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951A - 넘버 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넘버 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951A
KR19990031951A KR1019970052852A KR19970052852A KR19990031951A KR 19990031951 A KR19990031951 A KR 19990031951A KR 1019970052852 A KR1019970052852 A KR 1019970052852A KR 19970052852 A KR19970052852 A KR 19970052852A KR 19990031951 A KR19990031951 A KR 19990031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anagement
management block
ass
signaling
distribut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8240B1 (ko
Inventor
박상희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52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2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3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5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in networks
    • H04M3/2263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75Software application
    • H04Q3/54591Supervision, e.g. fault localisation, traffic measurements, avoiding errors, failure recovery, monitoring, statistical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O.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접근 교환 시스템내 NO.7 망관리 블록과 동시에 상호 내부 프로세서 통신으로 구성되고 물리적 분산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또 다른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이 동작할 때, 임의의 접근 교환 시스템내 NO.7 망관리 블록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대국간 NO.7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게 물리적으로 연결된 또 다른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으로 대치 동작시켜 NO.7 망관리 블록의 분산 제어에 의해 NO.7 시그널링이 계속적으로 수행하므로, 각각의 ASS내에 N 개의 NO.7 디바이스와 S7MG를 분산시켜 망관리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넘버 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Full Electronic Telephone eXchang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접속 교환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 이하, ASS라 약칭함)내에 각각 다수의 NO.7 디바이스(Device)와 망관리 블록(Signalling No.7 ST Group Management : 이하, S7MG라 약칭함)을 분산시킨후, 망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NO.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전자 교환기는 ASS 및 연결망 서브 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 이하, INS라 약칭함)과, 중앙 제어 서브 시스템(Central Control Subsystem : 이하, CCS라 약칭함)을 구비한다.
ASS는 가입자 및 중계 신호 서비스 정합(Local Service Interface), 타임 스위치, 프레임 릴레이 핸들러(Frame Relay Handler), 광 가입자 접속 장치, 각종 신호 장치, 패킷 핸들러(Packet Handler) 등을 구비하여 대부분의 호처리 기능과 자체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며, 필요시 ASS 단위로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수평 분산 구조를 가진다.
INS는 ASS상호간 또는 ASS와 CCS사이를 연결하는 한편, 번호 번역, 루트 제어, 스페이스 스위치 네트워크의 제어 및 망동기 장치를 구비하여 시스템 클럭을 생성, 배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INS와 ASS간에는 광섬유 링크 또는 데이터 링크를 이용하여 외부 가입자에게 연결 된다.
CCS는 시스템의 총괄적인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며, 망관리, 시험 및 측정, 과금 통계, 입/출력 장치 제어, 타 시스템과의 대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ASS, INS, CCS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ASS와 INS사이에 IPC 경로를 갖는 각 블록이 크로스(Cross)이중화로 구성되어 어느 한곳의 문제가 발생시 상대편에서 내부 프로세서 통신(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 이하, IPC라 약칭 함) 경로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장치이다.
ASS내 다수의 NO.7 디바이스를 망관리 하기 위해 S7MG를 두고, 이러한 S7MG는 또 다른 ASS내 S7MG와 IPC 통신을 통해 분산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S7MG는 다수의 ASS블록에만 분산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INS블록 및 CCS블록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NO.7 망관리 블록은 NO.7용 전용 프로토콜 ASS내에만 존재하였고, 또한 다수의 NO.7 디바이스도 NO.7용 전용 프로토콜 ASS내에만 존재하므로, NO.7용 전용 프로토콜에서 에러(Error)가 발생하면 전체적인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수의 접속 교환 서브 시스템내에 각각 다수의 NO.7 디바이스와 S7MG를 분산시켜 관리할 수 있게 한후, 이렇게 분산된 다수의 NO.7 디바이스는 S7MG에 의해 망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NO.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NO.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접근 교환 시스템내 NO.7 망관리 블록이 동작하는 단계와; NO.7 망관리 블록이 동작하는 동시에 상호 내부 프로세서 통신으로 구성되고, 물리적 분산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또 다른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이 동작하는 단계와; 임의의 접근 교환 시스템내 NO.7 망관리 블록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단계와; NO.7 망관리 블록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대국간 NO.7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물리적으로 연결된 다른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이 대치 동작하는 단계와; NO.7 망관리 블록의 분산 제어에 의해 NO.7 시그널링이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NO.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NO.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ASS 10,50 : NO.7 디바이스 콘트롤부
20,60 : SMH_TP 30,70 : S7MG
40a∼40n,80a∼80n : NO.7 디바이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발명의 목적 및 특징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NO.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의 블록 구성도로써, ASS(1)(2)와, NO.7 디바이스 컨트롤러부(10(50)와, 신호 메시지 처리(Signalling Message Handling : 이하, SMH라 약칭함) 텔레포니 프로세서(Telephony Processor : 이하, TP라 약칭함)(20)(60)와, 신호 NO.7 망관리 블록(Signalling NO.7 ST Group Management : 이하, S7MG라 약칭함)(30)(70)과, N개의 NO.7 디바이스(40a∼40n , 80a∼80n)로 구성된다.
