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719U - Auxiliary battery unit - Google Patents

Auxiliary battery unit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719U
KR19990026719U KR2019970039258U KR19970039258U KR19990026719U KR 19990026719 U KR19990026719 U KR 19990026719U KR 2019970039258 U KR2019970039258 U KR 2019970039258U KR 19970039258 U KR19970039258 U KR 19970039258U KR 19990026719 U KR19990026719 U KR 199900267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uxiliary battery
current
vehicl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2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어순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9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719U/en
Publication of KR19990026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719U/en

Link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설치되어 배터리(1)의 방전시 스타트 모터(3)에 전류를 공급시켜주는 보조 배터리(10)와; 상기 배터리(1) 및 보조 배터리(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차실 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1)의 방전시 제1,2,3스위치(21,22,23)의 접점이 변경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10)로 전류를 인가시키는 연동식 푸쉬 버튼 스위치(20)로 구성되어,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하면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여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device, and in particular, the auxiliary battery 1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for supplying a current to the start motor (3) when the battery (1) discharge;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1 and the auxiliary battery 10, is installed on one side in the vehicle compartment when the contact of the first, second, third switch (21, 22, 23) during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1 is changed It is composed of an interlocking push button switch 20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auxiliary battery 10, if the battery of the vehicle is discharged to start the vehicle can be started using the auxiliary battery for convenience to the driver Can provide.

Description

보조 배터리 장치Auxiliary battery unit

본 고안은 보조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시동시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하여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하면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device, and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starting a vehicle using the auxiliary battery when the vehicle cannot be started due to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when the vehicle is started.

일반적으로 종래의 배터리 전원 공급 장치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1)와; 상기 배터리(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접점이 변경되는 점화 스위치(2)와; 상기 점화 스위치(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스타트 모터(3)와; 상기 배터리(1) 및 점화 스위치(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점화 스위치(2)가 온되면 발전을 시작하여 차량의 운행시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는 올터네이터(4)으로 구성된다.Generally, a conventional battery power supply includes a battery 1 for supplying current as shown in FIG. 1; An ignition switch (2)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1) to change a contact point according to a driver's operation; A start motor (3) connected to an output end of the ignition switch (2) and operated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thereof; It is composed of an alternator 4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1 and the ignition switch 2 and starts to generate power when the ignition switch 2 is turned on, thereby supplying current required for driving of the vehicle.

이러한 종래의 배터터 전원 공급 장치의 작용은 차량 시동을 걸기 위해서 운전자가 점화 스위치(2)를 온시켜 배터리(1)의 전류를 스타트 모터(3)로 인가시키면 상기 스타트 모터(3)가 회전되어 엔진을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올터네이터(4)가 발전을 시작하여 차량의 운행시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batter power supply is that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ignition switch 2 and applies the current of the battery 1 to the start motor 3 to start the vehicle, the start motor 3 is rotated. Rotate the engine. At the same time, the alternator 4 starts to generate power to supply the current required for driving the vehicle.

그러나, 운전자의 부주의나 기타 사고로 인하여 상기 배터리(1)가 방전되면 상기 스타트 모터(3)가 작동되는 데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지 못하므로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해져 운전자가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battery 1 is discharged due to a driver's carelessness or other accidents, the start motor 3 cannot supply the current required to operate the vehicle,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start the vehicle, thereby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driver. .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차량의 시동시 배터리의 방전으로 스타트 모터가 작동되지 않으면 보조 배터리의 전류로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f the start motor is not operated due to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when the vehicle starts, the start motor is operated by the current of the auxiliary battery to start the vehic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driver. The purpose is to provide.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battery power supply,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of an auxiliary batt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배터리 2 : 점화 스위치1: battery 2: ignition switch

3 : 스타트 모터 4 : 올터네이터3: start motor 4: alternator

10 : 보조 배터리 20 : 연동식 푸쉬 버튼 스위치10: auxiliary battery 20: interlocking push button switch

