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714A -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는 유무선 겸용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는 유무선 겸용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714A
KR19990030714A KR1019970051054A KR19970051054A KR19990030714A KR 19990030714 A KR19990030714 A KR 19990030714A KR 1019970051054 A KR1019970051054 A KR 1019970051054A KR 19970051054 A KR19970051054 A KR 19970051054A KR 19990030714 A KR19990030714 A KR 19990030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ing
main body
input
pointing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9264B1 (ko
Inventor
이관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1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264B1/ko
Priority to US09/165,359 priority patent/US6219037B1/en
Publication of KR1999003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팅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구비한 유무선 겸용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볼 타입의 포인팅 장치와 터치 패드 타입의 포인팅 장치가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또한 이러한 포인팅 장치가 휴대용 컴퓨터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분리된 경우는 포인팅 장치를 볼 타입의 포인팅 장치로 사용하며, 장착된 경우에는 터치 패드 타입의 포인팅 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포인팅 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는 유무선 겸용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본 발명은 포인팅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구비한 유무선 겸용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되는 포인팅 장치로는 볼 타입(ball type)과, 터치 패드 타입(touch pad type)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일부 전문적인 사용자를 위해 특수한 형태의 포인팅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볼 타입의 포인팅 장치는 일반적으로 '마우스(mouse)'라 칭하는 포인팅 장치가 있다. 이는 내부에 구비된 볼이 포인팅 장치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화면상의 포인터 위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유사하게 볼의 회전으로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트랙 볼 타입(track ball type)의 포인팅 장치(이하, '트랙볼'이라 약칭함)가 제공되고 있다. 이는 포인팅 장치의 하우징을 고정시키고 볼을 회전 조작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들과는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 타입의 포인팅 장치(이하, '터치패드'라 약칭함)가 있다. 이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패드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상기 감지패드 위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이동시킴으로서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는 주로 정전방식을 사용한다. 이상과 같은 포인팅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어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랙볼 타입의 포인팅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터치패드 타입의 포인팅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100)은 크게 화면 출력용 LCD(136)와,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보드(154) 및 트랙볼(152)과, 내부에 구성되어 미도시된 CPU 등을 포함하는 내부 시스템회로를 구비한다. 이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100)은 상술한 여러 종류의 포인팅 장치중 특히 트랙볼(152)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트랙볼(152)의 경우는 볼의 마찰에 의해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은 터치패드(152a)를 장착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100a)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터치패드(152a)의 경우 사용자는 간편하게 손가락을 사용하여 포인터를 움직일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편리하다. 그러나, 트랙볼(152)의 사용에 익숙하던 사용자들은 터치패드(152s)의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일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152a) 경우 키보드(154)에 근접하게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키보드(154)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터치패드에 불필요한 접촉이 발생되어 원치 않는 오동작을 발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 계속되던 문제점으로서 포인팅 장치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과 일체형으로 제공됨으로 그 조작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은 계속되었다.
