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517U -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517U
KR19990027517U KR2019970040111U KR19970040111U KR19990027517U KR 19990027517 U KR19990027517 U KR 19990027517U KR 2019970040111 U KR2019970040111 U KR 2019970040111U KR 19970040111 U KR19970040111 U KR 19970040111U KR 19990027517 U KR19990027517 U KR 199900275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panel
mirror
outside mirror
fixture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0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517U/ko
Publication of KR199900275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517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110)의 패치패널(112)의 표면에는 한 쌍의 괘지공(114)을 관통 형성하고, 그 괘지공(114)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보스(122)의 선단에는 나사홈(124)을 형성하여 된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120)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웃 사이드 미러(120)를 패치패널(112)에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원통형의 고정구(130)를 구비하되, 그 고정구(130)의 외주면에는 플렌지부(132)를 돌출 형성하고, 그 플렌지부(132)의 일측에는 상기 보스(122)의 나사홈(124)으로 스크류(1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삽지공(134)을 수개 관통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130) 선단의 외주면 둘레에는 걸림턱부(136)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아웃사이드 미러의 취부 및 탈거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의 패치패널의 표면에는 한 쌍의 괘지공을 관통 형성하고, 그 괘지공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보스의 선단에는 나사홈을 형성하여 된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웃 사이드 미러를 패치패널에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원통형의 고정구를 구비하되, 그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플렌지부를 돌출 형성하고, 그 플렌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보스의 나사홈으로 스크류가 체결될 수 있도록 삽지공을 수개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미러가 설치되어 있는 데, 이는 크게 인사이드 미러와 아웃사이드 미러로 대별된다.
상기 인사이드 미러는 일명 방현미러라고 하며 프리즘의 표면 반사와 이면 반사를 이용하여 미러의 반사율을 변환함으로써, 야간에 후속 자동차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적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아웃사이드 미러는 프런트 펜더 및 운전석 도어에 설치되어 후속 차량의 위치 확인이나 거리 등을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이중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10)의 패치패널(12) 표면에는 수개의 괘지공(14)을 관통 형성하고, 그 괘지공(14)에 끼워지게 된 아웃사이드 미러(20)의 밑면에는 선단으로 나사홈(24)이 관통된 보스(22)를 돌출 형성하고, 그 보스(22)에 끼워져 스크류(40)로 체결되도록 상면에는 끼움구멍(34)을 관통하며 외주면 둘레에는 삽지홈부(32)를 형성한 장구 모양의 스틸클립(30)을 구비했었다.
즉, 이러한 구조로 된 종래 기술에서는 아웃사이드 미러(20)를 차체(10)의 패치패널(12)에 취부시, 아웃사이드 미러(20)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보스(22)를 패치패널(12)에 관통 형성된 괘지공(14)으로 끼운 후, 이러한 보스(22)의 선단에는 스틸클립(30)을 끼우게 된다. 이와 함께 그 스틸클립(30)은 패치패널(12)의 괘지공(14)으로 끼워지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스틸클립(30)의 끼움구멍(34)을 통해 스크류(40)를 끼워 보스(22)의 나사홈(24)으로 나사 체결하는 것으로, 아웃사이드 미러(20)의 체결 작업이 완료된다. 다시말해 앞서와 같이 스크류(40)를 보스(22)에 형성된 나사홈(24)으로 체결함에 따라 도면에는 잘 보여지지는 않고 있지만, 보스(22)의 선단과 스틸클립(30)의 외부면이 절결되어 있는 관계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그 스틸클립(30)의 삽지홈부(32)가 패치패널(12)의 괘지공(14)에 완전히 밀착되어 빠지지 않도록 했던 기술이지만, 무거운 아웃사이드 미러(20)를 손에 들고서 볼팅 작업 등을 수행하는 작업 과정에서 힘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또한 아웃사이드 미러(20)를 탈거할 경우 상기 스틸클립(30)이 패치패널(12)에 관통 형성된 괘지공(14)으로 견고하게 취부된 상태이기 때문에 쉽게 빠지지 않을뿐더러 심지어는 보스(22) 자체가 부러진다든지 탈거할 때 스틸클립(30)은 빠지지 않고 아웃사이드 미러(20)만이 탈거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탈거 작업상 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아웃사이드 미러의 취부 및 탈거 작업시, 미리 아웃사이드 미러에 돌출 형성된 보스에 고정구를 스크류로 체결 고정하고 난 다음, 그 고정구를 패치패널에 관통 형성된 괘지공으로 끼워 고정하면 되고, 아웃사이드 미러의 탈거시 이에 취부된 고정구를 패치패널의 괘지공으로부터 억지로 빼내면 되므로, 아웃사이드 미러의 취부 및 탈거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차체의 패치패널의 표면에는 한 쌍의 괘지공을 관통 형성하고, 그 괘지공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보스의 선단에는 나사홈을 형성하여 된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웃 사이드 미러를 패치패널에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원통형의 고정구를 구비하되, 그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플렌지부를 돌출 형성하고, 그 플렌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보스의 나사홈으로 스크류가 체결될 수 있도록 삽지공을 수개 관통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사이드 패널로부터 연결구를 분리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차체 112 : 패치패널
114 : 괘지공 120 : 아웃사이드 미러
122 : 보스 124 : 나사홈
130 : 고정구 132 : 플렌지부
134 : 삽지공 136 : 걸림턱부
140 : 스크류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고안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사이드 패널로부터 연결구를 분리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120)의 설치구조에 있어, 차체(110)의 패치패널(112)의 표면에는 한 쌍의 괘지공(114)을 관통 형성한다.
