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682A - 실 공급기 - Google Patents

실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682A
KR19990028682A KR1019970710005A KR19970710005A KR19990028682A KR 19990028682 A KR19990028682 A KR 19990028682A KR 1019970710005 A KR1019970710005 A KR 1019970710005A KR 19970710005 A KR19970710005 A KR 19970710005A KR 19990028682 A KR19990028682 A KR 19990028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eal
feeder
extension arm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1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3026B1 (ko
Inventor
라스 헬게 고트프리드 쏠란더
에곤 요한슨
토마스 버그만
Original Assignee
브롬 스티그-아르네
아이알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롬 스티그-아르네, 아이알오 에이비 filed Critical 브롬 스티그-아르네
Publication of KR1999002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20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 B65H51/22Reels or cages, e.g. cylindrical, with storing and forwarding surfaces provided by rollers or ba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4Yarn braking means acting on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02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delivery of material from supply package
    • B65H59/06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delivery of material from supply package by devices acting on material leaving the packag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4Yarn braking means acting on the drum
    • D03D47/366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하우징 연장부(2,2a)내에 실 브레이킹 고정기(H)를 가지는 실 공급기(F)는 실 브레이킹 본체(4)의 고정기(5)에 대한 지지부(6a)와, 원통형 피스톤(6b)을 포함하는 운동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 구동부는 실 브레이킹 본체(4)를 실린더(7)내에서 브레이킹 위치와 실 공급기(F)의 저장 본체(3)로부터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운동할 수 있게 한다. 피스톤(6b)은 지지부(6a)상에서 지지용 본체(6a)의 일체화된 안내 요소로서 배치된다. 연장부에 일체화된 안내 궤도(10)와 맞물리는 최소한 하나의 안내 노즈(9)는 피스톤 축(X)으로부터의 횡단 거리로써 회전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실 공급기
EP 0 446 447 A1 으로부터 공지된 실 공급기에서, 지지용 본체는 압축 공기/실린더/피스톤 장치에 의해 연장 아암내에서 운동할 수 있는 가동 슬라이드(movable slide)이다. 스프링은 실린더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압축 공기 작용에 반대인 방향으로 피스톤에 작용한다. 피스톤 로드는 힌지를 경유하여 조절 스크류에 연결되며, 이 조절 스크류는 연장 아암의 안내 궤도에서 지지되고 피스톤으로부터 분리된 가동 슬라이드에 고정되었던 것이다. 가동 슬라이드는 실 브레이킹(braking) 본체의 고정기를 안내하는데, 이것은 가동 슬라이드에 대하여 조절 스크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가동 슬라이드를 연장 아암과 가동 슬라이드상의 고정기내에서 안내하는데는 커다란 구조상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 실 재료를 쌓아 두는데 따라 발생되는 심각한 오염, 작동중에 약간 진동하는, 실 브레이킹 본체를 저장 본체상에서 지지하는 것에서의 상대적으로 큰 반발력, 여러개의 안내 궤도에서의 회피될 수 없는 마모, 고정 장치의 다중 부품 구조 및, 정확하게 재생 가능한 브레이킹 위치의 재생과 함께 실 브레이킹 본체의 용이한 조절의 필요성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그러한 문제들 때문에 갭의 위치 그리고/또는 브레이킹 위치는 소정의 방법으로 조절될 수 없다. 더욱이, 다용도의 고정 장치는 상당한 구조상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 장치가 제조 및 조립의 측면에서 단순하고, 몇개의 부품으로만 구성되며, 빈번한 조절 작업 및 드문 조절 작업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실 브레이킹 본체의 소정 위치가 신뢰성있게 보장될 수 있는, 상기 언급된 형태의 실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 범위 제 1 항의 특징으로써 달성된다.