만약, 볼 타입의 포인팅 장치와, 터치패드 타입의 포인팅 장치를 일체화하여 동시에 제공한다면,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포인팅 장치를 선택하여 사용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일 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포이팅 장치를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하여 유선으로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무선 겸용의 포인팅 장치가 제공된다면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는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무선 겸용의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랙 볼 타입의 포인팅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터치패드 타입의 포인팅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는 유무선 겸용 포인팅장치가 무선 포인팅장치로 기능할 때 이에 적합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포인팅장치가 유선 포인팅장치로 기능할 때 이에 적합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포인팅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5a는 포인팅장치의 평면도; 도 5b는 포인팅장치의 측면도; 도 5c는 포인팅장치의 저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포인팅장치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도 3의 포인팅장치의 회로적인 블록도와 이 입력장치와 연계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결합된 회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선택부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포인팅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포인팅장치를 충전하기 위하여 이 포인팅장치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구성을 갖는 외부충전기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포인팅장치에 적합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포인팅입력처리부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포인팅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136 : LCD
154 : 키보드 152, 300 : 포인팅 장치
310 : 커넥터 320 : 무선송신부
330 : 입력키 340 : 감지패드
350 : 볼 360 : 배터리
370 : 러그 380 : 전환스위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기능부를 갖는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포인팅 장치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포인팅입력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 1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포인팅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본체로 전송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 2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포인팅 정보를 유선으로 상기 본체로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되는 것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포인팅입력수단을 스위칭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포인팅 정보를 선택하고 이를 유선 또는 무선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포인팅 정보를 무선 신호로 출력하는 무선송신수단과; 상기 포인팅 정보를 유선 신호로 상기 본체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 및; 상기 포인팅 장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포인팅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제어수단으로 제공하는 선택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제 1 포인팅 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신호의 입력에 따라 출력/차단되는 제 1 및 제 2 삼상버퍼와; 상기 제 2 포인팅 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신호의 입력에 따라 차단/출력되는 제 3 및 제 4 삼상버퍼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포인팅 정보의 전달을 위한 복수개의 핀들과,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핀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용 배터리이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부가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시에 상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용 배터리이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외부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충전단자를 부가하여 상기 충전단자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단계는: 상기 선택신호의 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하우징이 본체에 장착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장착된 경우, 상기 제2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커넥터를 통해 유선으로 상기 포인팅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그러나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무선송신수단을 통해 무선으로 상기 포인팅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포인팅 정보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포인팅 정보가 발생되면 발생된 상기 포인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인팅입력수단은 볼 타입이고, 상기 제 2 포인팅입력수단은 터치패드 타입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포인팅입력수단의 키입력은 동일한 입력키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체와,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 기능을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포인팅입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하우징이 장착 가능한 시트(seat)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제 1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포인팅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본체로 전송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 2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포인팅 정보를 유선으로 상기 본체로 전송하여 포인팅 정보가 상기 본체로 입력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포인팅 장치와 커넥팅되어 유선으로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는 커넥터와;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포인팅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수신수단과;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무선수신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정보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포인팅 정보의 입력을 위한 복수개의 핀들과, 상기 포인팅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핀을 구비한다.
