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235A - 알부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부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235A
KR19990028235A KR1019970709546A KR19970709546A KR19990028235A KR 19990028235 A KR19990028235 A KR 19990028235A KR 1019970709546 A KR1019970709546 A KR 1019970709546A KR 19970709546 A KR19970709546 A KR 19970709546A KR 19990028235 A KR19990028235 A KR 19990028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dministration
ey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475B1 (ko
Inventor
가즈오 쓰보따
Original Assignee
우에노 류지
가부시끼 가이샤 알테크 우에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노 류지, 가부시끼 가이샤 알테크 우에노 filed Critical 우에노 류지
Publication of KR1999002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8Albu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부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각결막 장해 치료 및 드라이아이 치료를 위한 의약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은, 눈표면 상피 무친 생산 증가에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대하여 알부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결막 장해 및 드라이아이의 치료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알부민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알부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각결막장해는, 그 표면으로부터 상피까지 결손이 발생함으로써 일어나게 된다. 그 원인으로서는 건성 각결막증 (드라이아이), 각종 각결막염, 알레르기, 미생물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 의 감염에 의한 병적요인, 약물의 세포독성, 산, 알칼리에 의한 부식등에 근거하는 화학적요인, 눈표면의 건조, 이물 (콘택트렌즈 등) 에 의한 외상, 열탕 등의 물리적요인 등을 들 수 있다. 또, 근년에는, 염화벤잘코늄, 클로로부탄올 등의 점안약에 함유되는 방부제나 아미노글리콕시드계 항생물질,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IDU, 피마리신 등의 점안약 등이 각막상피에 장해를 부여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현재, 각결막 장해의 치료를 위해 콘드로이친 황산, 글루타티온, 히알론산, 피브로넥틴, EGF 등의 투여 또는 눈물의 보충을 목적으로 인공눈물의 투여 등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효과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드라이아이는 " 각결막장해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눈물의 양의 저하 또는 질에 이상을 초래한 상태이다" 로 정의되어 있다 (야마다 외, 안기(眼紀), 43, 1289-1293(1992)). 드라이아이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의 것이 있는데, 저하된 눈물의 양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방법은 아직 발견되어 있지 않다.
현재 드라이아이의 치료로서는, 눈물의 보충을 목적으로 하는 인공눈물의 투여, 환자의 자각증상의 완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콘드로이친 황산, 글루타치온, 히말론산, 피브로넥틴, EGF 등의 투여가 실시되고 있지만, 그 효과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최근의 연구에서, 건강한 눈 표면 상피는 무친과 같은 당단백을 그 표면에 발현하고, 이것이 눈물층의 유지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결막의 배세포에서 분비되는 무친은, 눈물층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어떠한 요인으로 발생한 눈 표면 상피의 장해에 의해 무친의 분비 장해가 발생하면 눈물층이 불안정해진다. 불안정한 눈물층은 각결막 상피세포와 눈물간의 상호작용을 저하시키고, 이것에 의해 상피장해가 더욱 악화되는 악순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요꼬이 노리히꼬 "안과치료의 비결 및 함정 (Techniques for treatment in Ophthalmologic field) " 고구라시 후미오 외 편집, (주) 나까야마서점 (일본, 동경) 발행, 제 26 ∼ 27 면 (1995년)). 이와 같은 견지에서, 무친 생산을 증가하거나, 또는 그 외의 수단으로 눈물층의 안정화를 도모함으로써, 각결막장해나 드라이아이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 시사된다.
알부민은 인체 혈청이나 눈물과 같이 많은 동식물 조직이나 체액 중에 넓게 존재하는 단백질이다. 예를 들면 인체혈청 알부민은 저알부민 혈증이나 출혈성 쇼크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또, 안과영역에서, 단백질제제, 예를 들면 피브로넥틴이나 인터페론의 안정화제로서의 사용도 알려져 있다. 피브로넥틴이나 인터페론의 제제를 드라이아이의 치료를 위해 이용하는 것은 제안되어 있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1-103838,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6-271478), 알부민 자체가 무친 생산에 각결막장해나 드라이아이에 유효하다는 견해는 아직 없다.
