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949A - 넘버 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넘버 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949A
KR19990031949A KR1019970052850A KR19970052850A KR19990031949A KR 19990031949 A KR19990031949 A KR 19990031949A KR 1019970052850 A KR1019970052850 A KR 1019970052850A KR 19970052850 A KR19970052850 A KR 19970052850A KR 19990031949 A KR19990031949 A KR 19990031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anagement
management block
master
slav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희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5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949A/ko
Publication of KR1999003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949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O.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이 마스터 상태인 액티브로 동작하면, 또다른 임의의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은 슬래이브 상태인 스탠바이로 대기하고 있던중에 액티브로 동작하는 마스터 망관리 블록에서 메시지 처리중 장애 발생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장애 발생을 인지한후, 스탠바이로 대기하고 있던 슬래이브 망관리 블록을 액티브 상태로 전이하므로, 직접적인 처리나 신호망 관리를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여 신호 서비스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넘버 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Full Electronic Telephone eXchange)에 관한 것으로, 특히 NO.7 망관리(Network Management) 블록에 있어서, 망관리 블록(Signalling No.7 Management : 이하, S7MG라 약칭함)의 기능 처리 절차를 제어하기 위해 이중화된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구조를 제안할 수 있도록 한 NO.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전자 교환기에서 다수의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 이하, ASS라 약칭함)간에 고 신뢰성을 요구하는 이중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동일한 기능을 갖는 두 개의 구성부분(마스터, 슬레이브)을 구비하고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중 하나를 액티브(동작중임을 의미)상태로 하고, 나머지 하나를 스탠바이 상태로하여 액티브 상태의 부분(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이 동작상의 오류가 발생하여 이상상태로 천이되면 스탠바이(대기중임을 의미)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부분이 자동으로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게 하므로서 고신뢰성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이중화 구성을 갖는 구성부분들 중에는 내부 프로세서들도 포함하며, 이들 프로세서들은 처리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되는바, 이중화 구성시에 다음과 같다.
프로세서(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들은 선택적으로 액티브 상태로 구동하게 될 때, 액티브 상태의 프로세서(마스터 또는 슬레이브)가 동작상의 오류에 의하여 스탠바이로 절환되면, 스탠바이 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프로세서(마스터 또는 슬레이브)가 액티브로 절환하여 계속 수행하게 된다.
프로세서(마스터)가 액티브, 프로세서(슬레이브)가 스탠바이 상태에서 프로세서(마스터)에 이상이 발생하면, 프로세서(슬레이브)는 자동으로 액티브 상태로 절환될 때, 프로세서(마스터)가 수행하던 과정을 프로세서(슬레이브)가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종래 NO.7 망관리는 집중형으로 이루어진 신호 망관리로서, 다수의 ASS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단 한 개의 망관리 블록으로 모든 시스템을 관리하던 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망관리 블록을 교체해야 하므로, 편리하지 못하고, 비효율적인 신호 처리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스터로 동작하는 액티브 망관리 블록과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스탠바이 망관리 블록을 이용하므로, 마스터로 동작하는 망관리 블록에서 에러가 발생할 때, 스탠바이로 대기하고 있던 슬레이브 망관리 블록이 곧바로 액티브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 NO.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NO.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을 마스터 상태인 액티브로 동작하는 단계와; 또다른 임의의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을 슬래이브 상태인 스탠바이로 대기하는 단계와; 액티브로 동작하는 마스터 망관리 블록에서 메시지 처리중 장애 발생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장애 발생을 인지하는 단계와; 액티브로 동작하고 있던 마스터 망관리 블록으로부터 장애 발생을 인지한후, 스탠바이로 대기하고 있던 슬래이브 망관리 블록을 액티브 상태로 전이하는 단계와; 슬래이브 망관리 블록이 액티브로 전이되므로, 직접적인 처리나 신호망 관리를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NO.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NO.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ASS 10,50 : NO.7 디바이스 콘트롤부
20,60 : SMH_TP 30,70 : S7MG
40a∼40n,80a∼80n : NO.7 디바이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발명의 목적 및 특징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NO.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의 블록 구성도로써, ASS(1)(2)와, NO.7 디바이스 컨트롤러부(10(50)와, 신호 메시지 처리(Signalling Message Handling : 이하, SMH라 약칭함) 텔레포니 프로세서(Telephony Processor : 이하, TP라 약칭함)(20)(60)와, 신호 NO.7 망관리 블록(Signalling NO.7 ST Group Management : 이하, S7MG라 약칭함)(30)(70)과, NO.7 디바이스(40a∼40n , 80a∼80n)로 구성된다.