이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단계는: 상기 커넥터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시트에 장착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이 장착된 경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포인팅 정보를 입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수신수단을 통해 상기 포인팅 정보를 입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포인팅 정보의 입력이 있는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포인팅 정보의 입력이 발생되면 그 입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볼 타입의 포인팅 장치와 터치 패드 타입의 포인팅 장치가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또한 이러한 포인팅 장치가 휴대용 컴퓨터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분리된 경우는 포인팅 장치를 볼 타입의 포인팅 장치로 사용하면서 무선으로 포인팅 정보를 입력하며, 장착된 경우에는 터치 패드 타입의 포인팅 장치로 사용하면서 유선으로 포인팅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포인팅 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포인팅 장치는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고 있으며, 유무선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트랙 볼 타입과 터치 패드 타입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하여 유선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분리하여 무선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는 유무선 겸용 포인팅장치가 무선 포인팅장치로 기능할 때 이에 적합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포인팅장치가 유선 포인팅장치로 기능할 때 이에 적합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두 타입의 유무선 겸용의 포인팅장치(이하, '포인팅장치'로 약칭함)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는 무선으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이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포인팅 장치(300)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200)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호 커넥터(미도시)로 접속되어 유선으로 사용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포인팅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5a는 포인팅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포인팅장치의 측면도, 도 5c는 포인팅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포인팅장치(300)는 상부에 터치패드용의 감지패드(340)와, 키입력을 위한 좌우 키패드(330)가 구비된다. 전면부에는 접속 커넥터(310)와, 무선송신부(320)가 구비된다. 일 측면에는 상기 포인팅장치(300)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200)에 착탈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전환스위치(380)가 구비된다. 양 측면에는 상기 포인팅장치(300)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200)에 장착되는 경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적인 구조로서 러그(lug)(370)가 형성되어 있다. 밑면에는 볼(350)이 외부로 일부가 돌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에는 배터리(360)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포인팅 장치의 사시도가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포인팅 장치(300)가 터치 패드 타입으로 동작 될 때는 포이터 조작은 상기 감지패드(340)를 이용하고, 볼 타입으로 동작 될 때는 상기 포인팅 장치(300)를 바닥에 접촉하여 이동시켜 상기 볼(350)의 회전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경우 키입력은 상기 키패드(330)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전환스위치(380)는 상기 포인팅 장치(300)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200)에 착탈되는 것에 대응하여 온/오프되며 이는 상기 포인팅 장치(300)의 내부회로에서 감지되어 장착시에는 유선으로 동작되게 하고, 분리된 때에는 무선으로 동작되게 된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3의 포인팅장치의 회로적인 블록도와 이 입력장치와 연계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결합된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먼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200)의 CPU(110)는 데이터 처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Host 버스와 접속된다. 시스템 컨트롤러(120)는 Host 버스와 PCI 버스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120)는 메모리(122)에 대한 억세스도 제어한다. CRT 모니터(134)나 LCD(136)에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도록 비디오 컨트롤러(132)가 PCI 버스에 접속된다. ISA 버스에는 I/O컨트롤러(140)가 접속되고, 상기 I/O컨트롤러(140)에는 FDD(Floppy Disk Drive)(142)가 접속되며, SIO(Serial Input Output)(144) 및 PIO(parallel Input Output)(146)가 접속되어 시스템과 주변장치사이에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한다.
그리고 포인팅 장치(300)와 유선접속을 위한 커넥터(170)와, 무선접속을 위한 무선수신부(180)와 이들을 통해 포인팅 장치(300)의 입력을 처리하는 제어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50)는 실질적으로 MICOM으로 구성되며, 이는 키보드(154)의 제어와, 배터리(158) 또는 어댑터(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6)의 제어도 같이 수행한다.
상기 포인팅 장치(300)는 볼(350)과, 감지패드(340)와, 제 1 및 제 2 포인터신호발생부(352, 342)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포인터신호발생부(352)는 상기 볼(350)의 회전상태에 대응된 포인터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 2 포인터신호발생부(342)는 상기 감지패드(340)의 상태에 따라 대응된 포인터신호를 발생한다. 전환스위치(380)와 선택부(390)를 구비하여, 상기 전환스위치(380)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선택부(390)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포인터신호발생부(352, 342)의 입력중 해당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200)에 장착되는 경우는 상기 전환스위치(380)가 온되어 상기 포인팅 장치(300)가 터치 패드 타입으로 동작되고,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200)에서 분리되는 경우는 상기 전환스위치(380)가 오프되어 상기 포인팅 장치(300)가 볼 타입으로 동작된다.
상기 선택부(390)는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4개의 삼상버퍼 TB11, TB12, TB21, TB22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삼상버퍼 TB11, TB12는 상기 제 1 포인터신호발생부(352)의 출력인 클럭신호 CLK1과, 데이터 신호 Data1을 입력받아 출력한다. 상기 삼상버퍼 TB21, TB22는 상기 제 2 포인터신호발생부(342)의 출력인 클럭신호 CLK2와, 데이터 신호 Data2를 입력받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삼상버퍼 TB11, TB12, TB21, TB22는 상기 전환스위치(380)의 온/오프에 따라 각기 제어된다.
그리고, 무선송신부(320)와, 커넥터(310)와, 제어부(370)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는 무선으로 동작될 때는 상기 무선송신부(320)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를 송신하며, 유선으로 동작될 때에는 상기 커넥터(310)를 통해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충전 가능한 배터리(360)를 구비하여 무선으로 사용할 때 동작상기 포인팅장치(3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유선으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310)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한다.