본 발명은, 알부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은 각결막 장해나 드라이아이등의 증상의 치료를 위해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눈 표면 상피 무친 분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또 기름을 확산시키는 작용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의약조성물을 이용하여 각결막 장해 및 드라이아이를 치료하는 방법, 및 상기 의약조성물을 이용하여 눈표면 상피 무친 분비를 증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알부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안과용 의약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은, 각결막장해의 치료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은 드라이아이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이용하는 알부민의 유래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알부민이 항균성을 갖는 경우에는, 알레르기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인체 유래 알부민, 예를 들면 인체혈청 알부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인체 혈청 알부민으로서는 의약용에 통상 사용되는 순도에 까지 정제된 것이면, 본 발명에서는 특별한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한 경우에 그 80 % 이상이 알부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이러스 등의 불활성화를 위하여 가열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의약품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인체혈청 알부민이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알부민도 역시,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따르는 제조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원하는 알부민, 예를 들면 인체알부민을 코드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벡터를 작성하고, 상기 벡터를 숙주세포에 도입하여 형질전환시킨다. 목적으로 하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세포를 선출한다. 선출한 형질전환세포를 배양하여, 그 배양상청액 또는 세포로부터 인체 알부민을 단리 및 정제한다. 숙주세포로서는, 단백질의 생산을 위해 당업자가 통상 이용하는 효모, 대장균 등이 예시된다. 바이러스 등이 혼입될 위험성을 피한다는 관점에서는 이와 같은 유전자 재조합의 산물인 알부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각결막 장해" 에는, 건성 각결막증 (드라이아이), 각종 각결막염, 알레르기 및 미생물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 의 감염에 의한 병적요인, 약물의 세포독성, 산, 알칼리에 의한 부식 등에 의한 화학적 요인, 눈표면의 건조, 이물 (콘택트렌즈 등) 에 의한 외상, 열탕 등의 물리적 요인 및, 염화벤잘코늄, 클로로부탄올 등의 점안약에 함유되는 방부제나 아미노글리콕시드계 항생물질,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IDU, 피마리신 등의 점안약에 기인하는 각결막의 장해; 각결막 상피결손; 각막 미란 (진무름); 각막 궤양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드라이아이" 에는, "각결막장해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눈물의 양의 저하 또는 질에 이상을 초래한 상태이다" 로 정의되는 단순 드라이아이 (눈물 감소증) 외에, 결루증, 안건조증, 쉐글렌 증후군, 건성 각결막염,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안류천포포 (ocular pemphigoid), 안검연 (blepharitis) 염증 등의 각종 드라이아이 질환을 포함한다. 또한, 백내장의 수술 후나 알레르기 결막염에 수반되는 드라이아이, 및 VDT (Visual Display Terminal) 작업자의 눈물감소증 및 냉난방에 의한 방의 건조 등으로 일어나는 전신에 이상이 없는 눈물감소 등의, 드라이아이와 같은 질환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 라는 용어는 증상의 예방, 치료, 증상의 경감, 증상의 감퇴, 진행정지 등, 증상의 모든 관리가 포함된다.
본 발명자는 또한 알부민이 눈표면상피의 무친 생산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알부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무친 분비 증가를 위한 의약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부민이 기름을 분산시키는 계면활성제 작용을 갖는 것도 알아내었다. 이 계면활성제 작용도 알부민에 의한 눈물층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의 제제 형태로서는 정제, 환제, 산제, 현탁제, 캡슐제, 좌제, 주사제, 연고제, 점안제 등이 예시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국소투여를 위한 점안제이다.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을 점안 용제로 제제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부민을 약 1 ㎎/㎖ ∼ 10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 ∼ 1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 1000 ㎎/㎖으로 함유한다. 조성물은 약학상 허용되는 희석제를 더욱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약학상 허용되는 희석제" 로서는, 안과용 제제에 이용되고,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모든 희석제일 수 있고, 물, 생리 식염수, 인공눈물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통상의 안과용 제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의 성분, 예를 들면 안정화제, 살균제, 완충제, 등장화제, 킬레이트제, pH 조절제,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하는 조성물 등을 더욱 함유할 수 있다.