고정 장치는 제조 (산업적인 규모의 제조) 및 조립의 측면에서 단순하며 작업하는 동안에 확고하다. 이것은 수개의 부품으로만 구성되며 상대적으로 작은 구조상의 공간만을 필요로 한다 (집약적인 디자인). 회전 방지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안내 노즈(nose)와 피스톤에 의해 실 브레이킹 본체는 매우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안내하고 위치를 잡아주며, 반발력은 넓은 표면과 상당한 길이에 걸쳐서 전달되고, 유리한 레버 아암이 연장 아암내로 들어간다. 실 브레이킹 본체는 장시간의 작동 수명에 걸쳐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실 브레이킹 본체의 소정 위치는 빈번하고 그리고 드문 조절 주기에서 신뢰성 있게 도달된다. 고정 장치는 실 공급기에서 보편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바, 자동 조절(압축 공기에 의한 피스톤의 작용)이 실의 쓰레딩(threading) 및, 실 브레이킹 본체의 교환을 위해서 수행되는 실 공급기에서와, 단지 수동 조절만이 필요한 실 공급기에서 그 어떤 현저한 수정 없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수동으로 작동되는 버젼에서는 피스톤이 지배적인 안내 기능을 가지며, 실린더 내에 있는 피스톤의 안내 부분은 오염에 대해서 잘 보호되는 반면에, 자동 버젼의 피스톤은 부가적으로 구동 기능을 맡고 있다. 필요하다면 하나 또는 수개의 시일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자가 윤활 특성을 가진 결합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것은 피스톤 및/또는 실린더의 테프론 커버(cover)와 같은 것이다. 피스톤은 실 브레이킹 본체의 안정적인 안내 및 장착과 관련된 지지용 본체를 가진 장치를 형성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스톤은 분리된 구성 요소로서 제작되어야만 하고 지지용 본체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연장 아암내의 실린더의 일체형 디자인 덕분에, 제조가 단순화되고 실 브레이킹 본체의 정확한 안내가 이루어진다.(청구 범위 제 2 항)
청구 범위 제 3 항에 따른 구현예는 제조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특히 산업적인 규모의 제조에 대하여, 사출 성형은 고도로 정확한 형상과 치수를 보장하는 적절한 기술이다.
청구 범위 제 4 항에 따르면, 피스톤은 조절 스크류로 조절되었던 실 브레이킹 본체의 각 브레이킹 위치로 스프링에 의해 안내된다. 고정기는 상기의 작동중에 더 이상 지지 본체에 대하여 조절되거나 안내될 필요가 없지만, 지지 본체에 의하여 이것을 위해 예정되었던 위치를 취하게 되며, 이러한 위치는 조절 스크류 너트의 위치에 의해 정해지고 필요하다면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스프링도 브레이킹 위치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적극적인 부(副) 효과로서, 동시에 변환되어야하는 조절 스크류 없이 고정기는 스프링에 대하여 손으로 급속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부품을 절감하도록, 스프링과 조절 스크류 너트가 단순화된 버젼에서는 생략될 수 있으며, 조절 스크류가 피스톤에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안정적이고, 특히 넓은 지지부가 제 5 항에 따른 구현예에서 획득될 수 있다. 구조상의 공간이 저장 본체의 축에 기초하여 반경 방향으로 절감될 수 있으며, 고정 장치의 집약적인 디자인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센서등과 같은 실 공급기의 추가의 구성 요소들이 연장 아암내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공간이 만들어진다.
제 6 항에 따른 구현예는 구조상으로 단순하다.
제 7 항에 따른 구현예에서, 조절 스크류 너트의 회전 방향 록킹과 축방향 가동성은 관형 부분의 단면을 통해서 구조적으로 단순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제 8 항에 따른 구현예에서, 추가적인 구조상의 공간이 낭비됨이 없이 바람직스럽게 긴 스프링이 수용될 수 있다. 길고 중심에 수용된 스프링은 실 브레이킹 본체가 신뢰성 있게 항상 브레이킹 위치로 다시 복귀하는 것을 보장한다. 조절 슬리이브는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실 브레이킹 본체의 운동을 허용하며, 이것은 예를 들면 실을 쓰레딩하는 갭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또는 실 브레이킹 본체를 대체하는 운동과 같은 것이다.
실 브레이킹 본체가 조절 슬리이브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되는 제 9 항의 구현예는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기능에 있어서 신뢰성이 있으며 튼튼하다. 조절 슬리이브에 필요한 회전 양력, 실 브레이킹 본체의 이동 양력 및, 조절력은 안내 홈의 형상 및 길이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연결용 요소를 조절 슬리이브에 장착하고 연장 아암내의 회전 장착부내로 안내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0 항에 따르는 구현예에서는 균일한 조절이 가능하다. 안내 홈의 일 단부 또는 양단부에 간편하게 제공된 제한 부분(blocking section)은 조절 슬리이브를 제한할 수 있으며, 이는 축방향 힘의 작용하에서만 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안내 홈으로부터 차단 부분으로의 개별적인 천이부를 계단식으로 디자인함으로써, 조절 슬리이브의 회전 핸들에서 연결 요소가 차단 부분으로 들어갔는지의 여부를 명확하게 느낄 수 있다.
조절 스크류는 제 11 항에 따른 구현예에서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다. 회전 잠금부는 민감하게 제어된 조절 스크류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조절 스크류 또는 조절 슬리이브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2 항의 구현예에서, 실 브레이킹 본체의 피봇 운동이 가능하다. 회전 핀은 견고하게 지지된다.
