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782A - 주.종 절환에 따른 다중출력 기능 메가폰과 그 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종 절환에 따른 다중출력 기능 메가폰과 그 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782A
KR19990025782A KR1019970047560A KR19970047560A KR19990025782A KR 19990025782 A KR19990025782 A KR 19990025782A KR 1019970047560 A KR1019970047560 A KR 1019970047560A KR 19970047560 A KR19970047560 A KR 19970047560A KR 19990025782 A KR19990025782 A KR 19990025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gaphone
signal
voice
us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3140B1 (ko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박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선 filed Critical 박용선
Priority to KR1019970047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1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4Electric mega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주·종 전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주장치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주장치 사용자의 음성이 예하 다른 메가폰의 스피커를 통해 통합출력되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중(multiple)출력의 통합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주·종 절환에 따른 다중출력 기능 메가폰과 그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기능 메가폰은 사용자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출력하는 마이크로 폰과 이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메가폰장치에 있어서; 주장치로의 모드절환시에는 소정 레벨로 증폭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변조시켜 안테나를 통해 예하의 종속장치측으로 송출하고, 종속모드 상태에서는 주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신호를 복조하여 소정 레벨로 증폭한 뒤,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가폰 통합 시스템은 사용자의 모드절환에 따라 주장치와 종속장치로의 기능전환이 가능하도록 된 다수의 메가폰장치가 구비되고, 다수의 메가폰장치 가운데 어느 하나가 주장치모드로 절환되게 되면 주장치 메가폰 사용자의 음성이 무선전송되어 종속모드로 절환된 메가폰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됨으로써 일련의 통합된 확성 시스템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종 절환에 따른 다중출력 기능 메가폰과 그 통합시스템
본 발명은 메가폰(megaphon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주·종 전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주장치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주장치 사용자의 음성이 예하 다른 메가폰의 스피커를 통해 통합출력되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중(multiple)출력의 통합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주·종 절환에 따른 다중출력 기능 메가폰과 그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메가폰(일명, '확성기'로도 불리움)이라하면, 통상적으로 일정 영역내의 소규모 군중을 통솔하거나 직접 대화가 어려운 다소 먼거리의 사람에게 의사를 전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음성 확성장치로서, 우리의 생활주변 곳곳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도구인 바, 이는 전기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을 보다 크게 증폭시키도록 된 것과 기구적인 구조물에 의지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단지 흩어지지 않도록 집속시켜 줌으로써 보다 먼거리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된 것의 두가지 유형으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한편, 도1은 상기한 두가지 유형 가운데 전기적인 증폭을 이용한 메가폰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구성도로, 도1에서 참조번호 1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폰(microphone)이고, 2는 이 마이크로 폰(1)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 등이 구비된 회로기판, 참조번호 3은 증폭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일정 비율로 확성된 가청음을 혼(4)을 통해 출력하는 콘 스피커이다.
또한, 참조번호 5는 나팔형의 동체이고, 6은 전원으로 사용되는 건전지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이고, 참조부호 SW는 온/오프 스위치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메가폰은 사용자가 상기 온/오프 스위치(SW)를 누른 상태에서 입을 가까이하고 음성을 입력시키게 되면, 마이크로 폰(1)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회로기판(2)에 구비된 증폭회로로 인가되도록 되어 있는 바, 사용자 음성은 이 증폭회로에서 소정 레벨 증폭된 뒤 상기 콘 스피커(3)를 통해 출력되게 됨으로써 보다 큰 가청음으로 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메가폰은 그 성능이 아무리 월등한 것이라 하더라도 구조상 일정이상의 출력음량을 설정함에 있어 한계가 있으므로, 사용자로서는 보다 큰 정격출력을 필요로하는 경우, 앰프(AMP)가 구비된 시스템을 설치하거나 청중의 규모에 맞게 상기한 휴대용 메가폰을 다수개 활용할 수밖에 없다.
