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404A - 무릎정형보조기 - Google Patents

무릎정형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404A
KR19990025404A KR1019970046995A KR19970046995A KR19990025404A KR 19990025404 A KR19990025404 A KR 19990025404A KR 1019970046995 A KR1019970046995 A KR 1019970046995A KR 19970046995 A KR19970046995 A KR 19970046995A KR 19990025404 A KR19990025404 A KR 19990025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semi
brackets
kne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0935B1 (ko
Inventor
유영호
Original Assignee
유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호 filed Critical 유영호
Priority to KR101997004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935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관절부위를 환자의 신체적조건에 따라 넓적다리와 정강이에 알맞게 상하로의 연장은 물론 폭을 넓힐 수 있으며 또 환자의 상해 또는 치유경과에 따른 관절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무릎정형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넓적다리와 정강이의 전면부를 감싸는 반원호형 부재(50a,50b)가 형성되고 이 반원호형 부재(50a,50b)의 양단에서 길다란 브라켓트(51a,51b)가 연장되며 상기 반원호형 부재(50a,50b)를 넓적다리와 정강이에 동여매는 복수의 밴드(525)가 반원호형 부재(50a,50b)나 브라켓트(51a,51b)에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트(51a,51b)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무릎정형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51a,51b)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하나의 회전돌기(512)와, 상기 브라켓트(51a,51b) 단부의 사이에 일직선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돌기(512)의 양단과 접촉지지되도록 원판(583)을 갖는 2개의 스크류(582)와, 이 스크류(582)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크류(582)에 끼워지는 조절노브(584)와, 상기 브라켓트(51a,51b)를 비롯한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도록 복수의 체결부재(582)에 의해 체결되는 한쌍의 커버(58)로 구성된 브라켓트 각도조절수단은 물론 환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반원호형 부재의 호직경 조절수단 및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정형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무릎정형보조기
본 발명은 무릎정형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릎관절부위를 환자의 신체적조건에 따라 넓적다리와 정강이에 알맞게 상하로의 연장은 물론 폭을 넓힐 수 있으며 또 환자의 상해 또는 치유경과에 따른 무릎관절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무릎정형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릎정형보조기는 넓적다리와 정강이의 사이에 있는 관절인 무릅부위가 골절되었거나 상해되었을 때 무릎관절부위를 지지, 고정, 보호, 속박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무릎정형보조기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넓적다리와 정강이 부분을 감싸는 반원호형 부재(10,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반원호형 부재(10,20)의 양단에서 단부에 섹터기어(12a,22a)를 갖는 길다란 브라켓트(12,22)가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는 상기 브라켓트(12,22)의 섹터기어(12a,22a)는 두 개의 판재(13) 사이에서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내측에 위치된 판재(13)의 무릎양측면과 접촉되는 패드(14)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브라켓트(12,22)의 밴드걸이홀(12b,22b)에는 넓적다리 또는 정강이에 속박할 수 있도록 단부에 매직테이프를 갖는 밴드(도시되지 않았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릎정형보조기는 반원호형 부재(10,20)들이 각각 넓적다리와 정강이를 감싸도록 밴드로 속박하되 무릎의 양측에 브라켓트(12,22) 단부의 섹터기어(12a,22a)가 서로 맞물려 있고 판재(13) 내측에 위치된 패드(14)가 무릎양측과 접촉상태로 착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릎정형보조기는 상/하의 브라켓트(12,22)가 섹터기어(12,22)를 통해 단순이 서로 맞물려 있을뿐 이들을 구속하는 어떠한 구조도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무릎관절부위를 움직여서는 아니되는 골절의 경우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원호형 부재(10,20)가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원호형 부재(10,20)의 소재자체가 플랙시블하다 하여도 환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는 