21,22,23 : 제1,2,3스위치 30 : 다이오드21,22,23: 1st, 2, 3 switch 30: diode

C : 무전해 콘덴서C: electroless capacito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보조 배터리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방전시 스타트 모터에 전류를 공급시켜주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차실 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다수개의 접점이 변경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로 전류를 인가시키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uxiliary batt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battery installed in a vehicle and supplying a current to a start motor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and the auxiliary battery, is installed on one side in the vehicle compartment is configured to switch the plurality of contacts change when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to apply a current to the auxiliary battery.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보조 배터리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기술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of an auxiliary batt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보조 배터리 장치는 보조 배터리(10)와, 연동식 푸쉬 버튼 스위치(20)로 구성된다.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auxiliary battery 10 and the interlocking push button switch 20.

먼저, 상기 보조 배터리(10)는 배터리(1)의 방전시 이를 대신하여 전류를 공급하도록 차량의 일측에 설치된다.First, the auxiliary battery 1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so as to supply a current instead of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1).

그리고, 상기 연동식 푸쉬 버튼 스위치(20)는 상기 배터리(1)의 방전시 운전자에 의해 접점이 변경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10)의 전류를 스타트 모터(3) 및 올터네이터(4)로 공급시키도록 상기 배터리(1)의 출력단에 제1스위치(21)가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치(21)와 상기 보조 배터리(10)의 선로 상에 제2스위치(22)가 연결되며, 상기 보조 배터리(10)의 출력단에 제3스위치(23)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스위치(22)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10)의 전류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30)가 설치된다. 여기서 또한 상기 제1,2,3스위치(21,22,23)의 각 접점에는 접점 변경시 불꽃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무전해 콘덴서(C)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interlocking push button switch 20 may change a contact point by a driver when the battery 1 is discharged to supply current of the auxiliary battery 10 to the start motor 3 and the alternator 4. The first switch 2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1, the second switch 22 is connected to the line of the first switch 21 and the auxiliary battery 10, the auxiliary battery The third switch 2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10). Here, the second switch 22 is provided with a diode 30 to prevent the current reverse flow of the auxiliary battery 10. Here, an electroless capacitor C is installed at each contact poin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witches 21, 22, and 23 to prevent sparking when the contact point is changed.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보조 배터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배터리(1)가 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점화 스위치(2)를 온시키면 배터리(1)의 전류는 연동식 푸쉬 버튼 스위치(20)의 제1스위치(21)를 통해 스타트 모터(3)와 올터네이터(4)로 인가되어 차량의 시동을 건다.First,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ignition switch 2 while the battery 1 is not discharged, the current of the battery 1 is transferred to the start motor 3 through the first switch 21 of the interlocking push button switch 20. ) And alternator (4) to start the vehicle.

그리고, 시동 직전에 상기 배터리(1)에서 나온 전류와 상기 올터네이터(4)가 발전한 전류는 상기 연동식 푸쉬 버튼 스위치(20)의 제2스위치(22)를 거쳐 다이오드(30)를 통해 보조 배터리(10)로 인가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10)가 충전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가 일부 방전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10)의 전위보다 낮아도 상기 다이오드(30)로 인해 상기 보조 배터리(10)의 전류가 역류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urrent generated from the battery 1 and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alternator 4 immediately before starting are supplied to the auxiliary battery through the diode 30 via the second switch 22 of the interlocking push button switch 20. Applied to 10, the auxiliary battery 10 is charged. Here, even when the battery 1 is partially discharged and lower than the potential of the auxiliary battery 10, the current of the auxiliary battery 10 is not reversed due to the diode 30.

그러나, 상기 배터리(1)가 완전히 방전되어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운전자는 상기 연동식 푸쉬 버튼 스위치(20)의 접점을 변경시킨 후 상기 점화 스위치(2)를 온시킨다.However, if the battery 1 is completely discharged and the vehicle is not started, the driver turns on the ignition switch 2 after changing the contact point of the interlocking push button switch 20.

