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166U -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car - Google Patents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166U
KR19990027166U KR2019970039752U KR19970039752U KR19990027166U KR 19990027166 U KR19990027166 U KR 19990027166U KR 2019970039752 U KR2019970039752 U KR 2019970039752U KR 19970039752 U KR19970039752 U KR 19970039752U KR 19990027166 U KR19990027166 U KR 199900271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ngitudinal
bracket
fixed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7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9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166U/en
Publication of KR19990027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166U/en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방향프레임의 충격흡수율을 향상할 수 있는 자동차의 종방향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가지며, 타측 각면에 수개의 체결공(52)이 형성된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제 1프레임(50)과, 내측에 상기 제 1프레임(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54)이 형성되고, 내측에 웰드볼트(64)가 복수개 돌출구성된 제 1브라켓(58)이 고정되며, 양측 각면에 수개의 결합공(66)이 형성된 제 2프레임(56)과, 내측에 상기 제 2프레임(56)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68)이 형성되고, 내측에 웰드볼트(78)가 복수개 돌출구성된 제 1브라켓(72)이 고정되며, 양측 각면에 수개의 체결공(80)이 형성된 제 3프레임(70)과, 하단에 상기 제 1프레임(50)을 제 2프레임(56)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 2프레임(56)을 제 3프레임(70)에 고정하는 탄성력을 갖는 걸림부(84)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클립(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a vehicle that can improve the impact absorption rate of the longitudinal frame, the one side has an open state, the other having a rectangular shape with several fastening holes 52 formed on each side of the other side The first frame 50 and the receiving groove 54 is formed so that the first frame 50 can be inserted in the inner side, and the first bracket 58 having a plurality of weld bolts 64 protruding therein is fixed. The second frame 56 has several coupling holes 66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n accommodating groove 68 is formed to allow the second frame 56 to be inserted therein, and a weld bolt 78 therein. The first bracket (72)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is fixed, and a third frame (70) in which several fastening holes (80) are formed at both sides, and the first frame (50) at the bottom of the second frame (56). ) And a locking portion 84 having an elastic force that fixes the second frame 56 to the third frame 70 at the same time. That made including projecting configured clip 82 is characterized.

Description

자동차의 종방향프레임구조(STRUCTURE OF LONGITUDINAL FRAME FOR A CAR)STRUCTURE OF LONGITUDINAL FRAME FOR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종방향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방향프레임의 충격흡수율을 향상할 수 있는 자동차의 종방향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a vehicle that can improve the impact absorp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크게 나누어 차체(Body)와 섀시(Chassis)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 승객의 탑승 공간을 제공하는 차실내와, 엔진이 설치되는 기관실 및 짐을 보관하여 운반할 수 있는 트렁크 실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섀시는 자동차에서 차에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며, 프레임에 기관이나 주행에 필요한 각종 장비가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을 가능케 한다. 프레임(Frame)은 자동차가 주행 중에 받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나 화물의 하중 등에 의해 생기는 비틀림이나 진동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와 강성을 지녀야 함과 동시에 가벼워야 한다.In general, a car is divided into a body and a chassis, and the body is a part of the car, which stores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 engine room and the engine where the engine is installed. It can be divided into a trunk compartment that can be transported. In addition, the chassis is a part of the car except for the part of the car, and various equipment necessary for the engine or the driving is installed in the frame to enable the driving of the vehicle. The frame should be light and strong enough to withstand the torsion or vibration caused by the impact from the road surface or the load of the cargo.