안정화제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등의 통상의 L - 형 아미노산, 글루코스, 만노스 등의 단당류, 자당, 말토스 등의 2당류, 만니톨, 크실리톨 등의 당알코올류, 및 덱스트란 등의 다당류 등이 예시된다.
살균제로서는, 벤잘코늄염, 클로르헥시딘염,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등이 예시된다.
완충제로서는, 붕산, 인산, 아세트산, 구연산, 또는 이들의 염 등이 예시된다.
등장화제로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당류 등이 예시된다.
킬레이트제로서는, 에데트산나트륨, 구연산 등이 예시된다.
점안용 제제이기 때문에, pH 는 5 ∼ 8 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회의 투여에 대해 약 1 ∼ 약 100 ㎕/눈, 바람직하게는 약 10 ∼ 50 ㎕/눈,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 50 ㎕/눈의 투여량으로 점안하면 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알부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각결막장해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대하여 유효량의 알부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결막 장해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결막 장해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 이란, 각결막장해를 갖거나 또는 그 의심이 있는 환자로, 실제로 각결막장해가 인정된 환자뿐만 아니라, 그 의심이 있는 환자 및 각결막 이식수술후 등의 각결막장해를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에 있는 환자도 포함된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드라이아이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대하여 유효량의 알부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드라이아이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드라이아이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 이란, 상기와 같이 드라이아이의 증상을 갖거나, 또는 그 의심이 있는 환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이들의 방법에서, 알부민으로서는, 상기 조성물에 이용되는 알부민이 모두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이들의 방법에서, 알부민은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투여경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안투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들의 방법에서, 알부민의 "유효량" 으로서는 원하는 치료를 위해 필요한 양으로, 환자의 증상, 년령, 성별, 체중, 식이, 병용하는 다른 의약 및 그 외 의학분야의 당업자에게 인식되어 있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적정량을 선택해야 한다. 또, 이 유효량은 상기 요인 뿐만 아니라 알부민의 종류나 활성에 따라서도 다르다. 유효량의 결정은, 의학분야의 당업자가 통상 실시하고 있는 작업이다.
본 발명의 이들의 방법에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을 1 회의 투여에 대해 약 1 ∼ 약 100 ㎕/눈, 바람직하게는 약 10 ∼ 50 ㎕/눈,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 50 ㎕/눈의 투여량으로 1 일에 대해 약 1 ∼ 약 20 회, 특히 1 일에 5 ∼ 10 회 투여할 수도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들의 방법에서는, 알부민의 투여와 병행하여 종래부터 각결막 장해 치료나 드라이아이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인공눈물의 투여를 실시하여도 된다. 알부민과 함께 인공눈물을 투여할 때의, 인공눈물의 투여는 통상과 동일한 양 및 스케쥴로 실시하면 된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투여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대하여 유효량의 알부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눈표면 상피의 무친 생산 증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눈의 표면 상피의 무친 분비가 증가되어, 눈표면의 눈물층의 안정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의 이 방법에서, "투여를 필요로 하는 대상" 에는, 무친 분비 장해가 있는 환자, 및 드라이아이, 각결막장해 등, 눈표면상피에 장해가 있어 무친 분비장해가 있는 것이 예측되는 환자가 모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이 방법에서, 알부민의 투여는 상기에 기재의 의약조성물로 실시하면 된다. 투여경로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적이지 않지만, 점안투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유효량" 으로서는 눈표면 상피의 무친 생산을 증가시키는 양이면 되고, 대상이 되는 환자의 증상, 년령, 성별, 체중, 식이, 병용하는 다른 의약 및 그 외 의약분야의 당업자에게 인식되어 있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적정량을 선택해야 한다. 또, 유효량은 알부민의 종류나 활성에 따라서도 다르다. 유효량의 결정은, 의약분야의 당업자가 통상 실시하고 있는 작업이다.
