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292U -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292U
KR19990028292U KR2019970040917U KR19970040917U KR19990028292U KR 19990028292 U KR19990028292 U KR 19990028292U KR 2019970040917 U KR2019970040917 U KR 2019970040917U KR 19970040917 U KR19970040917 U KR 19970040917U KR 19990028292 U KR19990028292 U KR 199900282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rum
cleaning roller
lever
clean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40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292U/ko
Publication of KR199900282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292U/ko

Links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헤드 드럼의 크리너는, 크리닝 롤러가 헤드 드럼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헤드 드럼의 일정한 부분을 지속적으로 닦아주게 됨으로써, 헤드 드럼의 오염을 가속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폴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데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버에 아암이 형성되고, 아암의 상면 양쪽에 제 1 및 제 2 축이 각각 형성되며, 아암의 제 1 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메인 크리닝 롤러가 장착된다. 메인 크리닝 롤러는 레버의 회전에 의해 헤드 드럼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닦아주고, 아암의 제 2 축에는 메인 크리닝 롤러에 의해 닦여진 이물질을 재차 닦아주는 서브 크리닝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헤드 드럼의 이물질이 메인 및 서브 크리닝 롤러에 의해 순차적으로 닦아져 완전히 제거되므로, 테이프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화질 및 음질이 선명하게 개선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tape record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 드럼(head drum)의 이물질을 닦아주기 위한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 크리너(clean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나 캠코더(camcorder) 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는, 헤드 드럼의 회전에 의해 주행계의 일정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카세트(cassette)의 테이프에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이를 재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계는, 헤드 드럼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측에 데크(deck)의 로딩구멍(loading hole)을 따라 카세트의 테이프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기 위한 폴 베이스 조립체(pole base assembly)가 각각 위치된다. 폴 베이스 조립체는 캠 기어(cam gear)의 회전력을 로딩 기어 조립체(loading gear assembly)에 의해 전달받아 로딩구멍을 따라 이송되면서 카세트의 테이프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게 된다. 그런데, 테이프 레코더는 테이프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헤드 드럼의 외주면에 먼지, 자성체 등과 같은 이물질이 오염되는 바, 이물질의 오염으로 인한 테이프의 손상 및 헤드 드럼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크러너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크(10)의 상면 한쪽에 헤드 드럼(11)이 설치되고, 헤드 드럼(11)은 어퍼 드럼(12)과 로워 드럼(13)이 축(14)의 상,하부에 조립되며, 어퍼 드럼(12)의 하면에는 비디오 헤드(15)가 조립된다. 데크(10)의 로딩구멍(16)에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의 테이프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는 폴 베이스 조립체(17)가 위치되고, 데크(10)의 상면 한쪽에 로딩구멍(16)의 상부와 인접되도록 포스트(post: 18)가 설치되며, 이 포스트(18)의 하부에 스토퍼(stopper: 19)가 설치된다.
한편, 데크(10)의 로딩구멍(12)과 인접되도록 크리너(20)가 설치되는 것으로, 크리너(20)의 레버(lever: 21)는 데크(10)의 포스트(18)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레버(21)의 중앙 한쪽에 데크(10)의 스토퍼(19)에 지지되어 탄성변형(彈性變形)이 가능하도록 텐션 플레이트(tension plate: 22)가 연장 형성되고, 레버(21)의 한쪽 끝에 폴 베이스 조립체(17)의 베이스(base: 17a)에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푸셔(pusher: 23)가 형성된다. 레버(21)의 다른쪽 끝에 축(24)이 설치되며, 레버(21)의 축(24)에는 헤드 드럼(11)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이물질을 닦아주는 크리닝 롤러(cleaning roller: 2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크리닝 롤러(25)는 비교적 연질(軟質)의 섬유나 스펀지(sponge)를 소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데크(10)의 로딩구멍(16)을 따라 폴 베이스 조립체(17)가 이송되면서 베이스(17a)가 레버(21)의 푸셔(23)를 밀게 되면, 데크(10)의 포스트(18)을 중심으로 레버(21)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크리닝 롤러(25)가 헤드 드럼(11)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이물질을 닦아주게 된다. 