자동차의 전방 부분에는 전면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프레임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수직으로 센터지지패널이 고정되어 있다. 전면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는 종방향프레임〔일명 롱지튜디널(Longitudinal)이라고 함〕이 결합되어 있으며, 전면프레임과 종방향프레임에는 엔진 등을 장착하기 위하여 수개의 브라켓이 고정된다. 전면프레임과 종방향프레임은 자동차의 사양에 따라 여러 형태의 단면으로 제작되어 진다. 그리하여 길이방향으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소정의 충격흡수를 이루며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The front part of the car is equipped with a front frame, and the front frame consists of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The center support panel is fixed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frame are coupled to a longitudinal frame (also called Longitudinal), and several brackets are fixed to the front frame and the longitudinal frame to mount an engine. The front frame and the longitudinal frame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vehicle. Thus, a shock absorber is protected against a shock applied to the vehicl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protecting the passeng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면프레임의 양측에 종방향프레임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설명하면, 전면프레임(10)은 상부프레임(15)과 하부프레임(20)으로 구성되어지고, 상부프레임(15)과 하부프레임(20)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센터지지프레임(25)이 고정되어진다. 센터지지프레임(25)이 상부프레임(15)과 하부프레임(20)에 고정됨에 있어서는 용접 및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한다. 전면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에 종방향프레임(30)이 고정되어 있으며, 전면프레임(10)과 종방향프레임(30)에는 엔진 등을 장착하기 위하여 수개의 브라켓이 고정되어진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frame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ure 1, the front frame 10 is composed of an upper frame 15 and the lower frame 20, the center support frame 25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frame 15 and the lower frame 20 Is fixed. When the center support frame 25 is fixed to the upper frame 15 and the lower frame 20, fixing means such as welding and bolts are used. The longitudinal frame 30 is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frame 10, and several brackets are fixed to the front frame 10 and the longitudinal frame 30 to mount the engin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방향프레임은 충격시 종방향프레임에 벤딩(Bending)이 발생하여 충격흡수율이 좋지 못한 문제를 갖고 있었다.However, the longitudinal fram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d a problem in that the impact absorption was not good because bending occurred in the longitudinal frame during impact.

즉, 예를 들어 종방향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게 될 때 종방향프레임이 자체변형을 이루며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데, 이때 가장 이상적인 변형의 형태는 종방향프레임이 주름관 형태로 변형되며 길이방향으로 압축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종방향프레임이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함으로 벤딩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충격흡수율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그로 인해 승객의 부상을 크게 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That is, for example, when the longitudinal frame is imp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frame forms a self-deformation and absorbs the shock. The most ideal form of deformation is that the longitudinal frame is deformed into a corrugated tube and is longitudinally longitudinal. Compressed form. However, the bending caused by the longitudinal frame does not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energy, thereby lowering the shock absorption rate,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increasing the passenger injury.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방향프레임의 충격흡수율을 향상할 수 있는 자동차의 종방향프레임구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a vehicle which can improve the shock absorption rate of the longitudinal fr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면프레임의 양측에 종방향프레임이 고정된 상 태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frame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종방향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종방향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제 1프레임 52 : 체결공50: first frame 52: fastening hole

