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781B1 -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781B1
KR100781781B1 KR1020060129507A KR20060129507A KR100781781B1 KR 100781781 B1 KR100781781 B1 KR 100781781B1 KR 1020060129507 A KR1020060129507 A KR 1020060129507A KR 20060129507 A KR20060129507 A KR 20060129507A KR 100781781 B1 KR100781781 B1 KR 10078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de
text message
ctcss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석
조치유
Original Assignee
유니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챌(주) filed Critical 유니챌(주)
Priority to KR102006012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60Security, fault tolerance
    • G08C2201/61Password, biome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하고자 하는 상대방 무전기에 대한 원격제어항목과 원격제어 설정데이터를 입력함에 따라,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임을 표시하는 원격제어 문자메시지 코드와 원격제어항목 코드 및 원격제어 설정데이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를 구성하는 전송 데이터값을 미리 설정된 CTCSS 톤코드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CTCSS 톤코드가 조합된 톤코드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가 변환된 CTCSS 톤코드 정보에 따라 톤코드가 발생되어 무선 채널을 통해 상대방 무전기에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상대방 무전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채널 신호에 포함된 CTCSS 톤코드를 검출하게 되면, 상기 검출된 CTCSS 톤코드를 미리 설정된 CTCSS 톤코드 변환 정보에 의한 변환 규칙에 의거하여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로 복원하고, 상기 CTCSS 톤코드로부터 복원된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원격제어항목 코드 및 원격제어 설정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원격제어 항목코드와 원격제어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및 설정을 수행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무전기, 문자, 메시지, CTCSS 톤코드, 원격 제어

Description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in Radiotelegrap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원격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무전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표준 CTCSS 톤코드의 구성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추가적인 비표준 CTCSS 톤코드의 구성표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문자 전송을 위한 데이터 비트의 구성표와 그 구성표를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비트값을 형성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CTCSS 톤코드를 이용하여 문자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 전송을 방식을 이용한 무전기 원격 제어 방법에 대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듀플렉서, 12:RF 증폭부,
14:믹서, 16:국부 발진부,
18:중간주파수신호 처리부, 20:오디오 필터,
22:오디오 증폭부, 24:스피커,
26:CTCSS 검출부, 28:스위치부,
30:마이크로폰, 32:주파수 발진부,
34:톤코드 발생부, 36:변조부,
38:송신 증폭부, 40:PTT 스위치,
42:키입력부, 44:표시부,
46:메모리, 48:제어부.
본 발명은 무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무전기에서 슬레이브 무전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전기는 통신하는 두 지점 사이에 양방향으로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한지점에서 신호를 보내는 상태에서는 다른 지점에서 신호의 수신만이 가능하고, 수신 측이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는 버튼 입력을 이용하여 전송 방향을 명시적으로 바꾸어야 하는 PTT(Push To Talk) 기능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PTT 방식의 무전기 중에서 최근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생활 무전기(Family Radio Service; FRS)의 경우에는 전파 사용료를 내지 않고서도 자유 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된 27MHz(차량용)나 448MHz 또는 462MHz 대의 극초단파(UHF)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전파 통달 거리는 3Km 이내에 해당된다.
업무용 무전기의 경우에는 초단파(VHF) 또는 극초단파(UHF)의 주파수를 일정 금액을 내고 유료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전파 통달 거리는 10Km∼20Km 이내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생활용 무전기 및 업무용 무전기의 경우에는, 각 무전기 간에 약속된 동일한 음성통화 채널을 통하여 음성채널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전파 통달 거리 내에 위치한 각 무전기 간에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무전기는 통상적으로 두 개가 하나의 짝을 이루거나 상호간에 연락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또는 복수를 그룹핑하여 구룹핑되어 그들 간에 음성 및 문자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무전기를 짝을 이루어 사용하거나 그룹핑하여 사용할 경우, 필요에 따라 상대방 무전기(들)에 대한 기능 및 설정을 원격으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면 그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무전기에 대한 기능 및 설정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마스터 무전기에서 슬레이브 무전기의 기능 및 설정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하는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은, 원격제어하고자 하는 상대방 무전기에 대한 원격제어항목과 원격제어 설정데이터를 입력함에 따라,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임을 표시하는 원격제어 문자메시지 코드와 원격제어항목 코드 및 원격제어 설정데이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를 구성하는 전송 데이터값을 미리 설정된 CTCSS 톤코드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CTCSS 톤코드가 조합된 톤코드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가 변환된 CTCSS 톤코드 정보에 따라 톤코드가 발생되어 무선 채널을 통해 상대방 무전기에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상대방 무전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채널 신호에 포함된 CTCSS 톤코드를 검출하게 되면, 상기 검출된 CTCSS 톤코드를 미리 설정된 CTCSS 톤코드 변환 정보에 의한 변환 규칙에 의거하여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로 복원하고, 상기 CTCSS 톤코드로부터 복원된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원격제어항목 코드 및 원격제어 설정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원격제어 항목코드와 원격제어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및 설정을 수행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무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이 적용된 무전기는, 듀플렉서(Duplexer)(10)와, RF 증폭부(12), 믹서(Mixer)(14), 국부 발진부(16), 중간주파수신호 처리부(18), 오디오 필터(20), 오디오 증폭부(22), 스피커(24), CTCSS(Continuous Tone Code Squelch System) 검출부(26), 스위치부(28), 마이크로폰(30), 주파수 발진부(32), 톤코드 발생부(34), 변조부(36), 송신 증폭부(38), PTT 스위치(40), 키입력부(42), 표시부(44), 메모리(46), 제어부(48)로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10)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RF 증폭부(12) 측으로 출력하고, 송신 증폭부(38)로부터의 송신주파수 신호를 안테나 측으로 무선 전송 가능하게 출력한다.
