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053U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053U
KR19990025053U KR2019970037550U KR19970037550U KR19990025053U KR 19990025053 U KR19990025053 U KR 19990025053U KR 2019970037550 U KR2019970037550 U KR 2019970037550U KR 19970037550 U KR19970037550 U KR 19970037550U KR 19990025053 U KR19990025053 U KR 199900250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hin film
wound
exposed conductor
patter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한
Original Assignee
왕중일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중일,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왕중일
Priority to KR2019970037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053U/ko
Publication of KR199900250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053U/ko

Links

Landscapes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권회되는 제 1 패턴코일 및 제 2 패턴코일의 모서리 부분을 완만한 곡선형상으로 권회시킨 구조로 성형하여 국부적인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일의 안정된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면 박막 절연필름 및 하면 박막 절연필름 사이에 입력 노출 도체부 및 출력 노출 도체부를 각각 시작점으로 하여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다수 회 권회되는 제 1 패턴코일 및 제 2 패턴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코일 및 제 2 패턴코일은 상기 입력 노출 도체부 및 출력 노출 도체부로부터 인출되어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권회될 시 완만한 곡선형상을 이루어 권회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입력 노출 도체부 및 출력 노출 도체부로부터 인출되어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권회되는 제 1 패턴코일 및 제 2 패턴코일의 모서리 부분을 완만한 곡선형상으로 권회시킨 구조로 성형하여 전계집중 및 전하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써, 국부적인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일의 안정된 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서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
본 고안은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 노출 도체부 및 출력 노출 도체부로부터 인출되어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권회되는 제 1 패턴코일 및 제 2 패턴코일의 모서리 부분을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권회시켜 전계집중 및 전하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박막코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는,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수평편향 출력의 귀선기간에 생기는 펄스를 이용하여 수상관용 고압을 얻기 위한 단권 변압기를 말한 것으로 수평 출력 트랜스포머(horizontal output transformer)라고도 한다.
상기와 같이 정의된 통상의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는 다양한 응용에 사용될 수 있는 데, 특히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수평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고압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오실로스코프 및 모니터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으로 이루어지고, 통상 자성체로 이루어진 코어가 이들을 자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의 비에 의해 승압의 정도가 정해진다.
여기서, 상기 권선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다른 박막코일의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로 형성되어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상면 박막 절연필름(10)과, 상기 상면 박막 절연필름(10)의 양단을 각각 국부탈피시켜 노출되는 입력 노출 도체부(a) 및 출력 노출 도체부(b)와, 상기 입력 노출 도체부(a) 및 출력 노출 도체부(b)를 각각 시작점으로 하여 중심을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다수 회 권회되는 제 1 패턴코일(20) 및 제 2 패턴코일(30)과, 상기 제 1 패턴코일(20) 및 제 2 패턴코일(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면 박막 절연필름(10)의 하면에 고주파 유도 가열되어 접착되는 하면 박막 절연필름(미 도시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1 패턴코일(20) 및 제 2 패턴코일(30)은 입력 노출 도체부(a) 및 출력 노출 도체부(b)를 각각 시작점으로 하여 중심을 향하여 다수 회 권회될 시 아모퍼스(armophous) 코어의 단면적의 형상과 비슷한 대략 정방형의 형상을 이루며 시계방향으로 권회되어진다.
한편, 상기 제 1 패턴코일(20) 및 제 2 패턴코일(30)은 상기 입력 노출 도체부(a) 및 출력 노출 도체부(b)로부터 인출되어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권회될 시 각(角)을 이루어 권회되는 모서리 부분(α)이 생성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는, 입력 노출 도체부(a) 및 출력 노출 도체부(b)로부터 인출되어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권회될 시 각을 이루어 권회되는 모서리 부분(α)을 생성하게 되므로 인하여, 이 모서리 부분(α)에서의 전계집중 및 전하집중 현상이 발생되어 국부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국부적인 온도상승은 결국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서의 고주파 특성을 변화시켜 고압의 안정성(high voltage regulation)을 크게 떨어뜨리는 커다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권회되는 제 1 패턴코일 및 제 2 패턴코일의 모서리 부분을 완만한 곡선형상으로 권회시켜 국부적인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일의 안정된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면 박막 절연필름20 : 제 1 패턴코일
30 : 제 2 패턴코일a : 입력 노출 도체부
b : 출력 노출 도체부β : 모서리 부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는, 상면 박막 절연필름 및 하면 박막 절연필름 사이에 입력 노출 도체부 및 출력 노출 도체부를 각각 시작점으로 하여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다수 회 권회되는 제 1 패턴코일 및 제 2 패턴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코일 및 제 2 패턴코일은 상기 입력 노출 도체부 및 출력 노출 도체부로부터 인출되어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권회될 시 완만한 곡선형상을 이루어 권회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계로 형성되어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상면 박막 절연필름(10)과, 상기 상면 박막 절연필름(10)의 양단을 각각 국부 탈피시켜 노출되는 입력 노출 도체부(a) 및 출력 노출 도체부(b)와, 상기 입력 노출 도체부(a) 및 출력 노출 도체부(b)를 각각 시작점으로 하여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다수 회 권회되는 제 1 패턴코일(20) 및 제 2 패턴코일(30)과, 상기 제 1 패턴코일(20) 및 제 2 패턴 코일(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면 박막 절연필름(10)의 하면에 고주파 유도 가열되어 접착되는 하면 박막 절연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1 패턴코일(20) 및 제 2 패턴코일(30)은 상기 입력 노출 도체부(a) 및 출력 노출 도체부(b)로부터 인출되어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권회될 시 완만한 곡선형상을 이루어 권회된다. 즉, 입력 노출 도체부(a) 및 출력 노출 도체부(b)로부터 인출되어 권회될 시 모서리 부분(β)이 라운드(round)형상으로 권회되어 전하의 흐름을 원만히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에 의하면, 입력 노출 도체부 및 출력 노출 도체부로부터 인출되어 중심을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권회되는 제 1 패턴코일 및 제 2 패턴코일의 모서리 부분을 완만한 곡선형상으로 권회시킨 구조로 성형하여 전계집중 및 전하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써, 국부적인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일의 안정된 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서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면 박막 절연필름 및 하면 박막 절연필름 사이에 입력 노출 도체부 및 출력 노출 도체부를 각각 시작점으로 하여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다수 회 권회되는 제 1 패턴코일 및 제 2 패턴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코일 및 제 2 패턴코일은 상기 입력 노출 도체부 및 출력 노출 도체부로부터 인출되어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권회될 시 완만한 곡선형상을 이루어 권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
KR2019970037550U 1997-12-16 1997-12-16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 KR199900250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550U KR19990025053U (ko) 1997-12-16 1997-12-16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550U KR19990025053U (ko) 1997-12-16 1997-12-16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053U true KR19990025053U (ko) 1999-07-05