그리고, 폴 베이스 조립체(17)의 베이스(17a)가 레버(21)의 푸셔(23)를 밀어주던 상태를 지나치게 되면, 데크(10)의 스토퍼(19)에 지지되면서 탄성변형되었던 텐션 플레이트(22)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헤드 드럼(11)의 외주면으로부터 크리닝 롤러(25)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는, 크리닝 롤러(25)가 헤드 드럼(11)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헤드 드럼(11)의 일정한 부분, 예를 들어 헤드 드럼(11)의 어퍼 드럼(12)과 로워 드럼(13) 사이에 위치하는 비디오 헤드(15)를 지속적으로 닦아주게 됨으로써, 헤드 드럼(11)의 오염을 가속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즉, 비교적 연질의 크리닝 롤러(25)가 헤드 드럼(11)의 외주면을 닦아주면서 오히려 그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고, 이와 같이 오염된 상태의 크리닝 롤러(25)가 헤드 드럼(11)을 닦아주면서 헤드 드럼(11)의 일정한 부분에 오염을 가속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헤드 드럼(11)의 오염은 테이프의 주행 특성을 저하시켜 화질 및 음질에 악영향을 주며, 테이프의 손상을 초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크리닝 롤러(25)의 오염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크리닝 롤러(25)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헤드 드럼(11)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크리너용 카세트 테이프를 별도로 사용하고 있으나, 크리너용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헤드 드럼(11)이나 주행계를 구성하는 관련부품들에 부하 및 마모가 발생되는 이유로 사용이 한정되는 문제가 있으며, 크리너용 카세트 테이프를 별도로 구매하야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헤드 드럼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뿐만 아니라, 헤드 드럼의 마모 및 테이프의 손상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의 크리너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데크 31: 헤드 드럼
36: 로딩 구멍 37: 폴 베이스 조립체
38: 포스트 39: 스토퍼
40: 크리너 41: 레버
43: 텐션 플레이트 44: 푸셔
45: 아암 46, 47: 제 1 및 제 2 축
50: 메인 크리닝 롤러 55: 서브 크리닝 롤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데크의 상면 한쪽에 설치되는 헤드 드럼과, 데크의 로딩구멍을 따라 테이프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는 폴 베이스 조립체와, 데크의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데크의 스토퍼에 지지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텐션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폴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에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푸셔가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에 있어서, 레버의 다른쪽 끝에 아암이 형성되고, 아암의 상면 양쪽에 제 1 및 제 2 축이 각각 형성되며, 아암의 제 1 축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레버의 회전에 의해 헤드 드럼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이물질을 닦아주는 메인 크리닝 롤러와; 아암의 제 2 축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레버의 회전에 의해 헤드 드럼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이물질을 재차 닦아주는 서브 크리닝 롤러로 구성되는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계가 구성되는 데크(30)의 상면 한쪽에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의 테이프에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재생하는 헤드 드럼(31)이 설치되고, 헤드 드럼(31)은 어퍼 드럼(32)과 로워 드럼(33)이 축(34)의 상,하부에 조립되며, 어퍼 드럼(32)의 하면에는 비디오 헤드(35)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데크(30)의 상면에 헤드 드럼(31)의 양쪽으로 로딩구멍(36)이 형성되고, 데크(30)의 로딩구멍(36)에 카세트의 테이프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는 폴 베이스 조립체(37)가 위치된다. 데크(30)의 상면 한쪽에 로딩구멍(36)의 상부와 인접되도록 포스트(38)가 설치되며, 이 포스트(38)의 하부에 스토퍼(39)가 인접되도록 설치된다.
도 2 및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데크(30)의 로딩구멍(32)과 인접되도록 크리너(40)가 설치된다. 크리너(40)는 레버(41)의 한쪽에 축구멍(42)이 형성되고, 레버(41)의 축구멍(42)은 데크(30)의 포스트(38)에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져 장착되며, 이에 따라 레버(41)는 포스트(38)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된다.
또한, 레버(41)의 중앙 한쪽에 데크(30)의 스토퍼(39)에 선택적으로 지지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텐션 플레이트(43)가 연장 형성되고, 텐션 플레이트(43)는 탄성변형에 의해 레버(41)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레버(41)의 한쪽 끝에는 폴 베이스 조립체(37)의 베이스(37a)에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푸셔(44)가 형성된다. 즉, 푸셔(44)는 로딩구멍(36)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폴 베이스 조립체(37)가 이송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37a)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것이다. 레버(41)의 다른쪽 끝에 아암(arm: 45)이 형성되며, 아암(45)의 상면 양쪽에 제 1 및 제 2 축(46, 47)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아암(45)의 제 1 및 제 2 축(46, 47)은 헤드 드럼(31)의 회전 방향, 즉 시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아암(45)의 제 1 축(46)에 메인 크리닝 롤러(main cleaning roller: 50)의 축구멍(51)이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아암(45)의 제 2 축(47)에는 서브 크리닝 롤러(subcleaning roller: 55)의 축구멍(56)이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메인 및 서브 크리닝 롤러(50, 55)는 제 1 및 제 2 축(46, 47)의 끝에 결합되는 스냅 링(snap ring: 60)들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메인 및 서브 크리닝 롤러(50, 55)는 레버(41)의 회전에 따라 헤드 드럼(31)의 외주면에 동시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닦아주는 것으로, 메인 크리닝 롤러(50)의 소재는 서브 크리닝 롤러(55)보다 경질(硬質)로 제작된다.
