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753U -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753U
KR19990029753U KR2019970042419U KR19970042419U KR19990029753U KR 19990029753 U KR19990029753 U KR 19990029753U KR 2019970042419 U KR2019970042419 U KR 2019970042419U KR 19970042419 U KR19970042419 U KR 19970042419U KR 19990029753 U KR19990029753 U KR 199900297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negative pressure
steering wheel
vehicle speed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2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753U/ko
Publication of KR199900297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753U/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중 차속의 변화에 따라 비례적으로 변화되는 엔진의 흡기부압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차속에 따라 조향핸들을 조작하는데 적절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조향시 안정성을 부가함은 물론 제조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통형상으로 내부가 빈 형태의 조향컬럼(2)내에 조향핸들(1)을 일선단에 장착하는 조향축(3)의 외주면에 조향컬럼(2)의 내부로 관통하여 접합되면서 타단이 엔진의 흡기다기관과 연통되는 부압관로(5)와, 이 부압관로(5)내에 설치되는 피스톤(7) 및, 이 피스톤(7)과 연결되면서 상기 조향축(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마찰밴드(6)로 이루어진 가압수단(4)이 배설되어져, 상기 조향핸들(1)의 조작시 소요되는 조작력을 차속의 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중 차속의 증가에 비례해서 증가되는 엔진의 흡기부압을 이용하여 조향축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마찰재를 압착되게 함으로써, 고속 주행시 조향핸들의 조작에 드는 힘을 배가시켜 안전운행에 기여할 수 있도록 된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중에 차체의 진행방향을 운전자의 임의대로 바꿀 수 있도록 된 조향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러한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차륜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꿀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각 기구로 전달하기 위해 조향핸들과 조향축 및 조향칼럼 등으로 이루어진 조작기구와,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함으로써 조작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기구 및, 기어기구의 움직임을 앞바퀴에 전달함과 동시에 좌우 바퀴의 관계위치를 올바르게 유지하기 위해 피트먼 암과 드래드 링크 및 너클 암과 타이로드 등으로 구성된 링크기구를 갖추고 있다.
한편, 대형 자동차나 저압 타이어를 사용한 차량에서는 앞바퀴의 접지저항이 크기 때문에 핸들의 조작력이 크게 되고 신속한 조향 조작이 안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가볍고 신속한 조향조작을 하기 위해 동력조향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동력조향장치는 동력원이 되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와 압력 조절밸브 및 유량제어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유닛 등으로 구성된 동력장치와, 오일펌프에서 발생한 유압을 기계적인 힘으로 바꾸어 조향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실린더를 사용하는 작동장치 및, 이 작동장치에 이르는 유로를 개폐하고 핸들의 조작에 상응해서 유로를 바꾸어 동력실린더의 작동방향과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기계식 조향장치나 동력조향장치에서는 차속에 따라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감각이 일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속주행시에 필요한 무거운 조향감각이나 저속주행시의 가벼운 조향감각을 동시에 느끼도록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도 차속에 따라 조향감각이 달라지도록 하는 차속감응형 동력조향장치가 제안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종래의 차속감응형 동력조향장치는 차속에 따라 적절한 조향감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제어설비와 이 전자제어설비에 의해 제어받는 복잡한 유압기구로 이루어져 있어, 이의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작원가를 상승시킨다고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행중 차속의 변화에 따라 비례적으로 변화되는 엔진의 흡기부압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차속에 따라 조향핸들을 조작하는데 적절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조향시 안정성을 부가함은 물론 제조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가 조향축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작력 조절장치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조향핸들 2-조향컬럼
3-조향축 4-가압수단
5-부압관로 6-마찰밴드
6a-마찰재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통형상으로 내부가 빈 형태의 조향컬럼내에 조향핸들을 일선단에 장착하는 조향축의 외주면에 조향컬럼의 내부로 관통하여 접합되면서 타단이 엔진의 흡기다기관과 연통되는 부압관로와, 이 부압관로내에 설치되는 피스톤 및, 이 피스톤과 연결되면서 상기 조향축(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마찰밴드로 이루어진 가압수단이 배설되어져, 상기 조향핸들의 조작시 소요되는 조작력을 차속의 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가 조향축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작력 조절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선단에 조향핸들(1)을 장착하고서 원통형상으로 내부가 빈 조향컬럼(2)내에 배치되는 조향축(3)상의 외주면에 조향핸들(1)의 조작시 소요되는 조작력을 차속의 증가에 따라 증대시키도록 된 가압수단(4)이 배설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압수단(4)은 조향축(3)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조향컬럼(2)의 내부로 관통하도록 배치되면서 엔진의 흡기다기관과 연통되어 엔진의 작동시 발생되는 흡기부압을 전달하도록 된 부압관로(5)와, 상기 조향축(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탄성재질의 마찰밴드(6) 및, 이 마찰밴드(6)의 일선단과 연결되면서 상기 부압관로(5)내에 설치되는 피스톤(7)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마찰밴드(6)는 조향축(3)과 맞닿는 내주면에 마찰재(6a)를 고착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조향축(3)과 마찰밴드(6)의 접촉시 마찰력을 증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압관로(5)상에 내장되어 일선단이 마찰밴드(6)와 연결된 피스톤(7)은 엔진의 가동중 부압관로(5)를 통해 전달되는 흡기부압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어져 마찰밴드(6)를 당기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가압수단(4)은 부압관로(5)를 매개로 주행중 발생되는 엔진의 흡기부압을 조향컬럼(2)의 내부로 전달하게 되고, 이 부압관로(5)를 통해 전달되어온 흡기부압은 이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피스톤(7)을 외측으로 당기게 되며, 이 피스톤(7)의 이동에 의해 이에 연결되어 상기 조향축(3)을 감싸고 있는 마찰밴드(6)는 장력을 받아 조향축(3)의 외주면상으로 밀착되어져, 조향시 운전자가 상기 조향핸들(1)의 조작할 때 드는 조작력의 정도가 증가되는 차속에 비례해서 증대되게 된다.