국부적인 압박감이 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착용감이 좋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브라켓트(12,22)의 절첩각도를 임의의 각도범위내에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무릎관절부위의 수술후 수술경과와 치유에 따라 무릎관절의 각도를 조절해가면서 물리치료시 물리치료기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하여 개선시킨 무릎정형보조기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반원호형 부재(30,40)의 양단에서 상/하부로 각각 브라켓트(32,42)가 연장되고 하나의 힌지핀(31)을 중심으로하여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32,42)중 상부측의 브라켓트(32) 단부에는 양면에 2개의 원판(33)이 브라켓트(42)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중첩되고 그 주연부에 등각으로 다수의 관통홀(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브라켓트(40)의 단부에 원판부(43)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주면에는 원판(33)의 관통홀(34)과 상응하여 상기 브라켓트(40)의 유동을 제한하고 고정시키는 스토퍼(45)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힌지핀(31)의 원판(33) 외측에는 단부에 핀(36a,36b)을 갖는 2개의 암(35a,35b)이 힌지핀(31)을 중심으로하여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원판(33)의 외측면에 외주면방향으로 밀어 오픈시키는 오픈캡(38)을 갖는 회전캡(37)이 씌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무릎정형보조기는 반원호형 부재(30,40)들이 각각 넓적다리와 정강이를 감싸도록 밴드(도시하지 않았음)로 속박하되 무릎의 양측에 브라켓트(32) 단부의 원판(33)에 형성된 관통홀(34)과 상응하는 위치의 스토퍼(45)에 걸리도록 핀(46a,46b)을 끼움에 따라 상/하측의 브라켓트(32,42)가 고정되게 된다.
이와같이 상/하측의 브라켓트(32,42)를 고정시켜 사용하다가 환자의 수술경과에 따라 무릎관절부위가 양호하게 되면 넓적다리와 정강이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다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브라켓트(32,42)를 고정시킨다.
상기 브라켓트(32,42)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은, 먼저 상/하의 브라켓트(32,42)를 조정하여 고정시킬 때마다 회전캡(37)의 오픈캡(38)을 원주방향으로 밀어 오픈시킨후 이 오픈캡(38)이 원판(33)의 관통홀(34)에 끼워진 핀(36a,36b)위에 위치되도록 회전캡(37)을 회전시킨다.
이와같이 회전캡(37)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원판(33)의 관통홀(34)로부터 암(35a,35b)의 핀(36a,36b)을 빼낸다음 환자에 알맞은 각도로 브라켓트(32,42)를 회전시킨후 다시 그 단부의 원판(33)에 형성된 관통홀(34)과 스토퍼(45)를 일치되도록하여 2개의 핀(36a,36b)으로 끼워 고정시키고 회전캡(37)의 오픈캡(38)을 닫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릎정형보조기에 있어서는 회전캡(37)을 회전시키고 원판(33)의 관통홀(34)에 끼워진 핀(36a,36b)을 빼낸 상태에서 브라켓트(32,42)를 회전시킨 다음 원판부(43)의 스토퍼(45)와 일치되는 원판(33)의 관통홀(34)로 핀(36a,36b)을 끼워서 브라켓트(32,42)를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조정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반원호형 부재가 좌/우측으로 분할되어 넓적다리와 정강이의 굵기에 따라 알맞게 조절이 가능하고 반원호형 부재의 위치를 브라켓트의 길이방향으로 조절하여 환자의 신체조건과 상처부위에 따라 알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무릎정형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라켓트 상호간의 각도를 환자혼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술경과에 따른 무릎관절부위의 각도조절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브라켓트 상호간의 각도를 임의의 각도 범위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수술후 물리치료기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무릎정형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넓적다리와 정강이의 전면부를 감싸는 반원호형 부재가 형성되고 이 반원호형 부재의 양단에서 길다란 브라켓트가 연장되며 상기 반원호형 부재를 넓적다리와 정강이에 동여매는 복수의 밴드가 반원호형 부재나 브라켓트에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트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브라켓트 상호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무릎정형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브라켓트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하나의 회전돌기와, 상기 브라켓트 단부의 사이에 일직선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돌기의 양단과 접촉지지되도록 원판을 갖는 2개의 스크류와, 이 스크류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크류에 끼워지는 조절노브와, 상기 브라켓트를 비롯한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도록 