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213U -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213U
KR19990028213U KR2019970040838U KR19970040838U KR19990028213U KR 19990028213 U KR19990028213 U KR 19990028213U KR 2019970040838 U KR2019970040838 U KR 2019970040838U KR 19970040838 U KR19970040838 U KR 19970040838U KR 19990028213 U KR19990028213 U KR 199900282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offset collision
reinforcement structure
o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0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213U/ko
Publication of KR19990028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213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셋 충돌시 충돌력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도록하여 충돌력으로 인한 실내 침입량을 저감시키고 탑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차체프레임(1)의 전방에 결합되고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론트아웃멤버(2)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아웃멤버(2)의 전방 양측에 소정높이 단차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충돌분산유도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는 차량의 오프셋 충돌시 발생하는 충돌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유도하여 흡수 및 완충작용을 수행하므로 충돌로 인한 실내침입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
본 고안은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셋 충돌시 충돌력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도록하여 충돌력으로 인한 실내 침입량을 저감시키고 탑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차체와 섀시로 구성되며, 이 차체는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프레임과, 이 차체프레임에 결합되는 패널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은 충돌 사고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테스트로 전방충돌과 측면충돌이 있으며, 이는 자동차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이미 각 나라에서는 이러한 충돌시의 안전치를 법규화하여 수입규제 등의 항목으로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전후방에는 외부 충돌에 대한 충격 저감수단으로 우레탄 등의 완충부재로 성형된 범퍼 등을 설치하여 충돌에너지에 대응하고 있지만 상기의 충격 저감수단은 부피나 무게에 따른 연비상승등 많은 조건을 고려하여 제한적으로 설치되므로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노출되어 왔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프레임의 전방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론트아웃멤버(200)와, 이 프론트아웃멤버(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차체프레임(10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차체프레임(100)은 프론트아웃멤버(200)의 양측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은 충돌 사고시 정면충돌에 대해서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결합된 차체프레임(100)의 지지를 받는 프론트아웃멤버(200)가 충돌력에 대응하여 흡수 및 완충작용을 수행하지만 오프셋충돌과 같이 충돌체와 편심되어 충돌하였을 경우에는 그 지지강성이 취약하고 충돌력에 대해 균일한 변형을 유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상기 프론트아웃멤버(200)가 충돌력에 대해 충분하게 충격흡수를 수행하여야 하지만 충돌력에 대한 전방변위가 크고, 아울러 작용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적절한 완충 및 흡수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아웃멤버(200)는 충돌에너지를 충분하게 흡수하지 못하고 차체프레임(100)측으로 즉, 엔진룸측으로 충돌력을 전달하므로 엔진룸에 설치된 엔진 및 전륜서스펜션 등이 차실측으로 침입하게 되는 침입량이 커지게 되고, 아울러 인명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프셋 충돌시 충돌력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도록하여 충돌력으로 인한 실내 침입량을 저감시키고 탑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차체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고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론트아웃멤버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아웃멤버의 전방 양측에 소정높이 단차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충돌분산유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프레임의 전방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레임 전방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프레임
2 : 프론트아웃멤버
3 : 충돌분산유도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레임 전방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론트아웃멤버(2)와, 이 프론트아웃멤버(2)의 후방 양측에 결합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차체프레임(1)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아웃멤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여 오프셋 충돌시 충돌력에 대해 충분한 충격흡수를 수행하도록 충돌분산유도부(3)가 형성된다.
상기의 충돌분산유도부(3)는 차량의 정면충돌이나 또는 오프셋 충돌시 소정 시간동안 일정한 변형을 이루면서 후방측으로 충돌력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충돌분산유도부(3)는 상기 프론트아웃멤버(2)의 전방 양측에 소정 높이 단차 형성되도록 돌출되며,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진행하면서 넓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차량의 전방충돌 또는 오프셋 충돌시 상기 프론트아웃멤버(2)의 충돌분산유도부(3)는 단차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돌력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변형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충돌분산유도부(3)는 오프셋 충돌시에도 충돌력에 의해 후방측으로 균일하게 찌그러지도록 유도하므로서, 상기 충돌력을 변형에너지로 바꾸어 흡수 및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의 충돌분산유도부(3)는 후방측으로 진행할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충돌력이 후방측으로 넓게 분산되어 전달된다.
이어서, 상기 충돌력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차체프레임(1)의 지지를 받는 프론트아웃멤버(2)에 균일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프론트아웃멤버(2)는 차량 정면충돌에 대한 지지강성이 우수하므로 충돌력을 원활하게 흡수 및 저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는 차량의 오프셋 충돌시 발생하는 충돌력을 프론트아웃멤버측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유도하여 흡수 및 완충작용을 수행하므로 충돌로 인한 실내침입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차체프레임(1)의 전방에 결합되고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론트아웃멤버(2)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아웃멤버(2)의 전방 양측에 소정높이 단차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충돌분산유도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오프셋충돌보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분산유도부(3)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진행하면서 넓어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
KR2019970040838U 1997-12-26 1997-12-26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 KR199900282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838U KR19990028213U (ko) 1997-12-26 1997-12-26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838U KR19990028213U (ko) 1997-12-26 1997-12-26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13U true KR19990028213U (ko) 1999-07-15

Family

ID=6969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838U KR19990028213U (ko) 1997-12-26 1997-12-26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21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8035Y1 (ko) 자동차의사이드실보강구조
KR19990028213U (ko) 차량의 오프셋충돌 보강구조
KR200219621Y1 (ko)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100250279B1 (ko) 차량의 오프셋 충돌 보강구조
KR19990010525U (ko) 자동차의 프런트 사이드멤버
KR200141656Y1 (ko) 차량용 도어의 강도보강구조
KR200203460Y1 (ko)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KR200161055Y1 (ko) 자동차의 도어 측면 보강장치
KR200203093Y1 (ko) 차량용 대시보드 보강구조
KR19990021293A (ko) 자동차의 휀더 에이프런 어퍼부 충격흡수구조
KR19980027993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측면강성 보강구조
KR19990029883U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19990046982A (ko) 차량의 루프패널 충격흡수구조
KR19980036164A (ko) 자동차의 정면 충격 흡수구조
KR19990019857U (ko) 차량의 전방충돌 저감장치
KR19990033762A (ko) 차량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9990054331A (ko) 차량의 측면충돌 흡수구조
KR19980032432U (ko) 차량용 프런트 사이드멤버 구조
KR19980036976U (ko) 차량용 프런트 필러 구조
KR19980010671U (ko) 차량용 범퍼의 체결 어셈블리
KR19980049862U (ko) 차량 범퍼용 알루미늄 빔
KR19980037471U (ko) 자동차 어빌리그 임팩트 보강용 서브프레임 구조
KR19990019678A (ko) 자동차의 정면 충돌흡수장치
KR19980036974U (ko) 차량용 도어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