54 : 수용홈 56 : 제 2프레임54: receiving groove 56: the second frame

58 : 제 1브라켓 60 : 스프링58: first bracket 60: spring

62 : 제 2브라켓 64 : 웰드볼트62: second bracket 64: weld bolt

66 : 결합공 68 : 수용홈66: coupling hole 68: receiving groove

70 : 제 3브라켓 72 : 제 1브라켓70: third bracket 72: first bracket

74 : 스프링 76 : 제 2브라켓74: spring 76: second bracket

78 : 웰드볼트 80 : 체결공78: weld bolt 80: fastener

82 : 클립 84 : 걸림부82: clip 84: locking portion

90 : 종방향프레임90: longitudinal frame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면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종방향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가지며, 타측 각면에 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제 1프레임과, 내측에 상기 제 1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웰드볼트가 복수개 돌출구성된 제 1브라켓이 고정되며, 양측 각면에 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 2프레임과, 내측에 상기 제 2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웰드볼트가 복수개 돌출구성된 제 1브라켓이 고정되며, 양측 각면에 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제 3프레임과, 하단에 상기 제 1프레임을 제 2프레임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 2프레임을 제 3프레임에 고정하는 탄성력을 갖는 걸림부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종방향프레임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longitudinal frame that is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frame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side is in an open state,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number of fastening holes on each side The first frame having a shape of, and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first frame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the first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weld bolts protruding therein is fixed,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on each side A second frame,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frame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the first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weld bolts protruding in the inside is fixed, the third frame formed with several fastening holes on each side, bottom A clip having a locking portion having an elastic force for fixing the first frame to the second frame and having an elastic force for fixing the second frame to the third frame Can be achieved by a ca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structure, it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includ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종방향프레임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종방향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종방향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설명하면,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제 1프레임(50)이 구비되고, 제 1프레임(50)의 일측은 개방된 상태를 갖는다. 제 1프레임(50)의 타측 각면에는 수개의 체결공(52)이 형성된다. 내측에 제 1프레임(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54)이 형성된 제 2프레임(56)이 구비되고, 이 제 2프레임(56)의 내측에는 제 1브라켓(58)이 고정된다. 제 1브라켓(58)에는 스프링(60)에 의하여 일측으로 탄성지지된 제 2브라켓(62)이 고정되고, 이 제 1브라켓(58)에는 웰드볼트(64)가 복수개 돌출구성된다. 제 1브라켓(58)은 용접 또는 볼트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제 2프레임(56)에 고정된다. 제 2프레임(56)의 양측 각면에 수개의 결합공(66)이 형성되고, 이 제 2프레임(56)의 일측 각면에 형성된 결합공(66)은 제 1프레임(50)의 타측 각면에 형성된 체결공(52)과 동일선상을 갖는다. 내측에 제 2프레임(56)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68)이 형성된 제 3프레임(70)이 구비되고, 이 제 3프레임(70)의 내측에는 제 1브라켓(72)이 고정된다. 제 1브라켓(72)에는 스프링(74)에 의하여 일측으로 탄성지지된 제 2브라켓(76)이 고정되고, 이 제 1브라켓(72)에는 웰드볼트(78)가 복수개 돌출구성된다. 제 1브라켓(72)은 용접 또는 볼트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제 3프레임(70)에 고정된다. 제 3프레임(70)의 양측 각면에 수개의 체결공(80)이 형성되고, 이 제 3프레임(70)의 일측 각면에 형성된 체결공(80)은 제 2프레임(56)의 타측 각면에 형성된 결합공(66)과 동일선상을 갖는다. 제 1프레임(50)을 제 2프레임(56)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 2프레임(56)을 제 3프레임(70)에 고정하는 클립(82)이 구비되고, 이 클립(82)의 하단에는 탄성력을 갖는 걸림부(84)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이 클립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 first frame 50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provided, and one side of the first frame 50 has an open state. Several fastening holes 52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50. A second frame 56 having a receiving groove 54 formed therein is provided to allow the first frame 50 to be inserted therein, and the first bracket 58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56. A second bracket 62 elastically supported to one side by a spring 60 is fixed to the first bracket 58, and a plurality of weld bolts 64 protrude from the first bracket 58. The first bracket 58 is fixed to the second frame 56 by fixing means such as welding or bolts. Several coupling holes 66 are formed on each side of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56, and coupling holes 66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56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50. It has the same line as the fastening hole 52. A third frame 70 having a receiving groove 68 is provided to allow the second frame 56 to be inserted therein, and the first bracket 72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frame 70. A second bracket 76 elastically supported to one side by a spring 74 is fixed to the first bracket 72, and a plurality of weld bolts 78 protrude from the first bracket 72. The first bracket 72 is fixed to the third frame 70 by fixing means such as welding or bolts. Several fastening holes 8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frame 70, and the fastening holes 80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third frame 70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s of the second frame 56. It has the same line as the engaging hole 66. A clip 82 for fixing the first frame 50 to the second frame 56 and for fixing the second frame 56 to the third frame 70 is provided, and at the bottom of the clip 82 An engaging portion 84 having an elastic force protrudes outward. The state in which the fram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xed by the clip and the effects thereof will be described.

