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538U - 압축기용 클러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538U
KR19990032538U KR2019970045295U KR19970045295U KR19990032538U KR 19990032538 U KR19990032538 U KR 19990032538U KR 2019970045295 U KR2019970045295 U KR 2019970045295U KR 19970045295 U KR19970045295 U KR 19970045295U KR 19990032538 U KR19990032538 U KR 199900325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surface
compressor
electromagnet
clutch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9960Y1 (ko
Inventor
김광일
차용길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19970045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960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5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9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8Detail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 or to the shape of the clutch parts to achieve a certain magnetic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압축기용 클러치가 개시된다. 이 압축기용 클러치는, 압축기의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레그와, 상기 내부레그의 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찰면을 갖는 풀리부, 상기 마찰면을 통하여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내주면을 감싸며 상기 내부레그의 외주면의 궤적을 따라 형성된 내측하우징부와, 상기 코일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마찰면의 가장자리부에 근접된 외측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전자석부와, 압축기의 회전축에 대해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부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상기 마찰면에 대하여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축기용 클러치
본 고안은 압축기용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압축기 등에 설치되어 구동원으로부터 압축기에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압축기용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기는 자동차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므로, 압축기의 구동여부에 따라 회전축에 설치된 클러치에 의해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받게 된다.
도 1에는 자동차의 엔진으로부터 압축기에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종래의 압축기용 클러치를 분해사시도로서 나타내 보였다.
이 압축기용 클러치는, 회전축(1a)을 가지는 압축기 본체(1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마찰면(2a)과 풀리(2b)를 포함하는 풀리부(2)와, 상기 마찰면(2a)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면을 통하여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전자석부(3)와, 상기 전자석부(3)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상기 마찰면(2a)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크(4)와, 상기 회전축(1a)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4)가 설치되는 스토퍼플레이트(5)를 포함하여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압축기용 클러치는 전자석부(3)에 전류를 인가함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풀리부(2)의 마찰면(2a)에 디스크(4)가 전자기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전류가 전자석부(3)에 인가되면, 디스크(4)가 마찰면(2a)에 밀착되어 풀리부(2)에 회전력이 디스크(4)에 전달되고, 이 디스크(4)가 설치된 스토퍼플레이트(5)가 회전축(1a)에 회전력을 전달함에 따라 압축기가 작동하게 된다. 반대로, 전류가 전자석부(3)에 인가되지 않으면, 디스크(4)가 마찰면(2a)으로부터 분리되므로, 풀리부(2)의 회전력은 디스크(4)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압축기(1)의 회전축(1a)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풀리부(2)의 마찰면(2 a)에 대한 디스크(4)의 전자기적 결합력은 상기 전자석부(3)가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능력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압축기용 클러치는 구조상 전자석부(3)의 설치공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전자석부(3)의 설계변경이 용이하지 않게 되어 클러치를 소형으로 제작시에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전자석 클러치에서 풀리부(2)에 전자석부(3)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풀리부(2)는, 원판형인 마찰면(2a)과, 이 마찰면(2a)의 배면으로부터 원통형으로 연장된 내부레그부(2c)와 외부레그부(2d)와, 상기 외부레그부(2d)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풀리(2b)를 구비하여 된다. 그리고, 전자석부(3)는 상기 내부레그부(2c)와 외부레그부(2d)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면(2a)을 통하여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코일부(3a)와, 이 코일부(3a)가 설치되는 코일하우징(3b)을 구비하여 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하우징(3b)은 상기 코일부(3a)의 내주면을 감싸는 내측하우징부(3c)와 상기 코일부(3a)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측하우징부(3d)로 구분된다.
상술한 구조에서, 상기 전자석부(3)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은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하우징(3b)의 외측하우징부(3d) → 외부레그부(2d) → 마찰면(2a) → 디스크(4) → 마찰면(2a) → 내부레그부(2c) → 내측하우징부(3c) 구성된 전자기장 경로를 흐르게 된다. 이때, 상술한 경로를 흐르는 전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상기 디스크(4)가 상기 마찰면(2a)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된다.