복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한쌍의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원호형 부재는 환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반원호형 부재의 호직경을 증감시킬 수 있는 호직경 증감수단이 구비되며, 이 호직경 증감수단은 상기 반원호형 부재가 좌우측으로 2분할되고 그 분할단부측에 길다란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분할부재와, 배면에 분할부재의 분할단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공과 일치되는 일직선상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상기 분할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장공과 관통홀으로 관통되고 그 단부측에 체결되는 한쌍의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원호형 부재는 브라켓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이 높낮이 조절수단은 반원호형 부재 양단부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브라켓트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안내하도록 관통홀을 포함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브라켓트에 반원호형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과, 상기 브라켓트에 상기 분할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장공과 관통홀으로 관통되고 그 단부측에 체결되는 한쌍의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무릎정형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브라켓트 연결부만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무릎정형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브라켓트 연결부만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정형보조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호형 부재의 분할단부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트의 연결부로부터 반원호형 부재에 이르기까지의 분해 사시도,
도 8a, 8b는 브라켓트의 각도조절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a,50b: 반원호형 부재 51a,51b: 브라켓트
52a,52b: 분할부재 53: 고정부재
54a,54b: 보울트 55a,55b: 너트
56: 커버 57: 포재
58: 연결부재 511,522: 장공
512: 회전돌기 521: 분할단부
523: 걸고리홈 524: 걸고리
531: 가이드부 532: 관통홀
533: 결합홈 561: 결합돌기
571: 외피 572: 내피
581: 힌지핀 582: 체결부재
583: 스크류 584: 원판
585: 조절노브 586: 탄성패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정형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호형 부재의 분할단부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트의 연결부로부터 반원호형 부재에 이르기까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a, 8b는 브라켓트의 각도조절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무릎정형보조기는 크게 넓적다리와 정강이의 전면부를 감싸는 반원호형 부재(50a,50b)와, 이 반원호형 부재(50a,50b)의 양단에서 상/하부로 연장된 길다란 브라켓트(51a,51b)로 구성되고, 이 브라켓트(51a,51b)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브라켓트(51a,51b) 상호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반원호형 부재(50a,50b)는 좌/우측으로 2분할된 분할부재(52a,52b)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분할부재(52a,52b)의 분할단부(521)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분할단부(521)에는 길다란 장공(5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부재(52a,52b)들은 환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반원호형 부재(50a,50b)의 호직경을 증감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53) 및 한쌍의 보울트(54a)와 너트(55a)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53)는 배면에 분할부재(52a,52b)의 분할단부(521)를 안내하는 가이드부(5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부(531) 내측위치의 상기 장공(522)과 일치되는 일직선상에 2개의 관통홀(5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단에는 커버(56)의 결합돌기(561)가 끼워져 록킹되는 결합홈(5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53)와 분할부재(52a,52b)는 분할단부(521)의 장공(522)으로부터 고정부재(53)의 관통홀(532)을 통해 보울트(54a)가 각각 관통되고 이 보울트(54a)의 단부측에 너트(55a)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53)의 전면에는 너트(55a)가 현출되지 않도록 커버(56)가 씌워져 있고 이 커버(56)에는 고정부재(53)의 결합홈(533)과 상응하는 위치에 이와 결합되는 결합돌기(5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원호형 