ASS(1)(2)는 가입자 및 중계 신호 서비스 정합(Local Service Interface), 타임 스위치, 프레임 릴레이 핸들러(Frame Relay Handler), 광 가입자 접속 장치, 각종 신호 장치, 패킷 핸들러(Packet Handler) 등을 구비하여 대부분의 호처리 기능과 자체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며, 필요시 ASS 단위로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수평 분산 구조를 가지며, 내부적으로 N개의 NO.7 디바이스(40a∼40n , 80a∼80n)와 S7MG(30,70)를 각각 포함한다.
INS(3)는 ASS상호간 또는 다수의 ASS(1,2)와 CCS사이를 연결하는 한편, 번호 번역, 루트 제어, 스페이스 스위치 네트워크의 제어 및 망동기 장치를 구비하여 시스템 클럭을 생성, 배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INS와 ASS간에는 광섬유 링크 또는 데이터 링크를 이용하여 외부 가입자에게 연결 하고, 내부적으로 스페이스 스위치를 사용하는 통화로 검색 및 관리를 수행하는 인터 컨넥션 네트웍 프로세서(Interconnection Network Processor)를 포함하는데, S7MG(30,70)도 분산 구조로 포함하여 망관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CCS는 시스템의 총괄적인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며, 망관리, 시험 및 측정, 과금 통계, 입/출력 장치 제어, 타 시스템과의 대화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시스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ASS와, INS 및 CCS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다수개의 ASS들은 하나의 INS와 데이터 링크로 연결되어 있고, 다수개의 ASS들은 INS를 통해 CCS와 데이터 전송을 하는 서브 시스템으로, 특히 각각의 ASS내에 NO.7 디바이스 컨트롤러부(10)(50)와, SMH_TP(20)(60)와, N개의 NO.7 디바이스(40a∼40n , 80a∼80n)와, S7MG(30)(70)를 구비한다.
NO.7 디바이스 컨트롤러부(10)(50)는 L-버스를 통해 N개의 NO.7 디바이스(40a∼40n , 80a∼80n)를 관리한다.
또한, NO.7 디바이스 컨트롤러부(10)(50)는 HIT-버스를 통해 TP에 탑재되는 SMH_TP(20)(60)와 통신한다.
여기서, HIT-버스는 최대 2Mbps의 속도를 갖는 하이 데이터 링크 제어(High Data Link Control) 형태의 통신 경로로서, NO.7 디바이스 컨트롤러부(10)(50)가 32개의 신호 단말을 수용할 경우 2Mbps의 대역폭(Bandwidth)이 필요한 버스이다.
그리고, L-버스는 16비트의 어드레스와 16비트의 데이터가 멀티플렉서되어 일정시간 동안 어드레스를 출력하고, 이어 데이터를 출력하며, 디바이스 선택 신호가 독립적으로 24개가 있는데, 한 디바이스에서 64Kbps의 영역까지 사용할 수 있고, L-버스 전용 칩의 L-버스 콘트롤러를 사용하며, NO.7 디바이스 콘트롤러(10)(50)가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버스 또한 이중화로 구성되어 NO.7 레벨2와 레벨3간의 통신 경로로 이용되는 버스이다.
N 개의 NO.7 디바이스(40a∼40n , 80a∼80n)는 NO.7의 계층2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신호 단말기로 L-버스를 통해 NO.7 디바이스 컨트롤러부(10)(50)로부터 컨트롤을 제공받는다.
SMH_TP(20)(60)는 TP에 탑재되어 있으며, 신호망 관리 블록인 S7MG(30)(70)와 N 개의 NO.7 디바이스(40a∼40n , 80a∼80n)를 관리하는 NO.7 디바이스 콘트롤러부(10)(50)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 이하, SCCP라 약칭함) 기능의 일부를 수행한다.
S7MG(30)(70)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에 탑재되는 NO.7 신호 망관리 블록으로, NO.7 프로토콜의 메시지 전달부(Message Transfer Part)와, SCCP 기능을 담당하고, 신호 메시지의 직접적인 처리나 신호망 관리를 하며, 망관리 분산이 이루어지면 특정 메인 프로세서가 다운(Down)되어 장애가 발생할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된 대국들과의 NO.7 시그럴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른 메인 프로세서가 진행된 일을 이어 받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SMH_TP(20)(60)와 S7MG(30)(70)는 내부 프로세서 통신((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 이하, IPC라 약칭함)을 갖는 각 블록이 크로스(Cross)이중화로 구성되어 어느 한곳의 문제가 발생시 상대편에서 IPC 경로를 제공하여 정상적으로 망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NO.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를 설명하였고, 도 2는 NO.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상세 흐름도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ASS)(1)(2)내에서 특히 망관리 블록(S7MG)(30)(70)과 SMH_TP(20)(60)을 포함하고, 각각의 접근 교환 시스템내에 IPC로 구성되어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설명한다.
