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531A - 전기 커넥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물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29531A KR19990029531A KR1019980036445A KR19980036445A KR19990029531A KR 19990029531 A KR19990029531 A KR 19990029531A KR 1019980036445 A KR1019980036445 A KR 1019980036445A KR 19980036445 A KR19980036445 A KR 19980036445A KR 19990029531 A KR19990029531 A KR 199900295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portion
- arm
- frame
- connector assembly
- pai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100113998 Mus musculus Cnbd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44)를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물(42)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은 대체로 U형의 제1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은 그 U형에 의해 한정되는 프레임부의 개방 측면(70) 내로 삽압되는 커넥터 조립체(44)의 대향 측면들을 감싸는 한쌍의 대체로 평행한 아암들을 갖는다. 제2 프레임부(64)이 커넥터 조립체를 그안에 포획하기 위해 제1 프레임부(62)의 개방 측면(70)을 폐쇄한다. 래치(76, 72)가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프레임부들을 함께 지지하기 위해 U형 제1 프레임부(62)의 아암(66)의 자유 단부(66a)들과 제2 프레임부(64)의 대향 단부들 사이에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장착하는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는 다수의 도전성 단자를 자체 내에 장착하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대개는 비도전성 재료로 제조되고 플라스틱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성형된다. 하우징은 제2 전기 커넥터와의 정합 및 분리를 허용하는 구조물을 갖춘 정합단을 포함한다. 제2 전기 커넥터는 와이어, 케이블, 회로 기판 또는 다른 전기 인입 수단에 장착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패널 또는 다른 적절한 지지 구조물에 장착되기도 하며, 패널은 지지 구조물의 개구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많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들은 커넥터를 지지 구조물에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볼트 또는 클립 등의 별도의 보유 수단은 커넥터 하우징을 지지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별도의 보유 수단의 필요성을 없애기 위하여 일체형 래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래치는 비용을 줄이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재고 관리 문제를 피하도록 커넥터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된다.
한편, 많은 전기 커넥터들은 정합중에 커넥터의 정확한 정렬이 항상 보장될 수는 없는 블라인드 정합 환경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패널 또는 다른 적절한 지지 구조물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는 자동차 또는 다른 차량에서 비교적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 배치된다. 커넥터 위치가 실제로 접근 불가능이 아닌 경우에도 제2 전기 커넥터와의 정합중에 전기 커넥터와 이의 지지 구조물 사이의 일정한 상대 이동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동 없이는, 부적절하게 정렬된 커넥터를 정합하려는 시도는 한쪽 또는 양쪽의 커넥터 및/또는 이들에 장착된 도전성 단자를 실질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전기 접속을 불량하게 하거나 전기 접속이 전혀 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를 이의 장착 지지 구조물에 대하여 일정한 정도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고 전기 커넥터를 보족 정합 조립체에 용이하게 정합시킬 필요가 있는 환경에서 전기 커넥터의 제조성, 조립 및/또는 사용을 개선하는 전기 도체 및 그 장착 시스템의 여러 특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장착하는 새롭고 개선된 프레임 구조물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물은 U형 형상에 의해 한정되는 프레임부의 개방 측면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조립체의 양 측면을 둘러싸는 한쌍의 대체로 평행한 아암을 갖는 대체로 U형의 제1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제2 프레임부가 커넥터 조립체를 그 안에 포획하기 위해 제1 프레임부의 개방 측면을 폐쇄한다. 보족 상호 결합 래치 수단이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프레임부들을 함께 보유하기 위해 U형 제1 프레임부의 아암의 자유 단부들과 제2 프레임부의 대향 단부들 사이에 제공된다.