부재(50a,50b)의 내측에는 넓적다리 또는 정강이 부분을 부드럽게 감싸는 포재(57)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포재(57)는 유연한 합성수지 외피(571)의 내측에 촉감이 부드러운 다층의 내피(57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반원호형 부재(50a,50b) 전면부의 걸고리홈(523)과 그 양측배면의 걸고리(524)에는 반원호형 부재(50a,50b)를 넓적다리와 정강이에 동여맬 수 있는 복수의 밴드(도시되지 않았음)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 단부에는 밴드의 부착 및 떼어냄이 용이하도록 매직테이프를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또 2개의 분할부재(52a,52b)가 하나의 반원호형 부재(50a,50b)를 이루는 그 내측양측단부에는 환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분할부재(52a,52b)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쌍의 보울트(54b)와 너트(55b)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분할부재(52a,52b)의 내측에는 브라켓트(51a,51b)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527)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부(527) 내측위치의 수직선상에 관통홀(5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51a,51b)의 상부에 반원호형 부재(50a,50b)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장공(5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할부재(52a,52b)와 브라켓트(51a,51b)는 환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분할부재(52a,52b)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브라켓트(51a,51b)의 장공(511)으로부터 분할부재(52a,52b)의 관통홀(528)로 보울트(54b)를 관통시킨후 그 단부측에 너트(55b)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트(51a,51b)가 서로 연결된 상호간의 각도조절수단은 브라켓트(51a,51b)의 단부에 각각 하나의 회전돌기(5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51a,51b)는 복수의 체결부재(582)로 체결시킨 한쌍의 연결부재(58)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는 힌지핀(581)을 중심으로하여 일정한 각도내에서 회전되더라도 회전돌기(512)가 걸리지 않도록 수직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트(51a,51b) 단부의 사이에는 상기 브라켓트(51a,51b) 단부의 회전돌기(512) 양단과 접촉지지되도록 원판(584)을 갖는 2개의 스크류(583)가 일직선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스크류(583)에는 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너트의 한종류인 조절노브(585)가 끼워져 있다. 상기 원판(584)에는 외부측 연결부재(58)의 표시장공(587)으로 돌출되는 각도표시기(588)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58)에는 무릎관절부위의 양측면을 압박하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내측면이 오목한 탄성패드(586)가 힌지핀(581)에 회전가능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릎정형보조기는 일례로 무릎관절부위를 다친 환자가 있다면 환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반원호형 부재(50a,50b)의 호직경 및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먼저, 환자의 넓적다리나 정강이 사이즈 차이가 있어 반원호형 부재(50a,50b)의 호직경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분할부재(52a,52b) 사이의 고정부재(53) 전면에 씌워진 커버(56)를 분리한후 2개의 너트(55a)를 느슨하게 푼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할부재(52a,52b)를 양측단으로 살며시 잡아당기거나 밀어넣어서 환자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분할단부(52a,52b)의 장공(522) 범위내에서 조절한후 너트(55a)를 조여 고정하고 고정부재(53)에 커버(56)를 덮어 씌운다. 이때 커버(56)는 고정부재(53)의 결합홈(533)에 결합돌기(561)가 끼워지므로 록킹되게 된다.
이와동시에 반원호형 부재(50a,50b)를 이루는 분할부재(52a,52b) 측면의 너트(55b)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분할부재(52a,52b)를 올리거나 내린후 다시 너트(55b)를 조여 고정시킨다. 이때 분할부재(52a,52b)의 조절높이는 브라켓트(51a,51b)의 상부에 형성된 장공(511) 범위내에서만 가능하다.
이와같이 반원호형 부재(50a,50b)를 이루는 분할부재(52a,52b)들을 환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도록 조절한후 반원호형 부재(50a,50b)의 전/후면에 부착된 복수의 밴드들을 이용하여 넓적다리와 정강이에 동여맨다. 이때 연결부재(58)의 탄성패드(586)가 무릎관절부위의 양측면과 부드럽게 접촉된 상태이다.
또 최초 환자의 무릎관절부위를 적합한 상태(일직선으로 펼치거나 일정각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수술하였다고 가정하면 넓적다리와 정강이의 각도에 알맞게 브라켓트(51a,51b) 연결단부의 조절노브(585)를 회전시켜 브라켓트(51a,51b)가 일정한 각도로 조절한후에 착용한다.