Family

ID=6969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550U KR19990025053U (ko) 1997-12-16 1997-12-16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05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147B1 (ko) * 2000-07-14 2004-05-1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도체 패턴과 이를 갖는 전자부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147B1 (ko) * 2000-07-14 2004-05-1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도체 패턴과 이를 갖는 전자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25148A (en) Electrical transformers and reactors
US5982264A (en) High frequency sheet-type transformer
KR19990025053U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코일 구조
KR100279272B1 (ko)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박막코일구조
SE447527B (sv) Hogfrekvensferroresonansenergikella for en avbojnings- och hogspenningskrets i en tv-mottagare
JPH01282715A (ja) 薄膜ヘッド
US4092621A (en) Thin foil pulse transformer coil for reducing distributed and leakage inductance
KR880001129B1 (ko) 텔레비젼 표시장치용 전력공급기
KR19990039877A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코일구조
KR100260847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 패턴코일 권선구조
KR100285107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코일구조
JP2000021656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KR19990028148A (ko) 박막코일
KR19990049948A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박막 패턴코일
KR900001071B1 (ko) 플라이백트랜스포머
RU2727961C1 (ru) Трансформатор отбора мощности
KR100285105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박막 패턴코일의 다이오드 결합구조
KR19990028149A (ko) 박막코일
JPS5853806A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KR19990039873A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코일권선 구조
SU1330670A1 (ru) Параметрически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JP2001155939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用ボビン
KR100260845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코일구조
JPH0419745B2 (ko)
SU1198579A1 (ru) Обмотка индукци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