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178U -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178U
KR19990027178U KR2019970039765U KR19970039765U KR19990027178U KR 19990027178 U KR19990027178 U KR 19990027178U KR 2019970039765 U KR2019970039765 U KR 2019970039765U KR 19970039765 U KR19970039765 U KR 19970039765U KR 19990027178 U KR19990027178 U KR 199900271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irror
front pillar
mirror
cas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9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178U/ko
Publication of KR199900271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178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사이드미러가 프론트필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소망하는 보조 사이드미러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가이드홈(51)을 갖는 지지편(52)이 돌출구성되고, 이 지지편(52)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54)이 형성된 프론트필러(50)와, 일측에 후방의 시계를 확인할 수 있는 볼록거울(56)이 부착된 케이스(58)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58)의 타측에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홈(51)에서 슬라이딩되는 고정편(60)이 플렉시블한 지지관(62)에 의하여 연결된 보조 사이드미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STRUCTURE FOR MOUNTING AUXILIARY SIDE MIRROR FOR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사이드미러가 프론트필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소망하는 보조 사이드미러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좌우측면에 장착된 사이드미러는 운전자가 후방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미러는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여 주행을 하거나 주차나 후진을 위하여 후방을 관측할 경우에 사용된다. 따라서, 사이드미러는 통상 자동차의 좌우측 폭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장착된다. 사이드미러는 운전자의 시야내에서 후방의 상황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항상 조절되어 있어야 하고, 사이드미러의 미러방향조절은 모터로 조절하는 전동식과 조작레버의 작동으로 조절하는 수동식으로 구분된다. 사이드미러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일측에 거울이 부착된 사이드미러가 구비되어지고, 이 사이드미러의 일측은 자동차의 도어 가니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진다. 사이드미러는 각도조절레버 및 모터를 사용하여 상하, 좌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조 사이드미러가 프론트필러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설명하면, 일측에 후방의 시계를 확인할 수 있는 볼록거울(10)이 부착된 케이스(12)가 구비되어지고, 이 케이스(12)의 타측에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고정편(14)이 플렉시블한 지지관(16)에 의하여 연결되어진다. 고정편(14)의 일측에는 양면테이프(18)가 고정되어진다. 보조 사이드미러가 장착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고정편(14)의 일측을 프론트필러(20)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편(14)을 가압하여 고정편(14)을 프론트필러(20)에 고정시킨다. 즉, 고정편(14)의 일측에 양면테이프(18)가 고정되어 있음으로 가압함에 따라 고정편(14)이 프론트필러(20)에 고정되는 것이다. 양면테이프(18)에 의하여 고정편(14)이 프론트필러(20)에 고정되면, 운전자가 후방의 시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케이스(12)의 위치를 조절한다. 케이스(12)와 고정편(14)이 플렉시블한 지지관(1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음으로 케이스(12)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조 사이드미러를 이용하여 후방의 시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경우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보조 사이드미러의 고정편이 프론트필러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보조 사이드미러를 프론트필러에 고정할 경우 프론트필러가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조 사이드미러가 프론트필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소망하는 보조 사이드미러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조 사이드미러가 프론트필러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사이드미러가 프론트필러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사이드미러가 프론트필러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프론트필러 51 : 가이드홈
52 : 가이드홈 54 : 가이드공
56 : 볼록거울 58 : 케이스
60 : 고정편 62 : 지지관
70 : 보조 사이드미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에 가이드홈을 갖는 지지편이 돌출구성되고, 이 지지편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된 프론트필러와, 일측에 후방의 시계를 확인할 수 있는 볼록거울이 부착된 케이스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의 타측에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홈에서 슬라이딩되는 고정편이 플렉시블한 지지관에 의하여 연결된 보조 사이드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사이드미러가 프론트필러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사이드미러가 프론트필러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설명하면, 운전석의 일측에 상단이 루프패널(미도시)에 연결되고, 하단이 팬더(미도시)에 연결된 프론트필러(50)가 구비된다. 프론트필러(50)의 일측에 가이드홈(51)을 갖는 지지편(52)이 돌출구성되고, 이 지지편(52)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54)이 형성된다. 일측에 후방의 시계를 확인할 수 있는 볼록거울(56)이 부착된 케이스(58)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58)의 타측에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고정편(60)이 플렉시블한 지지관(62)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조 사이드미러가 프론트필러에 장착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보조 사이드미러(70)의 고정편(60)을 프론트필러(50)에 돌출구성된 지지편(52)의 가이드홈(51) 상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보조 사이드미러(70)의 고정편(60)을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보조 사이드미러(70)의 고정편(60)이 프론트필러(50)에 돌출구성된 지지편(52)에 밀착고정된 상태를 갖는다. 즉, 보조 사이드미러(70)의 고정편(60)을 지지편(52)의 가이드홈(51) 하부로 이동시키면, 고정편(60)의 양측이 가이드홈(51)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지지편(52)에 밀착고정된다. 이때, 고정편(60)과 케이스(58)를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지지관(62)은 지지편(52)에 형성된 가이드공(54)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갖는다.