상기 RF 증폭부(12)는 상기 듀플렉서(10)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RF 증폭하고, 상기 믹서(14)는 상기 증폭된 RF 신호와 상기 국부 발진부(16)로부터 공급되는 국부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중간주파수신호 처리부(18)는 상기 믹서(14)를 통한 중간주파수 신호를 검파 및 복조하여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필터(20)에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필터(20)는 상기 중간주파수신호 처리부(18)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 증폭부(22)는 상기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스피커(24)를 통해 음성 재생 가능하게 출력한다.
상기 CTCSS 검출부(26)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서 CTCSS 톤주파수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톤주파수와 일치하면 상기 스위치부(28)를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가 오디오 필터(20) 측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오디오 신호에서 검출된 CTCSS 톤주파수의 톤코드를 상기 제어부(48)에 전송하여, 해당 CTCSS 톤코드에 포함된 상대방 무전기로부터의 문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치부(28)는 상기 CTCSS 검출부(26)에 의한 CTCSS 톤주파수 검출을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필터(20) 측으로 출력되도록 스위칭을 수행한다.
상기 주파수 발진부(32)는 마이크로폰(30)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톤코드 발생부(34)로부터 발생되는 CTCSS 톤주파수와 합성하여 주파수 발진을 통해 출력하는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문자 전송에 따라 상기 톤코드 발생부(34)에서 발생되는 문자 데이터가 포함된 톤코드를 신호 합성하여 주파수 발진을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톤코드 발생부(34)는 상기 제어부(48)의 톤코드 발생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 및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CTCSS 톤코드별 데이터 바이트의 전송 규칙에 따라 구성하여 CTCSS 톤코드의 형태로 발생한다.
상기 변조부(36)는 상기 오디오 신호와 CTCSS 톤주파수의 합성 신호를 무선 송신 가능한 주파수로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송신 증폭부(38)는 상기 변조부(34)를 통해 변조된 송신 주파수 신호를 RF 증폭하여 상기 듀플렉서(10)로 출력하고, 상기 PTT 스위치(40)는 PTT 기능을 통해서 상기 송신 주파수 신호를 무선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스위칭된다.
