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304U - 자동차용 실러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실러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304U
KR19990025304U KR2019970037811U KR19970037811U KR19990025304U KR 19990025304 U KR19990025304 U KR 19990025304U KR 2019970037811 U KR2019970037811 U KR 2019970037811U KR 19970037811 U KR19970037811 U KR 19970037811U KR 19990025304 U KR19990025304 U KR 199900253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r
supply
discharge
booster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304U/ko
Publication of KR19990025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304U/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실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아우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 등간의 접착을 위한 헤밍작업전에 실러를 패널에 도포하는 실러 공급 장치의 실러 공급 및 토출 파이프를 별도라인으로 공급 및 토출되게 함으로써 선입된 실러가 선출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실러를 공급하는 펌프와, 공급 파이프(1)와, 공급 파이프(1)와 부스터간의 실러 공급을 단속하는 공급 차단 밸브(2)와, 피스톤(3)에 유압을 가하는 서보 모터(4)와, 실러를 보관하는 부스터(5)와, 부스터와 연결된 토출 파이프(6)와, 토출 파이프로부터 나오는 실러를 단속하는 토출 차단 밸브(7)와, 이와 연결된 토출건으로 구성되어 부스터내로 충전된 실러가 피스톤의 하강운동에 의해 토출 차단 밸브와 가장 가까운 부분부터 토출되기 시작함으로써 선입선출로 실러의 도포가 이루어져 실러의 응고 및 나중에 공급된 실러가 먼저 공급되는 것과 같은 후입선출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어 헤밍 작업 등과 같은 밀봉 작업에 있어서 양질의 도포 작용을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실러 공급 장치(UNI-FLOW SYSTEM OF SEALER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실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아우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 등간의 접착을 위한 헤밍작업전에 실러를 패널에 도포하는 실러 공급 장치의 실러 공급 및 토출 파이프를 별도라인으로 공급 및 토출되게 함으로써 선입된 실러가 선출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는 아우터 패널과 인너 패널 그리고 도어 트림 및 윈도우로 구성되고, 주행 중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필요치 않으므로 도어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도어 록(door lock)이 설치되며, 주행 중 어린이가 장난하여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일드 록(child lock)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에는 윈도 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가 설치되는데, 이 윈도 레귤레이터는 도어 글래스를 상하로 여닫는 장치로써, 도어 아우터 패널과 인너 패널의 사이에 설치되고, 도어 핸들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암과 와 이어가 조합되어 있으며, 도어 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자가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스위치를 눌러서 도어 글래스를 승하강 시키는 것을 파워 윈도라고 한다.
상기 도어에는 도어 힌지 및 오픈 스토퍼에 의해 사이드 보디에 결합되는데, 상기 도어 힌지(door hinge)는 도어의 개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첩을 말함과 동시에 도어 유지의 기능도 수행하는 것으로, 사이드 보디의 아우터 패널 밖으로 힌지가 나가는 외힌지 방식이 있으며, 사이드 보디의 아우터 패널 내측에 힌지가 위치하는 내힌지 방식이 있다.
상기 오픈 스토퍼(open stopper)는 도어가 반정도 열리거나 또는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승강하기 쉽게 하도록 언덕길이나 바람이 조금 강한 정도로는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도어에는 사이드 도어 빔(side door beam)이 설치되는데, 이 사이드 도어 빔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 사고 시를 대비하여 도어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내부에 설치된 보강재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도어 트림은 자동차 도어의 내장을 말하는 것으로, 자동차 내부의 탑승객이 접촉에 의한 충격 등을 흡수 완화시키는 쿠션재의 기능을 수행하고, 그 재질은 쿠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패드재 등으로 형성하며, 자동차의 바닥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플로어 트림이라고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도어패널은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차체를 가공함으로써 필연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소음 및 비나 눈 등으로 인한 방수를 위한 수밀 구조를 첨가해야만 한다.
이러한 수밀과 방청을 위한 구조물로는 웨더 스트립등의 몰딩을 차체의 도어와 트렁크 리드에 형성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웨더 스트립은 도어가 밀폐되어 비나 물, 먼지 등이 차 실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도어와 보디 사이에 장착하는 탄성 고무나 스펀지를 말하고, 도어 개폐시의 충격이나 주행중 도어의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어뿐만 아니라 트렁크 룸의 밀폐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도 있고 이러한 웨더 스트립을 접착시키기 위하여 실링재를 사용한다.
