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096A - 전화기의 재다이얼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재다이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096A
KR19990026096A KR1019970048072A KR19970048072A KR19990026096A KR 19990026096 A KR19990026096 A KR 19990026096A KR 1019970048072 A KR1019970048072 A KR 1019970048072A KR 19970048072 A KR19970048072 A KR 19970048072A KR 19990026096 A KR19990026096 A KR 19990026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dialing
redialing
use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096A/ko
Publication of KR1999002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096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 연결된 전화기의 재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다이얼 방법은 사설교환기에 연결되는 전화기에서 통화 시도를 위한 다이얼링이 행해질 시 그 다이얼링되는 전화번호와 함께 다이얼링되는 속도를 함께 저장해 두었다가 이후의 재다이얼링 시도시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상기 다이얼링 속도에 따라 재다이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화기의 재다이얼 방법
본 발명은 전화기의 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교환기에 연결된 전화기에서 재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전화기, 키폰전화기, 무선전화기 등에는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각종 기능들이 서비스되고 있다. 사용자들에 의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기능으로 재다이얼 기능 및 단축 다이얼 기능이다.
통상 재다이얼(redial) 기능은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오프훅크(off hook)하여 전화를 걸었던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었다가 향후 사용자가 재다이얼키를 누르는 경우에 이전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불러내어 전화를 걸 수 있는 방법이다. 즉, 사용자가 재다이얼 기능을 이용하게 되면, 가장 최근에 전화했던 전화번호는 사용자가 동일한 전화번호를 반복해서 누르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전화를 걸수 있게 된다.
한편 사설교환기(PABX: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에 연결된 전화기로 재다이얼 기능을 이용할 시에 PABX에 연결된 내선번호 상호간에는 재다이얼 기능 구현에 있어 별다른 불편함이 없다. 그러나 외부로 전화를 걸 경우에는 외부 회선을 잡기 위한 특정번호(예를 들어, 9번)를 누른 후 발신음이 떨어진 것을 확인한 후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눌러야 한다. 즉, PABX에 연결된 전화기에서 재다이얼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다른 전화기에서 재다이얼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한번의 절차가 더 필요하므로, 그만큼 사용자는 불편함을 겪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ABX에 연결된 전화기의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재다이얼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ABX에 연결된 전화기를 이용하여 재다이얼 기능을 수행할 시 사용자가 겪게 되는 불편함을 해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 연결되는 전화기에서 통화 시도를 위한 다이얼링이 행해질 시 그 다이얼링되는 전화번호와 함께 다이얼링되는 속도를 함께 저장해 두었다가 이후의 재다이얼링 시도시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상기 다이얼링 속도에 따라 재다이얼링하는 것을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의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재다이얼 방법의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의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에서 스피커(SPK) 100 및 마이크(MIC) 120 각각은 음성을 외부로 송출하는 기능 및 외부로부터의 음성을 입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제1증폭부 90 및 제2증폭부 110은 스피커 100으로 송출될 음성신호 및 마이크 12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키매트릭스(Key Matrix) 20은 사용자와 전화기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으로, 다이얼을 위한 숫자키, 재다이얼키 및 각종 명령키들로 이루어진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10은 아이디(ID)데이터, 각종 프로그램데이터 및 인식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이 EEPROM 10에는 후술될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다이얼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EEPROM 10에는 사용자에 의해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와 그 다이얼링 속도가 CPU 40의 제어에 의해 저장된다.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40은 전화기 각 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키매트릭스 20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으며, 또한 타이머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표시부 30은 상기 CPU 40의 제어에 의해 처리되는 결과 및 전화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중톤복합주파수(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발생기 50은 상기 CPU 40의 제어에 의해 DTMF신호를 발생하여 음성처리부 70에 제공한다. 음성처리부 70은 PABX선로를 통해 국선에 연결되어 전화기와 국선간의 통화용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링검출기 60은 상기 PABX선로를 통한 국선으로부터 착신되는 링을 검출하여 CPU 40으로 링 착신 여부를 알려준다. 스위치 80은 음성처리부 70과 PABX선로의 사이에 접속되어, 사용자에 의한 전화기의 오프훅크 및 온훅크를 결정하는 훅크스위치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재다이얼 동작의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2a는 사용자가 다이얼링할 시 다이얼링 속도와 전화번호를 동시에 도 1의 EEPROM 10에 저장하는 처리흐름이고, 도 2b는 상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처리흐름에 따라 이전에 통화시도시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속도에 따라 재다이얼링하는 처리흐름이다.
지금, PABX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상에서 사용자가 대기 상태(도 2a의 201단계)에 있다가 전화기를 오프훅크시킨 후 외부 국선을 잡기 위해 9번을 누른 뒤 전화기의 수화기로 발신음이 떨어지는 소리를 듣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눌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CPU 40은 이를 감지한 후(202단계) 사용자가 오프훅크한 뒤 몇초 후에 외부 국선을 잡기 위한 9번을 누르고, 또 몇초 후에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눌렀는지를 감지한다. 이렇게 감지된 다이얼링 속도와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는 상기 CPU 40의 제어에 의해 도 1의 EEPROM 10에 저장된다(203단계). 상기 203단계를 수행한 후 CPU 40은 통화 기능이 수행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상대방이 통화중이 아니라면 정상적인 통화 기능이 수행된 후 사용자는 전화기를 온훅크하게 될 것이다. 이와 달리 상대방이 통화중이라면 사용자는 상대방과 통화를 행하지 못한채 전화기를 온훅크하게 될 것이다. 사용자가 전화기를 온훅크하게 되면, CPU 40은 이를 감지한 후(205단계) 대기상태로 들어간다(206단계).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처리흐름에 따라 통화 또는 통화시도를 행했던 사용자가 전화기를 온훅크하게 되면, CPU 40은 대기상태로 들어간다(도 2b의 211단계). 이러한 대기상태중에 사용자가 다시 전화기를 오프훅크한 후 키매트릭스 20상의 재다이얼키를 눌렀다고 가정하면, CPU 40은 이를 감지한 후(212단계) 이전에 EEPROM 1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읽어들이고 DTMF발생기 50을 제어하여 상기 전화번호와 함께 기억되어 있는 다이얼링 속도에 따라 상기 읽어들인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213단계). 이러한 재다이얼링에 의해 사용자는 이전에 자신이 통화를 했거나, 통화시도를 행했던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즉, CPU 40은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이전에 사용자가 다이얼링한 속도에 따라 재다이얼링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204단계). 사용자가 통화 수행을 완료한 후 온훅크하게 되면, CPU 40은 이를 감지한 후(215단계) 대기상태로 들어간다(216단계).
상기 재다이얼링 동작시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다이얼링 속도란 사용자가 오프훅크한 후 외부 국선을 잡기 위한 키를 누를 때까지의 시간 및 외부 국선을 잡기 위한 키를 누른 후에 다이얼링을 행할 때까지의 시간에 따른 속도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란 외부 국선을 잡기 위한 키의 번호 및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나타낸다. 이때 사용자가 내선과의 통화를 시도했다면 다이얼링 속도는 사용자가 오프훅크한 후 다이얼링을 행할 때까지의 시간에 따른 속도를 말하면, 전화번호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이얼링 시 다이얼링하는 속도와 전화번호를 동시에 저장해 두었다가 재다이얼링 시 이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PABX에서 내선이 아닌 외부로 전화를 거는 경우에도 국선을 잡기 위한 별도의 키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즉, 사용자는 재다이얼링, 특히 외부 국선을 통한 재다이얼링시 많은 편리함을 도모받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