상기 키입력부(42)는 무선 채널 및 CTCSS 톤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키 버튼과, 상대방 무전기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문자 전송 모드의 설정, CTCSS 톤코드를 사용하여 전송할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표시부(44)는 통상의 무전기 기능에 의한 음성 통화 상태를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키입력부(42)의 조작을 통한 문자 및 숫자의 입력 상태를 표시하고, 상대방 무전기로부터 수신받은 문자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메모리(46)는 문자전송 모드에 따라 문자 메시지의 전송 바이트 정보를 CTCSS 톤코드의 조합에 의해 생성하고, 문자수신 모드에 따라 상대방 무전기로부터 수신받은 CTCSS 톤코드의 조합에 의한 전송 바이트 정보를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복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39개의 표준 CTCSS 톤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비트별 톤코드의 변환정보 및 전송 시작 코드 및 전송 종료 코드를 위한 추가적인 비표준 CTCSS 톤코드가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46)에는 무전기의 설정 접근 제한을 위한 암호가 등록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원격제어 항목코드와 원격제어 항목의 설정데이터에 따른 제어 및 설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48)는 상기 키입력부(42)의 사용자 조작에 의한 문자 전송 모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46)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서 CTCSS 톤코드의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키입력부(42)에 의해 작성되는 문자 메시지를 구성하는 각 문자 및 숫자에 대한 전송 바이트 정보의 각 비트별로 CTCSS 톤코드의 형 태를 조합함에 의해, 상기 톤코드 발생부(34)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문자 메시지에 대응하도록 조합된 CTCSS 톤코드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또, 상기 제어부(48)는 상기 키입력부(42)의 사용자 조작에 의한 상대방 무전기의 원격 제어 모드 상태에서, 키입력부(42)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입력되는 상대방 무전기의 설정 접근 제한을 위한 암호(이하 "접근제한암호"라 함)와, 키입력부(42)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입력되는 원격제어하고자 하는 상대방 무전기의 원격제어항목에 대한 코드(이하, "원격제어항목코드"라 함)와 원격제어항목 설정데이터 및, 원격제어문자 메시지임을 표시하는 원격제어문자메시지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를, 상기한 문자 메시지 전송과 마찬가지로 전송 바이트 정보의 각 비트별로 CTCSS 톤코드의 형태를 조합함에 의해, 상기 톤코드 발생부(34)를 통해 상기 작성된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에 대응하도록 조합된 CTCSS 톤코드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8)는 상대방 무전기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 문자수신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46)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CTCSS 톤코드가 조합된 각 전송 데이터 바이트를 복원하여 해당 문자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44) 상에 표시하게 된다.
또, 상기 제어부(48)는 상대방 무전기로부터 원격제어 문자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 문자메시지를 분석하고 원격제어문자메시지 식별코드의 포함 여부에 의하여 원격제어 문자 메시지임을 식별하며, 원격제어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제한암호가 자신의 메모리(46)에 저장된 접근제한암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고, 접근 제한암호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원격제어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원격제어항목코드를 분석하고 원격제어 설정데이터를 검출하여 해당 원격제어항목코드 및 원격제어 설정데이터에 따라 자신의 무전기의 제어 및 설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CTCSS 톤코드는 음성통화 채널 상에서 각 무전기 간의 혼선 방지 및 배터리 사용 시간의 증대를 위하여 선택적인 신호만을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음성채널 신호에 실어서 보내는 것으로서, 39개의 단일 주파수로 이루어진 표준 톤코드로 구성되고, 추가적인 비표준의 단일 주파수 코드가 존재한다.
상기 CTCSS 표준 톤코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TCSS 1 ∼CTCSS 39 까지의 39개의 톤코드에 대한 코드번호 별로 주파수가 정의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주파수 분포는 사람의 청력에 의해 인지될 수 없는 300Hz 이하의 주파수로 구성됨에 의해, 무전기의 음성 채널에 포함시키더라도 CTCSS 코드의 존재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음성 통화의 음질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추가적인 비표준 톤코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TCSS 40∼CTCSS 48 까지의 9개의 톤코드가 존재하며, 각 톤코드마다 상기 표준 톤코드와 중복되지 않는 주파수가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CTCSS 표준 톤코드를 사용함에 의해 각 데이터 비트 별로 지정된 톤코드의 코드번호 별 주파수를 적용하여 문자 메시지의 각 문자 및 숫자의 전송 바이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데이터 바이트 코드가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 메시지의 바이트 길이에 따라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되는 문자 메시지를 8비트의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생성하되, 데이터 바이트 타입을 제 1데이터 바이트 타입(Data Byte Type 1)과 제 2데이터 바이트 타입(Data Byte Type 2)의 2가지로 정의하여 사용함에 의해, 음성 채널을 위한 채널 코드와의 혼선을 피하도록 한다.
상기 제 1데이터 바이트 타입에서는 총 39개의 CTCSS 표준 톤코드 중에서 "CTCSS 1∼CTCSS 16" 까지의 톤코드 범위를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제 2데이터 바이트 타입에서는 상기 제 1데이터 바이트 타입과의 구분을 위해 총 39개의 CTCSS 표준 톤코드 중에서 "CTCSS 17∼CTCSS 32" 까지의 톤코드 범위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4a에서, 제 1데이터 바이트 타입(Data Byte Type 1)에서는 첫번째 비트로부터 여덟번째 비트까지의 각각의 "0" 비트값에 대해 CTCSS 1으로부터 CTCSS 8 까지의 톤코드 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각각의 "1"비트에 대해서는 CTCSS 9로부터 CTCSS 16 까지의 톤코드 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도록 한다.