제 1프레임(50)의 타측 각면에 형성된 체결공(52)이 제 2프레임(56)의 일측 각면에 형성된 결합공(66)에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제 1프레임(50)의 타측을 제 2프레임(56)의 내측으로 삽입한다. 제 2프레임(56)의 내측에 수용홈(54)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용이하게 제 1프레임(50)이 제 2프레임(56)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제 1프레임(50)의 타측 각면에 형성된 체결공(52)이 제 2프레임(56)의 일측 각면에 형성된 결합공(66)에 대응되게 위치되면, 제 1프레임(50)의 타측이 제 2프레임(56)의 내측에서 스프링(60)에 의하여 일측으로 탄성지지된 제 2브라켓(62)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를 갖는다. 제 1프레임(50)의 타측 각면에 형성된 체결공(52)이 제 2프레임(56)의 일측 각면에 형성된 결합공(66)에 대응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제 1프레임(50)의 타측이 제 2프레임(56)의 내측에서 스프링(60)에 의하여 일측으로 탄성지지된 제 2브라켓(62)의 일측에 밀착되면, 클립(82)을 이용하여 제 1프레임(50)을 제 2프레임(56)에 고정시킨다. 이때, 클립(82)의 하단에 외측으로 탄성지지된 걸림부(84)가 제 1프레임(50)의 형성된 체결공(52)과 제 2프레임(56)에 형성된 결합공(66)을 통하여 제 2프레임(56)의 내측벽에 밀착된 상태를 갖는다.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50 is positioned so that the fastening hole 52 formed on each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50 corresponds to the coupling hole 66 formed on each side of the second frame 56. Insert into (56). Since the receiving groove 54 is formed inside the second frame 56, the first frame 50 is easily inserted into the second frame 56. When the fastening hole 52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first frame 50 is locat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hole 66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econd frame 56,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50 is the second side. The inner side of the frame 56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econd bracket 62 elastically supported by one side by the spring (60).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50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hole 52 formed on each side of the first frame 50 corresponds to the coupling hole 66 formed on each side of the second frame 56. When the two frames 56 ar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econd bracket 62 elastically supported to one side by the spring 60, the first frame 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56 by using the clip 82. ). At this time, the engaging portion 84 elastically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clip 82 is made through the coupling hole 52 formed in the first frame 50 and the coupling hole 66 formed in the second frame 56.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two frames 56.

클립(82)에 의하여 제 1프레임(50)이 제 2프레임(56)에 고정되면, 제 2프레임(56)의 타측 각면에 형성된 결합공(66)이 제 3프레임(70)의 일측 각면에 형성된 체결공(80)에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제 2프레임(56)의 일측을 제 3프레임(70)의 내측으로 삽입한다. 제 3프레임(70)의 내측에 수용홈(68)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용이하게 제 2프레임(56)이 제 3프레임(7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제 2프레임(56)의 타측 각면에 형성된 결합공(66)이 제 3프레임(70)의 일측 각면에 형성된 체결공(80)에 대응되게 위치되면, 제 2프레임(56)의 타측이 제 3프레임(70)의 내측에서 스프링(74)에 의하여 일측으로 탄성지지된 제 2브라켓(76)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를 갖는다. 제 2프레임(56)의 타측 각면에 형성된 결합공(66)이 제 3프레임(70)의 일측 각면에 형성된 체결공(80)에 대응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제 2프레임(56)의 타측이 제 3프레임(70)의 내측에서 스프링(74)에 의하여 일측으로 탄성지지된 제 2브라켓(76)의 일측에 밀착되면, 클립(82)을 이용하여 제 2프레임(56)을 제 3프레임(70)에 고정시킨다. 이때, 클립(82)의 하단에 외측으로 탄성지지된 걸림부(84)가 제 2프레임(56)에 형성된 결합공(66)과 제 3프레임(70)에 형성된 체결공(80)을 통하여 제 3프레임(70)의 내측벽에 밀착된 상태를 갖는다.When the first frame 50 is fixed to the second frame 56 by the clip 82, the coupling hole 66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frame 56 may b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third frame 70.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56 is inserted into the third frame 70 so as to correspond to the formed fastening hole 80. Since the receiving groove 68 is formed inside the third frame 70, the second frame 56 is easily inserted into the third frame 70. When the coupling hole 66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frame 56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hole 80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third frame 70,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rame 56 is the third side. The inner side of the frame 70 has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econd bracket 76 elastically supported by one side by the spring (74).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rame 56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hole 66 formed on each side of the second frame 56 corresponds to the fastening hole 80 formed on each side of the third frame 70. When the third frame 7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econd bracket 76 elastically supported to one side by the spring 74, the second frame 56 is connected to the third frame 70 by using the clip 82. ). At this time, the engaging portion 84 elastically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clip 82 is made through the coupling hole 66 formed in the second frame 56 and the fastening hole 80 formed in the third frame 7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three frames (70).