본 발명의 이 방법에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을 1 회 투여에 대해 약 1 ∼ 약 100 ㎕/눈, 바람직하게는 약 10 ∼ 50 ㎕/눈,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 50 ㎕/눈의 투여량으로 1 일에 대해 약 1 ∼ 약 20 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일에 5 ∼ 10 회 투여하는 것이 예시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들의 방법에서는, 알부민의 투여와 병행하여 종래부터 각결막 장해치료나 드라이아이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인공눈물의 투여를 실시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인공눈물의 투여는 통상과 동일량 및 스케쥴로 실시하면 된다.
제제예
본원의 시험에서는, 녹십자사 (일본, 오오사까) 제의 헌혈 알부민 제제를 이용하였다. 이 알부민 제제는, 헌혈자의 혈장을 원료로 Cohn 의 저온 에탄올 분획법으로 분리정제한 알부민 분획을, 하기 제제예 1 및 2 와 같이 조정하여, 60 ℃에서 10 시간의 가열처리를 한 것이다.
제제예 1
(알부민 함량 25 %)
인체 혈청알부민 250 ㎎/㎖
아세틸트립토판나트륨 5.37 ㎎/㎖
카프릴산나트륨 3.32 ㎎/㎖
제제예 2
(알부민 함량 5 %)
인체 혈청알부민 50 ㎎/㎖
아세틸트립토판나트륨 1.07 ㎎/㎖
카프릴산나트륨 0.66 ㎎/㎖
시험예 1
각결막에 장해를 갖는 3 명의 드라이아이 환자 (64세 여자, 61세 여자 및 34세 여자) 에 제제예 1 의 25 % 인체 혈청알부민 (알부민함량 250 ㎎/㎖) 을, 1 회당 30 ∼ 50 ㎕/눈의 투여량으로 1 일 10 회의 점안을 계속하여 투여하였다. 알부민의 투여와 병행하여, 인공눈물의 점안도 계속 하였다.
투여개시전 및 투여후에 생체염색검사를 실시하고, 각결막장해의 정도를 판정하였다. 생체 염색검사로서는, 로즈벤갈 염색 및 플루오로세인 염색을 실시하였다. 로즈벤갈 염색 (RB) 은 각결막장해의 지표가 되는 검사로, 구결막의 코측, 귀측, 각막에 대하여 염색의 정도를 각각 0 ∼ 3 점, 합계 9 점으로 평가하여 스코어화 한 것이다. 플루오로세인 염색 (F) 은 각막장해의 지표가 되는 검사로, 각막의 장해의 정도를 0 ∼ 3 점으로 스코어화 한 것이다. 모두 반 비즈스테렐드 (van Bijsterreld) 의 평가방법에 근거하여 스코어화하였다. 어느 경우나 수치가 높을수록 장해가 심각하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알부민 투여 효과
환자투여기간 64세 여자14일우안 좌안 61세 여자14일우안 좌안 34세 여자*7일
RB투여전투여후 7 73 3 8 85 5 상륜부에 강하게 염색상륜부에 거의 염색없음
F투여전투여후 2 21 1 3 21 1 상륜부에 강하게 염색상륜부에 거의 염색없음
* 이 환자는 드라이아이에 상륜부 각결막염을 병발하고 있었다.
시험예 2
62 세 남자 : 각결막 이식후 각막상피 결손환자
우안전층 각막이식수술후, 각막상피 결손이 계속되어, 0.1 % 히알레인미니 (상표) (히알론산 0.1 % 함유) 를 처방했으나, 효과를 볼 수 없었기 때문에, 0.1 % 히알레인미니의 투여를 중지하였다. 그 후, 제제예 1 의 25 % 인체 혈청알부민 (알부민함량 250 ㎎/㎖) 을 1 회당 30 ∼ 50 ㎕/눈의 투여량으로, 1 일 10 회의 점안을 1 주일간 계속하였다. 1 주일 후에 각막이 상피화되어, 각막 상피 결손이 개선되었다.
