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887A -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887A
KR19990031887A KR1019970052769A KR19970052769A KR19990031887A KR 19990031887 A KR19990031887 A KR 19990031887A KR 1019970052769 A KR1019970052769 A KR 1019970052769A KR 19970052769 A KR19970052769 A KR 19970052769A KR 19990031887 A KR19990031887 A KR 19990031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weather resistance
spunbond
excellent weather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3111B1 (ko
Inventor
김격현
김영범
손병근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7005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1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co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분자 구조중에 나프탈렌환이 1~15중량% 함유되어 있는 폴리에스터 공중합체를 방사, 냉각 및 연신하여 폴리에스터 연신사를 제조한 다음, 이들 연신사들을 네트 컨베이어상에 적층하고 엠보스 롤러로 압착하여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스펀본드는 상호 융착되지 않은 연신사의 결정 화도가 25~45%이고, 내후성 시험후의 강도 유지율이 70% 이상이다. 주로 건축자재 및 농업용 자재등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터 수지로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는 용도가 다양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스펀본드는 강도가 우수하고 침투 특성이 좋아서 건축자재, 여과장치, 가구 및 심지 등에 쓰이고, 최근에는 특히 농업용 비닐하우스로도 많이 쓰이고 있다.
스펀본드는 박테리아 등의 세균의 침입을 막아주거나 오염으로부터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 의료가운이나 장갑 등의 용도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스펀본드는 멜트블로운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기도 하고, 내부에는 일반 스펀본드를 사용하고 외부커버에는 멜트블로운 방법으로 제조되어 촉감이 우수한 웹을 복합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스펀본드에 관해서는 미국 특허 4,041,203과 미국 특허 4,863,785등에 기재되어 있다. 최근에는 비닐하우스 등의 용도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농업용 스펀본드의 수요량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스펀본드는 구조상 내부의 공간이 많기 때문에 보온성이 우수하고 생산방법이 간단하여 소품종 대량생산이 쉽다.
그러나 폴리에스터 수지로 제조된 스펀본드를 농업용 비닐하우스로 사용할 경우 자외선에 의해 고분자쇄가 절단되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거나 고분자쇄와 같이 존재하는 염료 및 안료의 구조가 파괴되어 변색이나 탈색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 섬유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자외선의 파장은 주로 300~400nm에 해당하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자체로서 어느 정도 자외선 차단성을 갖고 있다. 파장이 320nm 이하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외선 차단성을 갖지만 그 이상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에 대해서는 차단성을 갖지 못한다. 자외선의 파장이 300에서 400nm일 때 고분자의 분자쇄는 가장 많이 영향을 받아 자외선에 의한 열화나 내구성 저하등이 발생한다.
따라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의 내후성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지금까지 진행되어 왔다.
폴리에스터 스펀본드의 내후성을 개선하는 대표적인 종래 기술로서는 중합 및 방사 공정에서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자외선 차단제의 첨가량에 한계가 있어서 일시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만 기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를 섬유 방사 공정에서 투입하는 경우 고온에서도 구조가 변하지 않고 자외선 차단 특성이 최종 제품에까지 유지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닌 자외선 차단제는 희귀할 뿐만 아니라 가격도 비싸 경제적이다. 또한 첨가되는 자외선 차단제가 방사시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설비가 복잡해지는 문제도 있다.