한편, 전자의 경우 앰프(AMP)가 구비된 시스템은 이동성이 없으므로 유동적인 군중을 따라다니며 일정방향으로 안내하여야 하는 상황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또한 후자의 경우처럼 여러개의 메가폰을 사용하여 다수의 군중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일단 통제대상의 군중을 여러 무리로 나누어야 하고, 나뉘어진 각각의 소그룹을 통솔할 인솔자를 두어야 하며, 각 그룹마다 인솔자를 배치하였다하더라도 사방이 트인 옥외의 장소에서 여러 그룹으로 분할된 군중을 일관성있게 통제하기란 어려운 일이어서 자칫 도처에서의 확성기 사용으로 인해 오히려 혼란을 가져올 소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주·종 전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주장치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주장치 사용자의 음성이 종속장치로서 절환된 예하 다른 메가폰들의 스피커를 통해 다중출력되도록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일군(一群)의 종속 메가폰에 대한 통합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주·종 절환에 따른 다중출력 기능 메가폰과 그 통합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일반적인 메가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기능 메가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키패드(1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보이기 위한 외관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확성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기능 메가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6은 도5에 도시된 키패드(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보이기 위한 외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 폰 2 : 회로기판
3 : 콘 스피커 4 : 혼
5 : 동체 6 : 전지 수납 케이스
10 : 키패드 11,21 : 제어부
12 : 음성신호 처리부 13 : 송수신부
14 : 안테나 15 : 송수신 분리부
22 : 호출신호 발생부 23 : 호출신호 검출부
24 : 표시부 131 : 발진회로
132 : 송신부 133 : 수신부
SW : 스위치 M : 모드스위치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주·종 절환에 따른 다중출력 기능 메가폰은 사용자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출력하는 마이크로 폰과 이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메가폰장치에 있어서; 온/오프 스위치와 더불어 주/종 절환 모드스위치가 구비된 키입력부와, 이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장치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다른 메가폰장치와의 음성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종속모드 절환시 이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복조해내는 수신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 또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인가되는 복조된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 및 이 음성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다른 메가폰장치로 무선전송하기 위하여 변조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주장치로의 모드절환시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에 의해 증폭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변조시켜 안테나를 통해 예하의 종속장치측으로 송출하고, 종속모드 상태에서는 주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로 인가함으로써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메가폰 통합시스템은 사용자의 모드절환에 따라 주장치와 종속장치로의 기능전환이 가능하도록 된 다수의 메가폰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메가폰장치 가운데 어느 하나가 주장치모드로 절환되게 되면 주장치 메가폰 사용자의 음성이 무선전송되어 종속모드로 절환된 메가폰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됨으로써 일련의 통합된 확성 시스템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신의 메가폰을 주장치로 절환하여, 종속장치로 사용중인 예하의 메가폰들을 통합조종할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고출력 앰프(AMP)의 성능이 구비된 확성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각종 행사활동에 참여한 인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주·종 절환에 따른 다중출력 기능 메가폰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 예컨대 FM 송수신 방식의 메가폰장치를 예로 든 것이다.
한편, 도1에 도시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에서 참조번호 10은 온/오프 스위치(SW)와 더불어 주/종 절환 모드스위치(M)가 구비된 키패드이고, 11은 이 키패드(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장치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12는 상기 마이크로 폰(1)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3)를 통해 출력하거나 동작모드의 주/종 절환상태에 따라 이후에 설명할 RF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3은 주장치로의 모드절환시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12)에 의해 증폭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예하의 종속장치측으로 송출하고, 종속모드 상태에서는 주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신호 처리부(12)로 인가하는 송수신부인 바; 이 송수신부(13)는 변복조를 위한 소정 주파수신호(f1∼f4)를 생성출력하는 발진회로(131)와, 이 발진회로(131)에서 생성출력되는 주파수신호(f1,f2)를 근거로 종속장치로 전송할 송출음성신호에 대한 변조를 실행하는 송신부(132), 및 수신신호에 대한 복조를 실행하는 수신부(133)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송신부(132)의 내부구성은 발진회로(131)에서 생성출력되는 소정 주파수신호(f1,f2)를 예하의 종속장치로 송출할 음성신호와 믹싱하여 FM변조를 실행하는 믹서(MIXER)(132b,132d)와 변조 전·후의 신호 가운데 약정된 대역의 신호만을 분리검파해내는 제1,제2 대역통과필터(132a,132c), 및 변조된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증폭기(132e)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133)는 발진회로(131)에서 생성출력되는 주파수신호(f3,f4)를 수신신호와 믹싱하여 FM복조를 실행하는 믹서(MIXER)(133b,133d)와 복조 전·후의 신호 가운데 약정된 대역의 신호만을 분리검파해내는 제3,제4 대역통과필터(133c,133e), 및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133a)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14는 다른 메가폰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이고, 15는 예컨대 듀플렉스(duplex) 필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14)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로 분리시키는 송수신분리부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10)에는 온/오프 스위치(SW)와 동작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 스위치(M)가 구비되어 있다. 모드 스위치(M)는 딥 스위치(dip switch)로 되어 있으며, 각 동작모드는 사용자 음성이 자체의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일반 모드와 다른 메가폰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음성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종속모드, 및 사용자 음성을 다른 메가폰장치로 무선전송하여 해당 메가폰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다중 출력되도록 하는 주장치 모드로 구분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딥 스위치의 레버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동작모드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모드 스위치(M)를 일반모드로 절환시켜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오프 스위치(SW)를 누르고, 마이크로 폰(1)을 통해 음성을 입력시키게 되면, 마이크로 폰(1)은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신호 처리부(12)로 출력하게 된다.