개시되는 바와 같이, U형 제1 프레임부의 아암의 내부는 아암들 사이에서 제1 프레임부에 삽입된 커넥터 조립체의 플랜지 부분을 활주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 트랙을 포함한다. 아암은 가이드 트랙 내로 커넥터 조립체의 플랜지 부분을 안내하는 램프를 포함한다. 래치 수단은 프레임부 중 하나의 캔틸레버식 래치 아암과 다른 프레임부상의 래치 아암을 위한 과응력 방지 수단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아암들 사이의 소정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U형 제1 프레임부의 아암의 자유 단부와 제2 프레임부의 대향 단부들 사이의 보족 상호 결합 이격 수단을 포함한다. 이격 수단은 소정 간격을 향해 아암을 외측으로 바이어스하도록 아암의 내부면과 결합하는 제2 프레임부의 대향 단부에서 제1쌍의 탭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부의 대향 단부에서의 제2쌍의 탭이 소정 간격을 향해 아암을 내측으로 바이어스하도록 아암의 외부면과 결합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1은 자동차가 여러 조립 축으로 도시된 조립 라인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전기적 조립 및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리셉터클 보유 조립체의 후방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리셉터클 보유 조립체의 배면도.
도5는 리셉터클 보유 조립체의 정면도.
도6은 리셉터클 보유 조립체의 하부 평면도.
도7은 도5의 선 7-7을 따라 취한 수평 단면도.
도8은 도5의 선 8-8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도9는 리셉터클 보유 조립체의 외측 브래킷 또는 프레임 구조를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배면도.
도10은 도9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도11은 외측 브래킷의 U형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12는 도11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도13은 외측 브래킷의 제2부분을 도시한 하부 평면도.
도14는 도13의 선 14-14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5a는 외측 브래킷의 장착 포스트중 하나를 도시한 측면도.
도15b는 장착 포스트중 하나를 도시한 단부도.
도15c는 도15b의 선 15C-15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6은 리셉터클 보유 조립체의 내측 브래킷 또는 하우징의 배면도.
도17은 도16의 내측 브래킷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18은 내측 브래킷의 하부 평면도.
도19는 도16의 선 19-19를 따라 취한 수평 단면도.
도20은 내측 브래킷의 정렬 비임중 하나에서의 오목부 영역을 도시한 확대도.
도21은 도20의 선 21-21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지지 구조물
32 : 패널
36, 38 : 장착 개구
40 : 리셉터클 보유 조립체
42 : 프레임 구조물
44 : 하우징
46 : 정합 커넥터
50 : 리셉터클
60 : 가이드 트랙
신규하다고 믿어지는 본 발명의 특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유사한 부분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이후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면중 도1을 보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정렬 시스템 및 기타 부재들은 특히, 자동차(22) 등에서의 자동화용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자동차는 자동 조립 라인으로 될 여러 기준 축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중 화살표(24)는 자동차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수평 연장되는 X축을 나타낸다. 이중 화살표(26)는 자동차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축 Y를 나타낸다. 이중 화살표 (28)는 Z축 또는 수직축을 나타낸다. 물론, 본 발명의 장착 시스템 및 다른 부재는 단순히 자동차 또는 다른 차량에만 사용하기보다는 폭넓은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2에는 자동차(22)의 조립에 사용되는 전체 전기 커넥터 조립체 장착 장치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U형 주 브래킷의 형태인 지지 구조물(30)은 자동차의 계기반 뒤쪽에서 패널(32)에 고정되어 있다. 주 지지 브래킷은 패널(32)로부터 이격된 면판(34)을 포함한다. 면판은 대체로 둥근 상부 쌍의 장착 개구(36)와 대체로 둥근 하부 쌍의 장착 개구(38)를 포함한다.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장착 개구(38)들은 장착 개구(36)들보다 넓게 이격되어 있다.
도2에서, 리셉터클 유지 조립체(40)는 지지 구조물(30)에 장착된다. 리셉터클 유지 조립체는 외측 브래킷 또는 프레임 구조물(42)과 내측 브래킷 또는 하우징(44)을 포함한다. 나중에 설명하는 것처럼, 전체 리셉터클 유지 조립체(40)는 지지 구조물(30)에 대하여 X축(도1)으로 자체 정렬되고, 내측 브래킷 또는 하우징(44)은 외측 브래킷 또는 프레임(42)에 대하여 Y축 및 Z축으로 자체 정렬된다.