종방향프레임(90)에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전달되면, 제 1프레임(50)이 제 2프레임(56)의 내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 2프레임(56)이 제 3프레임(7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즉, 종방향프레임(90)에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전달되면, 제 1프레임(50)을 제 2프레임(56)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 2프레임(56)을 제 3프레임(70)에 고정하는 클립(82)이 파손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클립(82)의 파손으로 인하여 제 1프레임(50)이 제 2프레임(56)의 내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 2프레임(56)이 제 3프레임(70)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 클립(82)에서 흡수하고 남은 잔류충격이 흡수되는 것이다. 충격에 의하여 제 1프레임(50)이 제 2프레임(56)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제 2브라켓(62)을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60)과 제 2프레임(56)의 내측에 고정된 제 1브라켓(58)이 제 1프레임(50)이 제 2프레임(56)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 2프레임(56)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 3프레임(7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즉, 제 1프레임(50)을 제 2프레임(56)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 2프레임(56)을 제 3프레임(70)에 고정하는 클립(82)이 전달되는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클립(82)을 통하여 전달되는 잔류충격을 제 2브라켓(62),(76)를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60),(74)과 제 1브라켓(58),(72)이 흡수함으로 종방향프레임(90)의 충격흡수율이 향상되는 것이다.When a shock is transmitted to the longitudinal frame 9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frame 5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56 and the second frame 56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frame 70.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as it moves. That is, when a shock is transmitted to the longitudinal frame 9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frame 50 is fixed to the second frame 56 and the second frame 56 is fixed to the third frame 70 at the same time. As the clip 82 is broken, the shock is primarily absorbed. When the first frame 5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56 due to breakage of the clip 82, the clip 82 is moved when the second frame 56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frame 70. The remaining impact after absorbing at is absorbed. When the first frame 5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56 by the impact, it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pring 60 and the second frame 56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cond bracket 62 to one side. The first bracket 58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first frame 50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56. The second frame 56 is also moved inside the third frame 70 in the same manner as above. That is, while fixing the first frame 50 to the second frame 56 and at the same time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by the clip 82 for fixing the second frame 56 to the third frame 70 and The springs 60, 74 and the first brackets 58, 72 which elastically support the second brackets 62, 76 to the outside absorb the residual shock transmitted through the clip 82. The impact absorption rate of the longitudinal frame 90 is improv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종방향프레임구조는 제 1프레임을 제 2프레임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 2프레임을 제 3프레임에 고정하는 클립이 전달되는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이 클립을 통하여 전달되는 잔류충격을 제 2브라켓을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제 1브라켓이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종방향프레임의 충격흡수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clip fixing the first frame to the second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the third frame. The residual shock transmitted through the clip is configured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bracket to the outside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mpact absorption rate of the longitudinal frame. will be.