한편 폴리에스터 스펀본드를 제조한 다음 이를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용액 내에 침지시켜서 내후성을 개선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으나 이 경우 자외선 차단제가 스펀본드의 표면에 그냥 붙어 있어서 내후성 향상 효과가 영구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후성이 영구적으로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를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없이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주로 농업용 비닐 하우스 등에 사용되며,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분자 구조중에 나프탈렌환이 1~15중량% 함유되어 있으며 고유점도가 0.55~1.00인 폴리에스터 공중합체로 제조된 연신사들이 상호 부분적으로 열융착되어 있고, 상호 융착되지 않은 연신사의 결정화도가 25~45%이고, 내후성 시험후의 강도 유지율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분자 구조중에 나프탈렌환이 1~15 중량% 함유되어 있는 폴리에스터 공중합체를 방사, 냉각 및 연신하여 폴리에스터 연신사를 제조한 다음, 이들 연신사들을 네트 컨베이어 상에 적층하고 엠보스 롤러로 압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스펀본드를 구성하는 섬유 분자 구조내에 나프탈렌환을 도입하여 내후성을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분자 구조중에 나프탈렌환이 1~15 중량% 함유된 폴리에스터 공중합체를 용융 중합한다. 분자 구조중에 함유된 나프탈렌환은 강직한 구조를 갖고 있어서 최종 제품인 스펀본드의 자외선 안정성(내후성)을 향상시킨다. 나프탈렌환은 벤전환에 비해 자외선 안정성(내후성)이 우수하다.
분자 구조중에 나프탈렌환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때는 자외선 차단 성능이 크지 않아 내후성의 향상을 크게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폴리에스터 분자쇄중의 나프탈렌환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할 때는 원가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공중합비율이 높다보니 연신 및 열처리를 심하게 하여도 최종 제품에서 바람직한 결정구조를 갖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주성분인 분자 구조중에 나프탈렌환의 함량이 1 내지 15 중량%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터 공중합체를 240℃ 정도의 진공건조기에서 일정시간 고상 중합하면서 폴리머의 고유점도를 조정한다. 이때 폴리에스터 공중합체 폴리머의 고유점도는 0.55~1.00인 것이 최종 제품의 기계적 물성이나 가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만약 고유점도가 0.55 미만일 경우에는 용융 방사시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낮게되어 방사성이 떨어지며 최종 연신사에 있어서도 기계적 물성이 좋지 않게 된다. 또한 고유점도가 1.00을 초과하게 되면 용융점도가 너무 높게 되어 멜트프랙쳐 등의 방사불균일 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이런 경우 네트 컨베이어에 적층되는 부직포 웹의 형성이 원활하지 못하고 최종 제품에서의 물성이 저하되기 쉽다.
고유점도가 0.55~1.00인 상기 폴리에스터 공중합체를 방사구금으로 방사한 후 냉각풍 등으로 냉각시켜 미연신사를 제조한다.
계속해서 상기 미연신사를 연신 및 열처리하여 폴리에스터 연신사를 제조한다. 이때 폴리에스터 연신사의 결정화도가 25~45%가 될 수 있도록 연신 및 열처리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신사의 결정화도가 25% 미만인 경우에는 열융착성은 양호하여 스펀본드의 강도는 증가하지만 단사의 기계적 물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기계적 물성은 저하된다. 또한 자외선 차단성이 극도로 나빠져 내후성이 불량하게 된다. 고분자 형태학에 있어서 결정들은 자외선 방어 역할을 할 수 있다. 고분자의 내부에 존재해 있는 무기입자들은 빛을 산란시켜 자외선에 의한 분자쇄의 절단을 막을 수 있다. 분자쇄내에 존재하는 미결정 또는 결정영역도 무기입자와 같이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어서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연신사의 결정화도가 25% 미만인 경우에는 내후성이 불량하게 된다. 한편 연신사의 결정화도가 4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안정성은 우수하나 열융착성이 나빠 부직포 전체의 기계적 물성이 나빠지게 된다. 즉 45%를 초과하는 결정화도를 얻기위해선 지나친 연신이나 열처리를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고분자 분자쇄의 체인 폴딩(Chain Folding)등의 부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엠보싱 롤러에서 온도를 아무리 높여도 열융착이 쉽지 않아서 전체적인 기계적 물성은 나빠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터 연신사들을 네트 컨베이어상에 적층하고 엠보스롤러로 압착하여 폴리에스터 스펀본드를 제조한다. 엠보스롤러로 압착시 온도는 180℃ 정도, 압력은 4.5 K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압착 온도 및 압력을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분자 구조중에 나프탈렌환이 1~15 중량% 함유되어 있으며 고유점도가 0.55~1.00인 폴리에스터 공중합체로 제조된 연신사들이 상호 부분적으로 열융착되어 있고, 상호 융착되지 않은 연신사의 결정화도가 25~45%이고, 내후성 시험후의 강도 유지율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스펀본드는 분자 구조중에 나프탈렌환이 도입되어서 장시간 일광에 노출되어도 섬유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탈색 등의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종 물성의 정의 및 측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내후성
웨더링 테스터(Whethering Test)후의 강도 유지율(%)로 나타낸다.
