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075A -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 Google Patents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24075A KR19990024075A KR1019980052125A KR19980052125A KR19990024075A KR 19990024075 A KR19990024075 A KR 19990024075A KR 1019980052125 A KR1019980052125 A KR 1019980052125A KR 19980052125 A KR19980052125 A KR 19980052125A KR 19990024075 A KR19990024075 A KR 199900240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locking member
- tension
- spiral tube
- tub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83—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bolts operating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체결구들은 대부분 본체와 캡을 분리 형성하여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하고 그 내부에 조임력에 의하여 오그라들면서 나선관을 홀딩 할 수 있는 테이퍼 경사면을 갖는 분할된 홀더로써 파이프를 잡아 주도록 한 구조들이 대부분으로서 본체와 캡을 나사결합 체결하거나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체결구에 플렉시블 나선관의 단 부를 밀어 넣어 끼우고 캡을 체결 한 상태에서 캡을 돌려 소정 각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체결구의 몸통체 양편 또는 사방지점에 형성된 텐션 록킹 부재가 캡의 내면에 대응 형성된 슬라이드 경사 홈의 내측 경사면에 의하여 밀려들어가 홀딩 되고 캡을 역회전 시키게되면 텐션록킹 부재에 가해졌던 압력의 해제에 따른 텐션록킹 부재의 반발 복귀 력에 의하여 홀딩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관체를 체결 구로부터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각종 기기의 컨트롤 박스로 연결되는 수개의 전선들을 내장 배선하여 보호하기 위한 플렉시블 나선관의 단 부를 컨트롤 박스의 케이스에 접속 고정시키는 체결 구로서 외면이 나선형으로 굴곡 형성된 관체의 단부 접속을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간단히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 각종 기기의 컨트롤 박스에는 각 기능부로 연결되는 여러 가닥의 전선들이 배선되는 바, 이들 배선이 노출 상태에 있게되면 단선과 합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 재의 플렉시블 나선 관으로써 전선을 내장시켜 보호하게 된다.
이때, 관체의 단 부를 컨트롤 박스의 케이스에 형성 한 배선 구멍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체결구들은 대부분 본체와 캡을 분리 형성하여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하고 그 내부에 조임력에 의하여 오그라들면서 나선관을 홀딩 할 수 있는 테이퍼 경사면을 갖는 분할된 홀더로써 파이프를 잡아 주도록 한 구조들이 대부분으로서 본체와 캡을 나사결합 체결하거나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선행발명 한국특허 제 104641호, 공고번호 96-6179호 파형관 결합장치가 선 등록 된 바 있으나 이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체로 형성된 하우징(101)에는 윈도우형 개구(102)를 형성하고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유격을 갖고 대응 결합되는 조작 슬리브(103)에는 탄성 작용되는 걸림쇠 체(104)를 형성하여 상기 윈도우형 개구(102)내에 끼워져 결합되게 한 것으로 상기 걸림쇠 체(104)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05)이 파형 부재(PT)를 삽입할 때에는 밖으로 밀리면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삽입완료 시점에 이르게 되면 파형 부재(PT)의 요철 턱에 걸려 록킹 상태가 되어 파형 부재를 잡아 빼려 할수록 걸림쇠 체(104)의 외측 상부 경사면(106)이 하우징(101)의 윈도우형 개구(102) 상부 모서리(107)에 걸려 안으로 밀려들어가기 때문에 빠지지 않게 되며, 분리 시에는 조작 슬리브(103)의 상부를 하부 측으로 눌러내려 걸림쇠 체(104)가 윈도우형 개구(102) 내에서 자유로운 상태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파형 부재(PT)를 잡아 빼면 걸림쇠 체(104)의 걸림턱(105)이 밖으로 탄동 되면서 밀리게 됨으로써 파형 부재(PT)를 빼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사용상 매우 편리한 이점은 있으나 본 발명이 추구하는 관체 외면이 나선형으로 돌출된 나선 관에는 적용이 불가능 한 구조로서 일정한 수평 파형 굴곡을 갖는 사출금형에 의하여 만이 제조 가능한 파형 관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단점이 있어 압출 방식에 의하여 저가로 제조 가능한 나선 관에는 전혀 사용 할 수 없게 되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나선형으로 돌출된 나선관의 경우 또는 그 외 여타 외면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캡을 소정 각으로 틀어 정, 역회전시키는 것으로 간단히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체결 구에 플렉시블 나선관의 단 부를 밀어 넣어 끼우고 캡을 체결 한 상태에서 캡을 돌려 소정 각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체결구의 몸통체 양편 또는 사방지점에 형성된 텐션 록킹 부재가 캡의 내면에 대응 형성된 슬라이드 경사 홈의 내측 경사면에 의하여 밀려들어가 홀딩 되고 캡을 역회전 시키게되면 텐션 록킹부재의 반발 복원력에 의하여 홀딩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관 체를 체결 구로부터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작업성을 개선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의 캡 분리 절개상태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의 캡 분리상태 정면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의 요부발췌 작용예시 확대 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의 조립 단면도
