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378A -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378A
KR19990027378A KR1019970049819A KR19970049819A KR19990027378A KR 19990027378 A KR19990027378 A KR 19990027378A KR 1019970049819 A KR1019970049819 A KR 1019970049819A KR 19970049819 A KR19970049819 A KR 19970049819A KR 19990027378 A KR19990027378 A KR 19990027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vehicle
tool box
main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하종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9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378A/ko
Publication of KR1999002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378A/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룸 저면부에 형성된 공구함으로부터 공구들을 용이하게 수납시킬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트렁크룸 (1)저면부의 플로워 패널이 움푹패여진 형태로 형성된 타이어룸(2) 및 공구함(3)의 상면부에 덮어지는 메인매트(4)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3)의 상면부에 위치하는 메인매트(4')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메인매트(4')와 분리시킨 스몰매트(10)와, 상기 스몰매트(10)의 일측을 메인매트(4')와 결합시키되, 상기 결합부를 기점으로 접이되도록 하는 접이수단(11)으로 구성된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차량의 정비시 요구되는 공구들을 상기 차량의 트렁크룸의 저면부에 형성된 공구함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수납할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
본 발명은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트렁크룸에 구비되는 공구함을 커버하고 있는 메인매트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룸에 형성된 공구함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부위를 별도로 오픈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토록 한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주행중 타이어의 손상에 대비하여 비상용으로 스페어 타이어를 트렁크룸(1)에 비치시키게 된다.
상기 차량이 주행중 일측의 타이어가 손상되게 되면 상기 손상된 타이어를 상기 트렁크룸(1)에 비치된 스페어 타이어와 교환장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타이어들의 교환시 잭 등의 공구가 요구됨으로써, 공구 또한 차량의 트렁크룸(1)에 비치시키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트렁크룸(1)에는 스페어 타이어를 비치시키는 타이어룸(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어룸(2)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각종 공구 등을 비치시키는 공구함(3)이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타이어룸(2)과 공구함(3)은 차량의 트렁크룸(1)의 플로워 패널을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의 트렁크룸(1)에는 스페어 타이어 및 공구들만을 비치시키는 목적이 아니며, 차량의 실내에 싣지 못하는 각종의 소형화물 등을 비치시키는 기능을 주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이 스페어 타이어 및 공구들을 비치시키고자 차량의 트렁크룸저면부의 플로워 패널을 움푹 들어가도록하여 스페어 타이어룸(2) 및 공구함(3)을 형성시킨채 각종물품 등을 차량의 트렁크룸(1)에 적재시키게 되면 상기 물품들이 스페어 타이어룸(2) 및 공구함(3)에 밀려들어가 관리의 효율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이 차량의 트렁크룸(1)에 형성된 타이어룸(2) 및 공구함(3)과, 상기 트렁크룸(1)을 분리시키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트렁크룸(1)의 저면부에 메인매트를 깔아 상기 타이어룸(2) 및 공구함(3)과, 트렁크룸(1)을 상호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트렁크룸(1)에 형성된 타이어룸(2) 및 공구함(3)에 각각 스페어 타이어와 각종 공구들을 비치시킨채 메인매트(4)를 덮어씌우고 상기 메인매트(4)의 상면부에 각종 소형물품 등을 적재시키면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타이어룸 및 공구함의 상면부에 메인매트를 깔고 다시 상기 메인매트의 상면부에 각종의 소형물품 등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구함에 비치되어 있는 공구들을 수납시키고자 할 경우에 상기 메인매트를 들어올린후 공구들을 수납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메인매트의 상면부에 적재된 각종의 소형화물들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메인매트를 들어올리기가 용이하지 못하므로, 상기 메인매트의 상면부에 적재된 각종의 소형화물들을 차량의 트렁크룸으로부터 꺼낸후 상기 메인매트를 들어올리고 공구들을 수납하게 되어 여러 가지로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트렁크룸에 형성된 공구함에 비치되는 각종 공구들을 보다 용이하게 수납할수 있도록하여 상기 공구들의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트렁크룸에 구비되는 공구함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를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이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4': 메인매트 10: 스몰매트
