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216U -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 - Google Patents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216U
KR19990029216U KR2019970041871U KR19970041871U KR19990029216U KR 19990029216 U KR19990029216 U KR 19990029216U KR 2019970041871 U KR2019970041871 U KR 2019970041871U KR 19970041871 U KR19970041871 U KR 19970041871U KR 19990029216 U KR19990029216 U KR 199900292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mirror
wing
driver
rear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무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1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216U/ko
Publication of KR19990029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216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에 관한 것이고, 본 고안은 운전자가 리어범퍼에 근접된 물체 확인시 스포일러(12)의 날개부(15)를 스위치(23)조작에 따른 모터 구동수단(14)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날개부(15)에 구비되는 미러(18)를 통해 리어범퍼에 근접된 물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한 후방시야를 확보하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
본 고안은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후방의 트렁크 리드에 구비되는 스포일러를 통해 운전자가 근접된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Mirror mounting spoil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정지상태에서 운전자가 후진 이동시 사이드 미러 또는 인사이드 미러를 통해 후방시야를 확보한 후 안전이 확인되면 후진을 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는 근접된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없어 조바심이 느껴질 경우 경적을 울리거나 또는 하차하여 주위를 살핀후에 후진을 하였다.
그리고, 차량후방의 트렁크 리드 상면에 차량 주행에 따른 공기저항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된 스포일러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스포일러로 인해서 후방시야가 더욱 좁혀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후진시킬 경우, 리어범퍼에 근접된 물체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채 운행하여 물품 파손 및 인명피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또한 주차시 타차량의 범퍼와 부딪히는 사례가 자주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 후방에 설치되는 스포일러를 통해 운전자가 리어범퍼에 근접된 물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한 후방시야를 확보하도록 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스포일러를 나타낸 상세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트렁크 리드 12: 스포일러 13: 회동부재 14: 모터 구동수단 15: 날개부 16: 지지브래킷 17,19: 힌지 18: 미러 20: 가이드 홀 21: 래크기어 22: 피니언기어 23: 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와 하단부가 트렁크 리드 좌우 양단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상기 날개부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브래킷으로 이루어진 스포일러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가 후방일측을 중심으로 모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되, 상기 날개부의 저면에는 미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일러를 통해 운전자가 후방시야를 확보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일러의 날개부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트렁크 리드(11)와, 스포일러(12)와, 회동부재(13), 및 모터 구동수단(14)으로 구성된다.
차량 후방에는 트렁크 룸을 개폐시키는 트렁크 리드(11)가 구비되고, 상기 트렁크 리드(11)의 후방 상측면에는 스포일러(12)가 구비되며, 상기 스포일러(12)는 수평상태의 날개부(15)와 이를 고정시키는 지지브래킷(16)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브래킷(16)은, 상기 트렁크 리드(11)의 좌우단에 하단부가 각각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날개부(15)가 차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되, 양쪽 저면이 각각 후방 일측의 힌지(17)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15)의 저면 중간부분에는 미러(18)가 부착되며, 좌우 단부중 한 쪽 일측단에는 회동부재(13)의 일단이 힌지(19) 고정되며, 타측단은 상기 트렁크 리드(11)에 형성되는 가이드홀(20)을 통과하여 트렁크 리드(11) 내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또한, 연장된 상기 회동부재(13)의 하측부 일면에는 래크기어(21)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래크기어(21)에는 피니언기어(22)가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22)는 모터 구동수단(14)에 의해 정역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구동수단(14)은 차실내에 장착되는 스위치(23) 조작에 따라 작동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20)은 슬라이드 이동되는 회동부재(13)을 슬라이드 지지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른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운전자가 후방으로 차량을 후진시킬 경우, 차실내에 구비된 스위치(23)를 온 시킨다.
그러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터 구동수단(14)이 피니언기어(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동시에 서로 결합된 래크기어(21)가 직선 이동되면서 일체로된 회동부재(13)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연속해서 상기 회동부재(13)와 연결된 스포일러(12)의 날개부(15)는 상기 회동부재(13)의 밀림에 의해 힌지(17)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운전자가 인사이드 미러를 주시하게 되면 날개부(15)의 미러(18)를 통한 반사각으로 리어범퍼와 근접된 후방물체를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차량을 정상으로 진행하고자 하면, 스위치(23) 오프 즉, 하강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상기와 역순으로 모터 구동수단(14)이 피니언기어(22)를 역회전시켜 회동된 상기 스포일러(12)의 날개부(15)를 회동부재(13)가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는, 운전자가 리어범퍼에 근접된 물체 확인시 스포일러의 날개부를 스위치 조작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날개부에 구비된 미러를 통해 운전자가 리어범퍼에 근접된 물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운전자의 안전한 후방시야를 확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와 하단부가 트렁크 리드 좌우 양단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상기 날개부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브래킷으로 이루어진 스포일러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향 이동시 상기 날개부가 후방일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형성되는 래크기어와; 상기 래크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수단; 그리고, 상기 날개부 저면에 부착되는 미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
KR2019970041871U 1997-12-29 1997-12-29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 KR199900292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871U KR19990029216U (ko) 1997-12-29 1997-12-29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871U KR19990029216U (ko) 1997-12-29 1997-12-29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216U true KR19990029216U (ko) 1999-07-15

Family

ID=6969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871U KR19990029216U (ko) 1997-12-29 1997-12-29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21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520B2 (en) Powered step device of motor vehicle
US4756568A (en) Rear windowpane wiper stowage
US5074612A (en) Spoiler arrangement on the rear of a motor vehicle
KR200225900Y1 (ko) 자동차의 자동 출몰식 사이드밀러
KR19990029216U (ko)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가 부착된 스포일러
KR0130673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 레일 구조
JPH0348048B2 (ko)
JPH0769067A (ja) 車両用の進退式ヒサシ
JPH05105033A (ja) ワイパ格納装置
KR890002738Y1 (ko) 자동차의 백미러
KR100450010B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200147928Y1 (ko) 자동차용 리어도어의 가니쉬에 구비되는 디플렉터
JPH01237243A (ja) 車両の可動カウルカバー
KR960004748Y1 (ko) 자동차용 전동 후사경의 구조
KR100387846B1 (ko) 자동차의 리어 언더 미러
JPS6212480A (ja) 自動車のリヤエアスポイラ
JPS641165Y2 (ko)
JPH0318278Y2 (ko)
KR980001658A (ko) 차량의 승하차시 머리 충돌 방지장치
KR200200844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자동 제어장치
JPS641889Y2 (ko)
KR100527939B1 (ko) 후사경 일체형의 이동식 스포일러
KR100622730B1 (ko) 차량의 트렁크 개폐구조
KR950002988Y1 (ko) 지프차용 자동개폐 커버
KR200151409Y1 (ko) 화물차용 루프 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