제 13 항에 따른 구현예에서, 압축 공기에 의하여 실 브레이킹 본체가 갭의 위치로 자동 조절되는 것이 제공된다. 다음에, 피스톤에 작용하는 스프링에 의해 재설정 작동이 수행된다. 조절 운동과 함께 조절 스크류가 운동하지는 않으며, 이는 조절 스크류 너트가 피스톤내에서 변위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작은 운동 저항에 기여한다.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디자인의 경우에, 압축 공기의 공급은 스프링의 작용하에서 피스톤에 의해 변위된 공기가 저항 없이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제 14 항에 따른 구현예는 특히 유리한 것인데, 여기에서 실 브레이킹 본체는 갭 또는 교환 위치에 고정되고, 스프링의 작용 또는 심지어 감압중인 피스톤의 공압 작용하에서 실수에 의해 브레이킹 위치로 의도되지 않게 복귀하지 않는다.
제 15 항에 따른 변형예는 차단 장치와 맞물리거나 그리고/또는 해제되는 것을 수동으로 조작하여야만 하는 반면에, 제 16 항의 구현예에서는 실 브레이킹 본체의 운동에 의해 맞물리거나 또는 해제되는 것이 차단 장치뿐이다. 차단 장치와 맞물리기 위하여 (손 또는 피스톤의 공압 작용에 의해) 실 브레이킹 본체를 소정 위치로 운동시킬 필요가 있을 뿐이다. 차단 장치의 해제는, 스프링이 실 브레이킹 본체를 브레이킹 위치로 복귀시키기 이전에 (손 또는 피스톤의 공압 작용에 의한) 약간의 추가 운동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형태의 실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실 브레이킹 본체에 대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실 공급기를 통하는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 공급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 공급기의 다른 구현예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과 3 의 축(11) 평면에서의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는, 실 브레이킹 본체(4)에 대한 고정 장치(H)가 제공된 실 공급기(F)의 두가지 구현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외관과 크기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의 실 공급기(F)에서, 하우징(1)은 연장 아암 단부 부재(2a)를 가지는 연장 아암(2)상에 배치되며, 이것은 저장용 본체(3)을 지나서 길이 방향 축에 대략 평행하도록 저장용 본체(3)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하우징(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연장된다. 환형 실 브레이킹부(B)의 실 브레이킹 본체(4)는 도 1에서 브레이킹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며, 저장용 본체(3)와 통상적인 방식으로 함께 작용한다. 실 브레이킹 본체(4)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아니한 방식으로 포크 형상인 고정기(5)상에 배치되며 지지 본체(6a)에 지지된다. 고정기(5)는 지지용 본체(6a)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도 1), 또는 연장 아암(2,2a)의 길이 방향에서 지지용 본체(6)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저장용 본체(3)에 대하여 대략 반경 방향인 축(11)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지지용 본체(6a)는 실린더형 피스톤(6b)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스러우며, 상기 피스톤은 지지용 본체(6a)로부터 하우징을 향해서 돌출하며 연장 아암(2,2a)내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7)내에 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실린더(7)는 압축 공기의 공급부(8)를 포함하며, 필요하다면 여기에 압축 공기원이 연결될 수 있다.
연장 아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부(10)내로 결합되는 안내 노즈(9)는 지지용 본체(6a) 및/또는 피스톤(6b)상에 피스톤 축(X)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제공된다. 안내 노즈(9)를 연장 아암내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안내 노즈(guide nose)가 지지용 본체(6a) 또는 피스톤(6b)의 안내부와 맞물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따르면, 피스톤 축(X)은 브레이킹 본체(4)의 중앙 평면(M)의 일측에 배치되는 반면에, 안내 노즈(9)와 길이 방향 가이드(10)는 이러한 중앙 평면의 다른 측에 위치한다. 이것은 반경 방향으로 거의 작은 구조상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안내부를 초래하며, 중앙 평면(M)에 대하여 바람직한 레버 아암을 가지는 실 브레이킹 본체를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피스톤(6b)은 관형의 형상을 가지며 축방향 정지부(12)를 형성하는 횡방향 벽이 내측에 제공된다. 횡방향 벽에는 통공이 제공되며, 이것은 조절 스크류(13)의 나사화된 부분(15)에 의해 통과된다. 피스톤(6b)의 관형 부분(17)은 이것의 단면이조절 스크류 너트(16)의 원주 형상에 대하여 적합화되어 있으며, 조절 스크류 너트는 관형 부분(17)내에서의 회전에 대하여 고정되지만 피스톤 축(X)의 방향으로는 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감쇄 및 시일용 O 링(18)은 조절 스크류 너트(16)와 축방향 정지부(1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축방향 정지부(12)의 다른 편에는 편향된 코일 스프링(19)이 지지되어 있으며, 이것은 지지용 본체(6a)를 통과하여 피스톤(6b)내로 관통하여 도 1의 구현예 내에 안착되며, 이것의 다른 단부는 조절 스크류(14)를 지지하는 조절 슬리이브(21)에 있게 된다. 조절 슬리이브(21)는 연장 아암 단부 부재(2a)의 회전 장착부(20)내에서 피스톤 축(X)에 대하여 동축선상으로 회전 가능하며, 확대된 헤드 부분(22)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돌출한다. 조절 슬리이브(21)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반전시키는 핸들(23)은 헤드 부분(22)에 제공된다. 조절 스크류(13)의 헤드(14)는 회전 노브(17)내에 고정되며, 이것은 깔쭈기 형상으로 가공되어 회전 잠금부(28)가 중첩된 상태로 헤드 부분(22)에 지지된다. 회전 잠금부(28)는, 예를 들면, 스프링의 부하를 받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이 잠금 부재는 헤드 부분(22)내에 제공된 잠금용 요부와 함께 작용한다.