시험예 3
64 세 여자 : 각막이식후 각막상피 결손환자
좌안전층 각막 이식 수술, 연(limbus)부 이식 및 양막 이식후, 플루오레세인 염색으로 각막 상피 장해를 볼 수 있었다. 이 환자에게 제제예 2 의 5 % 인체 혈청알부민 (알부민함량 50 ㎎/㎖) 을, 1 회당 30 ∼ 50 ㎕/눈의 투여량으로 1 일 10 회의 점안을 4 주일간 계속하여 실시하였다. 투여개시 2 주일 후에 플루오레세인 염색으로 검사한 바, 상피장해의 개선을 볼 수 있었다. 투여개시 4 주일 후에 검사한 바, 플루오레세인 염색에는 전혀 염색되지 않고, 상피장해의 명확한 개선을 볼 수 있었다.
시험예 4
72 세 여자 : 쉐인그레인 증후군 환자
쉐인그레인 증후군에 따르는 각막상피 결손환자의 눈에, 인탈 (상표) (크로모글리크산나트륨 함유), 0.1 % 플루메토론 (상표) (플루오로메토론 함유) 및 인공눈물을 투여하였으나, 각막상피 결손의 개선은 볼 수 없었다. 이들의 투여를 중지하고, 제제예 2 의 5 % 인체 혈청알부민 (알부민함량 50 ㎎/㎖) 을, 1 회당 30 ∼ 50 ㎕/눈의 투여량으로 1 일 6 회의 점안을 4 주일간 계속하였다. 4 주일 후에 검사한 바, 각막상피 결손은 볼 수 없었다.
시험예 5
45 세 여자 : 쉐인그레인 증후군 환자
쉐인그레인 증후군에 따르는 각결막 상피장해환자에게 제제예 2 의 5 % 인체 혈청알부민 (알부민함량 50 ㎎/㎖) 을 1 회당 30 ∼ 50 ㎕/눈의 투여량으로 1 일 10 회의 점안을 4 주일간 계속하여 실시하였다.
투여개시전 및 투여후에 생체염색검사 (로즈벵갈 염색 및 플루오레세인 염색) 를 실시하고, 각결막장해의 정도를 판정하였다. 생체염색검사는 1 % 로즈벵갈 및 1 % 플루오레세인의 혼합액 2 ㎕을 마이크로피펫으로 정확하게 하안검 결막주머니 내에 점안하고, 수 회 깜빡이게 한 후, 슬릿램프의 백색광으로 로즈벵갈 염색상태 (RB) 를, 코발트블루광으로 플루오레세인 염색상태 (F) 를 관찰하였다. 각각의 염색상태를 0 ∼ 9 점으로 스코어화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알부민투여 효과
투여전 투여후(4주간)
RB 스코어 우안좌안 77 22
F 스코어 우안좌안 99 22
시험예 6
3 명의 드라이아이 환자 (64세 여자, 61세 여자 및 34세 여자) 에게 제제예 1 의 25 % 인체 혈청알부민 (알부민함량 250 ㎎/㎖) 을, 1 회당 30 ∼ 50 ㎕/눈의 투여량으로 1 일 10 회의 점안을 계속하여 실시하였다. 알부민의 투여와 병행하여, 인공눈물의 점안도 속행하였다.
투여개시전 및 투여후의 환자의 자각증상을 판정하였다. 자각증상은, 눈의 통증, 눈의 건조 및 눈의 이물감을 중심으로 한 최악의 상태를 100, 최량의 상태를 0 으로 하여, 환자자신이 판단한 것이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냈다.
알부민투여에 의한 자각증상의 개선
환자투여기간 64 세 여자14 일 61 세 여자14 일 34 세 여자*7일
우안 좌안 우안 좌안
투여전투여후 100 1000 30 100 10050 50 10020
* 이 환자는 드라이아이에 상륜부 각결막염을 병발하였다.
시험예 7
쉐인그레인 증후군에 따르는 드라이아이 환자 (74세, 여자) 에 대하여 제제예 2 의 5 % 인체 혈청알부민 (알부민함량 50 ㎎/㎖) 을 1 회당 30 ∼ 50 ㎕/눈의 투여량으로 1 일 6 회의 점안을 8 주일간 계속하여 실시하였다.