음성신호 처리부(12)에 인가된 신호는 소정 레벨로 증폭되게 되는 바, 제어부(11)는 사용자가 상기 모드 스위치(M)를 조작하여 설정하여 놓은 일반모드의 상태데이터를 근거로 음성신호 처리부(12)를 제어함으로써, 증폭된 사용자 음성이 제4 단자(ADO4)를 통해 자체의 스피커(3)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모드 스위치(M)가 일반모드로 절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통상의 메가폰에서와 같이, 마이크로 폰(1)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이 소정 레벨로 증폭되어 자체의 스피커(3)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한편, 모드 스위치(M)가 주장치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1)는 모드스위치(M)의 설정상태에 따른 주장치모드 상태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12)를 제어하여 소정 레벨로 증폭된 음성신호가 제2 단자(ADO2)를 통해 송신부(132)로 출력되도록 조정하게 된다.
송신부(132)로 출력된 음성신호는 잡음제거를 위한 제1 대역통과필터(132a)를 거쳐 제1 믹서(132b)에 인가되게 되는 바, 이 제1 믹서(132b)는 상기 발진회로(131)의 제1 단자(f1)로부터 공급되는 제1 발진주파수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믹싱함으로써 무선전송을 위한 1차 변조를 실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1차 변조과정에서 발생된 합·차 주파수신호(f1±fT) 가운데 차 주파수신호(f1-fT)는 제2 대역통과필터(132c)에 의해 여과되게 되며, 여과된 1차 변조신호는 제2 믹서(132d)에서 제2 발진주파수신호(f2)와 믹싱되게 됨으로써 2차 변조되어 후단에 접속된 전력증폭기(132e)로 인가되게 된다.
전력증폭기(132e)에서는 사용자 음성신호를 일정 통달거리내에 위치한 다른 메가폰장치로 무선전송하기 위하여 적정 전력레벨의 신호로 전력증폭을 실행하게 되는 바, 전력증폭된 신호는 송수신분리부(15)를 거쳐, 안테나(14)를 통해 인근의 다른 메가폰장치로 송출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가폰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모드스위치(M)를 조작하여 그 동작모드를 절환함에 따라, 주장치로도 종속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한 과정에 의해 인근의 메가폰장치로 전송된 음성신호가 종속모드로 동작중인 다른 메가폰장치들의 스피커를 통해 다중출력되는 과정은 이후에 설명되는 본 메가폰장치의 종속모드 동작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10)에 구비된 모드스위치(M)를 조작하여 메가폰장치의 동작모드를 '종속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면, 제어부(11)는 모드스위치(M)의 설정상태를 근거로 종속모드로 전환된 상태임을 인식하게 되는 바, 종속모드에서는 음성신호 처리부(12)로 소정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마이크로 폰(1)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음성이 무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테나(14)를 통해서는 주장치모드의 메가폰장치로부터 송출되어 온 무선신호가 수신되게 되는 바,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스 필터(duplex filter)로 구성된 송수신분리부(15)를 거쳐 수신부(133)에 인가되게 된다.
수신부(133)에 인가된 신호는 저잡음증폭기(133a)에 의해 소정 레벨로 증폭된 뒤, 제3 믹서(133b)에서 상기 발진회로(131)의 제3 단자(f3)로부터 인가되는 제3 발진주파수신호와 믹싱되어 각각 합·차주파수신호(fS±f3)가 출력되는 1차 복조가 실행되게 되는 바, 제3 대역통과필터(133c)에 의해 차주파수신호만(fS-f3)이 선별되어 제4 믹서(133d)로 인가되게 된다.