특히 자동차 도어와 같이 도어 아우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간을 헤밍 작업을 할시 헤밍전에는 언제나 헤밍되는 패널에 전착제 및 실러를 도포하여 수밀, 접착 및 방청을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헤밍 작업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러가 도포되는 도어 아우터 패널을 다이 위에 올려 놓는다. 그후에 상기와 같이 준비된 아우터 패널위에 실러를 도포한다. 그 다음 도어 인너 패널을 올려 놓는다. 헤밍 작업을 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도어 아우터 패널을 헤밍하여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아우터 패널을 접착시킨다. 이때 실링재를 도포하는 실러의 도포량 및 도포위치를 일정 품질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실링재를 도포하는 장치로는 도 3 및 도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장치를 사용한다.
도 3은 종래의 실러의 공급 및 토출 위치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실러의 공급 및 토출 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종래의 실링장치는 펌프와 차단 밸브와 서보 모터와 피스톤과 부스터(BOOSTER)와 토출건과 공급 및 토출 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링토출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펌프(500)로부터 압송된 실러가 차단 밸브(501)가 열리면서 공급 파이프(507)를 통해 부스터(502)로 들어간다. 상기와 같이 부스터(502)에 공급된 실러는 서보 모터(503)에 의해 피스톤(504)이 부스터(502) 내에서 하강을 하여 내부에 충전된 실러를 밀어낸다. 차단 밸브(505)가 열리면 실러는 토출 파이프(508)를 거쳐 차단 밸브(505)를 통과 후 토출건(506)에 전달되어 차체에 도포를 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실러 토출 장치는 부스터내에서의 실러 공급 및 토출 파이프가 별도라인의 파이프가 아닌 동일 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실러의 선입 선출에 어려움이 많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잔류 실러가 발생하여 파이프 내부가 응고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응고가 생기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자주 소요되어 많은 경비 및 시간이 든다는 작업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스터 내부의 피스톤이 과잉압에 의한 무리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러한 무리한 압력은 감속기 등을 파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아우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부품들의 헤밍 작업에 행해지는 접착, 방청 및 수밀구조 등에 사용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실러의 양 및 실러의 공급위치를 정량적으로 하기 위하여 이를 도포시키는 장치의 실러의 공급 및 토출 라인을 변경하여 실러가 장치내부에서 굳거나 후입선출되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하여 일정품질이상의 실러를 공급하여 패널 등에 고르게 도포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실러를 공급하는 펌프와, 공급 파이프와, 공급 파이프와 부스터간의 실러 공급을 단속하는 공급 차단 밸브와, 피스톤에 유압을 가하는 서보 모터와, 실러를 보관하는 부스터와, 부스터와 연결된 토출 파이프와, 토출 파이프로부터 나오는 실러를 단속하는 토출 차단 밸브와, 이와 연결된 토출건으로 구성되는 실러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파이프와 토출 파이프를 동일 라인상의 파이프로 연결시키지 않고 상기 공급 파이프를 공급 차단 밸브에 연결시킨후 부스터에 충전시키게 하고, 부스터에 저장된 실러는 공급 파이프보다 높은 위치의 별도의 토출 파이프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러 공급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러의 공급 및 토출 위치를 나타낸 간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체적인 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실러의 공급 및 토출 위치를 나타낸 간략도
도 4는 종래의 실러의 공급 및 토출 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급 파이프 2 : 공급 차단 밸브
3 : 피 스 톤 4 : 서보 모터
5 : 부스터(BOOSTER) 6 : 토출 파이프
7 : 토출 차단 밸브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러의 공급 및 토출 위치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체적인 장치를 보인 예시도인데, 실러를 공급하는 펌프(도시없음)와, 공급 파이프(1)와, 공급 파이프(1)와 부스터간의 실러 공급을 단속하는 공급 차단 밸브(2)와, 피스톤(3)에 유압을 가하는 서보 모터(4)와, 실러를 보관하는 부스터(BOOSTER:5)와, 부스터와 연결된 토출 파이프(6)와, 토출 파이프로부터 나오는 실러를 단속하는 토출 차단 밸브(7)와, 이와 연결된 토출건(도시없음)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 파이프(1)와 토출 파이프(6)는 높낮이가 다른 별도의 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토출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펌프로부터 공급 파이프를 통하여 압송된 실러를 단속하는 공급 차단 밸브가 열리면서 부스터로 들어간다. 상기와 같이 부스터에 공급된 실러는 서보 모터에 의해 피스톤이 부스터 내에서 하강을 하여 내부에 충전된 실러를 밀어낸다. 상기와 같이 밀린 실러는 부스터와 연결된 토출 파이프를 통해서 토출 단속밸브의 개방에 따라 토출건으로 밀리면서 밖으로 배출되어 실러를 차체의 밀봉부위로 도포시키게 된다. 