조절 슬리이브(21)에는 외측 원주상에 최소한 하나의 경사진, 예를 들면, 나선과 같은 안내 홈(25)이 제공되며, 이 안내 홈은 양 단부에서 경계가 설정되며, 핀으로서 설계되어 연장 아암 단부 부재(2a)내에 배치된 연결 요소(24)에 의해 연결된다. 안내 홈(25)에는 양 단부에 차단 부분(25a)이 유리하게 제공되며, 차단 부분은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고, 축방향 압력하에서 조절 슬리이브(21)의 축방향 변위가 불가능하게 될때 연결 요소(24)에 의해 그 안으로 각각 들어가게 된다. 조절 스크류(13)는 조절 슬리이브(21)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유지 요소(R)를 지니는데, 실 브레이킹 본체(4)의 반발력은 이러한 유지 요소를 가로질러 조절 슬리이브(21)로 전달되며 상기 슬리이브로부터 연결 요소(24)와 연장 아암(2,2a)으로 전달된다.
연장 아암 단부 부재(2a)는 확대된 벽(30)을 포함하며(도 2), 저장용 본체의 축에 대하여 동축선상의 실 구멍(29)을 포함한다. 단부 부재(2a)는 도면 번호 31에서 연장 아암(2)에 고정된다.
피스톤(6b)이 그 위에 성형되고 안내 노즈(9)를 가지는 지지용 본체(6a)의 단면은 도 4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축방향 정지부(12)를 가지는 피스톤(6b)은 축(11)의 일편 또는 중앙 평면(M)에 위치하는 반면에, 안내 노즈(9)는 반대편에 성형된다.
통공(35)은 고정기(5)를 지지용 본체(6a)상에서 선회 가능하게 장착하는 주축 핀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며, 이것은 도 3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에서 실 브레이킹 본체(5)는 브레이킹 위치에 있으며, 여기에서 이것은 소정의 축방향 힘으로 저장용 본체(3)상에 축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위치는 축방향 정지부(12)상에서 정지되는 조절 스크류 너트에 의해 정해지거나, 훨씬 더 간편하게, 스프링(19)의 힘과 실 브레이킹 본체(4)의 탄성 반발력 사이에서 힘의 평형에 의해 정해진다. 축방향 정지부(12)가 도 1의 위치에서 조절 스크류 너트(16)상에 안착될때, 피스톤(6b)은 실 브레이킹 본체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기도록 회전 노브(27)로써 조절 스크류(13)를 해제시킴으로써 왼쪽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다. 대조적으로, 조절 스크류(13)가 죄어질때, 피스톤(6b)은 실 브레이킹 본체(4)의 접촉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조절 스크류 너트(16)를 경유하여 우측으로 더 이끌리게 된다.
예를 들면 실을 쓰레딩하거나 또는 실 브레이킹 본체(4)를 교체하기 위하여 실 브레이킹 본체(4)를 저장 본체(3)에 대한 갭 위치로 이동시키려면, 회전 핸들(22)이 작동되고 조절 슬리브(21)가 회전됨으로써, 연결 요소(24)의 연결 덕분에 조절 슬리이브(21)는 도 1에서 우측으로 이끌리며, 조절 스크류(13)를 따라서 회전 노브(27)를 경유하여 운반하며, 조절 스크류(13)는 지지용 본체(6a)와 실 브레이킹 본체(4)가 조절 스크류 너트(16)를 경유하여 갭의 위치에 있도록 피스톤(6b)을 전달하게 된다. 안내 홈(25)의 행로는 자동의 잠금 작용이 존재하고 실 브레이킹 본체(4)의 그 어떤 원하는 위치도 자동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연결 요소(24)가 좌측에서 차단 부분(25a)으로 진입하게 하는 범위로, 유리하게는 약 절반의 회전 범위로 조절 슬리이브(21)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 브레이킹 본체(4)를 브레이킹 위치로 복귀시키려면, 회전 핸들(23)은 다른 방향으로 작동되며, 조절 슬리이브(21)는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이동된다.