제4 믹서(133d)에서는 상기 1차 복조된 신호와 발진회로(131)의 제4 단자(f4)로부터 인가되는 제4 발진주파수신호가 믹싱되어 각각 두 신호의 합·차주파수신호가 출력되게 되며, 이 신호가 제4 대역통과필터(133e)를 거치면서 차주파수성분만이 분리검출되게 됨으로써, 상기한 절차에 의해 수행되는 2차 복조과정에 의해 반송파가 제거된 음성신호가 얻어지게 된다.
한편, 제어부(11)는 키패드(10)의 모드스위치(M) 설정상태에 따른 종속모드 상태데이터를 근거로 음성신호 처리부(12)를 구동제어하게 되는 바, 음성신호처리부(12)는 제어부(11)로부터의 소정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2차에 걸친 복조과정에 의해 얻어진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한 후, 제4 단자(ADO4)를 통해 스피커(3)로 출력함으로써, 주장치모드 메가폰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어 온 음성이 스피커(3)를 통해 출력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1실시예에 의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주·종 전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주장치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주장치 사용자의 음성이 예하 다른 메가폰의 스피커를 통해 통합출력되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중(multiple)출력의 확성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주·종 절환에 따른 다중출력 기능 메가폰과 그 통합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장치로의 모드절환을 통해 다중출력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나머지 다른 메가폰장치의 동작모드를 종속장치로서 모드절환시켜야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하는 바, 행사가 진행도중 각기 흩어져 있는 메가폰 운용요원에게 모드절환할 것을 일일이 지시하기란 어려운 일이므로, 그 의사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도5는 상기한 미비점을 고려하여 창출해 낸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메가폰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 도2에 도시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5에서 참조번호 20은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드절환신호 전송버튼(20a)이 구비된 키패드이고, 22는 제어부(21)로부터의 소정 제어명령에 따라 모드절환 의사를 알리기 위한 소정 톤(TONE)신호를 생성출력하는 호출신호 발생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3은 다른 메가폰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오는 모드절환신호를 검출하는 호출신호 검출부이고, 24는 상기 제어부(2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드절환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키패드(20)에 구비된 모드절환신호 전송버튼(20a)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21)가 상기 호출신호 발생부(22)를 구동제어하여 소정 톤(TONE) 신호를 생성출력시키게 되는 바, 발생된 톤 신호는 제1 믹서(132b)에 의해 전송신호와 믹싱되어 각 메가폰장치로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인근의 메가폰장치로 전송된 신호는 통상의 음성신호 수신동작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복조되어 음성신호 처리부(22)로 인가되게 되어, 스피커(3)를 통해 소정 부저음으로 출력되게 된다. 이때 호출신호 검출부(23)는 복조된 음성신호내에 혼재된 소정 주파수성분의 모드절환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21)로 예컨대 하이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바, 제어부(21)는 호출신호 검출부(23)로부터 하이레벨의 검출신호가 인가되게 되면, 상기 표시부(24)를 구동하여 상기 부저음 출력과 함께 모드절환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즉, 상기 2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메가폰 사용자는 언제든지 주장치로서의 모드절환 의사를 필요에 따라 수시로 상호 교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중출력에 의한 통합조정기능을 적시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는 바,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FM 변·복조 방식에 한정하지 않고 AM방식을 포함한 여타 다양한 무선송수신 방식을 활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신의 메가폰을 주장치로 절환하여, 종속장치로 사용중인 예하의 메가폰들을 통합조종할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고출력 앰프(AMP)의 성능이 구비된 확성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각종 행사활동에 참여한 인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사용자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출력하는 마이크로 폰과 이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메가폰장치에 있어서;
    온/오프 스위치와 더불어 주/종 절환 모드스위치가 구비된 키입력부와,
    이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장치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다른 메가폰장치와의 음성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종속모드 절환시 이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복조해내는 수신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 또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인가되는 복조된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 및
    이 음성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다른 메가폰장치로 무선전송하기 위하여 변조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주장치로의 모드절환시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에 의해 증폭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변조시켜 안테나를 통해 예하의 종속장치측으로 송출하고, 종속모드 상태에서는 주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로 인가함으로써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종 절환에 따른 다중출력 기능 메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발진회로에서 생성출력되는 소정 주파수신호를 예하의 종속장치로 송출할 음성신호와 믹싱하여 FM변조를 실행하는 믹서(MIXER)와 변조 전·후의 신호 가운데 약정된 대역의 신호만을 분리검파해내는 제1,제2 대역통과필터, 및 변조된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증폭기(132e)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종 절환에 따른 다중출력 기능 메가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발진회로에서 생성출력되는 주파수신호를 수신신호와 믹싱하여 FM복조를 실행하는 믹서(MIXER)와 복조 전·후의 신호 가운데 약정된 대역의 신호만을 분리검파해내는 제3,제4 대역통과필터, 및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종 절환에 따른 다중출력 기능 메가폰.