11: 경첩 20: 가이드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룸 저면부의 플로워 패널이 움푹패여진 형태로 형성된 타이어룸 및 공구함의 상면부에 덮어지는 메인매트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의 상면부에 위치하는 메인매트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메인매트와 분리시킨 스몰매트와, 상기 스몰매트의 일측을 메인매트와 결합시키되, 상기 결합부를 기점으로 접이되도록 하는 접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룸 저면부에 덮어진 메인매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트렁크룸 저면부에 형성된 공구함의 상면부에 덮어지는 부위를 절단하여 제공된 별도의 스몰매트를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잡아당겨 상향으로 들엉올리면 상기 스몰매트에 형성된 손잡이부의 대향측과 메인매트와의 결합매개체인 접이수단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오픈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차량의 트렁크룸 저면부에 덮어진 메인매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트렁크룸에 형성된 공구함을 덮는 부위를 절단하여 별도의 스몰매트를 제공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작동상태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트렁크룸(1)에 형성된 타어어룸(2) 및 공구함(3)의 상면부에 덮어져 상기 차량의 트렁크룸(1)과, 타이어룸(2) 및 공구함(3)을 상호 차단시키도록 메인매트(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메인매트(4')는 트렁크룸(1)에 적재되는 각종물품 등의 하중에 견디는 힘을 가지도록 어느정도 하드(Hard)한 보어드(Board)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매트(4')에 있어서, 공구함(3)의 상면부에 위치하는 소정부위에는 상기 메인매트(4')와 분리된 객체의 스몰매트(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몰매트(10)의 후측부가 메인매트(4')의 일측부와 경첩(11)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몰매트(10)에 있어서, 메인매트(4')와 경첩(11)에 의하여 결합된 부위의 타단측에는 손잡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몰매트(10)와 메인매트(4')가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경첩(11)에 의한 결합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일측면부는 단면형상이 단층식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몰매트(10)는 상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메인매트(4')는 하부가 돌출되어 상호 접지된 상태에서 각각 평면부와 저면부가 수평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몰매트(10)에서 상부가 돌출된 부위의 전측부에 가이드 봉(20)의 일측이 힌지(2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매트(4')에서 하부가 돌출된 부위의 전측부에는 요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몰매트(10)와 메인매트(4')가 상호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몰매트(10)의 일측부에 상부가 돌출된 부위의 전측부에 힌지(21)에 의하여 고정결합된 가이드 봉(20)에 의해 상기 스몰매트(10)와 메인매트(4')가 접지된 상태에서 평면부와 저면부가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몰매트(10)의 일측부에 상부가 돌출된 부위의 저면부와, 상기 메인매트(4')의 일측부에 하부가 돌출된 부위의 상면부에 각각 반원상의 요부들(22,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메인매트(4')와 스몰매트(10)가 상호 접지되면 상기 메인매트(4')의 일측부에 하부가 돌출된 부위의 상면부에 형성된 제 1요부(22)와, 상기 스몰매트(10)의 일측부에 상부가 돌출된 부위의 상면부에 각각 형성된 반원상의 제 2요부(23)가 상호 접지되어 원형상의 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봉(20)을 헤밍(Hemming)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룸(1)에 형성된 공구함(3)으로부터 공구를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트렁크룸(1)의 저면부에 덮여진 메인매트(4')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3)의 상면부에 위치하는 부위에 별도로 형성된 스몰매트(10)의 손잡이부(12)를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스몰매트(10)의 후측단부와, 메인매트(4')의 일측단부의 상호 결합매개체인 경첩(11)에 의하여 상기 스몰매트(10)의 후측단부를 기점으로 회동되면서, 오픈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몰매트(10)의 일측면부에 돌출부의 전면부에 힌지(21)에 의해 고정결합된 가이드봉(20)이 상기 힌지부(21)를 기점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힌지부(21)의 타단측이 메인매트(4')의 일측부에 형성된 돌출부의 상면부에 형성된 제 1요부(22)를 따라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밀려나오면서 상기 가이드 봉(20)의 단부가 메인매트(4')의 일측부에 형성된 돌출부의 전면부에 형성된 요홈부(24)에 다다르면 상기 가이드 봉(20)의 단부가 상기 요홈부(24)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써, 상기 스몰매트(10)를 스탠딩된 상태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몰매트(10)를 오픈시킨채 고정시키는 가이드구조는 상기 스몰매트(10)와, 메인매트(4')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하여도 되나, 상기 스몰매트(10)의 하중이 그리 크지 않음으로써, 일측부에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스몰매트(10)가 오픈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공구들의 수납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몰매트(10)의 일측부에 상부가 돌출된 부위의 전면부에 힌지(21)에 의하여 고정결합된 가이드 봉(20)에 있어서, 상기 메인매트(4')의 일측부에 하부가 돌출된 부위의 전면부에 형성된 요홈부(24)에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 봉(20)의 단부를 살짝 들어올리면 상기 가이드 봉(20)의 단부가 제 1요부를 타고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스몰매트(10)의 일측부 및 메인매트(4')의 일측부에 상하부가 각각 돌출된 부위에 형성된 제 2요부(23) 및 제 1요부(22)에 의해 헤밍되게 되며, 상기 스몰매트(10)의 후측부와 메인매트(4')의 일측부의 결합매개체인 경첩(11)에 의해 하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스몰매트(10)가 메인매트(4')에 대하여 접지되게 된다.