하지만, 종래의 압축기용 클러치에 있어서, 전자석부(3)가 풀리부(2)의 내부레그부(2c)와 외부레그부(2d)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완전히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전자석부(3)의 크기가 제한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코일하우징(3b)의 크기는 상기 내부레그부(2c)와 외부레그부(2d)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범위내로 제한되므로, 이 코일하우징(3b)에 삽입설치되는 코일부(3a)의 크기도 제한되게 된다. 이로 인해, 전자기장의 세기를 결정하는 코일부(3a)의 설계변경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특히, 압축기용 클러치를 소형화할 경우, 전자석부(3)의 크기가 제한되어 마찰면(2a)에 대한 디스크(4)의 전자기적 결합에 필요한 충분한 전자기장을 형성시킬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풀리부에 대한 전자석부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마찰면에 대한 디스크의 전자기적 결합력이 향상되고,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압축기용 클러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용 클러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압축기용 클러치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용 클러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용 클러치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31a.압축기 회전축 1b,31b.압축기 회전축
2,32.풀리부 2a,32b.마찰면
2b,32c.풀리 2c,32a.내부레그
2d.외부레그 3,33.전자석부
3a,33a.코일부 3b,33b.코일하우징
3c,33c.내측하우징부 3d,33d.외측하우징부
4,34.디스크 5,35.스토퍼플레이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압축기용 클러치는, 압축기의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레그와, 상기 내부레그의 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찰면을 갖는 풀리부, 상기 마찰면을 통하여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내주면을 감싸며 상기 내부레그의 외주면의 궤적을 따라 형성된 내측하우징부와, 상기 코일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마찰면의 가장자리부에 근접된 외측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전자석부와, 압축기의 회전축에 대해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부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상기 마찰면에 대하여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크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용 클러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 압축기용 클러치는, 회전축(31a)을 가지는 압축기 본체(31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마찰면(32a)이 형성된 풀리부(32)와, 상기 마찰면(32a)에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전자석부(33)와, 상기 전자석부(33)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상기 마찰면(32a)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크(34)와, 상기 회전축(31a)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34)를 상기 풀리와 동축상으로 지지하는 스토퍼플레이트(35)를 포함하여 된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용 클러치의 단면도로서, 상기 풀리부(32)는, 압축기 본체(31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레그(32a)와, 상기 내부레그(32a)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마찰면(32b)과, 상기 마찰면(32b)에 가장자리에 결합된 풀리(32c)를 구비하여 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레그(32a)와 상기 압축기 본체(31b)사이에는 통상적인 베어링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내부레그(32a)가 상기 압축기 본체(31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풀리(32c)는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으로, 상기 마찰면(32b)에 가장자리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부(33)는, 예컨대 코일이 권선되어 형성된 코일부(33a)와 이 코일부(33a)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코일하우징(33b)을 구비하여 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하우징(33b)은 상기 내부레그(32a)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면, 상기 코일부(33a)의 내주면을 감싸며 연장된 내측하우징부(33c)와 상기 코일부(33a)의 외주면을 감싸며 연장된 외측하우징부(33d)를 포함하여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부(33)의 내측하우징부(33c)가 상기 풀리부(32)의 내부레그(32a) 외측면에 설치될 때, 상기 외측하우징부(33d)는 상기 마찰면(32b)의 가장자리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면(32b)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외측하우징부(33d) 사이의 거리는, 전자석부(33)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이 상기 외측하우징부(33d)로부터 상기 마찰면(32b)의 가장자리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찰면(32b)에 대하여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크(34)는, 압축기 회전축(31a)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는 통상적인 스토퍼플레이트(35)에 대하여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용 클러치는, 전자석부(33)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하여 풀리부(32)의 마찰면(32b)에 대해 디스크(34)를 