 냉장고의 2원 냉각싸이클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압축기를 일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압축기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일부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제 2 냉각싸이클(41)의 제 2 모세관(45)과 제 2 증발기(46)사이에 보조 오일분리기(101)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 오일분리기의 일측에는 보조 오일수거관(102)을 연결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 오일수거관은 제 2 압축기(42)의 이차냉매 입구측에 연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오일수거관(102)의 일부 및 오일수거관(4)의 일부는 모세관(103)으로 형성하여 보조 오일분리기(101) 및 오일분리기(3)내의 이차냉매가 제 2 압축기(42)내로 급격히 흘러들어 가지 않도록 한 것으로, 이는 상기 제 2 압축기내의 기기를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일 실시예와같이 이차냉매의 순환싸이클 밸런스가 맞지 않아 생기는 오일의 점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히터(104)를 제 2 압축기(42)내의 오일에 담가 설치하거나, 도 5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와같이 상기 오일영역인 제 2 압축기(42)의 외주면에 설치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작용설명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먼저, 제 1,2 압축기(22)(42)의 작동으로 압축된 일차 및 이차냉매는 각 제 1,2 냉각싸이클(21)(41)을 따라 흐르고, 여기서 상기 이차냉매는 오일분리기(3)를 거쳐 2중관식 열교환기(2)의 제 2 응축기(43)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차냉매와 함께 나온 오일은 오일분리기(3)에 모아진 다음 오일수거관(4)을 따라 제 2 압축기(42)내로 되돌려 보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되돌려보내지는 오일은 모세관(103)에 의해 급격히 흐르지 않고 서서히 유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응축기(43)로 흐르는 이차냉매 및 상기 이차냉매와 함께 따라온 오일은 제 2 드라이어(44) → 제 2 모세관(45)을 거쳐 보조 오일수거기/내에 모아지게 되고 상기 이차냉매는 제 2 증발기(46)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고내를 냉각한 다음 제 2 압축기(42)내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오일분리기(101)내에 모아진 오일은 보조 오일수거관(102)을 따라 제 2 압축기(42)내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유입되는 오일 또한 오일수거관(4)을 통해 되돌려 보내지는 오일과 마찬가지로 모세관(103)을 따라 제 2 압축기(42)내로 급격히 유입되지 않고 서서히 유입된다.
또한,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나타낸 첨부된 도 4 및 도 5와같이 냉각싸이클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히터(104)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 2 압축기(42)내의 오일 점도가 상승하지 않아 상기 오일이 크랭크 샤프트(7)의 홈(11)을 타고 상승하여 피스톤(9) 및 커넥팅 로드(8)측에 원활히 공급되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제 2 냉각싸이클내를 순환하는 오일이 제 2 증발기로 유입되지 못하고 제 2 압축기로 회수되므로 냉각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냉각싸이클이 언밸런스가 되더라도 제 2 압축기내의 오일의 점도를 히터를 사용하여 낮춰주므로 상기 제 2 압축기내의 기기에 오일이 원활히 공급되어 냉매의 압축 및 순환을 신속히 유도함에 따라 이역시 냉각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압축기가 원활히 작동되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좀처럼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는 등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제 1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제 1 응축기를 거쳐 제 1 모세관을 통과한 다음 2중관식 열교환기의 제 1 증발기를 거쳐 상기 제 1 압축기로 되돌아오는 제 1 냉각싸이클과,
    제 2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제 2 압축기 일측에 오일 수거관으로 연결된 오일분리기를 거쳐 상기 2중관식 열교환기의 제 2 응축기를 통과한 다음 제 2 모세관 및 제 2 증발기를 차례로 거쳐 다시 제 2 압축기로 되돌아오는 제 2 냉각싸이클을 갖는 2원 냉각싸이클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세관과 제 2 증발기 사이에 설치된 보조 오일분리기와,
    상기 보조 오일분리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 2 증발기와 제 2 압축기 사이에 타단이 연결된 보조 오일수거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수거관의 일부 또는 보조 오일수거관의 일부를 모세관으로 형성하여 보조 오일분리기내의 오일 또는 오일분리기내의 오일이 제 2 압축기내로 급격히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축기에 오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제 2 압축기의 오일내에 담가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하는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제는 2 압축기 외주면의 제 2 압축기내에 담겨진 오일영역에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하는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KR1019970054384A 1997-10-23 1997-10-23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KR19990033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384A KR19990033125A (ko) 1997-10-23 1997-10-23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384A KR19990033125A (ko) 1997-10-23 1997-10-23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125A true KR19990033125A (ko) 1999-05-15

Family

ID=6604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384A KR19990033125A (ko) 1997-10-23 1997-10-23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1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149B1 (ko) * 2011-01-24 201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149B1 (ko) * 2011-01-24 201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4215A (en) Internal oil separator for a refrigeration system condenser
KR101633781B1 (ko) 칠러
US3856493A (en) Energy recovery system for oil injected screw compressors
JPH0633917B2 (ja) 流下液膜式蒸発器
KR101220741B1 (ko) 냉동장치
US3218825A (en) Refrigerat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cooling compressor motor
KR20110097367A (ko) 칠러
US4304099A (en) Means and method for the recovery of expansion work in a vapor compression cycle device
KR100223817B1 (ko) 2원 냉동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KR19990033125A (ko) 2원 냉각싸이클을 갖는 저온 냉장고
MXPA05000727A (es) Sistema de refrigeracion.
CN105674633B (zh) 带气液分离功能的回热器及使用该回热器的制冷空调系统
CN108072198B (zh) 压缩机组件及其控制方法和制冷/制热系统
JP2004212019A (ja) 冷凍システム
SU1134858A1 (ru) Холодильна установка
KR20050066352A (ko) 냉동사이클 장치
KR101178700B1 (ko) 다단 직렬 압축 방식의 히트펌프 시스템
KR200267157Y1 (ko) 냉동시스템
CN109404279A (zh) 带有电机腔冷却的热泵压缩机及其系统
JPH0763427A (ja) 冷凍装置
ES2964020T3 (es) Sistema de compresión de vapor y método para la recuperación de aceite de vapor
US3509731A (en) Oil cooling arrangement in refrigeration system
KR013532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RU2152568C1 (ru) Тепловой насос
CN106440552A (zh) 热泵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