·웨더링 테스트
ASTM G 26-90 측정 방법으로 실시한다.
·고유점도
시료 0.1g을 130℃의 페놀/테트라 클로로에탄 혼합용액 25ml에 용해 시킨다음 30℃에서 측정한다.
·결정화도 (%)
밀도 구배관을 이용하여 완전 무정형의 밀도를 1.335g/㎤, 완전 결정의 밀도를 1.455g/㎤으로하여 계산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분자 구조중에 나프탈렌환이 10 중량 % 함유된 폴리에스터 공중합체를 240℃의 진공건조기에서 고상 중합하여 고유점도가 0.8인 고상 중합 칩을 제조한다.
상기 고상 중합 칩을 270℃에서 방사후 냉각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고, 이를 연신 및 열처리하여 결정화도가 35%이고 단사섬도가 1.4 데니어인 폴리에스터 연신사를 제조한다. 상기 폴리에스터 연신사를 어테뉴에이트디바이스(Attenunate device)를 이용하여 네트 컨베이어에 어지럽게 분산시킨 다음 히팅 쳄버(Heating chamber)에서 열처리 및 예비 열융착을 시킨다음, 엠보싱 롤러를 이용하여 온도 180℃ 압력 4.5Kg/㎠의 조건하에서 부분 열융착하여 폴리에스터 스펀본드를 제조한다.
제조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의 내후성 (웨더링 테스트 후의 강도 유지율)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3 및 비교실시예 1~4
나프탈렌환의 함량, 고유점도 및 연신사의 결정화도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공정으로 폴리에스터 스펀본들 제조한다.
제조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의 내후성 (웨더링 테스트 후의 강도 유지율)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제조 조건 및 내후성 측정 결과
[표 1]
* 비교실시예 4의 경우에는 분자량 및 용융점도가 너무 높아서 웹형성이 불가능 하였다.
본 발명은 자외선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영구적인 내후성 향상 효과를 갖는 폴리에스터 스펀본드를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스펀본드는 분자 구조중 나프탈렌환이 도입되어 웨더링테스트 후의 강도 유지율이 70%이상으로 내후성이 매우 우수하다.
그결과 농업용 비닐하우스 자재로 사용할 때 일광에 의한 물성 저하나 변색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분자 구조중에 나프탈렌환이 1~15 중량 % 함유되어 있으며 고유점도가 0.55~1.00인 폴리에스터 공중합체로 제조된 연신사들이 상호 부분적으로 열융착되어 있고, 상호 융착되지 않은 연신사의 결정화도가 25~45%이고, 내후성 시험 후의 강도 유지율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분자 구조중에 나프탈렌환이 1~15 중량 % 함유되어 있는 폴리에스터 공중합체를 방사, 냉각 및 연신하여 폴리에스터 연신사를 제조한 다음, 이들 연신사들을 네트 컨베이어 상에 적층하고 엠보스 롤러로 압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공중합체의 고유점도가 0.55~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의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연신사의 결정화가 25~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스펀본드의 제조 방법.