전자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풀리부(32)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디스크(34)를 통하여 압축기의 회전축(31a)에 전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석부(33)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은 코일하우징(33b)의 외측하우징부(33d)를 통하여 마찰면(32b)의 가장자리부에 전달되고, 마찰면(32b)과 디스크(34)를 통하여 흐르면서 디스크(34)를 마찰면(32b)에 대하여 전자기적으로 결합시키며, 내부레그(32a)를 통하여 내측하우징부(33c)로 흐르는 전자기장 경로를 흐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기장 경로가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용 클러치에서, 전자석부(33)는 풀리부(32)의 레부레그(32a) 궤적을 따라 마찰면(32b)에 배면에 설치되며, 외측하우징부(33d)가 마찰면(32b)의 가장자리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찰면(32b)의 크기 변경에 따른 전자석부(33)의 설계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풀리부(2, 도 2)에 외부레그(2d, 도 2)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마찰면(32b)의 크기에 따라 마찰면(32b)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외측하우징부(33d)를 형성시킬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코일하우징(33b)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이에 설치되는 코일부(33a)의 설치공간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코일하우징(33b)에 설치되는 코일부(33a)의 체적이 커지게 됨에 따라 전체적인 전자석부(33)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용 클러치는 풀리부(32)의 마찰면(32a)의 크기에 따라 전자석부(33)의 설계변경이 용이하고, 전자석부(33)의 효율이 향상되므로 소형클러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용 클러치는 풀리부에 형성된 내부레그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코일하우징에서 그 외측하우징부가 마찰면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므로, 코일부의 설치공간이 넓게 되어 전자석부의 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자석부의 설계변경이 용이하고, 효율이 향상됨으로 클러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Claims (2)

  1. 압축기의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레그와, 상기 내부레그의 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찰면을 갖는 풀리부;
    상기 마찰면을 통하여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내주면을 감싸며 상기 내부레그의 외주면의 궤적을 따라 형성된 내측하우징부와, 상기 코일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마찰면의 가장자리부에 근접된 외측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전자석부;
    압축기의 회전축에 대해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부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상기 마찰면에 대하여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의 가장자리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풀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클러치.
KR2019970045295U 1997-12-31 1997-12-31 압축기용클러치 KR200239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295U KR200239960Y1 (ko) 1997-12-31 1997-12-31 압축기용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295U KR200239960Y1 (ko) 1997-12-31 1997-12-31 압축기용클러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538U true KR19990032538U (ko) 1999-07-26
KR200239960Y1 KR200239960Y1 (ko) 2001-09-25

Family

ID=5389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295U KR200239960Y1 (ko) 1997-12-31 1997-12-31 압축기용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9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960Y1 (ko) 200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283B1 (en) Fluid friction clutch operable with non-magnetic housing or disk parts
US7588132B2 (en) External control type fan-coupling device
US8561773B2 (en) Drive device
US5591017A (en) Motorized impeller assembly
US6695113B2 (en) Viscous coupling
JPH07127662A (ja) 電磁クラッチ
JP2001304199A (ja) 送風機
US7235908B2 (en) Motor actuator having motor holding arrangement
KR19990032538U (ko) 압축기용 클러치
KR0136090B1 (ko) 전자 클러치
GB2156906A (en) Fluid compressor
US20030080646A1 (en) Pump driving system of induction type
JPH1113682A (ja) Dc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
KR200168991Y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
KR100233953B1 (ko) 전자클러치
JP2000283031A (ja) 電磁クラッチ付き回転機械
KR100903401B1 (ko) 모터지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모터 액추에이터
JPS6311396Y2 (ko)
JPH02154815A (ja) 電磁クラッチ
JP2001304165A (ja) 磁気結合ポンプ
JP2002340036A (ja) 電磁クラッチ
JPS58193939A (ja) 電磁スプリングクラツチ
KR100273365B1 (ko) 냉각팬 내장형 유도전동기
JPH11325121A (ja) 電磁クラッチ装置
KR200233136Y1 (ko) 압축기용클러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