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007U -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007U
KR19990026007U KR2019970038540U KR19970038540U KR19990026007U KR 19990026007 U KR19990026007 U KR 19990026007U KR 2019970038540 U KR2019970038540 U KR 2019970038540U KR 19970038540 U KR19970038540 U KR 19970038540U KR 19990026007 U KR19990026007 U KR 199900260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uxiliary
main
driv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8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007U/ko
Publication of KR199900260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007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미러 하우징(1)의 내측에 각각 스프링(2)을 매개로 연결설치된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가 주름관(5)을 통해 연결설치되고, 상기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의 뒷면에는 모우터(6)에 의해 미러의 각을 조정하는 캠(7)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의 모우터(6)에는 모우터(6)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주 콘트롤러(8)와 보조 콘트롤러(9)가 각각 설치된 구조로 되어, 하나의 사이드 미러에 사각지대를 주시할 수 있는 보조 미러를 장착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함과 더불어 차선 변경시에 일어나는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미러(A side-mirror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에 설치된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사이드미러에 후방을 주시하는 미러와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미러를 동시에 장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운전자가 주행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차선 변경시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이드미러는 운전자가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차량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서, 사이드미러에 의해 운전자가 후방을 관찰할 수 있는 범위는 일정한 각도로 제한되는 데, 이 때문에 운전자는 보통 차량이 직선 주행하는 경우 후방을 관찰하기 용이하게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한 사이드미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중에 후방운전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측면도어(101)에 장착되어 있는 데, 이와 같은 사이드미러(102)는 하우징(103)내에 고정되게 장착된 평면미러(104)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3)에 설치된 평면미러(104)의 각도는 운전자의 신체에 따라 운전석에서 레버를 작동시켜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스위치에 의하여 자동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사이드미러(102)는 운전자가 적절한 각도로 조절하여 자동차의 차선을 변경할 때 주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위해 필수적인 부품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운전자가 사이드미러(102)를 통해 측방후미의 차량흐름을 파악함에 있어서 주행자동차의 바로뒤에 붙어서 주행하는 자동차는 보이지 않게 되는 바, 이러한 사각지대가 형성되기 때문에 차선 변경시 항상 위험이 내포되고 있고, 상기 사각지대의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 운전자가 사이드미러(102)를 주시함은 물론 이와 동시에 머리를 돌려 측후방의 차량흐름을 확실하게 파악하고 차선을 변경하여야 하므로 상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사이드미러에 후방을 주시하는 미러와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미러를 동시에 장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운전자가 주행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차선 변경시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미러 하우징의 내측에 각각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설치된 주 미러와 보조 미러가 주름관을 통해 연결설치되고, 상기 주 미러와 보조 미러의 뒷면에는 모우터에 의해 미러의 각을 조정하는 캠(7)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주 미러와 보조 미러의 모우터에는 모우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주 콘트롤러와 보조 콘트롤러가 각각 설치된 구조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사이드미러는 주 미러와 보조 미러를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의 차선변경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보조 미러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각지대를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의 차선변경시에 일어나는 접촉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각지대를 정확히 볼 수 있도록 운전자가 사이드미러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면, 상기 주 미러가 고정된 상태에서 보조 콘트롤러가 상기 모우터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캠이 이동되면서 상기 보조 미러의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나의 사이드 미러에 사각지대를 주시할 수 있는 보조 미러를 장착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함과 더불어 차선 변경시에 일어나는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작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미러 하우징 2 : 스프링
3 : 주 미러 4 : 보조 미러
5 : 주름관 6 : 모우터
7 : 캠 8 : 주 콘트롤러