KR1019970052769A 1997-10-15 1997-10-15 내후성이우수한폴리에스터스펀본드및그의제조방법 KR100493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769A KR100493111B1 (ko) 1997-10-15 1997-10-15 내후성이우수한폴리에스터스펀본드및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769A KR100493111B1 (ko) 1997-10-15 1997-10-15 내후성이우수한폴리에스터스펀본드및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887A true KR19990031887A (ko) 1999-05-06
KR100493111B1 KR100493111B1 (ko) 2005-09-08

Family

ID=3730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769A KR100493111B1 (ko) 1997-10-15 1997-10-15 내후성이우수한폴리에스터스펀본드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156B1 (ko) * 2000-12-22 2002-12-1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30A (en) * 1979-06-15 1981-01-06 Teijin Ltd Original fiber for tire cord textile woof and tire cord textile
JPS6257917A (ja) * 1985-09-04 1987-03-13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繊維
JP2973846B2 (ja) * 1994-12-28 1999-11-08 東レ株式会社 耐候性の改善されたポリエステル系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繊維を用いてなる繊維製品
KR970042815A (ko) * 1995-12-27 1997-07-26 이웅열 포장재료용 폴리에스터 수지
KR19980016616A (ko) * 1996-08-29 1998-06-05 한형수 이축연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34804B1 (ko) * 1997-01-20 1999-12-15 구광시 내후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93110B1 (ko) * 1997-09-09 2005-09-12 주식회사 코오롱 열가소성합성섬유부직포및그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156B1 (ko) * 2000-12-22 2002-12-1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3111B1 (ko)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mane et al. Mechanical properties and higher order structure of bacterial homo poly (3-hydroxybutyrate) melt spun fibers
Yamaura et al. Preparation of high modulus poly (vinyl alcohol) by drawing
EP0216863B1 (en) High strength polymeric fibers
US4082731A (en) Method for producing a high modulus polyester yarn
US7976944B2 (en) Temperature-regulating fiber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23184665A1 (zh) 一种耐紫外光老化tpu热熔胶膜及其制备方法
CN114437516B (zh) 一种高阻隔高透光可生物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KR100493111B1 (ko) 내후성이우수한폴리에스터스펀본드및그의제조방법
JPH0811843B2 (ja) ポリエステルブレンド繊維の製造法
CN1127543C (zh) 阻光性聚酯组合物,阻光性聚酯纤维和由其制得的布种及物品
Uddin et al. Effects of Take-up Speed of Melt Spinning on the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of Maximally Laser Drawn PA9-T Fibers
Lim et al. Study on manufacturing PCT/PPS flame retardant Fiber by sheath/core conjugate spinning
Mårdalen et al. The nucleation process and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poly (3-alkylthiophenes) precipitated from marginal solvents
Kwiatkowski et al. A new banded texture in sheared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s
Wu et al. Changes in crystal structure parameters and thermal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 (p‐phenylene terephthalamide) fibers under different annealing conditions
Bryant Fibers from crystalline hydrocarbon polymers1
NL2029163B1 (en) Polarizing light filter
Varma et al. Poly (ethylene terephthalate)/poly (alkylene terephthalate) copolyester fibers: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KR100493110B1 (ko) 열가소성합성섬유부직포및그의제조방법
JPS6360127B2 (ko)
Wang et al. The crystal structure and drawing‐induced polymorphism in poly (aryl ether ketone) s, 1. Poly (oxybiphenyl‐4‐4′‐diyloxy‐1, 4‐phenylenecarbonyl‐1, 3‐phenylenecarbonyl‐1, 4‐phenylene)
Zilberman et 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6/6.9 copolyamide series. II. The crystalline phase
Hyon et al.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lyvinyl Alcohol, Stretched at the Amorphous State and Annealed (Special Issue on Polymer Chemistry XI)
Velev et al. Complex influence of the preliminary orientation strain stress and annealing temperature on the structure development of poly (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KR101964699B1 (ko) 흡습발열 및 신축성이 우수한 장단 복합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