임의의 접근 교환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이 동작(단계 200)하는 동시에 상호 IPC로 구성되어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분산 구조로 이루어져 또 다른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이 동작한다(단계 201).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중에 임의의 접근 교환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에서 에러가 발생하면(단계 202), 대국간 NO.7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물리적으로 연결된 다른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이 대치 동작한다(단계 203).
망관리 블록(S7MG)의 분산 제어에 의해 NO.7 시그널링이 계속적으로 수행한다(단계 204).
결론적으로, 특정 N 개의 NO.7 디바이스의 다운(Down), 내지는 메인 프로세서의 다운(Down)에서도 NO.7 시그널링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ASS내에 N 개의 NO.7 디바이스와 S7MG를 분산시킨다.
이상,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ASS 시스템에 분산되어 있는 N개의 NO.7 디바이스와, 이러한 N개의 NO.7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망관리 블록(S7MG)를 분산시켜 제어 할 수 있으므로, 특정 N 개의 NO.7 디바이스의 다운(Down), 내지는 메인 프로세서의 다운(Down)에서도 NO.7 시그널링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ASS내에 N 개의 NO.7 디바이스와 S7MG를 분산시켜 망관리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임의의 접속 교환 서브 시스템과, 내부 프로세서 통신을 구비한 NO.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접근 교환 시스템내 NO.7 망관리 블록이 동작하는 단계;
    상기 NO.7 망관리 블록이 동작하는 동시에 상호 상기 내부 프로세서 통신으로 구성되고, 물리적 분산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또 다른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이 동작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접근 교환 시스템내 NO.7 망관리 블록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NO.7 망관리 블록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대국간 NO.7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물리적으로 연결된 다른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이 대치 동작하는 단계;
    상기 NO.7 망관리 블록의 분산 제어에 의해 NO.7 시그널링이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
KR1019970052852A 1997-10-15 1997-10-15 넘버 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 KR10025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852A KR100258240B1 (ko) 1997-10-15 1997-10-15 넘버 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852A KR100258240B1 (ko) 1997-10-15 1997-10-15 넘버 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951A true KR19990031951A (ko) 1999-05-06
KR100258240B1 KR100258240B1 (ko) 2000-06-01

Family

ID=1952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852A KR100258240B1 (ko) 1997-10-15 1997-10-15 넘버 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2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390B1 (ko) * 1999-08-24 2002-03-06 서평원 넘버.세븐 신호망에서의 메시지 전달부 재개시 방법
KR100366540B1 (ko) * 2000-09-25 2002-12-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No.7 신호메시지 처리 기능이 분산된 ASS,ASS-T내 SSHP의 초기화 방법, 및 장애 복구 방법
KR100605829B1 (ko) * 1999-06-23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시스템의 시그널링 블록에서 로컬 프로세서 이상상태 체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829B1 (ko) * 1999-06-23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시스템의 시그널링 블록에서 로컬 프로세서 이상상태 체크방법
KR100325390B1 (ko) * 1999-08-24 2002-03-06 서평원 넘버.세븐 신호망에서의 메시지 전달부 재개시 방법
KR100366540B1 (ko) * 2000-09-25 2002-12-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No.7 신호메시지 처리 기능이 분산된 ASS,ASS-T내 SSHP의 초기화 방법, 및 장애 복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8240B1 (ko) 200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9617A (en) Full service voice/data system
JPH07105799B2 (ja) 電気通信網
US20030021293A1 (en) Signaling gateway system and network management method for use in the signaling gateway system
DK151674B (da) Fremgangsmaade og kredsloeb til formidling af data mellem dataterminaler
KR100258240B1 (ko) 넘버 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
KR10026625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합 공통선 신호 장치
KR100258239B1 (ko) 넘버 7 디바이스 분산 제어 장치
KR19990031949A (ko) 넘버 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
KR10026625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ss no.7 신호 전송 시스템
JPH06141038A (ja) 分散交換機及び交換機構成方式
KR10022581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정합 장치
KR016823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제어 보드와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통합 방법
KR20000046378A (ko) 전전자교환기의 개선된 프로세서간 통신장치
KR910000376B1 (ko) 전자 교환기의 공통선 신호장치
KR94000878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No.7 공통선 신호방식 처리 장치
KR0148458B1 (ko)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 호제어 서브 시스템
KR0181117B1 (ko) 비-버스 입출력부에서 직접 메모리 접근부를 사용한 직렬통신 장치
KR100258035B1 (ko) Tdx-100교환기에서의 본체와 rasm간의 통신시스템 및 그방법
US6226371B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assembly carrier unit
KR0171015B1 (ko) 고성능 ipc 네트워크의 고장감내형 트래픽 분산제어 노드장치
KR0135208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CCS No.7 망 정합장치
KR10028440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 스위치 및 타임 스위치 프로세서 장치
KR10026007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망동기 리셋 방법
JP2968000B2 (ja) 伝送路切替方式
KR100210782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이더넷 포트 이중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