마지막으로, 도2의 보족 정합 제2 커넥터(46)는 리셉터클 유지 조립체(40), 특히 브래킷 또는 하우징(44)에 결합된다. 정합 커넥터(46)는 차량의 계기반의 후방에 고정되고, 전체 조립체는 커넥터를 리셉터클 유지 조립체(40)에 결합하기 위해 패널(32) 쪽으로 이동되어 있다. 정합 커넥터(46)는 다수의 전기 단자를 각각 장착시키는 3개의 커넥터 소조립체(48)를 수납한다. 리셉터클 유지 조립체(40)의 내측 하우징(44)은 커넥터(48)의 단자와의 결합을 위하여 다수의 전기 단자를 각각 장착하는 3개의 모듈 커넥터(도시 생략)를 수납하는 3개의 리셉터클(50)을 포함한다.
도3 내지 도8은 리셉터클 유지 하우징(40; 도1)의 조립체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특히,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리셉터클 유지 조립체(40)는 외측 브래킷 또는 프레임 구조물(42)과, 3개의 리셉터클(50)을 갖춘 내측 브래킷 또는 하우징(44)을 포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외측 프레임 구조물(42)은 주 브래킷 또는 지지 구조물(30; 도2)에 있는 두쌍의 장착 개구(30, 38) 안으로의 삽입을 위한 두쌍의 장착 포스트(52, 54)를 포함한다. 외측 프레임 구조물(42)은 도4 및 도5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장착 개구(56)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내측 하우징(44)이 장착되어 있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 하우징(44)은 외측 프레임 구조물(42)의 가이드 트랙(60) 안으로 활주하는 주연측 플랜지(58)를 포함한다.
도9 내지 도15는 리셉터클 지지 조립체(40)의 외부 브래킷 또는 프레임 구조(42)의 특정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다. 특히, 외부 프레임 구조(42)는 대체로 U형 제1 프레임부(62)와 긴 제2 프레임부(64)를 포함하는 두 부품으로 된 구조이다. 프레임부들은 도9에서 분해되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부들은 조립될 때 내부 브래킷 또는 하우징(44)(도2)이 장착되는 폐쇄 장착 개구(56)를 한정한다.
외부 프레임 구조(42)의 U형 제1 프레임부(62)는 U형 형상의 굴곡부를 한정하는 크로스아암(68)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대체로 평행한 아암(66)을 포함한다. 평행 아암(66)은 조립 시 제2 프레임부(64)에 의해 폐쇄되는 제1 프레임부의 개방 면(70)을 한정한다. 제1 프레임부(62)는 도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66)의 말단부(66a)의 외부로부터 외팔보식의 한 쌍의 가요성 래치 아암(72)을 갖는다. 아암들은 도10 및 도12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견부(72a)를 한정하는 개구를 갖는다. 조립 시, 래치 아암(72)은 화살표 A의 방향(59)으로 제2 프레임부(64)의 대향 단부에 한 쌍의 브리지(74)를 통해 삽입된다. 완전히 조립될 때 가요성 외팔보식 래치 아암의 래치 견부(72a)는 제2 프레임부의 브리지(74) 내에 위치된 래치 보스(76)(도13) 뒤로 스냅 결합된다. 조립될 때, 브리지(74)는 외팔보식 래치 아암(72)이 조립체로부터 외향으로 당겨져 래치 아암을 파손시키거나 또는 과도한 응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도한 응력 방지 수단을 제공한다.