8 주일 후, 환자의 눈의 통증, 눈의 건조, 및 눈의 이물감을 중심으로 한 드라이아이의 자각증상이 거의 소실되었기 때문에, 알부민의 투여를 중지하였다.
시험예 8
알부민의 안상피세포 무친 생산능의 증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CCL 세포 (결막상피세포주) 를 인체 혈청알부민 (SIGMA 사) 10 % (w/v) 을 용해시킨 TCM199 배지 (GIBCO 사) 에서 24 시간, 정법에 의해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인체 혈청 알부민을 함유하지 않는 TCM199 배지에서 동일하게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트립신 - EDTA 를 사용하여 배양 용기로 부터 수확한 후, 파라포름알데히드로 30 분 고정하였다. PBS (인산염 완충액) 로 3 회 세정한 후, 정상 염소혈청에 블로킹 (4 ℃, 30 분) 한 후, 마우스 항-무친 항체 (Muc 1) 와 반응 (4 ℃, 30 분) 시켜, 그 후 PBS 로 3 회 세정하였다. 세포를 FITC 표식 항마우스 IgG 항체와 반응 (4 ℃, 30 분) 시킨 다음 PBS 로 3 회 세정하였다.
얻어진 세포를 Epics (Colter 사) 를 이용하여 플로우-사이트메트리법에 의해 측정하여 전세포에서의 무친 생산 (양성) 세포의 비율 (%) 을 결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알부민에 의한 무친 생산의 증가
무틴생산 (양성) 세포 %
대조군(무첨가)알부민 10 % 군 15.2 %35.5 %
알부민의 첨가에 의해 결막상피세포의 무친 생산능이 명확하게 증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9
알부민의 기름 확산능 :
인공눈물에 대하여, 10 용량 % 의 피마자유를 첨가하면, 기름과 용액이 단리되어 기름방울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여기에 5 % 알부민 용액을 인공눈물에 대하여 10 용량 % 첨가하면, 피마자유가 물표면에 확산되어, 기름방울은 소실되었다. 이 결과에서, 알부민은 계면활성제로서, 눈표면으로부터 눈물의 증발을 예방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 시사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방법 및 용도는, 각결막장해 및 드라이아이의 치료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 방법 및 용도는 또한, 눈표면상피의 무친 분비를 증가시키는 작용도 나타냈다.

Claims (36)

  1. 알부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각결막 장해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알부민이 인체 유래인 의약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점안투여를 위한 것 인 의약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알부민을 10 ㎎/㎖ ∼ 1000 ㎎/㎖ 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5. 알부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드라이아이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알부민이 인체 유래인 의약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점안투여를 위한 것인 의약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알부민을 10 ㎎/㎖ ∼ 1000 ㎎/㎖ 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9. 알부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눈표면 상피 무친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의약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알부민이 인체 유래인 의약 조성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점안투여를 위한 것인 의약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알부민을 10 ㎎/㎖ ∼ 1000 ㎎/㎖ 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13. 각결막 장해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대하여 유효량의 알부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결막 장해의 치료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알부민이 인체 유래인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투여를 점안투여로 실시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10 ㎎/㎖ ∼ 1000 ㎎/㎖ 의 알부민 및 약학상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
  17. 드라이아이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대하여 유효량의 알부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드라이아이의 치료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알부민이 인체 유래인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투여를 점안투여로 실시하는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10 ㎎/㎖ ∼ 1000 ㎎/㎖ 의 알부민 및 약학상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
  21. 투여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대하여 유효량의 알부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눈표면 상피 무친 생산을 증가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알부민이 인체 유래인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투여를 점안투여로 실시하는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1 ㎎/㎖ ∼ 1000 ㎎/㎖ 의 알부민 및 약학상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
  25. 각결막 장해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알부민의 용도.
  26. 제 25 항에 있어서, 알부민이 인체 유래인 용도.
  27. 제 25 항에 있어서, 의약조성물이 점안투여를 위한 것인 용도.
  28. 제 25 항에 있어서, 의약조성물이 알부민을 10 ㎎/㎖ ∼ 1000 ㎎/㎖ 을 함유하는 것인 용도.