  4. 사용자의 모드절환에 따라 주장치와 종속장치로의 기능전환이 가능하도록 된 다수의 메가폰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메가폰장치 가운데 어느 하나가 주장치모드로 절환되게 되면 주장치 메가폰 사용자의 음성이 무선전송되어 종속모드로 절환된 메가폰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됨으로써 일련의 통합된 확성 시스템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가폰 통합 시스템.
KR1019970047560A 1997-09-18 1997-09-18 주.종절환에따른다중출력기능메가폰과그통합시스템 KR100263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560A KR100263140B1 (ko) 1997-09-18 1997-09-18 주.종절환에따른다중출력기능메가폰과그통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560A KR100263140B1 (ko) 1997-09-18 1997-09-18 주.종절환에따른다중출력기능메가폰과그통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782A true KR19990025782A (ko) 1999-04-06
KR100263140B1 KR100263140B1 (ko) 2000-08-01

Family

ID=1952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560A KR100263140B1 (ko) 1997-09-18 1997-09-18 주.종절환에따른다중출력기능메가폰과그통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1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34Y1 (ko) * 2008-07-08 2011-09-21 유미혜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휴대용 확성기
CN112565982A (zh) * 2019-09-26 2021-03-26 北京塞宾科技有限公司 一种交互式音响及利用该音响的扩声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34Y1 (ko) * 2008-07-08 2011-09-21 유미혜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휴대용 확성기
CN112565982A (zh) * 2019-09-26 2021-03-26 北京塞宾科技有限公司 一种交互式音响及利用该音响的扩声方法
CN112565982B (zh) * 2019-09-26 2022-03-25 北京塞宾科技有限公司 一种交互式音响及利用该音响的扩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3140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267B1 (en) Interoperable am/fm headset wireless telephone device
US20050100182A1 (en) Hearing instrument having a wireless base unit
JP2007282222A (ja) 時間遅延補聴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80165949A9 (en) Multi-mode, multi-channel psychoacoustic processing for emergency communications
US7181233B2 (en) Multi-user non-blocking duplex wireless vo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263140B1 (ko) 주.종절환에따른다중출력기능메가폰과그통합시스템
JP2005253078A (ja) 補聴器へ信号を送るための送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聴覚補助装置
US7826805B2 (en) Automatic-switch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244953Y1 (ko) 다목적 기능을 갖는 2채널 무선송신 핸즈프리와 무선수신기
JP2009005267A (ja) 無線機
JP3999429B2 (ja) 単信式無線機
JPH09206329A (ja) 聴力補助装置
US20040259506A1 (en) Walkie talkie which vibrates when receiving incoming control signals
JPH088839A (ja) 送信機及び受信機並びに送受信機
JP3226948U (ja) 聴力補助器用無線集音器、聴力補助器及び聴力補助システム
JP3237275U (ja) 音声集音器、音声集音機能付き音声送信器、および、音声認識システム
KR200249758Y1 (ko) 핸드폰용 무선 핸드프리 장치
JP2009100432A (ja) 無線中継機
JP2009010900A (ja) 無線中継機
KR200204501Y1 (ko) 다기능 복합형 휴대폰
KR200188050Y1 (ko)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헤드셋장치
KR20020078062A (ko) Fm 음향출력 송출기가 내장된 휴대폰
KR200241150Y1 (ko) 무선 송수신기
KR100781781B1 (ko)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
JPH05291980A (ja) 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