제1 프레임부(62)의 측면 아암(66)은 도9 내지 도12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의 말단부(66a)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 플레어 플랜지(66b)를 갖는다. 이는 제1 프레임부(62)의 아암 내에 가이드 트랙(60) 내로 내부 하우징(44)의 플랜지(58)(도7 및 도8)를 안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프레임부(62, 64)는 아암(66)들 사이의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U형 제1 프레임부(62)의 아암(66)들의 자유단부 또는 말단부(66a)와 제2 프레임부(64)의 대향 단부들 사이에 보족 상호결합 이격 수단을 각각 포함한다. 특히, 도9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부(64)는 내향 캠 면(78a)을 한정하는 한 쌍의 외부 탭과 외향 캠 면(80a)을 한정하는 한 쌍의 내부 탭(80)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부(62)의 아암(66) 중 말단부(66a)는 내향 캠 면(82a)을 갖는 외부 탭(82)을 포함하며 플레어 플랜지(66b)는 외향 캠 면(84)을 한정한다. 탭(78, 80)의 팁들은 두 프레임부 상의 여러 캠 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테이퍼지거나 모따기되어 있다.
각 캠 면과 함께 탭(78, 80, 82) 및 플랜지(66b)에 의해 제공된 보족 상호결합 이격 수단은 U형 제1 프레임부(62)의 측면 아암(77)들 사이의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U형 부재의 성형 프로세스 중, 경화 시, 측면 레그(66)들은 필요한 소정 간격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U형 프레임부에 제2 프레임부(64)의 조립은 정확한 간격을 설정할 것이다. 즉, 아암(66)이 너무 넓게 이격된 경우, 외부 탭(78)의 캠 면(78a)은 정확한 간격으로 내향으로 아암(66)을 당기도록 플레어 플랜지(66b)의 캠 면(84)을 결합할 것이다. 이러한 결합은 도5에서 도시되어 있다. 아암이 서로 너무 근접한 경우, 탭(80)의 캠 면(80a)은 탭(82)의 캠 면(82a)을 결합하며 소정 간격으로 외향으로 아암을 이동시킬 것이다. 이러한 결합은 도4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2 내지 도4, 도9, 도10 및 도15는 외부 브래킷 또는 프레임 구조(42)의 장착 포스트(52, 54)의 특정 형상을 도시한다. 실제로, 장착 포스트는 프레임 구조 또는 외부 브래킷의 U형 제1 프레임부(62)로부터 돌출된다. 도3, 4 및 도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포스트(52) 쌍은 장착 포스트(54) 쌍보다 서로 보다 근접되게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포스트(52)는 주 지지 브래킷(30)의 둥근 구멍(36)(도2) 내로 삽입 가능하며, 장착 포스트(54)는 주 지지 브래킷의 구멍(38) 내로 삽입 가능하다. 이하, 장착 포스트의 각 쌍의 다른 간격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기로 한다. 간격이 다르다면, 각 장착 포스트는 동일한 구조적인 형상을 갖는다.
특히, 각 장착 포스트(52, 54)는 도15a 내지 도15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의 주 측면(88)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포스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세 개의 강성 크러쉬 리브(86)에 의해 한정된 대체로 둥근 형상을 갖는다. 양호하게는, 적어도 한 쌍의 크러쉬 리브가 포스트의 대향 측면 상에 직경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크러쉬 리브는 도15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에 대해 세 개의 사분면에서 서로에 대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가요성 아암(90)은 주 측면(88)에 대향한 포스트의 면 상에서, 즉, 포스트의 제4 사분면에서 각 포스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요성 아암이 도15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직경방향으로 배치된 크러쉬 리브로부터 등거리로 위치된다. 가요성 아암은 15a 및 15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뒤에 가요성 공간(92)을 한정하도록 포스트에 고정되어 그로부터 외향으로 이격된 대향 단부(90a)들을 갖는다. 따라서, 가요성 아암들은 양방향 화살표 B(도15c)의 방향으로 포스트에 대해 굽혀질 수 있다. 래치 후크(90b)는 대향 단부(90a)들 중간에 가요성 아암(90)의 외부에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각 포스트의 팁은 주 지지 브래킷(30)의 각 구멍(36, 38) 내로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94에서와 같이 테이퍼지거나 또는 뾰족하게 된다.