도 1에 따른 실 공급기(F)는, 필요할 경우, 실 브레이킹 본체(4)의 자동 조절용으로 장비를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압축 공기 공급부(8)가 그에 압축 공기원을 연결하며, 압축 공기는 작용시에 피스톤(6b)에 작용하여 고작해야 조절용 슬리이브(21)상의 정지부까지 스프링(19)의 힘에 반하여 피스톤(6b)을 변위시킨다. 조절 스크류(13)는 그 위치를 유지한다. 조절 스크류 너트(16)는 관형 부분(17)내에서 변위된다. 피스톤(6b)에 적용된 압력이 감소되었을때, 스프링(19)은 피스톤(6b)을 압박하며 따라서 지지용 본체(6a)와 실 브레이킹 본체(4)가 브레이킹 위치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실 브레이킹 본체의 교체를 위한 보다 큰 공간을 휙득하려면,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조절 슬리이브(21)가 회전될 수도 있다.
도 3에 따른 실 공급기(F)의 구현예는 고정 장치(H)를 포함하며, 이것은 (압축 공기 공급원(8)내에 삽입된 연결 부재(8a)로부터의 피스톤(6b)에 대한 압축 공기의 작용 덕분에) 자동 형태일 수 있으며, 또한 (고정기(5)에 작용하는 손에 의한) 수동 조절용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커버 캡(6c)이 피스톤(6b)내에 부가적으로 제공된다. 카운터 너트(16a)는 조절 스크류(13)상에 장착된다. 조절 스크류(13)는 축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지만 회전은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 요소(R)(예를 들면 스냅 링)에 의해 연장 아암(2)의 단부 부재(2a)내에 고정된다. 회전 노브(27)는 우측에 제공된 단부 부재(2a)의 단부면과 함께 작용하는데, 이것은 회전 잠금부(28)에 대한 잠금 요부가 그 안에 성형되었던 것이다. 스프링(19)은 이것의 우측 단부가 단부 부재(2a)의 대응면(32)상에 직접적으로 있도록 지지된다. 고정기(5)는 지지용 본체(6a)내에서 주축 핀(33)으로써 축(11)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피스톤(6b)에 작용하거나 또는 고정기(5)상에 끌어당김으로써 조절되는 갭(gap) 또는 교환 위치에 있는 피스톤(6b)을 가지는 지지용 본체(6a)를 스프링(19)의 힘에 반하여 차단하기 위한 차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차단용 장치(C)에 대하여, 차단용 부재(미도시)를 활성화시키는 수동 작동의 맞물림 또는 해제용 요소(34)가 도시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용 부재는 스프링의 부하에 반해 맞물리거나 또는 스프링의 부하 아래에서 해제될 수 있으며, 지지용 본체(6a)의 정지부(미도시) 뒤에서 죈다.
