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148B1 - 키폰시스템에서 지정 다중 쌍에 따른 자동 통화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키폰시스템에서 지정 다중 쌍에 따른 자동 통화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148B1
KR100202148B1 KR1019960076763A KR19960076763A KR100202148B1 KR 100202148 B1 KR100202148 B1 KR 100202148B1 KR 1019960076763 A KR1019960076763 A KR 1019960076763A KR 19960076763 A KR19960076763 A KR 19960076763A KR 100202148 B1 KR100202148 B1 KR 100202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automatic call
call
phon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473A (ko
Inventor
정태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7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148B1/ko
Priority to RU97122176A priority patent/RU2127958C1/ru
Publication of KR1998005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본 발명은 키폰시스템에서 지정 다중 쌍에 따른 자동 통화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종래에는 자동 통화를 할 수 있는 키폰시스템의 가입자를 일대일(1:1)로만 지정할 수 있어 가입자는 선택할 여지없이 자동 통화 상대 가입자가 고정되어 있었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본 발명은 자동 통화가 가능한 키폰전화기의 쌍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내선번호와의 자동 통화 시작 요구가 있을 경우 자동 통화를 설정하도록 구현하였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키폰시스템.

Description

키폰시스템에서 지정 다중 쌍에 따른 자동 통화 구현방법
본 발명은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폰전화기(KTS : Key Telephone Set)간에 자동 통화 쌍을 정하여 휴지상태에서 향상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업무적으로 통화를 빈번하게 하거나 서로 협의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경유 오랜 통화중으로 다른 내선가입자의 통화를 방해하거나, 업무 협조시 마다 다이얼링을 하여야 했다. 그로 인해 업무적으로 통화를 빈번하게 하여야 할 경우 통화를 할 때마다 일일이 다이얼링을 하여 통화를 하여야하는 불편함과 오랜 통화로 인하여 통화 요구되는 다른 내선가입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였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자동 통화를 구현하는 방법을 출원번호 P96-19234로 본원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되었다. 하지만 기 출원된 P96-19234는 자동 통화를 할 수 있는 키폰시스템의 가입자를 일대일(1:1)로만 지정할 수 있어 가입자는 선택할 여지없이 자동 통화 상대 가입자가 고정되어 있었다. 자동 통화 가입자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대 자동 통화 가입자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는 담당자에게 변경을 요청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통화가 가능한 모든 가입자 간의 자동 통화가 가능하도록 자동 통화 쌍을 지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정된 자동 통화 쌍에 따라 상대 자동 통화 가입자를 쉽게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폰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통화 지정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화 설정/해제를 위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화 연결/차단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통화가 지정된 쌍이 기록된 메모리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10)는 롬(112)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키폰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롬(112)은 상기 제어부(110)의 초기 프로그램 및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램(114)은 교환기능 수행에 따른 내선번호와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위칭회로(116)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스위칭 동작한다. 국선회로(118)는 상기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국설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인입되는 다수의 국선을 상기 스위칭회로(116)로 연결한다. 내선회로(12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다수의 내선단말기를 상기 스위칭회로(116)로 연결한다. 링발생부(122)는 상기 국선회로(118) 또는 내선회로(120)로부터 특정 내선단말기로의 통화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링을 송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통화 지정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자동 통화가 가능한 통화 쌍을 지정하는 과정과, 자동 통화가 지정된 통화 쌍을 해제하는 과정과, 자동 통화를 지정하거나 해제할 통화 쌍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화 설정/해제모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자동통화가 가능한 키폰전화기로부터 자동통화를 요구하는 키가 입력되면 자동통화가 지정된 상대 키폰전화기의 내선번호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자동통화가 가능한 키폰전화기로부터 자동통화의 해제를 요구하는 키가 입력되면 설정된 상대 키폰전화기의 내선번호와의 자동 통화를 해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화 연결/차단모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키폰전화기가 자동통화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키폰전화기의 자동통화 설정이 해제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키폰전화기가 자동통화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키폰전화기 또는 상대측 키폰전화기의 수화기가 들리거나 착신되는 링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통화 설정이 해제되었거나 상기 키폰전화기 또는 상대측 키폰전화기의 수화기가 들리거나 착신되는 링이 있을 경우에는 연결된 자동통화를 차단하는 과정과, 자동통화가 가능한 키폰전화기가 자동통화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키폰전화기와 상대측 키폰전화기가 휴지상태이면 자동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통화 연결/차단모드는 다수의 키폰전화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모든 키폰전화기에 대하여 수행 완료된 경우에는 소정시간을 지연한 후 상기 자동통화 연결/차단모드를 재실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구조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키폰전화기(KTS) i와 키폰전화기(KTS) j의 자동통화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li,j)가 저장되는 테이블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자동통화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li,j)가 1이 세팅된 경우에는 자동통화가 가능한 키폰전화기 쌍임을 나타내며, 0이 세팅된 경우에는 자동통화가 불가능한 키폰전화기 쌍임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210단계에서 자동 통화를 수행할 키폰전화기 쌍의 지정을 요구하는 키가 특정 키폰전화기로부터 입력되면 2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212단계로 진행되면 자동 통화를 지정 또는 해제할 키폰전화기 쌍을 선택하기 위한 i와 j를 0으로 세팅한다. 상기 i와 j가 세팅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4단계 내지 226단계에서 상기 특정 키폰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키를 검색한다.