각 장착 포스트(52)의 전체 외형(54)은 가요성 아암(90) 및 크러쉬 리브(86)에 의해 한정된 포스트의 유효 직경이 장착 구멍(36, 38)의 직경보다 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포스트가 각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될 때 아암(90)이 굽혀져 리브(8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뭉개질 것이다. 그러나, 래치 후크(90b)가 크러쉬 리브(86)의 외부 단부(86a)보다 장착 포스트의 말단부에 보다 근접하다는 것이 특히 도15a 및 도15c에서 도시되어 있다. 장착 포스트의 래치 후크들과 뭉개지는 리브들의 단부들 사이의 축방향 간격에서의 이러한 차이는, 크러쉬 리브(80)들이 변형을 시작하기 전, 주 지지 브래킷(30) 상의 리셉터클 지지 조립체(40)(도2)에 대한 예비 장착 위치를 제공한다. 도1 및 도2와 관련하여 상술된 자동차 적용예에서, 결합되는 제2 커넥터(46)(도2)는 X 축(도1)을 따라 리셉터클 지지 조립체(40)와 결합된다. 결합 중, 리셉터클 지지 조립체(40)가 장착 포스트(52, 54)의 래치 후크(90b)에 의해 한정된 예비 장착 위치에 있으면서 (즉, 크러쉬 리브(86)의 어떠한 변형 전) 결합 커넥터(46)의 커넥터(48)의 단자는 내부 하우징(44)의 리셉터클(50) 내에 모듈형 커넥터의 단자와 상호 결합된다. 그러나, 전방 결합 방향으로 X 축을 따라 기구의 어떠한 과도한 이송이 있으면, 크러쉬 리브(86)는 이러한 과도한 이송을 수용하도록 변형 가능하여 주 지지 브래킷(30)에 리셉터클 지지 조립체(40)를 계속 견고히 장착한다.
크러쉬 리브(86)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착 구멍(36, 38) 내로 장착 포스트(52, 54)의 대체로 일정한 삽입력을 유지하기 용이하게 한다. 특히, 도15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크러쉬 리브의 두께뿐만 아니라 크러쉬 리브의 폭도 외부 브래킷(42)의 아암(66)을 향해 리브의 단부(86a)로부터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크러쉬 리브는 리브의 말단부(86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단면이 점차 감소되어 장착 구멍 내로 장착 포스트의 삽입력을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크러쉬 리브의 단면 치수의 이 점진적 감소는 또한 리브의 변형에 의해 초래된 소성 파편의 축적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크리쉬 리브의 단면 감소가 본 발명에 필요치는 않다. 어떤 응용에서는 크러쉬 리브의 단면은 일정한 치수로 유지되거나, 그 삽입 및 보유력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치수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장착 포스트(52)는 한쌍의 장착 포스트(54) 사이의간격보다 서로 더 가깝게 이격된다. 이는 도4 및 도9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2는 (장착 포스트(52)를 위한) 장착 구멍(36)이 (포스트(54)를 위한) 장착 구멍(38)보다 가까이 이격된 것을 도시한다. 이 간격 차의 목적은 이중 화살표(C)에 의해 지시되는 주형 방향으로 분리가능한 2개의 주형 부품들을 갖는 단순한 성형 장치에서 (도9의) U형 프레임부(62)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가이드 트랙(60), 래치 아암(72) 및 아암(66)의 말단부(66a)에서의 다른 부품들을 포함하는 프레임부(62)의 모든 세부는 측면 코어 없이 분리가능 2부품 주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9로부터 장착 포스트가 주형 방향 C 의 횡방향으로 서로 옵셋되어 어느 2개의 포스트들도 주형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음이 이해된다. 또한 도6에서 장착 포스트 모두의 휨 공간(92)은 주형 방향으로 개방되어 장착 포스트들이 프레임부(62)의 다른 부품들과 함께 단순한 2부품 주형과 함께 성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옵셋된 장착 포스트는 주 지지 브래킷(30)이 적절히 지향되도록 그에 대해 리셉터클 보유 조립체(40)를 극성화시키는 추가 목적을 달성한다.
