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978A -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978A
KR19990026978A KR1019970049310A KR19970049310A KR19990026978A KR 19990026978 A KR19990026978 A KR 19990026978A KR 1019970049310 A KR1019970049310 A KR 1019970049310A KR 19970049310 A KR19970049310 A KR 19970049310A KR 19990026978 A KR19990026978 A KR 19990026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oom
fire
fire extinguishing
temperatur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978A/ko
Publication of KR19990026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978A/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룸(3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40)와, 상기 온도감지장치(4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일정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장치(50)와, 상기 전자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60b)가 강제 작동되어 소화기(60a)로부터 인출된 소화액을 분사노즐(60c)을 통하여 엔진룸(30)에 분사시키는 소화장치(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의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될시에 이것을 운전자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강제 소화시킴에 따라 차량과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후드 일측에 엔진룸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에 일정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소화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강제적으로 엔진룸을 소화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강제 소화시킴에 따라 차량과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에 대비하여 수동식의 소화기를 실내에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일부의 고급 차량에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어 소화액이 분사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구성이 적용된 자동차의 엔진 룸 소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의 엔진 룸 소화장치를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엔진룸(E)의 일측에는 적정의 소화기(B)가 설치되었고 이 소화기(B)는 파이프(P)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A)에 연통되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A)는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엔진룸(E)의 타측에 설치된 분사노즐(N)과 파이프(P)에 의해 연통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A)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에 설치된 스위치(SW)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스위치(SW)의 스위칭 조작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A)에 전류가 인가되어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A)가 작동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상적인 자동차의 엔진 룸 소화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차량의 엔진룸(E)에 화재가 발생되면 운전자가 그것을 인식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스위치(SW)를 눌러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치(SW)로부터 적정의 전류가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A)로 인가됨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A)가 작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A)와 연통된 소화기(B)로부터 인출된 소화액은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A)를 통과한 후에 분사노즐(N)을 통해 엔진룸(E)에 분사됨으로써 엔진룸(E)에 발생된 화재를 소화시킬 수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통상적인 자동차의 엔진 룸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에 발생된 화재를 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운전자 스스로 화재를 인식한 후에 스위치를 눌러줘야 하는데 반해, 상기 엔진룸은 후드로 가리워져 있어 화재의 발생을 운전자가 쉽게 인식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또한 화재의 소화시마다 스위치의 스위칭 작업을 수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파생되는 동시에 전원의 오프시에는 그 작동이 불가능함으로써, 상기 엔진룸의 화재를 신속하게 소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의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될시에 이것을 운전자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강제 소화시킴에 따라 차량과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엔진룸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와, 상기 온도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일정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가 강제 작동되어 소화기로부터 인출된 소화액을 분사노즐을 통하여 엔진룸에 분사시키는 소화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구성이 적용된 자동차의 엔진 룸 소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의 엔진 룸 자동 소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후드 30 : 엔진룸
40 : 온도감지장치 50 : 전자제어장치
60 : 소화장치 60a : 소화기
60b :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 60c : 분사노즐
70 : 파이프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의 엔진 룸 자동 소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블록도로서, 먼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를 상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는, 엔진룸(3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40)와, 상기 온도감지장치(4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일정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장치(50)와, 상기 전자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엔진룸(30)에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소화장치(6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온도감지장치(40)는 엔진룸(30)의 온도 변화를 매시간 감지하도록 후드(2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제어장치(50)는 온도감지장치(40)와 소화장치(60)의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60b)에 배선되어 상호 일정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대시패널(미도시)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소화장치(60)는 내부에 소화액을 구비한 소화기(60a)와, 상기 전자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강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60b)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60b)의 작동에 의해 소화기(60a)로부터 인출된 소화액을 엔진룸(30)에 분사시키는 분사노즐(60c)로 구성되어 엔진룸(30)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소화장치(60)를 이루는 소화기(60a)와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60b) 그리고 분사노즐(60c)은 파이프(70)에 의해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이 자동차에 적용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엔진룸(30)의 온도 변화를 