차단용 장치(C)는 실 브레이킹 본체(4)가 갭 또는 교환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구속 요소(34)상에 가압됨으로써 작동되는 방식으로 유리하게 설계된다. (도시되지 아니한) 차단 요소는 피스톤(6b)상의 작용에 의하거나 또는 고정기(5)상의 수동으로 끌어당기는 새로운 운동에 의해 다시 해제되며, 맞물림 및 해제 요소(34)는 도시된 위치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
도 3의 일체로 성형된 피스톤(6b)을 가지는 지지용 본체(6a)는 축(11)의 평면에 있는 단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통공(35)은 주축 핀(33)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차단용 장치(C)가 맞물리는 어깨부는 도면 번호 36 에서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실 브레이킹 본체(4)를 안내하고 지지하는 가능한 한 큰 레버 아암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내 노즈(9)는 피스톤 축(X)의 반대편에서 중앙 평면(M)의 측에서 연장 아암(2)의 안내부(10) 내로 맞물린다. 수동으로 작동되는 차단 장치(C) 대신에, 래치트 메커니즘(ratchet mechanism) 또는 인덱싱(indexing) 수단의 방식으로 자동 작동되는 차단 장치가 도 3 에 따르는 실 공급기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도 1에 따르는 실 공급기(F)에도 제공되며), 지지용 본체(6a)와 피스톤(6b)으로 구성된 장치가 대응적으로 큰 범위로 조절될때마다 자동적으로 작용하는 차단 장치가 작동되어 지지용 본체(6a)를 실 브레이킹 본체(4)의 갭 또는 교환 위치내에 유지시킨다. 자동 차단 장치를 해제시키려면, 피스톤(6b)상에서 갱신된 작용에 의하거나 차단 장치를 자동적으로 해제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도 3 의 고정기(5) 위에서 우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지지용 본체(6a)와 피스톤(6b)으로 구성된 장치가 운동의 동일한 방향으로 더욱 운동하여야만 한다. 그러한 경우에, 실 브레이킹 본체(4)는 스프링(19)의 작용하에서 다시 브레이킹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도 1의 구현예에서, 조절 스크류(13)가 그 나사가 형성된 부분(15)으로써 축방향 정지부(12)를 형성하는 피스톤(6b)의 횡단 벽내로 직접적으로 나사 체결된다면, 스프링(19)과 조절 스크류 너트(16)는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 단순히 고정기(5)상에서 끌어당김으로써 실 브레이킹 본체(4)를 조절하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며, 피스톤(6b)은 공압적으로도 더 이상 작용될 수 없을 것이다.
지지용 본체(6a)와 피스톤(6b)으로 구성된 장치는 제조의 측면에서 기술적으로 유리하며, 이것은 상대적으로 작은 노력으로 실린더(7)와 피스톤(6b) 사이에서의 적절한 맞물림이 달성될 수 있고, 안내 노즈(9)가 연장 아암(2)의 안내부(10)내로 구속되는 것에 기인하여 실질적으로 아무런 유동(遊動)없이 회전 잠금에 저항하는 작용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장 아암(2)내에 일체로 성형된 원통형 실린더(7)와 원통형 피스톤(6b)과의 협력은, 안내 노즈(9)와 안내부(10)와의 협력과 마찬가지로, 즉, 어떠한 실질적인 마모도 없고 무엇보다도 고장으로부터 발생되는 어떠한 위험도 없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의 고장은 이러한 실 공급기에서 커다란 정도로 마주치게 되는 실 재료, 먼지 및, 조면과 같은 불순물의 적층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다. 더군다나, 실린더내로 도입되어야만 하는 것은 피스톤 뿐이고 안내 노즈는 안내부로 도입되기 때문에, 조립이 단순하다. 도 1의 구현예에서, 지지용 본체(6a)와 함께 나사 결합된 피스톤(6b)과 조절 스크류(13)를 가지는 조절용 슬리이브(21)는 미리 제작될 수 있다. 고정기는 이후에 지지용 본체(6a)상의 연장 아암(2)내에서 상부로부터 개구부를 통해서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 공급기는 고정 장치가 제조 및 조립의 측면에서 단순하고, 몇개의 부품으로만 구성되며, 빈번한 조절 작업 및 드문 조절 작업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실 브레이킹 본체의 소정 위치가 신뢰성있게 보장될 수 있다.

Claims (16)

  1. 환상의 실 브레이킹 본체(4)에 대한 고정 장치(H)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장치(H)는 하우징의 연장 아암(2a)내에 배치되며 상기 실 브레이킹 본체(4)의 고정기(5)를 지지하도록 상기 연장 아암내에서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지지용 본체(6a0를 구비하며, 지지용 본체를 운동시키는 구동은, 최소한 하나의 스프링(19)에 반하여 선택적으로 실린더(7)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실린더형 피스톤(6b)이, 상기 실 브레이킹 본체(4)에 의해 둘러싸이는 실 공급기(F)의 저장용 본체(3)에 대한 각 시간에, 상기 실 브레이킹 본체(4)를 브레이킹 위치와 상기의 운동 구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최소한 하나의 갭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게 하는 실 공급기(F)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6b)은 상기 지지용 본체(6a)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용 본체(6a)의 일체화된 안내 요소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 아암에 고정된 안내 궤도(10)내에 맞물려지는 최소한 하나의 안내 노즈(9)는 상기 피스톤(6b) 및/또는 상기 지지용 본체(6a) 상에서 피스톤 축(A)으로부터 횡단하는 거리에 회전 방지 수단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7)는 상기 연장 아암(2)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6b)을 가지는 지지용 본체(6a)는 일체로 성형된 부재이며, 바람직스럽게는 금속, 경질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5)는 조절 방향에서 상기 지지용 본체(6a)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연장 아암(2)내에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연장 아암(2)에 대하여 조절 방향에서 지지되며 상기 피스톤(6b)내에 맞물리는 조절 스크류(13)가 제공되고, 상기 피스톤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는 조절 스크류 너트(16)는 상기 피스톤(6b)내에서의 회전에 반하여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19)은 편향되어서 상기 피스톤상에 고정된 축방향 정지부(12)를 향하여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16)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6b)과 상기 조절 스크류(16)는 상기 연장 아암(2)과 상기 실 브레이킹 본체(4)의 중앙 축방향 평면(M)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 노즈(9)는 다른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6b)은 관형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축방향 정지부(12)를 형성하는 횡방향 벽이 제공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6b)의 뒤로부터 그 내부로 관통하여 상기 횡방향 벽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16)에 