ASS(1)(2)는 가입자 및 중계 신호 서비스 정합(Local Service Interface), 타임 스위치, 프레임 릴레이 핸들러(Frame Relay Handler), 광 가입자 접속 장치, 각종 신호 장치, 패킷 핸들러(Packet Handler) 등을 구비하여 대부분의 호처리 기능과 자체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며, 필요시 ASS 단위로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수평 분산 구조를 가진다.
연결망 서브 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은 ASS상호간 또는 ASS와 중앙 제어 서브 시스템(Central Control Subsystem)사이를 연결하는 한편, 번호 번역, 루트 제어, 스페이스 스위치 네트워크의 제어 및 망동기 장치를 구비하여 시스템 클럭을 생성, 배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INS와 ASS간에는 광섬유 링크 또는 데이터 링크를 이용하여 외부 가입자에게 연결 된다.
그리고, CCS는 시스템의 총괄적인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며, 망관리, 시험 및 측정, 과금 통계, 입/출력 장치 제어, 타 시스템과의 대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ASS, INS, CCS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다수개의 ASS들은 하나의 INS와 데이터 링크로 연결되어 있고, 특히 각각의 ASS내에 NO.7 디바이스 컨트롤러부(10(50)와, SMH_TP(20)(60)와, S7MG(30)(70)와, NO.7 디바이스(40a∼40n , 80a∼80n)를 구비한다.
NO.7 디바이스 컨트롤러부(10)(50)는 L-버스를 통해 NO.7 디바이스(40a∼40n , 80a∼80n)를 관리한다.
또한, NO.7 디바이스 컨트롤러부(10)(50)는 HIT-버스를 통해 TP에 탑재되는 SMH_TP(20)(6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이다.
여기서, HIT-버스는 최대 2Mbps의 속도를 갖는 하이 데이터 링크 제어(High Data Link Control) 형태의 통신 경로로서, NO.7 디바이스 컨트롤러부(10)(50)가 32개의 신호 단말을 수용할 경우 2Mbps의 대역폭이 필요한 버스이다.
그리고, L-버스는 16비트의 어드레스와 16비트의 데이터가 멀티플렉서되어 일정시간 동안 어드레스를 출력하고, 이어 데이터를 출력하며, 디바이스 선택 신호가 독립적으로 24개가 있는데, 한 디바이스에서 64Kbps의 영역까지 사용할 수 있고, L-버스 전용 칩의 L-버스 콘트롤러를 사용하며, NO.7 디바이스 콘트롤러(10)(50)가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버스 또한 이중화로 구성되어 액티브인 NO.7 디바이스 콘트롤러의 L-버스만이 동작하게 되므로, NO.7 레벨2와 레벨3간의 통신 경로로 이용되는 버스이다.
NO.7 디바이스(40a∼40n , 80a∼80n)는 NO.7의 계층2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신호 단말기로 L-버스를 통해 NO.7 디바이스 컨토롤러부(10)(50)로부터 컨트롤을 받는다.
SMH_TP(20)(60)는 TP에 탑재되어 있으며, 신호망 관리 블록인 S7MG(30)(70)와 NO.7 디바이스((40a∼40n , 80a∼80n)를 관리하는 NO.7 디바이스 콘트롤러부(10)(50)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 이하, SCCP라 약칭함)) 기능의 일부를 수행한다.
S7MG(30)(70)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에 탑재되는 NO.7 신호 망관리 블록으로, NO.7 프로토콜의 메시지 전달부(Message Transfer Part)와, SCCP 기능을 담당하고, 신호 메시지의 직접적인 처리나 신호망 관리를 하며, 신호망 관리는 신호망내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여 신호 서비스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 신호트래픽 관리, 신호링크관리, 신호루트관리등이 있는 중요한 망관리 블록임에 따라 마스터로 동작하는 액티브 S7MG와,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스탠바이 S7MG로 구분한 뒤, 마스터로 동작하는 S7MG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스탠바이 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슬레이브 S7MG가 액티브로 전이되어 직접적인 처리나 신호망 관리를 바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SMH_TP(20)(60)와 S7MG(30)(70)는 내부 프로세서 통신((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 이하, IPC라 약칭함)을 갖는 각 블록이 크로스(Cross)이중화로 구성되어 어느 한곳의 문제가 발생시 상대편에서 IPC 경로를 제공하여 정상적으로 망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NO.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를 설명하였고, 도 2는 NO.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상세 흐름도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ASS)(1)(2)내에서 특히 망관리 블록(S7MG)(30)(70)과 SMH_TP(20)(60)을 포함하고, IPC 통신을 통해 크로스 이중화로 구성되어 마스터 상태인 액티브와 슬레이브 상태인 스탠바이로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설명한다.