매시간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장치(40)를 후드(20)의 내면 일측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소화기(60a)와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60b) 그리고 분사노즐(60c)을 파이프(70)에 의해 각각 연통시켜 소화장치(60)를 이루도록 한 다음, 상기 소화장치(60)를 엔진룸(30)의 일측에 설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온도감지장치(4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60b)로 일정한 제어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 전자제어장치(50)를 대쉬패널의 내측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자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소화장치(60)를 이루는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60b)가 강제 작동되어 소화기(60a)로부터 인출된 소화액을 분사노즐(60c)을 통하여 엔진룸(30)에 분사시킬 수 있도록 전자제어장치(50)를 온도감지장치(40)와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60b)에 배선시킨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의 엔진룸(30)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엔진룸(30)의 내부 온도는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엔진룸(30)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후드(2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온도감지장치(40)가 감지하여 전자제어장치(50)를 향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전자제어장치(50)는 온도감지장치(4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초과된 것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장치(50)는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60b)를 향하여 일정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전자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60b)는 강제 작동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소화장치(60)를 이루는 소화기(60a)로부터 인출된 소화액이 분사노즐(60c)을 통하여 엔진룸(30)의 수개소에 분사됨으로써 엔진룸(30)의 화재가 신속히 소화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에 따르면, 자동차의 후드 일측에 엔진룸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에 일정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소화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강제적으로 엔진룸을 소화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될시에 이것을 운전자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강제 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과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엔진룸(3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40)와, 상기 온도감지장치(4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일정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장치(50)와, 상기 전자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구동장치(60b)가 강제 작동되어 소화기(60a)로부터 인출된 소화액을 분사노즐(60c)을 통하여 엔진룸(30)에 분사시키는 소화장치(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KR1019970049310A 1997-09-27 1997-09-27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KR19990026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310A KR19990026978A (ko) 1997-09-27 1997-09-27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310A KR19990026978A (ko) 1997-09-27 1997-09-27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978A true KR19990026978A (ko) 1999-04-15

Family

ID=6604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310A KR19990026978A (ko) 1997-09-27 1997-09-27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97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01B1 (ko) * 2000-11-13 2003-08-27 학교법인 호서학원 탱크화재 진압용 소화장치
US7171247B2 (en) 2001-04-26 2007-01-30 Phoenix Korea Co., Ltd. Hinge device
KR20220033622A (ko) 2020-09-09 2022-03-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
KR20220049307A (ko) 2020-10-14 2022-04-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
KR20220115112A (ko) 2021-02-08 2022-08-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
KR20220115113A (ko) 2021-02-08 2022-08-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
KR20220115115A (ko) 2021-02-08 2022-08-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술차량 승무원실의 자동 소화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01B1 (ko) * 2000-11-13 2003-08-27 학교법인 호서학원 탱크화재 진압용 소화장치
US7171247B2 (en) 2001-04-26 2007-01-30 Phoenix Korea Co., Ltd. Hinge device
KR20220033622A (ko) 2020-09-09 2022-03-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
KR20220049307A (ko) 2020-10-14 2022-04-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
KR20220115112A (ko) 2021-02-08 2022-08-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
KR20220115113A (ko) 2021-02-08 2022-08-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
KR20220115115A (ko) 2021-02-08 2022-08-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술차량 승무원실의 자동 소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9397A (en)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KR19990026978A (ko)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JPH06335536A (ja) 消火器を備えた車両
KR0159603B1 (ko) 자동차의 화재진화장치
KR100559624B1 (ko)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7222815A (ja) 車両消火システム
KR200300639Y1 (ko) 자동차용 소화장치
KR0126075Y1 (ko)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가속페달 고정장치
KR0181454B1 (ko) 연료 펌프 정지형 에어백 작동장치
KR0120005B1 (ko) 자동차 트렁크 오픈 방지 장치
US5436789A (en) Signal-change surveillance equipment, in particular for use in self-checking control systems
JPH06137240A (ja) 自動車用エンジンの遠隔始動装置
JPH11247745A (ja) 車両のスタータ制御装置
JPS6441446A (en) Wiper control system
JP3783906B2 (ja) 警報ブザー誤吹鳴防止回路
KR100264597B1 (ko) 자동차의 안전 시스템 제어 방법
KR0148390B1 (ko) 자동차용 엔진의 교착상태시 동작전원 차단장치
RU2002644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изации дл автомобил
KR19980017439U (ko) 차량 에어백 작동시 엔진 제어 장치
RU2381922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системы контроля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емня безопасности в автомобиле
KR200143799Y1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 표시 장치
KR100224166B1 (ko) 연료캡 미장착시 시동불등 및 경고장치
KR19980042366U (ko) 차량의 자동소화장치
KR100204277B1 (ko) 브레이크 시스템 회로 고장시 운전정지 회로
KR19990031334U (ko) 가속 페달 작동 확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