  29. 드라이아이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알부민의 용도.
  30. 제 29 항에 있어서, 알부민이 인체 유래인 용도.
  31. 제 29 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이 점안투여를 위한 것인 용도.
  32. 제 29 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이 알부민을 10 ㎎/㎖ ∼ 1000 ㎎/㎖ 을 함유하는 것인 용도.
  33. 눈표면 상피 무친 생산의 증가용 의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알부민의 용도.
  34. 제 33 항에 있어서, 알부민이 인체 유래인 용도.
  35. 제 33 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이 점안투여를 위한 것인 용도.
  36. 제 33 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이 알부민을 10 ㎎/㎖ ∼ 1000 ㎎/㎖ 을 함유하는 것인 용도.
KR1019970709546A 1996-04-19 1997-04-17 알부민을유효성분으로하는의약조성물 KR100455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98090 1996-04-19
JP9809096 1996-04-19
JP96-106866 1996-04-26
JP10686696 1996-04-26
US75292896A 1996-11-21 1996-11-21
US75294196A 1996-11-21 1996-11-21
US08/752,941 1996-11-21
US08/752,928 1996-11-21
US8/752,928 1996-11-21
US8/752,941 1996-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35A true KR19990028235A (ko) 1999-04-15
KR100455475B1 KR100455475B1 (ko) 2004-12-17

Family

ID=2746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546A KR100455475B1 (ko) 1996-04-19 1997-04-17 알부민을유효성분으로하는의약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043213A (ko)
EP (1) EP0834320B1 (ko)
JP (1) JP3058920B2 (ko)
KR (1) KR100455475B1 (ko)
CN (1) CN1124158C (ko)
AT (1) ATE274918T1 (ko)
CA (1) CA2225398C (ko)
DE (1) DE69730476T2 (ko)
ES (1) ES2227684T3 (ko)
NO (1) NO320601B1 (ko)
WO (1) WO19970397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5356B2 (en) 2009-10-13 201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70113460A (ko) *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바이오코즈글로벌코리아 세포배양배지에 알부민, 히알루론산, 또는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10949B1 (en) * 1999-07-28 2008-11-19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Lactalbumin for the curative treatment of peptic ulcers
GB0019378D0 (en) 2000-08-07 2000-09-27 Saugstad Ola D Method
US6852687B2 (en) * 2001-04-26 2005-02-08 Kazuo Tsubota Method for inhibiting apoptosis
US20030211043A1 (en) * 2001-09-28 2003-11-13 Korb Donald R. Eye treatment
US20060234907A1 (en) * 2004-02-13 2006-10-19 Werner Gehringer Albumin solution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8455016B2 (en) 2004-03-12 2013-06-04 Melbj Holdings, Llc Treatment for meibomian gland dysfunction or obstruction
US20050202097A1 (en) * 2004-03-12 2005-09-15 Melbj Holdings, Llc, Florida Lubricant for the ocular surface
US7189697B2 (en) * 2004-04-13 2007-03-13 Trustees Of Tufts College Compositions and uses of a galectin for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US20060232060A1 (en) * 2005-04-13 2006-10-19 Assignee1 Pressure sensitive packing laminate overlay form combina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07033020A2 (en) * 2005-09-13 2007-03-22 Bausch & Lomb Incorporated Ophthalmic formulation for treatment of dry eye
WO2008133928A2 (en) * 2007-04-27 2008-11-06 The Gi Company, Inc. Mucin glycoproteins and their use for treatment of epithelial lesions and mucin dependent disorders
KR20110020819A (ko) * 2008-05-15 2011-03-03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떼꾸 우에노 안구건조증 및/또는 각막/결막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8871995B2 (en) * 2009-11-27 2014-10-28 R-Tech Ueno, Ltd. Method for screening an agent being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and/or corneal and conjunctival les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obtained by the method
AU2013203609B2 (en) * 2009-11-27 2014-08-21 R-Tech Ueno, Ltd. Method for screening drug efficacious in treating dry eye and/or keratoconjunctival disorder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obtained thereby
US20120165272A1 (en) * 2010-12-21 2012-06-28 Recopharma Ab Tear Substitutes