임의의 상기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을 마스터 상태인 액티브 상태로 동작한다(단계 200).
다음으로, 또다른 임의의 상기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을 슬래이브 상태인 스탠바이로 대기하도록 한다(단계 201).
상기 액티브로 동작하는 마스터 망관리 블록에서 메시지 처리중 장애 발생하면, 도시하지 않은 내부 프로세서에 의해 장애 발생을 인지한다(단계 202).
상기 액티브로 동작하고 있던 마스터 망관리 블록으로부터 장애 발생을 인지한후, 상기 스탠바이로 대기하고 있던 슬래이브 망관리 블록을 액티브 상태로 전이한다(단계 203).
상기 슬래이브 망관리 블록이 액티브로 전이되므로, 직접적인 처리나 신호망 관리를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여 신호 서비스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단계 204).
이상,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마스터 신호망 관리 블록에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스탠바이로 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슬래이브 신호망 관리 블록이 신속하게 액티브로 전이되어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여 신호 서비스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과, 프로세서를 구비한 NO.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상기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을 마스터 상태인 액티브로 동작하는 단계;
    또다른 임의의 상기 접근 교환 서브 시스템내 망관리 블록을 슬래이브 상태인 스탠바이로 대기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로 동작하는 마스터 망관리 블록에서 메시지 처리중 장애 발생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장애 발생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로 동작하고 있던 마스터 망관리 블록으로부터 장애 발생을 인지한후, 상기 스탠바이로 대기하고 있던 슬래이브 망관리 블록을 액티브 상태로 전이하는 단계;
    상기 슬래이브 망관리 블록이 액티브로 전이되므로, 직접적인 처리나 신호망 관리를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
KR1019970052850A 1997-10-15 1997-10-15 넘버 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 KR19990031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850A KR19990031949A (ko) 1997-10-15 1997-10-15 넘버 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850A KR19990031949A (ko) 1997-10-15 1997-10-15 넘버 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949A true KR19990031949A (ko) 1999-05-06

Family

ID=6604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850A KR19990031949A (ko) 1997-10-15 1997-10-15 넘버 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9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390B1 (ko) * 1999-08-24 2002-03-06 서평원 넘버.세븐 신호망에서의 메시지 전달부 재개시 방법
KR100487367B1 (ko) * 2000-07-11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Hldc 버스를 사용하는 통신 노드 네트워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390B1 (ko) * 1999-08-24 2002-03-06 서평원 넘버.세븐 신호망에서의 메시지 전달부 재개시 방법
KR100487367B1 (ko) * 2000-07-11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Hldc 버스를 사용하는 통신 노드 네트워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24772B2 (ja) 処理素子間を接続する接続法及び交換ネツトワーク
JP2001511964A (ja) 電気通信システム用の冗長構成
US4816826A (en) Digital telephone switching system having a message switch with address translation
KR100476455B1 (ko) 미디어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보이스 프로세싱 유니트의n:1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US4719617A (en) Full service voice/data system
US20030021293A1 (en) Signaling gateway system and network management method for use in the signaling gateway system
KR960002469B1 (ko) 현용 및 예비 isdn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 장해발생시에 동작을 유지시키는 isdn 통신 시스템 장치 및 그의 방법
KR100258240B1 (ko) 넘버 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
KR19990031949A (ko) 넘버 7 망관리 블록의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
KR10026625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합 공통선 신호 장치
JPS61196643A (ja) データ通信回線網
KR100258239B1 (ko) 넘버 7 디바이스 분산 제어 장치
US20040037298A1 (en) Device for optimizing peripheral device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0148458B1 (ko)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 호제어 서브 시스템
KR10022581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정합 장치
JPH04291867A (ja) 通信システムの外部監視装置
KR950001517B1 (ko) 패킷호 제어 프로세서의 이중화 패킷 버스 제어회로
KR016823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제어 보드와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통합 방법
KR10026625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ss no.7 신호 전송 시스템
KR940008779B1 (ko)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및 기능 구현방법
KR0146558B1 (ko) 본 위치등록기의 고속통신을 위한 광통신 인터페이스 장치의 이중화 방법
KR100221303B1 (ko)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KR19980016046A (ko) Tdx-10계열 교환기의 호처리장애시 원격교환모듈의 단독기능수행방법
KR20000046378A (ko) 전전자교환기의 개선된 프로세서간 통신장치
KR19990061166A (ko) 원격교환모듈접속 데이터링크의 자기진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