그 괘지공(114)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아웃 사이드 미러(12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보스(122)를 돌출 형성한 후 그 보스(122)의 선단에는 나사홈(124)을 형성한다.
상기 아웃 사이드 미러(120)는 고정구(130)를 이용하여 패치패널(112)에 설치되고, 이러한 고정구(130)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고정구(130)의 내부가 빈 형상을 갖는 것은 원가 절감의 측면에서 이다.
그 고정구(130)의 외주면에는 플렌지부(132)를 돌출 형성한다. 그 플렌지부(132)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띠형이 되게 형성된다.
그 플렌지부(132)의 일측에는 상기 보스(122)의 나사홈(124)으로 스크류(1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삽지공(134)을 수개 관통 형성한다.
상기 고정구(130) 선단의 외주면 둘레에는 걸림턱부(136)를 돌출 형성하고, 그 걸림턱부(136)는 상기 고정구(130)가 패치패널(112)의 괘지공(114)으로 끼워진 후 후방에서 걸려 쉽게 빠지지 않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고안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에 대한 작용은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자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즉,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120)는 프런트 펜더 및 운전석 도어에 설치되어 후속 차량의 위치 확인이나 거리 등을 확인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그 구체적 취부 상태를 자세히 기술하자면, 차체(110)의 패치패널(112)의 표면으로는 괘지공(114)을 관통 형성한다. 그 괘지공(114)은 패치패널(112)에 수개소에 걸쳐 형성한다. 이러한 괘지공(114)의 개수는 나중에 언급하게 될 아웃사이드 미러(12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보스(122)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120)의 하부, 즉 패치패널(112)의 결합 부분으로는 다수개의 보스(122)를 돌출 형성한다. 그 보스(122)는 앞서와 같이 패치패널(112)에 형성된 괘지공(114)으로 끼워져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120)를 패치패널(112)에 취부하기 위해서는 고정구(130)를 구비하게 된다. 그 고정구(1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후, 그 외주면 둘레에는 플렌지부(132)를 띠형으로 돌출 형성한다. 그 플렌지부(132)의 표면에는 삽지공(134)을 관통 형성하게 되는 데, 그 삽지공(134)의 개수는 상기 보스(122)의 개수와 상응하게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삽지공(134)을 통해 스크류(140)를 끼워 보스(122)의 나사홈(124)으로 체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30) 선단의 외주면 둘레에는 걸림턱부(136)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30)의 직경은 패치패널(112)의 괘지공(114)과 직경이 동일하지만, 상기 고정구(13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걸림턱부(136)는 괘지공(114)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고정구(130)를 패치패널(112)에 고정할 경우에는 끼워지게 된 반면, 괘지공(114)에 끼워진 고정구(13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구비된 고정구(130)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120)를 취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120)에 돌출 형성된 보스(122)에는 고정구(130)의 플렌지부(132)를 위치시키되, 그 플렌지부(132)에 관통 형성된 삽지공(134)은 보스(122)의 나사홈(124)과 상응한 일치된 위치로 한 다음, 상기 플렌지부(132)에 형성된 삽지공(134)으로 스크류(140)를 끼워 보스(122)의 나사홈(124)으로 체결하게 되면, 고정구(130)가 아웃사이드 미러(120)의 보스(122)에 취부된다. 이 작업은 상기 보스(122)의 개수마다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아웃사이드 미러(120)의 보스(122)에 취부된 고정구(130)를 차체(110)의 패치패널(112)에 형성된 괘지공(114)으로 끼우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고정구(130)의 걸림턱부(136)는 패치패널(112)의 괘지공(114)에 끼워진 이후 후방에서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와 같이 취부된 아웃사이드 미러(120)를 탈거해주어야 할 경우, 별도의 탈거 수단이 필요없이 아웃사이드 미러(120)를 파지한 후 강제로 잡아 당기면, 그 아웃사이드 미러(120)에 취부된 고정구(130)의 걸림턱부(136)가 패치패널(112)의 괘지공(114)으로부터 강제로 빠지게 된다. 이와같이 아웃사이드 미러(120)의 취부 및 탈거 작업은 간단히 수행되는 것이다.