상기 제 2데이터 바이트 타입(Data Byte Type 2)에서는 첫번째 비트로부터 여덟번째 비트까지의 각각의 "0" 비트값에 대해 CTCSS 17로부터 CTCSS 24 까지의 톤코드 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각각의 "1" 비트값에 대해서는 CTCSS 25로부터 CTCSS 32 까지의 톤코드 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데이터 바이트 타입과 제 2데이터 바이트 타입의 CTCSS 톤코드를 적용하여 소정의 전송 바이트를 톤코드로 변환하는 예시적인 형태에 대해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예컨대, 전송 바이트가 "0x55"로서 "0101 0101"의 이진 비트값을 갖는 바이트 데이터를 제 1데이터 바이트 타입을 사용하여 CTCSS 톤코드로 변환하면, 첫번째 비트로부터 여덟번째 비트까지의 비트값(0101 0101)에 대한 CTCSS 톤코드 번호가 각각 "1","10","3","12","5","14","7","16"으로 지정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데이터 바이트 타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첫번째 비트로부터 여덟번째 비트까지의 비트값(0101 0101)에 대한 CTCSS 톤코드 번호가 각각 "17","26","19","28","21","30","23","32"로 지정됨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전송 바이트로서 "0xAA"의 바이트 데이터(이진 비트값이 "1010 1010")를 제 1데이터 바이트 타입을 사용하여 CTCSS 톤코드로 변환하면, 첫번째 비트로부터 여덟번째 비트까지의 비트값(1010 1010)에 대한 CTCSS 톤코드 번호가 각각 "9","2","11","4","13","6","15","8"로 지정되고, 제 2데이터 바이트 타입을 사용하게 되면 첫번째 비트로부터 여덟번째 비트까지의 비트값(1010 1010)에 대한 CTCSS 톤코드 번호가 각각 "25","18","27","20","29","22","31","24"로 지정된다.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를 구성하는 각 문자 및 숫자의 데이터 바이트를 2진수의 비트값에서 CTCSS 톤코드로 변환함에 의해, CTCSS 톤코드가 조합된 문자 메시지가 음성 채널을 통해 상대방의 무전기로 전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추가적인 9개의 비표준 CTCSS 톤코드는, 문자 메시지의 전송 시작을 알리는 전송 시작 코드와, 문자 메시지의 전송 종료를 알리는 전송 종료 코드로서 적용된다.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CTCSS 톤코드를 이용하여 문자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전송 모드 하에서 작성된 문자 메시지를 상대방 무전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CTCSS 코드와, 전송 시작 코드, 문자 메시지의 전송 데이터 바이트, 전송 종료 코드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는 CTCSS 코드 -> 전송 시작 코드 -> 문자 메시지의 각 전송 데이터 바이트 -> 전송 종료 코드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CTCSS 코드는, 문자 메시지의 전송측 무전기와 문자 메시지 수신측 무전기 사이에 약속된 임의의 표준 CTCSS 톤코드로서, 2초의 전송 시간을 가지며, 문자 메시지 수신측 무전기에서는 상기 CTCSS 코드를 수신하고 나서 이후의 CTCSS 코드 변화 상태를 감시한다.
상기 전송 시작 코드는, 9개의 추가적인 비표준 CTCSS 코드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의 전송 시작을 알리기 위한 코드로서, 1바이트(8비트)로 이루어지고 2초의 전송 기간을 갖는다.
상기 문자 메시지의 각 전송 데이터 바이트는, 각 1바이트(8비트) 별로 8초의 전송 시간(즉 1비트당 1초의 전송 기간)을 소요하여 전송하게 되며, 상기 CTCSS 코드와의 혼성을 피하기 위하여 도 4a에 도시된 제 1데이터 바이트 타입 또는 제 2데이터 바이트 타입 중에 하나의 타입을 적용하여 전송 바이트를 CTCSS 톤코드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전송 종료 코드는, 9개의 추가적인 비표준 CTCSS 코드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의 전송 종료를 알리기 위한 코드로서, 1바이트(8비트)로 이루어지고 2초의 전송 기간을 갖는다.