DE102015205293A1 (de) 2015-03-24 2016-09-29 Marc Schrot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ugentropfen
BR112020017988A2 (pt) 2018-03-09 2020-12-22 Panoptes Pharma Ges.M.B.H. Composição oftálmica
US10966948B2 (en) 2019-07-23 2021-04-06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eye
WO2020021477A2 (en) 2018-07-27 2020-01-3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eye
US11969454B2 (en) 2019-11-19 2024-04-30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eye
US11739166B2 (en) 2020-07-02 2023-08-29 Davol Inc. Reactive polysaccharide-based hemostatic agent
WO2024018452A1 (en) 2022-07-18 2024-01-25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Albumin protein variants, production thereof and uses of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6422A (en) * 1981-01-29 1982-08-06 Green Cross Corp:The Stabilizing method of lysozyme pharmaceutical
JPS61103836A (ja) * 1984-10-24 1986-05-22 Green Cross Corp:The フイブロネクチン製剤
CA1263606A (en) * 1985-05-29 1989-12-05 Jeffrey P. Gilbard Non-toxic opthalmic preparations
JPS6391331A (ja) * 1986-10-03 1988-04-22 Senjiyu Seiyaku Kk 眼科用水性組成物
EP0465588A4 (en) * 1989-04-04 1992-06-03 Alcon Laboratories Inc The use of liposomes for the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to wounds, cuts and abrasions
US5174988A (en) * 1989-07-27 1992-12-29 Scientific Development & Research, Inc. Phospholipid delivery system
JPH05310592A (ja) * 1992-05-11 1993-11-22 Nichirei Corp 創傷治療剤及び医薬製剤
JPH06271478A (ja) * 1993-03-23 1994-09-27 Otsuka Pharmaceut Co Ltd ドライアイ治療剤
EP0637450A3 (en) * 1993-08-04 1995-04-05 Collagen Corp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suscitation of hereditary tissue.
US6013628A (en) * 1994-02-28 2000-01-1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 for treating conditions of the eye using polypeptid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5356B2 (en) 2009-10-13 201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70113460A (ko) *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바이오코즈글로벌코리아 세포배양배지에 알부민, 히알루론산, 또는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74918T1 (de) 2004-09-15
CN1124158C (zh) 2003-10-15
US6043213A (en) 2000-03-28
KR100455475B1 (ko) 2004-12-17
CA2225398A1 (en) 1997-10-30
NO975962D0 (no) 1997-12-18
DE69730476D1 (de) 2004-10-07
DE69730476T2 (de) 2005-11-17
JP3058920B2 (ja) 2000-07-04
CA2225398C (en) 2008-07-15
EP0834320A1 (en) 1998-04-08
EP0834320B1 (en) 2004-09-01
NO975962L (no) 1998-02-18
WO1997039769A1 (fr) 1997-10-30
CN1195296A (zh) 1998-10-07
EP0834320A4 (en) 2000-11-22
NO320601B1 (no) 2005-12-27
ES2227684T3 (es) 2005-04-01
US6159930A (en) 2000-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8235A (ko) 알부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US4740498A (en) Fibronectin preparations
US10010586B2 (en) Method of treating intraocular tissue pathologies with nerve growth factor
AU2006260184B2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corneal/conjunctival disease
US2011006564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and/or corneal and conjunctival lesion
US9205154B2 (en) Method for screening an agent being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and/or corneal and conjunctival lesion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btained by the method
US7321000B2 (en) Ophthalmic composition containing N-acetyl-cysteine for the treatment of dry-eye syndrome
EP0410749B1 (en) Anthocyanidins for the treatment of ophthalmic diseases
JPH06271478A (ja) ドライアイ治療剤
EP3127543B1 (en) Ophthalmic formulations comprising oligosaccharides
AU725508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lbumin as an active ingredient
US6852687B2 (en) Method for inhibiting apoptosis
JP2741285B2 (ja) 緑内障治療剤
US2011004497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WO199501448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dry eyes and other ocular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