Claims (2)

전면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종방향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In forming a longitudinal frame that is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frame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가지며, 타측 각면에 수개의 체결공(52)이 형성된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제 1프레임(50)과,A first frame 50 hav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several fastening holes 52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other side; 내측에 상기 제 1프레임(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54)이 형성되고, 내측에 웰드볼트(64)가 복수개 돌출구성된 제 1브라켓(58)이 고정되며, 양측 각면에 수개의 결합공(66)이 형성된 제 2프레임(56)과,An accommodation groove 54 is formed to allow the first frame 50 to be inserted therein, and a first bracket 58 having a plurality of weld bolts 64 protruding from the inside thereof is fixed, and a plurality of coupl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50. A second frame 56 having a ball 66 formed therein; 내측에 상기 제 2프레임(56)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68)이 형성되고, 내측에 웰드볼트(78)가 복수개 돌출구성된 제 1브라켓(72)이 고정되며, 양측 각면에 수개의 체결공(80)이 형성된 제 3프레임(70)과,An accommodation groove 68 is formed to allow the second frame 56 to be inserted therein, and a first bracket 72 having a plurality of weld bolts 78 protruding from the inside thereof is fixe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s are provided on both sides. A third frame 70 in which the ball 80 is formed, 하단에 상기 제 1프레임(50)을 제 2프레임(56)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 2프레임(56)을 제 3프레임(70)에 고정하는 탄성력을 갖는 걸림부(84)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클립(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종방향프레임구조.A locking portion 84 having an elastic force for fixing the first frame 50 to the second frame 56 and fixing the second frame 56 to the third frame 70 at the bottom thereof protrudes outward.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ip (82).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브라켓(58),(72)에 스프링(60),(74)에 의하여 제 2브라켓(62),(76)이 일측으로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종방향프레임구조.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racket (58), the second bracket (62), (76) is elastically supported to one side by a spring (60, 74).
KR2019970039752U 1997-12-23 1997-12-23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car KR1999002716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752U KR19990027166U (en) 1997-12-23 1997-12-23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752U KR19990027166U (en) 1997-12-23 1997-12-23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166U true KR19990027166U (en) 1999-07-15

Family

ID=6969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752U KR19990027166U (en) 1997-12-23 1997-12-23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166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43B1 (en) * 2013-01-30 2013-06-19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Impact absorbing connection means at trailer with impact absorb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43B1 (en) * 2013-01-30 2013-06-19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Impact absorbing connection means at trailer with impact absorb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7166U (en) Longitudinal frame structure of car
KR19990027186U (en) Longitudinal frame reinforcement structure of automobile
KR200162921Y1 (en) Bumper mounting structure for a vehicle
KR100398430B1 (en) Fender Panel Fixing Device of Car
KR200161995Y1 (en) Piller trim structure for vehicle body
KR100204142B1 (en) Side sill air damper structure of automobile
KR19990025355U (en) Longitudinal frame of car
KR100250279B1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offset crash of a car
KR970000438B1 (en) The reinforcement structure of an automotive bumper
KR100373269B1 (en) Mounting-Rubber for Automobile Body
KR200142632Y1 (en) Door impact absorbing structure
KR19990025369U (en) Longitudinal frame reinforcement structure of automobile
KR200149978Y1 (en) Door absorbing device
KR100514535B1 (en) Wheel house for car
KR100189360B1 (en) Absorbing system of bumper supporting body for a vehicle
KR19980028519U (en) Longitudinal frame reinforcement structure of automobile
KR0135441B1 (en) The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front side member and radiator support lower member
KR0140206Y1 (en) Impact absorbing structure for vehicle bumper
KR100187361B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door impact member of a car
KR100188595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body front top part for a car
KR19980061146U (en) Shock Absorber Structure for Automobile
KR100187888B1 (en) Reinforcement plat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KR200176262Y1 (en) Upper member for motor vehicle
KR100193008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door for a car
KR0132511Y1 (en) Rear body structure of a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