한편, 문자 메시지 수신측 무전기의 제어부(48)에서는 상기 CTCSS 검출부(26)를 통해 CTCSS 코드를 수신받아 톤코드의 변화를 감시하는 상태에서, 전송 시작 코드를 수신받음에 의해 문자 메시지의 전송 시작 상태를 인식하게 되고, 그 이후에 수신받은 CTCSS 톤코드가 조합된 각 전송 데이터 바이트를 복원하여 해당 문자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44) 상에 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무전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다른 무전기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무전기를 마스터 무전기(100)라 하고, 원격제어 대상 무전기를 슬레이브 무전기(200)라 한다.
먼저, 마스터 무전기(100)의 사용자가 키입력부(42)를 조작하여 타겟 무전기의 원격제어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42)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원격제어모드에 따른 화면을 표시부(4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1).
그후, 사용자가 키입력부(42)를 조작하여 타겟 무전기[여기서는 슬레이브 무전기(200)]의 접근제어암호를 입력함에 따라 제어부(42)는 그 입력된 접근제어암호를 버퍼에 저장함과 동시에 표시부(4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
이어, 사용자가 키입력부(42)를 조작하여 타겟 무전기의 원격제어항목을 선택입력함에 따라 제어부(42)는 그 입력되는 원격제어항목 코드를 버퍼에 저장함과 동시에 표시부(4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5).
그후, 사용자가 키입력부(42)를 조작하여 타겟 무전기의 원격제어항목에 대한 설정데이터(원격제어 설정 데이터)를 선택입력함에 따라 제어부(42)는 그 입력되는 원격제어 설정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함과 동시에 표시부(4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7).
여기서, 상기 원격제어항목과 원격제어 설정 데이터의 입력은 사용자가 사용자 설명서를 참조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원격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메뉴화면에서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항목으로서는 통신기능 설정과 부가기능 원격제어로 구분할 수 있다. 통신기능 설정으로는 통신의 혼선시 등에 교신을 위하여 채널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채널 및 CTCSS 채널 전환과; 위급 상황시 긴급호출이나 릴레이 모드 등의 통신 모드 전환과; 특정 장소나 시간에 기기를 끄지 않고도 송수신을 차단하기 위한 송수신 온/오프 전환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기능설정으로서는 특정 기능(예를 들면 게임 기능 등)의 사용 제한과;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을 제한하기 위한 문자메시지 송수신제한과; 알람 및 예약호출 등의 등록이나 변경과; 특정 키(예를 들면 전원키 등)를 제외한 모든 키 입력의 잠금 설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어, 상기와 같이 타겟 무전기의 접근제한암호와 원격제어항목 및 원격제어 설정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42)를 조작하여 원격제어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을 하면, 제어부(42)는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임을 표시하는 원격제어문자메시지 코드와 접근제한암호, 원격제어항목 코드 및 원격제어 설정데 이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에서 도1~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문자메시지 전송방식으로 해당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S11).
상기와 같이 마스터 무전기(100)에서 원격제어 문자메시지가 송출됨에 따라 그 원격제어 문자메시지가 타겟 무전기인 슬레이브 무전기(200)에 수신된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이 슬레이브 무전기(200)에 원격제어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 슬레이브 무전기(200)의 제어부(48)는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에 해당 문자메시지가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임을 표시하는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코드가 있으면 해당 수신메시지가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어, 슬레이브 무전기(200)의 제어부(48)는 해당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접근제한암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접근제한암호가 자신의 메모리(46)에 저장된 접근제한암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한다(단계 S13).
그후, 상기 슬레이브 무전기(200)의 제어부(48)는 상기 검출된 접근제한암호가 메모리(46)에 저장된 접근제한암호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원격제어 항목코드와 원격제어 설정 데이터를 검출해낸다(단계 S15).