상기 배터리(360)의 경우는 유선으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3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첨부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충전기(400)를 사용하여 충전을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인팅 장치(300)가 유선으로 사용되는 경우, 즉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어 상기 포인팅 장치(300)의 커넥터(310)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200)의 커넥터(170)가 접속되어 유선으로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팅장치(300)가 무선으로 동작하는 경우는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상기 포인팅 장치(300)에 구비된 무선송신부(320)를 통해 무선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상기 휴대용 컴퓨터(200) 측의 무선수신부(180)가 수신하게 된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포인팅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포인팅 장치(300a)는 도 7에 도시된 포인팅 장치(300)의 구성 요소중 선택부(380)가 제외된 경우로서, 그 외의 구성부분은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된바와 같이, 전환스위치(380)의 온/오프 출력은 제어부(370)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70)는 온으로 입력되는 경우는 유선 및 터치패트 타입으로 동작되게 하며, 오프로 입력되는 경우는 무선 및 볼 타입으로 동작되게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 및 이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도면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2에서 보여주는 플로우챠트는 본 발명의 포인팅장치에 적합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150)(도 7내지 8 참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단계 S100에서는 포인팅 장치(300)가 접속되는 커넥터(310)의 상태를 판단하여 포인팅 장치(300)가 장착되었는가를 판단한다. 포인팅장치(300)가 장착된 경우는 단계 S110으로 진행하여 상기 커넥터(310)를 통한 유선입력으로 설정하고, 포인팅장치(30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20으로 진행하여 무선수신부(180)를 통한 무선입력으로 설정한다.
이어 단계 S130에서는 상기 포인팅 장치(300)로부터 포인팅 데이터 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하고, 입력이 발생되면 단계 S140으로 진행하여 그 입력을 처리한다. 데이터의 입력이 없는 경우는 상기 단계 S100으로 진행하여 반복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포인팅 장치(300)로부터 해당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게 된다.
이어, 도 13에서 보여주는 플로우챠트는 본 발명의 포인팅장치에 구비된 제어부(370)(도 7, 도 8, 도 10 참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단계 S200에서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200)의 본체에 장착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즉, 전환스위치(380)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200)에 장착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장착된 경우에는 단계 S210으로 진행하여 포인팅 장치(300)에 구비된 커넥터를 통해 유선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정하고, 터치패트 타입으로 동작되도록 설정한다. 그러나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20으로 진행하여 포인팅 장치(300)에 구비된 무선송신부(320)를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정하고, 볼 타입으로 동작되도록 설정한다.
이어 단계 S260에서는 포인팅 데이터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 포인팅 데이터가 발생되면 단계 S270으로 진행하여 발생된 포인팅 데이터를 출력하고, 포인팅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단계 S200으로 진행하여 반복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포인팅 장치가 볼 타입과, 터치 패드 타입을 모두 지원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고정되어 있던 종래의 경우와 달리 유무선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포인팅 장치의 사용에 편리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컴퓨터 기능부를 갖는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포인팅입력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 1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포인팅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본체로 전송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 2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포인팅 정보를 유선으로 상기 본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되는 것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포인팅입력수단을 스위칭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수단(380)과;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포인팅 정보를 선택하고 이를 유선 또는 무선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370)과;
    상기 포인팅 정보를 무선 신호로 출력하는 무선송신수단(320)과;
    상기 포인팅 정보를 유선 신호로 상기 본체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310) 및;
    상기 포인팅 장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포인팅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제어수단(370)로 제공하는 선택수단(390)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380)은
    상기 제 1 포인팅 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신호의 입력에 따라 출력/차단되는 제 1 및 제 2 삼상버퍼와;
    상기 제 2 포인팅 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신호의 입력에 따라 차단/출력되는 제 3 및 제 4 삼상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10)는 포인팅 정보의 전달을 위한 복수개의 핀들과,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360)는 충전용 배터리이고, 상기 배터리(360)를 충전하는 충전부(364)를 부가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시에 상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360)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360)는 충전용 배터리이고, 상기 배터리(360)를 충전하는 충전부(364)와, 외부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충전단자(362)를 부가하여 상기 충전단자(362)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수단(400)에 의해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370)의 제어 단계는:
    상기 선택신호의 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하우징이 본체에 장착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00)와;
    장착된 경우, 상기 제2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커넥터를 통해 유선으로 상기 포인팅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S210)와;
    그러나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무선송신수단(320)을 통해 무선으로 상기 포인팅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S220)와;
    포인팅 정보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40)와;
    포인팅 정보가 발생되면 발생된 상기 포인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인팅입력수단은 볼 타입이고, 상기 제 2 포인팅입력수단은 터치패드 타입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포인팅입력수단의 키입력은 동일한 입력키(330)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10. 본체와,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 기능을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포인팅입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하우징이 장착 가능한 시트(seat)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제 1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포인팅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본체로 전송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 2 포인팅입력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포인팅 정보를 유선으로 상기 본체로 전송하여 포인팅 정보가 상기 본체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포인팅 장치와 커넥팅되어 유선으로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는 커넥터(170)와;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포인팅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수신수단(180)과;
    상기 커넥터(170) 또는 상기 무선수신수단(180)으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정보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제어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70)는 포인팅 정보의 입력을 위한 복수개의 핀들과, 상기 포인팅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 단계는:
    상기 커넥터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시트에 장착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00)와;
    상기 하우징이 장착된 경우, 상기 커넥터(170)를 통해 상기 포인팅 정보를 입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S110)와;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수신수단(180)을 통해 상기 포인팅 정보를 입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S120)와;
    상기 포인팅 정보의 입력이 있는가 판단하는 단계(S130)와;
    상기 포인팅 정보의 입력이 발생되면 그 입력을 처리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KR1019970051054A 1997-10-02 1997-10-02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는 유무선 겸용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KR100259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054A KR100259264B1 (ko) 1997-10-02 1997-10-02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는 유무선 겸용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US09/165,359 US6219037B1 (en) 1997-10-02 1998-10-02 Pointing device provided with two types of input means for a comput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054A KR100259264B1 (ko) 1997-10-02 1997-10-02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는 유무선 겸용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714A true KR19990030714A (ko) 1999-05-06
KR100259264B1 KR100259264B1 (ko) 2000-06-15

Family

ID=1952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054A KR100259264B1 (ko) 1997-10-02 1997-10-02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는 유무선 겸용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19037B1 (ko)
KR (1) KR1002592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99B1 (ko) * 2014-12-10 2015-03-26 강다혜 랩탑 컴퓨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이저 포인터 겸용 터치패드형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랩탑 컴퓨터
KR101867407B1 (ko) * 2017-01-11 2018-06-1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착 가능한 마우스 겸용 터치패드와 컴퓨터 주변기기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랩탑 컴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7559B1 (en) * 1997-12-16 2003-12-02 Jing Li Mouse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of infrared ray
US6587093B1 (en) * 1999-11-04 2003-07-01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mouse
US6591308B1 (en) * 1999-12-30 2003-07-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uter input device
US6476795B1 (en) * 2000-01-20 2002-11-05 Hewlett-Packard Company Mouse recharging module
US6970156B1 (en) * 2000-06-20 2005-1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lapsible computer mouse