상기 214단계 내지 220단계에서는 자동 통화를 지정할 쌍을 선택하는 키 입력을 감지하는데 상기 214단계에서 다음 자동 통화를 지정할 키폰전화기를 선택하는 업(up)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28단계로 진행하여 i를 하나 증가시켜고 214단계 내지 226단계로 리턴 하여 다음 입력되는 키를 검색한다. 상기 216단계에서 이전 자동 통화 지정된 키폰전화기를 선택하는 다운(down)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30단계로 진행하여 i를 하나 감소시켜고 214단계 내지 226단계로 리턴하여 다음 입력되는 키를 검색한다. 상기 218단계에서 자동 통화 지정할 다음 상대 키폰전화기를 선택하는 전환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32단계로 진행하여 j를 하나 증가시켜고 214단계 내지 226단계로 리턴하여 다음 입력되는 키를 검색한다. 상기 220단계에서 이전 자동 통화 상대 키폰전화기로 지정된 키폰전화기를 선택하는 설정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34단계로 진행하여 j를 하나 감소시켜고 214단계 내지 226단계로 리턴하여 다음 입력되는 키를 검색한다.
한편, 222단계 내지 224단계에서는 선택된 자동 통화 쌍의 지정 또는 해제를 요구하는 키 입력을 검색하는데 222단계에서 상기 214단계 내지 220단계에 의해 선택된 키폰전화기 쌍의 자동 통화 지정을 요구하는 설정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236단계로 진행되면 KTSi와 KTSj가 자동 통화가 가능한 키폰전화기 쌍인 가를 판단한다. 상기 236단계에서 자동 통화가 불가능한 쌍이라 판단되면 214단계 내지 226단계로 리턴하여 다음 입력되는 키를 검색하며, 자동 통화가 가능한 쌍이라 판단되면 238단계로 진행하여 도 5의 형태를 가지는 테이블도가 저장된 램(112)의 해당 영역인 li,j에 자동 통화가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1을 기록한다. 상기 자동 통화가 지정되었음을 기록한 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14단계 내지 224단계로 리턴하여 다음 입력되는 키를 검색한다. 224단계에서 상기 214단계 내지 220단계에 의해 선택된 키폰전화기 쌍의 자동 통화의 해제를 요구하는 해제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4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240단계로 진행되면 도 5의 형태를 가지는 테이블도가 저장된 램(112)의 해당 영역인 li,j에 자동 통화가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는 0을 기록한다. 상기 자동 통화가 해제되었음을 기록한 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14단계 내지 224단계로 리턴하여 다음 입력되는 키를 검색한다.