도16 내지 도21은 리셉터클 보유 조립체(40)의 외부 브래킷 또는 프레임 구조물(42) 내에 장착된 내부 브래킷 또는 하우징(44)의 특정 구조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다. 더 자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44)은 외부 프레임 구조물(42)의 U형 프레임부의 (도7의) 가이드 트랙(60) 내로 활주하는 주연 플랜지(58)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44)은 정합 커넥터(46)의 (도2의) 보족 커넥터(48)와 결합하는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모듈형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한 3개의 리셉터클(50)을 갖는다. 내부 하우징(44)은 외부 프레임 구조물에 장착되어 리셉터클이 도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 구조물의 장착 개구(56)를 통해 돌출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내부 하우징(44)은 외부 프레임 구조물(42)내에 전체 내부 하우징과 그 모듈형 커넥터들을 장착하는 고유한 자기 정렬 장착 시스템을 갖는다.
더 자세하게는, 내부 하우징(44)은 리셉터클(50)을 한정하는 4개의 측벽(100) 각각으로부터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된 2개의 가요성 정렬 비임(98)을 포함한다. 가요성 정렬 비임은 외부 프레임 구조(42)의 장착 개구(56)의 4개의 모서리와 결합하도록 위치된다. 각 가요성 정렬 비임(98)은 고정 전방 단부(98a)와 해제가능하게 유지된 후방 또는 말단부(98b)를 갖는다. 고정 단부는 전방으로 간주되며, 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정렬 비임은 내부 하우징(44)의 전방 결합 단부(102)로부터 후방으로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되기 때문이다. 도21은 가요성 정렬 비임(98) 중 하나를 그 전방 단부(98a) 및 그 말단부(98b)와 함께 가장 잘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디텐트 수단이 하우징의 측벽(100)의 외측으로 이격된 비작동 상태에서 비임을 지지하기 위해 각 가요성 정렬 비임(98)과 내부 하우징(44) 사이에서 작동 관련되어, 비임은 보족 정합 커넥터(46)와 결합하는 동안 내부 하우징(44)의 자기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요성 상태로 릴리즈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각 가요성 정렬 비임(98)의 말단부(98b)는 도16과 도20 및 도21의 확대된 도시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44)의 주연 플랜지(58)의 각 개구(104) 내로 돌출한다. 한쌍의 디텐트 보스(106)가 각 개구(104)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개구 내로 연장되는 각 가요성 정렬 비임(98)의 말단부 뒤로 내측으로 돌출한다. 이 디텐트 보스(106)는 가요성 정렬 비임을 비작동(즉 휘어지지 않는) 상태로 보유한다. 정렬 비임은 조립중 그 비작동 또는 예비 로드 상태로 유지되어 내부 하우징(44)을 외부 프레임 구조물(42)의 장착 개구(56)내에 중심 설정되게 유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가요성 정렬 비임(98)을 그 비작동(즉 휘어지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여유 수단을 갖는다. 자세하게는 도20 및 도2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취성 또는 파손가능 웨브(108)가 각 가요성 정렬 비임(98) 및 내부 하우징(44) 사이에 일체로 성형된다. 취성 웨브가 개구(104)의 내부벽 및 정렬 비임의 말단부(98b) 외측에 위치된 것을 알 수 있다. 가요성 정렬 비임을 그 예비 로드 또는 비작동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할 때 파손가능 웨브는 파손되고 비임의 말단부는 하우징상의 부착으로부터 자유롭다. 조립중 비교적 무거운 배선 또는 배선 다발이 리셉터클(50) 내의 모듈형 커넥터에 부착되고, 이 부하는 내부 하우징(44)을 중심위치로부터 이동시키려 할 수 있다. 웨브(108)는 내부 하우징(44)이 배선 때문에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웨브가 정합 보족 커넥터(46)와 결합하기 전에 파손되면 디텐트 보스(106)가 가요성 정렬 비임을 그 비작동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정렬 비임이 예기치 않게 결합전에 위치로부터 벗어나면, 디텐트 보스(106)는 정렬 비임이 위치로, 즉 그 비작동 위치로 수동으로 스냅식 복귀되게 허용한다.