이어, 상기 슬레이브 무전기(200)의 제어부(48)는 상기 검출된 원격제어 항목코드와 원격제어 설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46)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원격제어 항목코드와 원격제어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및 설정이 이루 어지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무전기(100)는 슬레이브 무전기(200)에 대하여 통신채널 및 CTCSS 채널 전환과, 긴급호출이나 릴레이 모드 등의 통신 모드 전환, 송수신 온/오프 전환, 특정 기능(예를 들면 게임 기능 등)의 사용 제한, 문자메시지 송수신제한과, 알람 및 예약호출 등의 등록이나 변경, 키 입력의 잠금 설정 등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측 무전기에서 문자 및 숫자에 대한 전송 데이터 바이트를 CTCSS 톤코드를 조합한 톤코드 주파수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문자 메시지의 수신측 무전기에서 수신된 CTCSS 톤코드를 해당 문자 메시지로 복원하여 표시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마스터 무전기에서 슬레이브 무전기(들)의 기능 및 설정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격제어하고자 하는 상대방 무전기에 대한 원격제어항목과 원격제어 설정데이터를 입력함에 따라,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임을 표시하는 원격제어 문자메시지 코드와 원격제어항목 코드 및 원격제어 설정데이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를 구성하는 전송 데이터값을 미리 설정된 CTCSS 톤코드 변환 정보에 근거하여 CTCSS 톤코드가 조합된 톤코드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가 변환된 CTCSS 톤코드 정보에 따라 톤코드가 발생되어 무선 채널을 통해 상대방 무전기에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상대방 무전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채널 신호에 포함된 CTCSS 톤코드를 검출하게 되면, 상기 검출된 CTCSS 톤코드를 미리 설정된 CTCSS 톤코드 변환 정보에 의한 변환 규칙에 의거하여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로 복원하고, 상기 CTCSS 톤코드로부터 복원된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원격제어항목 코드 및 원격제어 설정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원격제어 항목코드와 원격제어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및 설정을 수행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는 원격제어하고자 하는 상대방 무전기에 대한 접근제한암호를 추가로 입력하고, 상기 추가로 입력한 접근제한암호를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에 추가시켜 무선 채널을 통해 상대방 무전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원격제어 문자메시지로 복원 후, 상기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접근제한암호가 기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접근제한암호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복원된 원격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원격제어항목 코드 및 원격제어 설정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원격제어 항목코드와 원격제어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및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항목은, 통신채널 및 CTCSS 채널 전환과, 긴급호출이나 릴레이 모드의 통신 모드 전환, 송수신 온/오프 전환, 특정 기능의 사용 제한, 문자메시지 송수신제한과, 알람 및 예약호출의 등록이나 변경 및 키 입력의 잠금 설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20060129507A 2006-12-18 2006-12-18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781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507A KR100781781B1 (ko) 2006-12-18 2006-12-18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507A KR100781781B1 (ko) 2006-12-18 2006-12-18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781B1 true KR100781781B1 (ko) 2007-12-04

Family

ID=3913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507A KR100781781B1 (ko) 2006-12-18 2006-12-18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7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74A (ja) * 1994-07-14 1996-02-02 Yaesu Musen Co Ltd モールス音発生無線機
JP2000269883A (ja) 1999-03-17 2000-09-29 Kenwood Corp 通話圏確認方法
KR100356310B1 (ko) 2000-04-19 2002-10-12 주식회사 제이콤 연속톤스켈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타의 송수신 방법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74A (ja) * 1994-07-14 1996-02-02 Yaesu Musen Co Ltd モールス音発生無線機
JP2000269883A (ja) 1999-03-17 2000-09-29 Kenwood Corp 通話圏確認方法
KR100356310B1 (ko) 2000-04-19 2002-10-12 주식회사 제이콤 연속톤스켈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타의 송수신 방법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5158B1 (en) Dual mode mobile phone operating as a two-way radio
EP2651071B1 (en) Wireless microphone system
JP5497906B2 (ja) ポータブル無線システムを通じた移動無線システムの遠隔制御
KR102110015B1 (ko) 디지털 무전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
AU2018323559B2 (en) Smart phone and bluetooth earset having digital two-way radio function
KR100658021B1 (ko) 통신 주파수 변경이 가능한 무전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312032B1 (ko) 휴대폰의문자서비스방법
KR101080617B1 (ko) 무전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및 그 동작 방법
KR100781781B1 (ko) 무전기의 원격 제어 방법
US8359064B2 (en) Wireless apparatus
KR20060122107A (ko) 에프엠 모듈을 이용한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839608B1 (ko) 무전기의 긴급호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1780B1 (ko) 무전기의 문자 송/수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53995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문자서비스 메시지 확인방법
US20060121896A1 (en) Method for user identification in a CTCSS bas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00459A (ko) 디지털 무선마이크/동시통역/회의시스템
CN106877958A (zh) 一种射频无线广播系统
JP3821581B2 (ja) 無線機の遠隔制御方式
KR100680919B1 (ko) 문자메시지 전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24772A (ko)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 겸용 Dual-Band 지능형 무선송수신기
KR20080057980A (ko) 무전기의 예약 처리 장치
JP3051042B2 (ja) 携帯無線装置の置忘れ防止方法及び置忘れ防止機能付携帯無線装置
KR200423093Y1 (ko) 티알에스 알에프 모뎀이 내장된 수신전용 티알에스 무선단말기
KR100444237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 등록방법
KR101191186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신호 송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