226단계에서 모든 자동 통화 쌍의 지정 또는 해제의 완료를 요구하는 지정 종료키가 감지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통화 쌍의 지정과정을 종료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자동 통화 해제과정과 변경 설정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110)는 310단계에서 자동통화모드를 설정/해제를 요구하는 키데이타가 키폰전화기(KTS0∼KTSn)로부터 입력되는 가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자동통화모드 설정 요구한 키폰전화기가 자동통화가 가능한 키폰전화기인가를 312단계에서 판단한다. 상기 312단계에서 해상 키폰전화기(KTS0, KTS1, KTSn)가 자동통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314단계로 진행하여 자동통화 설정/해제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316단계와 328단계에서 상기 키폰전화기(KTS0, KTS1, KTSn)로부터 자동 통화 시작키 또는 해제키에 해당하는 키데이타가 입력되는 가를 감지한다. 상기 316단계에서 설정 키데이타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8단계로 진행하여 자동통화를 수행할 상대측 키폰전화기의 내선번호를 상기 키폰전화기(KTS0, KTS1, KTSn)로부터 입력받는다. 상기 내선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내선번호에 해당하는 키폰전화기와 자동 통화 지정이 되어있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은 도 5의 구조를 가지는 램(112)의 해당 영역인 li,j에 기록된 데이터를 검색함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영역인 li,j에 0이 기록된 경우에는 자동 통화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이며, 1이 기록된 경우에는 자동 통화가 지정된 상태이다. 상기 상대측 키폰전화기가 자동통화가 불가능한 키폰전화기(KTS2)라 판단되면 332단계로 진행하여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하지만, 자동통화가 가능한 키폰전화기(KTS0, KTS1, KTSn)일 경우에는 222단계로 진행하여 자동 통화를 수행하고 있는 내선 즉 상대측 키폰전화기가 있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322단계에서 자동 통화를 수행하는 상대측 키폰전화기가 있다고 판단되면 324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의 상대측 키폰전화기와의 자동 통화를 해제하고 226단계로 진행한다. 하지만, 상기 322단계에서 자동 통화 수행중인 키폰전화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324단계를 거치지 않고 32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6단계로 진행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318단계에서 입력된 상대측 키폰전화기의 내선번호 (KTS7, KTS23)를 등록하고 상기 332단계로 진행하여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328단계에서 해제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램(112)에 등록된 상대측 키폰전화기의 내선번호를 삭제하여 자동 통화를 해제한 후 상기 332단계로 진행하여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자동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110)는 410단계에서 키폰전화기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카운트값(k)을 0으로 세팅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412단계에서 k번째 키폰전화기(KTSk)가 자동통화가 연결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자동통화가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14단계, 416단계 및 418단계에서 자동통화가 연결된 키폰전화기의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414단계에서는 상기 KTSk의 자동통화 설정이 해제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자동통화 해제 여부는 상기 도 5의 상대 KTS번호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상기 416단계에서는 KTSk에 구비된 수화기가 들리거나, 착신 링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418단계에서는 상대측 KTS에 구비된 수화기가 들리거나, 착신 링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414단계에서 자동통화 해제가 감지되거나, 상기 416단계와 418단계에서 KTSk또는 상대측 KTS에 구비된 수화기의 들림이나 링서비스의 제공이 감지되면 4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0단계에서는 스위칭회로(116)를 제어하여 자동통화가 연결된 키폰전화기간에 자동통화를 차단한다. 상기 414단계, 416단계에서 변화된 상태가 검출되지 않거나, 상기 420단계에서 자동통화가 차단되면 430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키폰전화기(KTSk+1)를 선택한다.