TW468321B (en) * 2000-08-14 2001-12-11 Inventec Corp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of mobile phone battery featured as touch pad
JP4689812B2 (ja) * 2000-11-17 2011-05-2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マウス
DE20112178U1 (de) * 2000-12-29 2002-01-10 Chic Technology Corp Verbesserte Struktur eines Systems mit drahtloser Maus
TW535343B (en) * 2001-02-23 2003-06-01 Chic Technology Corp Charging device of wireless mouse
JP4144186B2 (ja) * 2001-03-21 2008-09-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携帯端末の入力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の入力プログラム
KR100936850B1 (ko) 2001-05-21 2010-01-14 소니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 장치, 사용자 입력 장치를 접속한 컴퓨터 및 사용자 입력 장치를 접속한 컴퓨터의 제어 방법
WO2002099616A2 (en) * 2001-06-06 2002-12-12 Idd Aps Pointing device for use with a computer
US20030016417A1 (en) * 2001-07-17 2003-01-23 Cruise Lee Wireless pointing and remote-controlling device for briefing
US20030071783A1 (en) * 2001-10-16 2003-04-17 Wei-Han Chen Wire/wireless dual mode operating input device
US20030074457A1 (en) * 2001-10-17 2003-04-17 Kluth Michael R. Computer system with separable input device
US20030160762A1 (en) * 2002-02-22 2003-08-28 Ho-Lung Lu Rechargeable wireless mouse
US20030174123A1 (en) * 2002-03-18 2003-09-18 Kuo Shu Cheng Wireless mouse and keyboard assembly
TW545648U (en) * 2002-03-21 2003-08-01 Paten Wireless Technology Inc Wireless inpu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receiver
US20040140955A1 (en) * 2003-01-21 2004-07-22 Metz Kristofer Erik Input device for a computer and method of operation
US20040142600A1 (en) * 2003-01-21 2004-07-22 Metz Kristofer Erik Docking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DE10330773A1 (de) * 2003-07-08 2005-04-28 Glenn Rolus Borgward Eingabegerät für portable Digitalcomputer und portabler Digitalcomputer mit variabel einsetzbarer Maus
US7304636B2 (en) * 2003-08-05 2007-12-04 Willat Ergonomic mouse
US20050068305A1 (en) * 2003-09-30 2005-03-31 Chung-Ping Chi Allocation structure for wireless cursor transmitter
TWI234730B (en) * 2003-12-01 2005-06-21 Tatung Co Ltd Data record method for touch panel
US7620915B2 (en) 2004-02-13 2009-11-17 Ludwig Lester F Electronic document editing employing multiple cursors
US7499028B2 (en) * 2004-04-06 2009-03-03 Logitech Europe S.A. Collapsible wireless input device
US7233314B2 (en) * 2004-06-02 2007-06-19 Inventec Corporation Notebook having combined touch pad and CD-ROM drive
JP2005346661A (ja) * 2004-06-07 2005-12-15 Kg Mark Co Ltd 情報入力装置
EP1789950A4 (en) * 2004-07-28 2010-07-28 Newton Peripherals Llc PERIPHERAL EQUIPMENT FOR PORTABLE CALCULATOR
US20060023410A1 (en) 2004-07-30 2006-02-02 Mark Solomon Apparatus for storing a structure within an electronic device
US7280351B2 (en) * 2004-07-30 2007-10-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oring a structure within an electronic device
TWI293169B (en) * 2004-10-15 2008-02-01 Hon Hai Prec Ind Co Ltd A display device with an intellectual skin
US7486279B2 (en) * 2004-11-30 2009-02-03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input and display device for a mobile computer
US20060119569A1 (en) * 2004-12-07 2006-06-08 Huo-Lu Tsai Wireless instruction device for a computer-based visual presentation system
US7330923B2 (en) * 2005-03-21 2008-02-12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Input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TWM278001U (en) * 2005-05-09 2005-10-11 Jian-Jiun Yu Computer displacement input device
US7654459B2 (en) 2005-11-14 2010-02-02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Method of capturing user control inputs
US8917235B2 (en) * 2005-11-14 2014-12-2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User control input device
US7952562B2 (en) * 2007-01-23 2011-05-31 Dell Products L.P. Notebook computer having keyboard decoding in palmrest
US8803806B2 (en) * 2007-01-23 2014-08-12 Dell Products L.P. Notebook computer having an off-motherboard keyboard controller
US20080174951A1 (en) * 2007-01-23 2008-07-24 Dell Products L.P. Notebook Computer Palmrest/Keyboard Interconnect
US20080284726A1 (en) * 2007-05-17 2008-11-20 Marc Boillot System and Method for Sensory Based Media Control
US20080316176A1 (en) * 2007-06-21 2008-1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system with extendable usb-powered i/o device
US20090037632A1 (en) * 2007-07-30 2009-02-05 Downing Bart M Rechargeable wireless portable device
TWM331133U (en) * 2007-09-29 2008-04-21 Quanta Comp Inc Composite notebook