내부 하우징(44)을 정합 커넥터(46)에 결합시킬 때, 하우징 및 커넥터가 오정렬되어있으면 웨브(108)이 결합력에 의해 결합중 파손되고 가요성 정렬 비임(98)이 디텐트 보스(106) 뒤의 그 디텐트 또는 보유 위치로부터 벗어나, 정렬 비임은 자유로이 휠 수 있고 내부 하우징(44)은 (도2의) 정합 커넥터(46)와의 완전한 결합을 허용하도록 외부 프레임 구조물(42)의 장착 개구(56) 내에 자기 정렬될 수 있다. 하우징 및 커넥터가 결합전에 완전히 정렬되면 취성 웨브는 파손되지 않고 정렬 비임은 결합중 그 비작동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같은 조건하에서 비임의 휨 및 내부하우징의 자기 정렬은 필요치 않다.
마지막으로 도1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44)에는 보족 정합 제2 커넥터(46)와 래치 결합을 위해 하우징의 각 대향 단부에서 측벽(10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래치(100)가 제공된다. 도2는 정합 제2 커넥터상의 보족 래치(112)와 래치 결합하는 래치(110) 중 하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중심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그러므로 본 예 및 실시예는 모든점에서 예시적이고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간주되며, 본 발명은 주어진 상세한 사항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장착하는 새롭고 개선된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장착을 위한 프레임 구조물에 있어서,U형 형상에 의해 한정되는 프레임부의 개방 측면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조립체의 양 측면을 둘러싸는 한쌍의 대체로 평행한 아암을 갖는 대체로 U형의 제1 프레임부와,커넥터 조립체를 그 안에 포획하기 위해 제1 프레임부의 개방 측면을 폐쇄하는 제2 프레임부와,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프레임부들을 함께 보유하기 위해 U형 제1 프레임부의 아암의 자유 단부들과 제2 프에임부의 대향 단부들 사이의 보족 상호 결합 래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U형 제1 프레임부의 아암의 내부는 아암들 사이에서 제1 프레임부 내로 삽입된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분들을 활주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 트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아암은 가이드 트랙 내로 커넥터 조립체의 상기 일부분들을 안내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아암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U형 제1 프레임부의 아암들의 자유 단부와 제2 프레임부의 대향 단부들 사이의 보족 상호 결합 이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수단은 아암을 상기 소정의 간격을 향해 외측으로 바이어스하도록 상기 아암의 내부면과 결합하기 위해 제2 프레임부의 대향 단부에서 한 쌍의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수단은 아암을 상기 소정의 간격을 향해 내측으로 바이어스하도록 상기 아암의 외부면과 결합하기 위해 제2 프레임부의 대향 단부에서 한쌍의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수단은 아암을 상기 소정의 간격을 향해 외측으로 바이어스하도록 상기 아암의 내부면과 결합하기 위해 제2 프레임부의 대향 단부에서 제2 쌍의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프레임부들 중 하나의 캔틸레버식 가요성 래치 아암과, 다른 프레임부의 래치 아암을 위한 과응력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장착하는 프레임 구조물에 있어서,U형 형상에 의해 한정되는 프레임부의 개방 측면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조립체의 양 측면을 둘러싸는 한쌍의 대체로 평행한 아암을 갖는 대체로 U형의 제1 프레임부와,커넥터 조립체를 그 안에 포획하기 위해 제1 프레임부의 개방 측면을 폐쇄하는 제2 프레임부와,아암들 사이의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U형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사이의 보족 상호결합 이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수단은 아암을 상기 소정의 간격을 향해 외측으로 바이어스하도록 상기 아암의 내부면과 결합하기 위해 제2 프레임부상의 한 쌍의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수단은 아암을 상기 소정의 간격을 향해 내측으로 바이어스하도록 상기 아암의 외부면과 결합하기 위해 제2 프레임부상의 한쌍의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수단은 아암을 상기 소정의 간격을 향해 외측으로 바이어스하도록 상기 아암의 내부면과 결합하기 위해 제2 프레임부상의 제2 쌍의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8/924,854 | 1997-09-05 | ||
US08/924,854 US5944560A (en) | 1997-09-05 | 1997-09-05 | Frame structure for mounting an electrical connector |
US08/924,854 | 1997-09-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9531A true KR19990029531A (ko) | 1999-04-26 |
KR100308624B1 KR100308624B1 (ko) | 2001-11-30 |
Family
ID=2545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36445A KR100308624B1 (ko) | 1997-09-05 | 1998-09-04 | 전기커넥터장착용프레임구조물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944560A (ko) |