한편, 상기 412단계에서 자동통화가 연결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422단계에서 KTSk가 자동통화가 가능한 키폰전화기인 가를 판단한다. 상기 자동통화 가능 여부 판단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422단계에서 자동통화가 가능한 키폰전화기라고 판단되면 42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KTSk가 통화상태가 아닌 휴지상태 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KTSk가 휴지상태이면 426단계로 진행하여 상대측 KTS도 휴지상태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자동통화 설정된 키폰전화기가 모두 휴지상태라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28단계에서 상기 스위칭회로(116)를 제어하여 자동통화를 연결한다. 상기 422단계, 424단계 및 426단계 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거나, 상기 428단계에서 자동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430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키폰전화기인 KTSk+1을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432단계에서 모든 키폰전화기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412단계로 리턴 한다. 하지만, 상기 432단계에서 모든 키폰전화기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434단계로 진행하여 소정시간인 50미리세크(ms)를 지연한 후 상기 410단계로 진행하여 상술한 서비스를 재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통화가 설정되면 휴지상태에서 두 키폰전화기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동시켜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두 키폰전화기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동시켜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두 키폰전화기중 한 키폰전화기라도 수화기를 들거나 착신된 호가 있으면 자동통화가 차단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업무적으로 통화를 빈번하게 하거나, 서로 협의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등의 사람의 경우 업무 협의를 위하여 전화를 걸지 않고 자동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통화기능을 수행하는 쌍을 다중으로 지정함으로 원하는 내선과 쉽게 자동 통화를 설정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담당자와 자동 통화를 사용하는 내선가입자에게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키폰시스템의 자동 통화 구현방법에 있어서,
    자동 통화가 가능한 키폰전화기의 쌍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통화 쌍 지정과정과,
    상기 자동 통화 쌍으로 지정된 내선번호와의 자동 통화 시작 요구가 있을 경우 자동 통화를 설정하는 자동 통화 설정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 지정 다중 쌍에 따른 자동 통화 구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쌍 지정과정은,
    키폰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키에 따라 자동 통화를 설정할 키폰전화기와 상대 키폰전화기로 구성되는 통화 쌍을 선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키폰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설정 요구키에 의해 상기 선택된 통화 쌍을 자동 통화가 가능한 쌍으로 지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 키폰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해제 요구키에 의해 상기 선택된 통화 쌍을 자동 통화가 불가능한 쌍으로 지정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 지정 다중 쌍에 따른 자동 통화 구현방법.
KR1019960076763A 1996-12-30 1996-12-30 키폰시스템에서 지정 다중 쌍에 따른 자동 통화 구현방법 KR10020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763A KR100202148B1 (ko) 1996-12-30 1996-12-30 키폰시스템에서 지정 다중 쌍에 따른 자동 통화 구현방법
RU97122176A RU2127958C1 (ru) 1996-12-30 1997-12-29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зова для указанной пары телефонов с кнопочным набором в системе коммутации телефонов с кнопочным наборо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763A KR100202148B1 (ko) 1996-12-30 1996-12-30 키폰시스템에서 지정 다중 쌍에 따른 자동 통화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473A KR19980057473A (ko) 1998-09-25
KR100202148B1 true KR100202148B1 (ko) 1999-06-15

Family

ID=1949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763A KR100202148B1 (ko) 1996-12-30 1996-12-30 키폰시스템에서 지정 다중 쌍에 따른 자동 통화 구현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02148B1 (ko)
RU (1) RU2127958C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27958C1 (ru) 1999-03-20
KR19980057473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17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JPH07264302A (ja) セルラ電話システムのための入来呼の選択的スクリーニング
US55111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gramming a repertory dial button of a station terminal
US5555292A (en) Pabx with voice mail device
KR100202148B1 (ko) 키폰시스템에서 지정 다중 쌍에 따른 자동 통화 구현방법
US61921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ll waiting service
KR100194467B1 (ko) 상대방의 다수 전화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229890B1 (ko) 전화기에서 다수의 국선 전화번호들을 가지는 단말기를 호출하는 방법
KR100480241B1 (ko) 키폰시스템에서 내선 통화거부 설정방법
US59334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ating and making an automatic call for a pair of key telephone sets in a key telephone exchange system
KR19980082968A (ko) 자동 연속 호출 방법
KR100207823B1 (ko) 사설교환기에서 자동안내기능을 이용한 발신자정보 처리방법
KR20010081834A (ko) 전화기를 이용한 발신 번호 자동 전환 방법
KR100255372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연결경로 표시 방법
KR900005159B1 (ko) 시간예약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0149585B1 (ko) 키텔레폰 시스템의 자동 픽업 방법
KR0140417B1 (ko) 키폰시스템에서 가입자지정 기능정보 원격사용 방법
KR19990055977A (ko) 사설교환기에서 우선순위에 따른 착신호 전환 방법
JP3319126B2 (ja) 通信端末装置
JPH0965392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8317064A (ja) 電子交換システム
JP2001358833A (ja) ボタン電話装置
JPS6397051A (ja) 内線加入者識別方式
JPH02161863A (ja) キヤンプオン方式
JPS62245765A (ja) 電話システムの通話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