상기 브라켓트(51a,51b)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2개의 조절노브(585)를 동시에 회전시키면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된 스크류(583)가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되게되고, 이때 스크류(583)의 원판(584)이 각각 브라켓트(51a,51b) 단부의 회전돌기(512)를 지지하면서 밀기 때문에 2개의 브라켓트(51a,51b)가 동시에 서서히 펼쳐지거나 접히므로 브라켓트(51a,51b)의 각도가 도 8a와 같이 일직선인 0°에서 도 8b와 같이 120°에 이르기까지 조절되게 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브라켓트(51a,51b)를 일정한 각도로 고정한 상태에서 환자의 넓적다리와 정강이에 반원호형 부재(50a,50b)를 착용하여 사용하다가 수술경과를 보고 조절노브(585)만을 회전시켜서 무릎관절부위를 약간씩 움직여서 고정시키는 과정을 시간적인 간격을 가지면서 치료한다.
또 본 발명의 무릎정형보조기를 이용하여 무릎관절부위의 물리치료를 행할 수 있는데, 무릎관절부위를 40°범위내에서만 구부리고자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후방측의 조절노브(585)(도면상 우측)를 회전시켜 각도표시기(588)가 0°를 가리키도록 위치시키고 그 전방측 조절노브(58)(도면상 촤측)의 각도표시기(588)가 40°를 가리키도록 위치시키면 무릎관절부위가 40°범위내에서만 구부러지는 것을 반복할 수 있으므로 물리치료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무릎정형보조기에 의하면, 반원호형 부재가 좌/우측으로 분할되어 넓적다리와 정강이의 굵기에 따라 알맞게 조절이 가능하고 반원호형 부재의 위치를 브라켓트의 길이방향으로 조절하여 환자의 신체조건과 상처부위에 따라 알맞게 조절이 가능한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본발명은 브라켓트 상호간의 각도를 조절노브만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조절되므로 환자혼자서 브라켓트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수술경과에 따른 무릎관절부위의 각도조절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브라켓트를 일정한 각도로 고정한후 환자의 넓적다리와 정강이에 반원호형 부재를 착용하여 사용하다가 수술경과를 보고 무릎관절부위를 임의의 일정한 각도범위내에서만 회전되도록 고정시켜 물리치료기로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시간적인 간격을 가지면서 치료가 가능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넓적다리와 정강이의 전면부를 감싸는 반원호형 부재(50a,50b)가 형성되고 이 반원호형 부재(50a,50b)의 양단에서 길다란 브라켓트(51a,51b)가 연장되며 상기 반원호형 부재(50a,50b)를 넓적다리와 정강이에 동여매는 복수의 밴드(525)가 반원호형 부재(50a,50b)나 브라켓트(51a,51b)에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트(51a,51b)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브라켓트(51a,51b) 상호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무릎정형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브라켓트(51a,51b)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하나의 회전돌기(512)와, 상기 브라켓트(51a,51b) 단부의 사이에 일직선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돌기(512)의 양단과 접촉지지되도록 원판(584)을 갖는 2개의 스크류(583)와, 이 스크류(583)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크류(583)에 끼워지는 조절노브(585)와, 상기 브라켓트(51a,51b)를 비롯한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도록 복수의 체결부재(582)에 의해 체결되는 한쌍의 연결부재(5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정형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호형 부재(50a,50b)는 환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반원호형 부재(50a,50b)의 호직경을 증감시킬 수 있는 호직경 증감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정형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직경 증감수단은 상기 반원호형 부재(50a,50b)가 좌우측으로 2분할되고 그 분할단부(521)측에 길다란 장공(522)이 형성되어 있는 분할부재(52a,52b)와, 배면에 분할부재(52a,52b)의 분할단부(521)를 안내하는 가이드부(531)가 형성되고 상기 장공(522)과 일치되는 일직선상에 관통홀(532)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53)와, 이 고정부재(53)에 상기 분할부재(52a,52b)를 고정시키도록 장공(522)과 관통홀(532)으로 관통되고 그 단부측에 체결되는 한쌍의 보울트(54a)와 너트(55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정형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3)의 전면에 너트(55a)가 현출되지 않도록 커버(56)가 씌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정형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호형 부재(50a,50b)는 브라켓트(51a,51b)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정형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반원호형 부재(50a,50b) 양단부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브라켓트(51a,51b)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안내하도록 관통홀(528)을 포함하는 가이드부(527)와, 상기 브라켓트(51a,51b)의 상부에 반원호형 부재(50a,50b)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511)과, 상기 브라켓트(51a,51b)에 상기 분할부재(52a,52b)를 고정시키도록 장공(511)과 관통홀(527)으로 관통되고 그 단부측에 체결되는 한쌍의 보울트(54b)와 너트(55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정형보조기.