EP (1) | EP0901199B1 (ko) |
JP (1) | JP3025959B2 (ko) |
KR (1) | KR100308624B1 (ko) |
DE (1) | DE69823759T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4324A (ko) * | 2016-12-12 | 2019-07-16 |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 2개의 개폐기 캐비닛 프레임워크의 연결을 위한 연결 조립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76963B1 (en) * | 2000-04-19 | 2001-08-21 | Molex Incorporated | Adapter frame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s |
US7878798B2 (en) * | 2006-06-14 | 2011-02-01 | John Zink Company, Llc | Coanda gas burner apparatus and methods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52396A (en) * | 1978-12-08 | 1981-02-24 | Thomas & Betts Corporation | Connector with flat cable guides |
US4436361A (en) * | 1981-11-20 | 1984-03-13 | Amp Incorporated | Hermaphroditic back shell cover |
DE3738593A1 (de) * | 1987-11-13 | 1989-05-24 | Grote & Hartmann | Vielpolige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
DE8904564U1 (de) * | 1989-04-11 | 1990-05-10 |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 Zentriereinrichtung für steckbare elektrische Baugruppen |
JP3283378B2 (ja) * | 1994-06-06 | 2002-05-20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車両用コネクタ配設構造 |
JP2962156B2 (ja) * | 1994-08-09 | 1999-10-12 | 住友電装株式会社 | 分割式コネクタ |
-
1997
- 1997-09-05 US US08/924,854 patent/US594456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
- 1998-08-29 DE DE69823759T patent/DE69823759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8-29 EP EP98116403A patent/EP090119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9-04 JP JP10289941A patent/JP302595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9-04 KR KR1019980036445A patent/KR10030862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4324A (ko) * | 2016-12-12 | 2019-07-16 |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 2개의 개폐기 캐비닛 프레임워크의 연결을 위한 연결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11191460A (ja) | 1999-07-13 |
DE69823759T2 (de) | 2005-05-04 |
KR100308624B1 (ko) | 2001-11-30 |
JP3025959B2 (ja) | 2000-03-27 |
DE69823759D1 (de) | 2004-06-17 |
US5944560A (en) | 1999-08-31 |
EP0901199A3 (en) | 2000-09-06 |
EP0901199A2 (en) | 1999-03-10 |
EP0901199B1 (en) | 2004-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04962B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KR100255469B1 (ko) | 개선된 래칭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 |
KR100804999B1 (ko) |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 | |
US5435742A (en) |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 |
US5651697A (en) |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 |
US6929489B2 (en) | Electric junction box | |
KR100288724B1 (ko) | 전기 커넥터용 자체 정렬식 커넥터 시스템 | |
CA2394887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overmolded and snap locked pieces | |
US5893768A (en) | Self-aligning connection system | |
WO2006028592A1 (en) | Improved latch for electrical connectors | |
KR100288725B1 (ko) | 전기 커넥터 조립체 장착 시스템 | |
US4813885A (en) | Wiring harness connector retainer | |
EP0994533A1 (en) | Connector system with polarizing key mechanism | |
US6139346A (en) | Panel mounted connector assembly | |
US5620333A (en) | Electrical connector strain relief hood | |
US6174185B1 (en) | Panel mounted connector | |
KR100308624B1 (ko) | 전기커넥터장착용프레임구조물 | |
US7081013B2 (en) | Structure of removable electrical connector | |
AU2003204259A1 (en) |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826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