이로 인하여, 상기 배터리(1)의 전류는 차단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10)의 전류가 스타트 모터(3) 및 올터네이터(4)로 공급되어 상기 배터리(1)가 완전히 방전되어도 보조 배터리(10)를 사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건다.Thus, the current of the battery 1 is cut off, and the current of the auxiliary battery 10 is supplied to the start motor 3 and the alternator 4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10 may be completely discharged. To start the vehicle.

상기 운전자는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상기 연동식 푸쉬 버튼 스위치(20)의 제1,2,3스위치(21,22,23) 접점을 다시 변경시켜 상기 배터리(1) 및 보조 배터리(10)를 충전시킨다.The driver charges the battery 1 and the auxiliary battery 10 by changing the contact poin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witches 21, 22, and 23 of the interlocking push button switch 20 again when the vehicle is started. Let's do 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하면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여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ttery of the vehicle is discharged and the vehicle cannot be started, the vehicle can be started using the auxiliary battery,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driver.

Claims (4)

차량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방전시 스타트 모터에 전류를 공급시켜주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차실 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다수개의 접점이 변경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로 전류를 인가시키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장치.An auxiliary battery installed in the vehicle to supply current to the start motor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And a switching mean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battery and the auxiliary battery an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compartment, the switching means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auxiliary battery by changing a plurality of contacts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차실 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방전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접점이 변경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류를 차단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류를 상기 스타트 모터로 공급시키는 연동식 푸쉬 버튼 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battery and the auxiliary battery, is installed on one side in the vehicle compartment during the battery discharge, the contact poi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to cut off the current of the battery An auxiliary batt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locking push button switch for supplying the current of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start mo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식 푸쉬 버튼 스위치의 각 접점에는 접점 변경시 발생하는 불꽃을 흡수하는 무전해 콘덴서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장치.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n electroless capacitor which absorbs a flame generated when the contact is changed is connected to each contact of the interlocking push button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과 보조 배터리의 선로 상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장치.The auxiliary batte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ode is provided on a line of the switching means and the auxiliary battery to prevent the current of the auxiliary battery from flowing back.
KR2019970039258U 1997-12-19 1997-12-19 Auxiliary battery unit KR1999002671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258U KR19990026719U (en) 1997-12-19 1997-12-19 Auxiliary batter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258U KR19990026719U (en) 1997-12-19 1997-12-19 Auxiliary battery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719U true KR19990026719U (en) 1999-07-15

Family

ID=6968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258U KR19990026719U (en) 1997-12-19 1997-12-19 Auxiliary battery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719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74B1 (en) * 2008-12-01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mart key of vehicle having button start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74B1 (en) * 2008-12-01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mart key of vehicle having button star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6719U (en) Auxiliary battery unit
KR970054774A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discharge of car battery
DE59304870D1 (en) Circuit arrangement for the operating voltage supply of a car radio
JP2699865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in-vehicle portable wireless telephone
KR100188649B1 (en) Apparatus for driving the fuel pump of an automobile
KR200178370Y1 (en) Apparatus for power supply of a vehicle
KR0148540B1 (en) Without-notice-discharge protection apparatus of motor battery
KR0133235B1 (en) Over charge prevention device of an automobile
KR10028545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ischarge of battery in vehicle
KR100347591B1 (en) a stopping and start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engine
KR20000072422A (en) A battery system to prepare the discharge in the battery of car
KR200355122Y1 (en) Battery discharge prevention device of vehicle
KR19980017467A (en) Battery discharge protector
KR100192913B1 (en) Return system of the keyswitch
KR0124539Y1 (en) A battery
JPS57140569A (en) Glow plug preheat controller
KR100283320B1 (en) Vehicle start failure prevention circuit
KR100235643B1 (en) Apparatus for antitheft in an automobile
KR19980048513A (en) Battery discharge breaker of car
KR0122964Y1 (en) Battery discharging protection circuit
KR19980034087U (en) Engine starter
KR20080104430A (en) Second battery device for car's cigar jack
KR19990053626A (en) Vehicle power supply method using auxiliary battery
KR19980061062U (en) Vehicle battery discharge prevention device
KR19980050256A (en) Power automatic shutoff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