  1. 사설교환기에 연결되는 전화기의 재다이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상에서 통화 시도를 위한 다이얼링이 행해질 시 그 다이얼링되는 전화번호와 함께 다이얼링되는 속도를 함께 저장해 두었다가 이후의 재다이얼링 시도시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상기 다이얼링 속도에 따라 재다이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사설교환기에 연결되는 전화기의 재다이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가 오프훅크된 후 상기 전화기상에서 다이얼링되는 번호들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다이얼링번호 저장과정과,
    상기 전화기상에서 다이얼링되는 번호들간의 다이얼링 속도를 저장하는 다이얼링속도 저장과정과,
    상기 다이얼링번호 저장과정 및 상기 다이얼링속도 저장과정이 수행된 이후에 상기 전화기가 온훅크되는 경우에 상기 전화기를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상태 전환과정과,
    상기 전화기의 대기상태에서 상기 전화기가 오프훅크된 후 재다이얼키기 눌리는 경우 상기 저장된 다이얼링번호를 상기 저장된 다이얼링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재다이얼링하는 재다이얼링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48072A 1997-09-22 1997-09-22 전화기의 재다이얼 방법 KR19990026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072A KR19990026096A (ko) 1997-09-22 1997-09-22 전화기의 재다이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072A KR19990026096A (ko) 1997-09-22 1997-09-22 전화기의 재다이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096A true KR19990026096A (ko) 1999-04-15

Family

ID=6604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072A KR19990026096A (ko) 1997-09-22 1997-09-22 전화기의 재다이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0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17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US5884185A (en) Cordless telephone having a call key capable of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and a method for assigning alternate functions to the call key and performing the multiple functions
KR0138186B1 (ko) 전화기의 다이알 정보 저장 및 리다이알 방법
KR100194467B1 (ko) 상대방의 다수 전화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9990026096A (ko) 전화기의 재다이얼 방법
KR19980076473A (ko) 전화기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JPH11146060A (ja) 迷惑電話防止付電話機
KR19990074831A (ko) 종합통신망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무선 핸드셋 착신링 발생 방법
JP3088379B2 (ja) スピーカホン通話機能を備えた通信端末装置
KR100222787B1 (ko)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선택 등록방법
KR100202148B1 (ko) 키폰시스템에서 지정 다중 쌍에 따른 자동 통화 구현방법
KR100469744B1 (ko) 음성서비스시스템을 호출하기 위한 교환시스템의 재다이얼방법
KR100506212B1 (ko) 키폰시스템에서디사국선을이용한메시지기록방법
JP2939702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20010081834A (ko) 전화기를 이용한 발신 번호 자동 전환 방법
KR100198218B1 (ko) 키폰시스템 접속 단말기의 국선 전용모드 절환방법 및 그 장치
JP3717716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代行受信情報入手方法
KR100218692B1 (ko) 훅크 스위치 자동 온/오프 전환기능을 갖춘 전화기
JPH0225146A (ja) コールウェイティング着信呼の制御方式
JP2614480B2 (ja) 電話装置
JPH10173804A (ja) 電話機及び電話機を組み込んだ電話通信システム
KR19990016019A (ko) 음성 메시지 예약 송신 방법
KR20000040168A (ko) 교환기 시스템에서 자동 재다이얼 장치 및 방법
KR19990033867A (ko) 전화기에서 통화중 전화번호 저장방법
JPS61150449A (ja) 音声呼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