본 고안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에 따르면, 차체의 패치패널에 취부하게 된 아웃사이드 미러에는 선단으로 나사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보스를 돌출 형성하고, 외주면으로 플렌지부와 걸림턱부를 돌출 형성한 고정구로 아웃사이드 미러가 패치패널에 취부토록 함으로써, 아웃사이드 미러의 취부 및 탈거 작업시, 미리 아웃사이드 미러에 돌출 형성된 보스에 고정구를 스크류로 체결 고정하고 난 다음, 그 고정구를 패치패널에 관통 형성된 괘지공으로 끼워 고정하면 되고, 아웃사이드 미러의 탈거시 이에 취부된 고정구를 패치패널의 괘지공으로부터 억지로 빼내면 되므로, 아웃사이드 미러의 취부 및 탈거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차체(110)의 패치패널(112)의 표면에는 한 쌍의 괘지공(114)을 관통 형성하고, 그 괘지공(114)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보스(122)의 선단에는 나사홈(124)을 형성하여 된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120)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웃 사이드 미러(120)를 패치패널(112)에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원통형의 고정구(130)를 구비하되, 그 고정구(130)의 외주면에는 플렌지부(132)를 돌출 형성하고, 그 플렌지부(132)의 일측에는 상기 보스(122)의 나사홈(124)으로 스크류(1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삽지공(134)을 수개 관통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130) 선단의 외주면 둘레에는 걸림턱부(136)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
KR2019970040111U 1997-12-24 1997-12-24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 KR199900275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111U KR19990027517U (ko) 1997-12-24 1997-12-24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111U KR19990027517U (ko) 1997-12-24 1997-12-24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517U true KR19990027517U (ko) 1999-07-15

Family

ID=6969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111U KR19990027517U (ko) 1997-12-24 1997-12-24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51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02760A1 (en) Blind rivet fastener and workpiece assembly using same
US5100188A (en) Vehicle grille mounting apparatus
KR19990027517U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설치구조
JP2009255687A (ja) デッキサイドトリムの取付構造
KR100350803B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 장착장치
KR20010060321A (ko)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JP2002211308A (ja) 車両用ランプの取付構造
JP2004106684A (ja) 屋根上部品取付用ブラケット
KR10046195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힌지 브라켓의 구조
CN213167900U (zh) 一种车用衣帽钩组件
KR100857067B1 (ko) 아웃사이드미러 가장착 구조
JP2600944Y2 (ja) ヘッドランプ取付構造
JPH0734763Y2 (ja) 車両用灯具の取付け構造
KR0160023B1 (ko) 견인 보울트 체결 구조
KR200170697Y1 (ko) 자동차의 벨트 가이드 설치 구조
KR200176238Y1 (ko) 승용차 뒷범퍼 고정구조
JPS6344275Y2 (ko)
KR100380170B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릴리즈 커버 취부구조
KR19990026958A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용 인사이드 커버의 취부구조
KR200200808Y1 (ko) 선바이저 장착구조
KR0114079Y1 (ko) 자동차용 보조 스톱 램프 고정장치
KR960005092Y1 (ko) 자동차의 도어 내부 장식판 고정구
KR200198881Y1 (ko) 번호판등 취부 구조
KR0113402Y1 (ko) 자동차용 옷걸이 훅
KR200225958Y1 (ko) 자동차범퍼페이셔일체형램프어셈블리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