대한 운동 공간으로서 제공된 상기 피스톤(6b)의 관형 부분(17)은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16)의 원주 형상에 적합화된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의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은 상기 조절 스크류(13)를 감싸며, 상기 연장 아암내에 직접적으로 또는 조절 슬리이브(21)상에서 상기 축방향 정지부(12)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조절 슬리이브는 상기 연장 아암(2,2a)내에서 축방향으로 수동으로 운동할 수 있고, 상기 조절 스크류(13)가 그 안에서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슬리이브(21)는, 피스톤 축(X)에 대하여 동축선상에 있는 상기 연장 아암(2,2a)의 회전 장착부(20)내에 배치되고,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승되는 축방향 형성의 안내 홈(25)이 상기 회전 장착부(20)의 부위에 제공되는 회전 핸들(23)을 운반하고, 안내 홈(25)의 내부로 맞물리는 연결 요소(24)는 상기 연장 아암(2,2a)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25)에는 나선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 단부에서 대략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한 부분(25a)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11. ` 전기한 항들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스크류(13)의 헤드(14)는 회전 노브(27)내에 삽입되며, 이것은 상기 연장 아암(2,2a)의 자유 단부에서 회전 잠금부(28)와 함께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조절 슬리이브(21)의 헤드 부분(22)에 함께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의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 브레이킹 본체(4)의 상기 고정기(5)는 중앙의 축방향 평면(M)내에 위치한 회전 핀(33)과 함께 상기 지지용 본체(6a)내에서 주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의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7)는 압축 공기 공급원(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의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아암(2,2a)은, 스프링(19)에 반하여 적합화된 상기 실 브레이킹 본체(4)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실 브레이킹 본체(4)의 교환 위치 또는 갭을 형성하는 차단용 장치(C)를 그 안에 배치하며, 상기 차단 장치(C)는 상기 스프링(19)의 작동 방향에 반하여 상기 지지용 본체(6a)상에 작용하거나 또는 상기 피스톤(6b)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장치(C)는 수동으로 작동 가능하고, 스프링의 부하로 맞물리고 해제될 수 있는 요소(34)이며, 상기 요소(34)는 상기 연장 아암(2,2a)의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용 장치(C)는, 상기 피스톤(6b)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상기 실 브레이킹 본체(4)의 조절 운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맞물리고 해제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면, 인덱싱 메커니즘 또는 래치트 메커니즘으로서 설계되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기.
KR1019970710005A 1995-07-24 1996-07-10 실공급기 KR100293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26948.9 1995-07-24
DE19526948 1995-07-24
PCT/EP1996/003020 WO1997003907A1 (de) 1995-07-24 1996-07-10 Fadenliefer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682A true KR19990028682A (ko) 1999-04-15
KR100293026B1 KR100293026B1 (ko) 2001-11-15

Family

ID=77676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10006A KR100279181B1 (ko) 1995-07-24 1996-07-10 실공급장치
KR1019970710005A KR100293026B1 (ko) 1995-07-24 1996-07-10 실공급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10006A KR100279181B1 (ko) 1995-07-24 1996-07-10 실공급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82654A (ko)
EP (1) EP0840705B1 (ko)
KR (2) KR100279181B1 (ko)
CN (1) CN1079364C (ko)
DE (3) DE19533310A1 (ko)
RU (1) RU2129088C1 (ko)
TW (1) TW316933B (ko)
WO (1) WO1997003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6142A1 (de) * 2000-02-11 2001-08-16 Iro Patent Ag Baar Verfahren zur twistfreien Lieferung eines Fadens und Fadenliefergerät
SE0400862D0 (sv) * 2004-04-01 2004-04-01 Iropa Ag Garnmatningsanordning
DE102005022955A1 (de) * 2005-05-19 2006-11-23 Lindauer Dorni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alten eines nach einem Startvorgang einer Webmaschine, insbesondere Luftdüsenwebmaschine eingetragenen Schussfadens
WO2010072038A1 (zh) * 2008-12-25 2010-07-01 Chang Hung-Wei 一种道路能量转换装置
GB2498356B (en) 2012-01-11 2016-09-07 Camstent Ltd Calixarene-derived coatings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CN105332150B (zh) * 2015-10-21 2018-04-24 杨春霞 一种应用于喷水织机的储纬器
EP3390707B1 (en) * 2015-12-16 2020-01-15 IRO Aktiebolag Yarn feeder with motor assembly for yarn tension regulation
DE102018115604A1 (de) * 2018-06-28 2020-01-02 Memminger-Iro Gmbh Fadenliefergerät
IT201800007866A1 (it) * 2018-08-06 2020-02-06 Lgl Electronics Spa Dispositivo frena-trama per alimentatori di filato ad accumul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33900B (it) * 1980-10-15 1986-07-24 Roy Electrotex Spa Mezzi per effettuare la frenatura del filato in uscita in dispositivi alimentatori di filato a tensione costante e regolabile,particolarmente per macchine tessili
ES2029086T3 (es) * 1988-03-02 1992-07-16 L.G.L. Electronics S.P.A. Dispositivo de alimentacion de trama, particularmente para telares.