참고로, 차량의 타이어룸의 상면부에 위치하는 메인매트에도 본 발명에 의한 구조기술을 응용하여 스페어 타이어를 보다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차량의 정비시 요구되는 공구들을 상기 차량의 트렁크룸의 저면부에 형성된 공구함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수납할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의 트렁크룸 저면부에 덮여져 상기 트렁크룸의 저면부에 형성된 타이어룸 및 공구함과, 상기 트렁크룸을 차단시키는 메인매트(4)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3)의 상면부에 위치하는 메인매트(4')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메인매트(4')와 분리시킨 스몰매트(10)와, 상기 스몰매트(10)의 일측을 메인매트(4')와 결합시키되, 상기 결합부를 기점으로 접이되도록 하는 접이수단(1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몰매트(10)가 접이수단(11)에 의하여 회동되어 오픈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스몰매트(10)의 일측부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착된 가이드 봉(20)과, 상기 가이드 봉(20)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매트(4')의 일측부에 요홈부(24)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몰매트(10)와 메인매트(4')가 상호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봉(20)에 의하여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스몰매트(10)의 일측부의 상부가 돌출되며, 메인매트(4')의 일측부의 하부가 돌출되어 상호 접지된 상태에서 단면형상이 단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몰매트(10)의 돌출부의 저면부와, 상기 메인매트(4')의 돌출부의 상면부에 각각 반원상의 요부들(22,23)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
KR1019970049819A 1997-09-29 1997-09-29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 KR19990027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819A KR19990027378A (ko) 1997-09-29 1997-09-29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819A KR19990027378A (ko) 1997-09-29 1997-09-29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378A true KR19990027378A (ko) 1999-04-15

Family

ID=6604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819A KR19990027378A (ko) 1997-09-29 1997-09-29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3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787B1 (ko) * 2002-09-16 2005-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트렁크의 러기지트레이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787B1 (ko) * 2002-09-16 2005-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트렁크의 러기지트레이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5625A (en) Vehicle storage system
US5299704A (en) Collapsible locker box
EP0667260B1 (en) Vehicle cargo organizer
US20020000456A1 (en)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objects in a motor vehicle
US6513851B2 (en) Storage tray for use with a tonneau cover assembly
US6050374A (en) Luggage case construction
US4848824A (en) Truck bed rim frame with express access flap
KR19990027378A (ko)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
KR20110020669A (ko) 러기지 박스
KR19980034529U (ko) 서류함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CN208360319U (zh) 行李舱
KR200297600Y1 (ko)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
KR200368002Y1 (ko) 트럭의 물품 수납장치
JP4042240B2 (ja) 自動車のボデー構造
JP2001063471A (ja) サブトランクのフロアボード保持構造
JPH11348663A (ja) 自動車におけるアンダーフロアボックスのリッド
KR0130130Y1 (ko) 절첩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트렁크 룸용 트렁크 매트
KR960005212Y1 (ko) 자동차용 커버
KR0146496B1 (ko) 자동차의 트렁크 플로어의 커버
KR19980013906U (ko) 보조 수납구를 구비한 트렁크룸 보드
KR19980056620A (ko) 자동차의 트렁크 플로어 덮개
KR100331223B1 (ko) 차량용 테일 게이트
KR0133485Y1 (ko) 자동차의 트렁크에 설치된 짐받이
KR19980034527U (ko) 공구 수용함을 구비한 사이드 패널
JPH0731334Y2 (ja) 自動販売機などにおけるフ−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