9 : 보조 콘트롤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작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로서, 자동차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미러 하우징(1)의 내측에 각각 스프링(2)을 매개로 지지고정되는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가 각기의 넓이를 달리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의 사이에 주름관(5)이 설치되어 각각의 미러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의 뒷면에는 모우터(6)에 의해 미러의 각을 조정하는 캠(7)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의 모우터(6)에는 모우터(6)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주 콘트롤러(8)와 보조 콘트롤러(9)가 각각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로 나누어져 설치된 사이드미러(10)는 운전자의 스위치 작동에 따라 각각 작동될 수 있게 되어, 우선 주 미러(3)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주 콘트롤러(8)의 신호에 의해 모우터(6)와 캠(7)을 구동함으로써 주 미러(3)의 각도를 운전자의 신체에 맞게 고정시키는 한편, 이러한 조작후에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상기 보조 미러(4)를 역시 스위치조작으로 보조 콘트롤러(9)를 작동시켜 그 각도를 적합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이드미러(10)의 각도조절이 완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구조의 사이드미러(10)는 우선 하나의 미러가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로 나뉘어져 플렉시블한 주름관(5)로 연결됨으로써, 각기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스위치작동으로 상기 주 미러(3)의 각도나 보조 미러(4)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상기 미러 하우징(1)의 내부에는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를 각기 작동시키는 캠(7) 및 주/보조 콘트롤러(8,9)가 각각 설치된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사각지대를 정확히 볼 수 있도록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주 미러(3)가 고정된 상태에서 보조 콘트롤러(9)가 상기 모우터(6)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캠(7)이 이동되면서 상기 보조 미러(4)의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미러 하우징(1)에 설치된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는 우선, 차체와 근접한 위치에 넓은 공간을 갖도록 주 미러(3)를 설치하고, 이 주 미러(3)의 외측에 대략 주 미러(3)의 1/3 또는 1/4 정도의 크기를 갖는 보조 미러(4)를 주름관(5)을 통해 연결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이드미러(10)에 보조 미러(4)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사각지대를 보기 위해 따로 미러를 부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짐과 더불어 운전자의 신체나 위치에 따라 운전석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켜 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의하면, 하나의 사이드 미러에 사각지대를 주시할 수 있는 보조 미러를 장착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함과 더불어 차선 변경시에 일어나는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미러 하우징(1)의 내측에 각각 스프링(2)을 매개로 연결설치된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가 주름관(5)을 통해 연결설치되고, 상기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의 뒷면에는 모우터(6)에 의해 미러의 각을 조정하는 캠(7)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주 미러(3)와 보조 미러(4)의 모우터(6)에는 모우터(6)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주 콘트롤러(8)와 보조 콘트롤러(9)가 각각 설치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19970038540U 1997-12-19 1997-12-19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199900260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540U KR19990026007U (ko) 1997-12-19 1997-12-19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540U KR19990026007U (ko) 1997-12-19 1997-12-19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007U true KR19990026007U (ko) 1999-07-15

Family

ID=6969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540U KR19990026007U (ko) 1997-12-19 1997-12-19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00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1337A (en) Telescopic side mirror
KR20160037045A (ko) 백미러 어셈블리
GB2177361A (en) Sideways-viewing mirror assembly for vehicles
KR19990026007U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CN111479722A (zh) 用于地面车辆的侧面后视镜组件
KR200408543Y1 (ko) 아웃사이드 미러 자동 조절 장치
KR200313030Y1 (ko) 자동차의 사이드밀러 조정장치
KR20110025310A (ko) 사각지대 방지 사이드미러
KR0181607B1 (ko) 보조미러가 설치된 사이드 미러
KR950008102Y1 (ko) 전방주시 장치가 부착된 자동차용 후사경
KR200154366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KR200368006Y1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
KR20050116473A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확인용 사이드미러
JPS63291747A (ja) 自動車
KR200146776Y1 (ko) 자동차 아웃 사이드 미러
KR200203299Y1 (ko) 자동차 본네트 미러장치
KR19980059305A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투영장치
KR20040073933A (ko) 자동차의 사이드밀러 조정장치
JP3109180U (ja) バックミラー
KR20040080307A (ko) 차량의 사각지대 해소장치
KR200170302Y1 (ko) 위치가변형 자동차용 룸밀러
KR19980030521U (ko) 자동차의 백미러 승강장치
KR19980030436U (ko) 자동차의 이단식 아웃사이드 미러
KR19980018005U (ko) 보조 미러가 부착된 자동차 아웃 사이드 미러
KR19980066491A (ko) 자동차용 백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