상기한 메인 크리닝 롤러(50)의 소재는 고무나 합성수지를 소재로 제작되며, 서브 크리닝 롤러(55)의 소재는 섬유나 스펀지로 제작된다. 또한, 메인 크리닝 롤러(50)의 소재를 섬유나 스펀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메인 크리닝 롤러(50)의 경도(硬度)가 서브 크리닝 롤러(55)보다 높도록 제작한다. 예컨대, 메인 크리닝 롤러(50)가 섬유로 제작될 경우에는 서브 크리닝 롤러(55)보다 딱딱해지도록 제작하며, 메인 크리닝 롤러(50)가 스펀지로 제작될 경우에는 서브 크리닝 롤러(55)보다 발포율을 작게 하여 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크(30)의 로딩구멍(36)을 따라 폴 베이스 조립체(37)가 이송되면서 베이스(37a)가 레버(41)의 푸셔(44)를 밀게 되면, 데크(30)의 축(38)를 중심으로 레버(41)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메인 및 서브 크리닝 롤러(50, 55)가 헤드 드럼(31)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헤드 드럼(31)의 외주면에 오염된 먼지, 자성체 등과 같은 이물질을 닦아주게 된다. 이때, 레버(41)의 텐션 플레이트(43)는 데크(30)의 스토퍼(39)에 지지되어 탄성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 드럼(31)의 외주면에 메인 및 서브 크리닝 롤러(50, 55)가 접촉되어 제 1 및 제 2 축(46, 47)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이물질을 닦아줄 때에는, 메인 크리닝 롤러(50)의 소재가 서브 크리닝 롤러(55)보다 경질로 제작됨에 따라 헤드 드럼(31)의 이물질을 거칠게 닦아주게 되면, 이처럼 메인 크리닝 롤러(50)에 의해 거칠게 닦여진 이물질은 서브 크리닝 롤러(55)에 의해 다시 닦여져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요컨대, 서브 크리닝 롤러(55)는 메인 크리닝 롤러(50)에 의해 거칠게 닦여진 이물질을 부드럽게 닦아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 드럼(31)의 이물질로 인한 테이프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테이프의 주행 특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화질 및 음질이 선명하게 개선되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그리고, 폴 베이스 조립체(37)의 베이스(37a)가 레버(41)의 푸셔(44)를 밀어주던 상태를 지나치게 되면, 데크(30)의 스토퍼(39)에 지지되면서 탄성변형되었던 텐션 플레이트(43)가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로 인하여 데크(30)의 포스트(38)를 중심으로 레버(41)가 회전되면서 헤드 드럼(31)의 외주면에 접촉되었던 메인 및 서브 크리닝 롤러(50, 56)가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에 의하면, 헤드 드럼의 이물질이 메인 및 서브 크리닝 롤러에 의해 순차적으로 닦아져 완전히 제거되므로, 테이프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화질 및 음질이 선명하게 개선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2)

  1. 데크의 상면 한쪽에 설치되는 헤드 드럼과, 상기 데크의 로딩구멍을 따라 테이프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는 폴 베이스 조립체와, 상기 데크의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데크의 스토퍼에 지지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텐션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폴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에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푸셔가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에 있어서,
    상기 레버(41)의 다른쪽 끝에 아암(45)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45)의 상면 양쪽에 제 1 및 제 2 축(46, 47)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아암(45)의 제 1 축(46)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레버(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 드럼(31)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이물질을 닦아주는 메인 크리닝 롤러(50)와;
    상기 아암(45)의 제 2 축(47)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레버(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 드럼(31)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이물질을 재차 닦아주는 서브 크리닝 롤러(5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크리닝 롤러(50)의 소재는 상기 서브 크리닝 롤러(55)보다 경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
KR2019970040917U 1997-12-26 1997-12-26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 KR199900282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917U KR19990028292U (ko) 1997-12-26 1997-12-26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917U KR19990028292U (ko) 1997-12-26 1997-12-26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92U true KR19990028292U (ko) 1999-07-15

Family

ID=6969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917U KR19990028292U (ko) 1997-12-26 1997-12-26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29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4947B1 (en) Head cleaner
KR19990028292U (ko)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
KR200158107Y1 (ko)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
KR19990049813A (ko)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의 크리너
KR100259030B1 (ko) 기록 재생용 헤드의 클리닝 기구
KR970011129B1 (ko) 테이프레코드의 헤드 클리닝장치
KR20000005395U (ko)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드럼 조립체의 클리너
KR20000005397U (ko)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드럼 조립체의 클리너
KR920000847Y1 (ko) 헤드 드럼의 크리너장치
KR012299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드럼 세척장치
KR930003971Y1 (ko) 브이씨알의 편치로울러 청소장치
KR0138550Y1 (ko)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의 드럼 크리닝 장치
KR940006300Y1 (ko) Vtr의 헤드 클리닝(head cleaning)장치
KR0117093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헤드 청소장치
KR0136579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헤드 크리너 장치
KR200142932Y1 (ko) 자기헤드 청소장치
JP2877707B2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のヘッド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
KR0133902Y1 (ko) 테이프 레코더
KR930001744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헤드 크리닝장치
KR93000737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드럼헤드 세척장치
KR930001743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드럼헤드 세척장치
KR20018018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임피던스롤러 일체형 헤드크리너 구동장치
KR930005596Y1 (ko) 자기기록 재상장치의 자기헤드 크리닝 장치
US6525906B1 (en) Means to prevent buildup of contaminants on the capstan of a magnetic tape recorder/player
JPH0518993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クリ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