가이드홈(51)을 가지며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54)이 형성된 지지편(52)이 프론트필러(50)에 돌출구성되어 있음으로 용이하게 보조 사이드미러(70)를 프론트필러(50)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보조 사이드미러의 고정편이 프론트필러에서 이탈되었으며 동시에 프론트필러가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고안은 일측에 가이드홈(51)을 갖는 지지편(52)이 돌출구성되고, 이 지지편(52)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54)이 형성된 프론트필러(50)를 구비하여 보조 사이드미러가 프론트필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는 일측에 가이드홈을 갖는 지지편이 돌출구성되고, 이 지지편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된 프론트필러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보조 사이드미러를 용이하게 프론트필러에 장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보조 사이드미러가 프론트필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가이드홈(51)을 갖는 지지편(52)이 돌출구성되고, 이 지지편(52)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54)이 형성된 프론트필러(50)와,
    일측에 후방의 시계를 확인할 수 있는 볼록거울(56)이 부착된 케이스(58)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58)의 타측에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홈(51)에서 슬라이딩되는 고정편(60)이 플렉시블한 지지관(62)에 의하여 연결된 보조 사이드미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
KR2019970039765U 1997-12-23 1997-12-23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 KR199900271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765U KR19990027178U (ko) 1997-12-23 1997-12-23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765U KR19990027178U (ko) 1997-12-23 1997-12-23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178U true KR19990027178U (ko) 1999-07-15

Family

ID=6969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765U KR19990027178U (ko) 1997-12-23 1997-12-23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17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8311A (en) Visor mounting bracket with integral storage
KR1998001273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겸용 백미러
KR19990027178U (ko)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장착구조
KR100344624B1 (ko) 온 보드 유니트의 결합장치
KR200153380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이동장치
KR0129391Y1 (ko) 보조미러의 설치구조
KR0146228B1 (ko) 차량 실내룸의 보조미러
KR970006816Y1 (ko) 자동차의 방풍유리 부착구조
KR0113670Y1 (ko) 화물 자동차의 침대장치
KR200181683Y1 (ko) 자동차용 핸드폰 홀더
KR100187858B1 (ko) 차량용 룸미러
JP3021445U (ja) 車両用補助サンバイザー
KR200239215Y1 (ko) 자동차용 보조 백밀러
GB2206089A (en) Automobile parking apparatus
JP3038710U (ja) 自動車の日除け用半遮光板
JPH0528119Y2 (ko)
KR200264771Y1 (ko) 차량용 미러 고정판
JPS6144522Y2 (ko)
KR19990024375U (ko) 자동차의 이동식 룸미러장치
KR0130800Y1 (ko)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커버에 장착된 책받침대
KR200142401Y1 (ko) 글라스 마운트
KR20040042434A (ko) 자동차의 보조 미러
KR19980045137U (ko) 트럭의 아웃사이드미러 장착구조
KR19980041714U (ko) 자동차의 룸미러구조
KR19990009707A (ko) 차량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