KR1019970046995A 1997-09-12 1997-09-12 무릎정형보조기 KR10023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995A KR100230935B1 (ko) 1997-09-12 1997-09-12 무릎정형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995A KR100230935B1 (ko) 1997-09-12 1997-09-12 무릎정형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404A true KR19990025404A (ko) 1999-04-06
KR100230935B1 KR100230935B1 (ko) 1999-11-15

Family

ID=1952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995A KR100230935B1 (ko) 1997-09-12 1997-09-12 무릎정형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9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327B1 (ko) * 2006-01-09 2007-03-02 조상덕 정형외과 무릎관절 보조기구
KR100814427B1 (ko) * 2005-12-07 2008-03-18 김철운 무릎 관절염 질환 치료보조와 통증완화를 위한 보조기구
KR200483045Y1 (ko) * 2016-09-28 2017-03-28 정은희 각도 조절 무릎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119B1 (ko) * 2009-09-08 2012-02-22 (주)오케이메디텍 무릎보조기
CN105853041B (zh) * 2016-04-22 2018-04-03 庄汝杰 腿部正畸矫形装置
KR102213400B1 (ko) 2019-04-08 2021-02-08 박기주 무릎 보호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427B1 (ko) * 2005-12-07 2008-03-18 김철운 무릎 관절염 질환 치료보조와 통증완화를 위한 보조기구
KR100688327B1 (ko) * 2006-01-09 2007-03-02 조상덕 정형외과 무릎관절 보조기구
KR200483045Y1 (ko) * 2016-09-28 2017-03-28 정은희 각도 조절 무릎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0935B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8290A (en) Elastic variable tension device for the treating of pain
KR101555850B1 (ko) 신전 및 굴곡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US5437611A (en) Dynamic brace joint
US5131385A (en) Orthesis for the human knee
US8282587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joint therapy and stabilization
EP0339052B1 (en) Self-adjusting cuff device
JP3093269B2 (ja) 膝ブレース
JP4904259B2 (ja) 手首整形器具
USRE37297E1 (en) Dynamic orthopedic knee brace assembly
US6110138A (en) Stance-correcting knee brace
US5902259A (en) Therapeutic ankle orthosis
CA2667760C (en) Compression wrap
US7217249B2 (en) Adjustable hinge joint support
AU2002232679B2 (en) Transducer mounting assembly
EP3242642A1 (en)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osteoarthritis of the knee
JPH05507430A (ja) 自由中心係止蝶番を有する膝装具
JP2013144144A (ja) 補強具
US4370976A (en) Dynamic foam orthosis
EP0255388A1 (en) Fracture brace
WO1993009734A1 (en) Joint for human body-attaching devices and human body-attaching device
WO2016164887A1 (en) Hand suppor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3916673B2 (ja) 膝関節矯正器
KR100230935B1 (ko) 무릎정형보조기
US5042508A (en) Fractured limb stabilizing device
KR101815793B1 (ko) 의료용 부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