GB2459090A (en) * 2008-04-07 2009-10-14 Slash Design Ltd Pointer and mouse removably mounted on a computer device
CN102023678A (zh) * 2009-09-21 2011-04-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光标控制装置的电子设备
TWM378410U (en) * 2009-10-29 2010-04-11 Wintek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ablet personal computer
EP2400376A1 (en) * 2010-06-28 2011-12-28 Giga-Byte Technology Co., Ltd. Combination mouse and touch input device
TWM409479U (en) * 2010-10-13 2011-08-11 Golden Emperor Internat Ltd Mouse
US9092082B2 (en) 2010-12-22 2015-07-28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touch sensor device
TWM417734U (en) * 2011-03-18 2011-12-01 Benq Corp Monitor
TWI456375B (zh) * 2011-03-30 2014-10-11 Acer Inc 可攜式電子裝置
US9110840B2 (en) * 2013-01-31 2015-08-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ase for a tablet computer
US20140240241A1 (en) * 2013-02-26 2014-08-28 Payam Moradian Monitor for Mobile Phone
CN103116419B (zh) * 2013-03-13 2015-12-09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使触摸板同时实现手写板和鼠标功能的方法
TWI694354B (zh) * 2019-01-15 2020-05-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輸入裝置及筆記型電腦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4134A (ja) 1984-10-13 1986-05-13 Naretsuji:Kk 無線マウス装置
US5231380A (en) * 1989-08-09 1993-07-27 Microtouch Systems, Inc. Input keyboard touch-sensitive adjunct
US5428368A (en) 1992-09-30 1995-06-27 Grant; Alan H. Combination mouse and track ball unit
US5546334A (en) 1993-03-29 1996-08-13 Acer Incorporated Notebook computer system with a separable trackball
KR970008016B1 (ko) * 1993-12-07 1997-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장치
GB2291722A (en) * 1994-07-15 1996-01-31 Ibm Cordless coupling for peripheral devices.
JPH0962419A (ja) 1995-08-25 1997-03-07 Mitsumi Electric Co Ltd ワイヤレスデータ入力装置
KR970045591U (ko) * 1995-12-29 1997-07-31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 제어장치
US5726684A (en) * 1996-07-26 1998-03-10 Ncr Corporation Detachable convertible mouse-trackball pointing device for use with a computer
US5654740A (en) * 1996-08-23 1997-08-05 Pavlo Bobrek Portable computer integrated power supply and pointing device
US5886686A (en) * 1996-10-21 1999-03-23 Chen; Frank Keyboard with replaceable cursor control means
US5793355A (en) * 1997-03-03 1998-08-1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interchangeable pointing device modu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99B1 (ko) * 2014-12-10 2015-03-26 강다혜 랩탑 컴퓨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이저 포인터 겸용 터치패드형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랩탑 컴퓨터
KR101867407B1 (ko) * 2017-01-11 2018-06-1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착 가능한 마우스 겸용 터치패드와 컴퓨터 주변기기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랩탑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9264B1 (ko) 2000-06-15
US6219037B1 (en) 2001-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264B1 (ko)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는 유무선 겸용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JP3558059B2 (ja) 電源制御回路及び電子機器
US6035350A (en) Detachable I/O device with built-in RF/IR functionality to facilitate remote audio-visual presentation
JP4829856B2 (ja) 入力制御装置を有するインタラクティブシステム
US5510690A (en) Battery pack, battery discrimin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EP1963948B1 (en) Wireless handheld device and method with gui control
KR940010135B1 (ko) 확장유니트의 접속상태표시시스템
US8939838B2 (en) Accessory for playing games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40140955A1 (en) Input device for a computer and method of operation
US6091404A (en) Trackball for a portable computer
EP0500794A4 (en) Computer control system
CN107408825B (zh) 用于控制电力的设备和方法
JP3718768B2 (ja) コンピュータ
JP2009009532A (ja) 情報処理装置
WO2000017849A1 (en) Head operated computer pointer
US20170255285A1 (en) Detachable back mounted touchpad for a handheld computerized device
US6275162B1 (en) Method of displaying capacity using LEDs of the notebook computer system and the device of the same
JP2003195985A (ja) 電子機器システム、電子機器、周辺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US200701506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signal amplitude control method
EP1091281B1 (en) Computer peripheral unit communication system
KR100589981B1 (ko) 전지가 불필요한 무선데이터 입력장치
JP2004127020A (ja) Usbインターフェース・コネクタ用電源供給装置
KR200193418Y1 (ko) 외부 케이스에 lcd판넬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
JPH1097377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適用される座標入力装置
KR200361804Y1 (ko) 휴대용 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