IT1236993B (it) * 1989-12-29 1993-05-12 Roy Electrotex Spa Alimentatore di trama per telai di tessitura a pinze e a proiettili
DE4007131C2 (de) * 1990-03-07 1999-12-30 Iro Patent Ag Baar Liefervorrichtung für laufende Fäden
EP0534263B1 (en) * 1991-09-20 1997-12-17 L.G.L. ELECTRONICS S.p.A. Self-adjusting thread braking device for weft feeder units
IT1259551B (it) * 1992-04-22 1996-03-20 Lgl Electronics Spa Dispositivo elettropneumatico per l'infilaggio automatico di apparecchi alimentatori di trama a macchine tessili ed apparecchio alimentatore di trama incorporante detto dispositivo
IT1263623B (it) * 1993-02-23 1996-08-27 Roj Electrotex Nuova Srl Alimentatore di filo
IT1264844B1 (it) * 1993-06-17 1996-10-17 Roj Electrotex Nuova Srl Alimentatore di filo
SE9400248D0 (sv) * 1994-01-26 1994-01-26 Iro Ab Styrbar utgångsbroms för garnmatningsanordning till textilmaskiner, i synnerhet vävmaskiner av projektil eller gripar-ty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604430D1 (de) 2000-03-16
TW316933B (ko) 1997-10-01
CN1191518A (zh) 1998-08-26
DE59604056D1 (de) 2000-02-03
KR100279181B1 (ko) 2001-11-15
DE19533310A1 (de) 1997-01-30
EP0840705A1 (de) 1998-05-13
KR100293026B1 (ko) 2001-11-15
EP0840705B1 (de) 1999-12-29
WO1997003907A1 (de) 1997-02-06
KR19990028683A (ko) 1999-04-15
CN1079364C (zh) 2002-02-20
US6082654A (en) 2000-07-04
RU2129088C1 (ru) 199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1577C (en) Flow rate control valve
KR100293026B1 (ko) 실공급기
US7034250B2 (en) Welding wire dispensing assembly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justment of rotational resistance in a spool
KR0177867B1 (ko) 다이어프램 밸브
US5119841A (en) Safety shut off apparatus
JP2018519169A (ja) 枢動可能アームの精密位置決めのための関節式レバー又はカム型作動装置
US4088064A (en) Control apparatus
CA2200248A1 (en) Pneumatic Actuator Having an End Mounted Control Device
KR920019662A (ko) 스트랩공구용 텐션장치
RU21290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нити
US5553690A (en) Locking device for fluid pressure cylinder
US4169405A (en) Control apparatus
KR870002316A (ko) 실의 장력장치를 구비한 재봉틀
US4166939A (en) Impulse actuator unit for switches
US5108072A (en) Variable pressure electrically operated valve with an adjustable stroke-limiting mechanism for the actuator
US3137429A (en) Biasing means for capstan pressure wheel
EP1334941B1 (en) A device for retaining the brake holder support in weft feeders
US20010022228A1 (en) Throttle valve
JPH04226871A (ja) 空気圧式カラー取付け工具
US3701286A (en) Handle for positioning an element
US4354582A (en) Device at a slack adjuster
CN114388207B (zh) 一种旋转式电阻箱
US3672386A (en) Fuse melt type damper device for intercepting flow through a duct
AT379118B (de) Zapfverschluss fuer grossbehaelter, insbesondere fasspipe
RU2015739C1 (ru) С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порошка горелки для газопламенного напы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