이는 상기 가압수단(4)의 부압관로(5)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의 흡기부압의 정도가 엔진의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비례해서 증가되기 때문에, 이 증가되는 엔진부압에 의해 부압관로(5)내의 피스톤(7)은 더욱 더 강하게 마찰밴드(6)를 당겨 이 마찰밴드(6)로 하여금 조향축(3)을 잡아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의 주행중 엔진의 연소과정중에 발생되는 흡기부압이 조향컬럼(2)내로 연통된 부압관로(5)의 내부에 수용된 피스톤(7)에 전달되고, 이 피스톤(7)은 부압관로(5)를 통해 전달된 엔진의 흡기부압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 피스톤(7)의 이동에 따라 이에 연결된 가압수단(4)의 마찰밴드(6)는 조향축(3)의 외주면과 밀착되면서 마찰재(6a)와 조향축(3) 사이에서 마찰이 유발되어 조향시 조향축(3)의 회전을 저지시키는 바, 이때 상기 부압관로(5)를 통해 피스톤(7)에 작용되는 흡기부압의 정도는 차속에 비례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마찰밴드(6)가 조향축(3)의 회전을 저지하는 정도도 따라서 가변적으로 조절되므로, 저속시에는 상기 조향핸들(1)의 조작이 가벼워지는 반면에 고속일수록 조작력이 증대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에 의하면, 주행하는 차량의 차속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엔진의 흡기부압으로 조향축을 잡아주는 가압수단과 조향축 사이의 마찰력이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됨으로써, 조향시 운전자가 조향핸들을 조작함에 있어 안정감을 더해 줄 수 있은 물론, 적은 비용으로도 속도감응형의 동력조향장치에서 발휘할 수 있는 기능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원통형상으로 내부가 빈 형태의 조향컬럼(2)내에 조향핸들(1)을 일선단에 장착하는 조향축(3)의 외주면에 조향핸들(1)의 조작시 소요되는 조작력을 차속의 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대시키는 가압수단(4)이 배설되어 이루어진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4)은 일단이 조향컬럼(2)의 내부로 관통하여 접합되면서 타단이 엔진의 흡기다기관과 연통되는 부압관로(5)와, 이 부압관로(5)내에 설치되는 피스톤(7) 및, 이 피스톤(7)과 연결되면서 상기 조향축(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마찰밴드(6)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밴드(6)는 조향축(3)과 맞닿는 내주면에 마찰재(6a)를 고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
KR2019970042419U 1997-12-29 1997-12-29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 KR199900297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419U KR19990029753U (ko) 1997-12-29 1997-12-29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419U KR19990029753U (ko) 1997-12-29 1997-12-29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753U true KR19990029753U (ko) 1999-07-26

Family

ID=6969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419U KR19990029753U (ko) 1997-12-29 1997-12-29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75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019B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파워스티어링장치
KR19990029753U (ko) 조향핸들의 조작력 조절장치
JP3763562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206514Y1 (ko) 전자석을이용한속도감응형동력조향장치
KR200192429Y1 (ko)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19980035574A (ko) 밴드식 속도감응형 조향장치
US5447135A (en) Pneumatic throttle control
JPS60174364A (ja) ラツクピニオン形舵取装置
KR100251365B1 (ko) 자동차의 드라이브샤프트 가변장치
KR100440288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200261495Y1 (ko) 자동차용조향장치의조향기어구조
KR100356841B1 (ko) 자동차용 조향링키지의 구조
KR100383962B1 (ko) 차량용 보조 제동장치
KR0133301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파워스티어링 장치
KR200158872Y1 (ko) 자동차 쏠림방지조향장치
KR100276710B1 (ko)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20070040230A (ko) 자동차의 조향력 제어장치
KR0170615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
KR100250199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
KR19980044936U (ko) 고속주행시 조향력이 상승되는 동력조향장치
KR100259536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19980061141A (ko) 전기감응형 유체를 이용한 조향핸들 조작력 제어장치
KR19990040239A (ko) 자기력을 이용한 조향핸들 조작력 제어장치
KR19980044709A (ko)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
KR100375059B1 (ko) 차량용파워스티어링의자기력제어동력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