즉, 헤밍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패널에 정량적인 실러의 도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장치는 실러를 공급하는 펌프(도시없음)와, 공급 파이프(1)와, 공급 파이프(1)와 부스터간의 실러 공급을 단속하는 공급 차단 밸브(2)와, 피스톤(3)에 유압을 가하는 서보 모터(4)와, 실러를 보관하는 부스터(5)와, 부스터와 연결된 토출 파이프(6)와, 토출 파이프로부터 나오는 실러를 단속하는 토출 차단 밸브(7)와, 이와 연결된 토출건(도시없음)으로 구성하되 상기 공급 파이프(1)와 토출 파이프(6)는 높낮이가 다른 별도의 파이프로 구성됨으로 인해서 부스터내로 충전된 실러가 피스톤의 하강운동에 의해 토출 차단 밸브와 가장 가까운 부분부터 토출되기 시작함으로써 선입선출로 실러의 도포가 이루어짐으로써 실러의 응고 및 나중에 공급된 실러가 먼저 공급되는 것과 같은 후입선출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어 헤밍 작업 등과 같은 밀봉 작업에 있어서 양질의 도포 작용을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실러를 공급하는 공급 파이프(1)와, 공급 파이프(1)와 부스터간의 실러 공급을 단속하는 공급 차단 밸브(2)와, 피스톤(3)에 유압을 가하는 서보 모터(4)와, 실러를 보관하는 부스터(5)와, 부스터와 연결된 토출 파이프(6)와, 토출 파이프로부터 나오는 실러를 단속하는 토출 차단 밸브(7)와, 이와 연결된 토출건으로 구성되는 실러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파이프(1)와 토출 파이프(6)를 동일 라인상의 파이프로 연결시키지 않고, 상기 공급 파이프를 공급 차단 밸브(2)에 연결시킨 후 부스터에 충전시키게 하고, 부스터에 저장된 실러는 공급 파이프보다 높은 위치의 별도의 토출 파이프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러 공급 장치.
KR2019970037811U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실러 공급 장치 Abandoned KR199900253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11U KR19990025304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실러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11U KR19990025304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실러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304U true KR19990025304U (ko) 1999-07-05

Family

ID=69699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811U Abandoned KR19990025304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실러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30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726B1 (ko) * 2004-12-17 2006-09-13 곽 현 규 서보 정량식 비피알 도포장치
KR102303292B1 (ko) * 2021-02-02 2021-09-16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테크놀로지 정량 충전 및 토출 실러 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726B1 (ko) * 2004-12-17 2006-09-13 곽 현 규 서보 정량식 비피알 도포장치
KR102303292B1 (ko) * 2021-02-02 2021-09-16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테크놀로지 정량 충전 및 토출 실러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560A (en) Convertible vehicle
US5363596A (en) Seal assembly for a sliding window
US5118157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droplets from attaching to a vehicle side window
KR102644310B1 (ko) 차량용 도어의 실링 구조
US3944277A (en) Sidewardly movable vehicle seat with enclosure
WO2002014109A3 (en) Vibrational reduct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4475766A (en) Drainage seal for vehicle having removable roof panels
US4858981A (en) Vehicle loading attachment
KR19990025304U (ko) 자동차용 실러 공급 장치
US20010010428A1 (en) Closing device, particularly for the trunk of a motor vehicle
US20190106923A1 (en) Door Drive for a Motor Vehicle Door
KR102552025B1 (ko) 실러 도포 장치
US6044588A (en) Window arrangement having a vibration generator to facilitate movement of a window pane
GB229569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window of driver&#39;s cab of a working vehicle
KR100969380B1 (ko) 실러 도포장치
KR102778020B1 (ko) 테일게이트와 루프 오픈 구조 및 그 장착 방법
WO2022161921A1 (d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elektromotorischen fensterhebers
US6125589A (en) Device for reducing friction on sliding glass
DE10216766C5 (de) Fahrzeugdach und Verfahren zur Bildung eines Fahrzeugdaches
CN218624814U (zh) 一种自卸车尾门自动液压增强密封系统
DE4137296A1 (de) Dichtung fuer ein bewegliches karosserieteil eines fahrzeuges, insbes. fuer eine kraftfahrzeugtuer
DE50002433D1 (de) Arbeitsverfahren zur Klebeanordnung eines Dichtstreifens an einem Flansch einer Schiebedachöffnung in einer Fzg-Karosserie
DE10148332B4 (de) Gummielastische Dichtung zur Abdichtung einer zwischen einem Karosserieschwenkteil und der Karosserie vohandenen Fuge
JP2009120061A (ja) フロントシールド支持構造
EP0982240A1 (en) Locking arrangement in a refuse collectio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2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U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C19021R01D

Patent event date: 19990831

Comment text: [Abandonment of Procedure such as Patent, etc.]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