도 5 - 선행발명의 조립상태 반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나선관 체결구 4 - 본체 일체형 너트부
5 - 나사관 체 6 - 링형 고무패킹
7 - 링형 육각너트 8 - 내관체
9 - 캡 체결관체 10 - 슬라이드 작동 캡
11 - 록킹부재 작동 공 12 - 텐션 연결부
13 - 텐션 록킹부재 14 - 일측 경사면
15 - 록킹 돌기 16 - 록킹부재 작동 홈
17 - 록킹 해제부 18 - 가압 경사면
19 - 록킹 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나선관 체결구(1)의 외형적인 전체적인 형상의 특징은 결합되는 각 부재들을 일치시켜 원통형체를 평단면상 육각으로 면취 한 비교적 좁은 면적의 수평면(2)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도시 생략된 컨트롤 박스에 체결 시 스패너 등의 공구를 물리기에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이들 외의 원통 면에는 세로줄 돌기(3)들을 돌출 되게 형성하여 손으로 잡고 돌릴 때 미끄러짐이 없이 파지 하기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은 전체적 외형을 갖는 각 부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통체 중앙부에 형성되는 본체 일체형 너트부(4)의 하부 측에는 통상 컨트롤 박스 케이스에 형성되는 배선 공에 맞추어 삽입한 후 케이스의 안쪽에서 링형 고무패킹(6)을 끼우고 링형 육각너트(7)를 체결하여 고정하게되는 나사관 체(5)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본체 일체형 너트부(4)의 상부 측에는 내외 2중의 원통 체로 내관체(8)와 캡 체결관체(9)를 형성하되, 이들간의 사이는 플렉시블 나선관(P)이 삽입될 수 있는 폭보다 약간 넓은 간격으로 형성하여 플렉시블 나선관(P)을 삽입하였을 때 관의 외측이 여유 간격이 되게 하며 내경이 상기 내관체(8) 외경의 하부 측에 타이트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상부 측은 하부 측보다 약간 좁게 형성하는 한편 상기 캡 체결관체(9) 상단보다 상측으로 그 높이를 좀더 높게 형성하므로 써 플렉시블 나선관(P)의 초기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들의 상부 외측을 커버하여 삽입 체결되는 슬라이드 작동 캡(10)과 상기 캡 체결관체(9) 간에는 내측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나선관(P)을 홀딩, 해제하기 위한 체결, 분리수단이 구비되는데, 전후방 또는 전후좌우 4방에 복조로 구비하거나 평면상 360˚를 3등분 할 하여 3개소에 구비 할 수 있는 것으로 체결 구의 크기에 따라 선택 적용하게 되며 대응하는 동일구조와 동일작용인 한 구비 개소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전후방에 구비되는 단일 복조를 도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캡 체결관체(9)에는 바람직한 사각형의 록킹부재 작동 공(11)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 연접하여 상기 캡 체결관체(9)의 절반 정도의 두께로 텐션 연결부(12)를 가지며 외면이 일측 경사면(14)으로 되고 돌출된 일측 첨단 부에 록킹 돌기(15)가 형성된 텐션 록킹부재(13)가 상측 텐션 연결부(12)를 지지 점으로 하부 측이 전후 텐션 작용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설치된다.
한편, 이와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 작동 캡(10)의 내면에는 체결 상태에서 상기 텐션 록킹부재(13)에 가압력이 작용되지 않고 본래 위치 상태로 있을 만큼의 깊이로 형성된 록킹 해제부(17)와, 그로부터 일측 경사로 깊이가 점점 낮아지게 형성되는 가압 경사면(18)을 갖는 록킹부재 작동 홈(16)이 형성되는 데, 상기 가압 경사면(18)의 끝 쪽에 이르러서는 3단으로 상기 텐션 록킹부재(13)의 록킹 돌기(15)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록킹 될 수 있는 록킹 홈(19)이 형성되어 조립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는 나선관 체결구(1)의 캡 체결관체(9)에 슬라이드 작동 캡(10)이 일체로 체결된 상태로 제조 공급되고 취급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제조 성형 시는 본체와 캡을 각각 분리 형성하게 되나, 본체와 캡이 사용 전이라 하더라도 유통과정 및 취급 사용시 분리 취급되면 분실 등의 염려와 취급상의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일체화 상태가 바람직하다.
설계상 캡 체결관체(9)에 형성된 텐션 록킹부재(13)와 슬라이드 작동 캡(10)의 내면 대응 지점에 형성된 록킹부재 작동 홈(16) 간에는 끼웠을 때 일치되는 수평 높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특별히 이들간을 일치시켜 맞춰 끼울 필요는 없으며 어느 위치에서든지 본체와 캡을 맞춰 끼우고 회전 시켜 주기만 하면 내관체(8)와 캡 체결관체(9) 사이에는 아직 플렉시블 나선관(P)이 삽입되지 않은 빈 공간 상태이므로 이 안쪽의 공간으로 텐션 록킹부재(13)가 일시적으로 밀려들어갔다가 탄성 복귀력에 의하여 록킹부재 작동 홈(16)과 만나게 되면 자동적으로 자리를 찾아 체결 상태로 되어 다시 빠지는 일없이 항상 회전 슬라이딩 유격만 있을 뿐 상하 유격은 없는 체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제조, 공급되는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는 먼저, 나선관 체결구(1)의 본체 일체형 너트부(4) 상측의 나사관 체(5)로부터 링형 육각너트(7)와 링형 고무패킹(6)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도시 생략된 컨트롤 박스 케이스에 형성된 배선 공에 맞추어 외측에서 내부로 끼워 나사관 체(5)를 삽입하고 케이스의 안쪽에서 링형 고무패킹(6)을 끼우고 링형 육각너트(7)를 체결하여 나선관 체결구(1)를 컨트롤 박스에 체결 고정시킨다.
상기에서와 같이 나선관 체결구(1)를 먼저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내부에 전선들을 내장시키게되는 외면이 나선형 요철 면으로 된 플렉시블 나선관(P)의 선단을 밀어 끼워 넣고 슬라이드 작동 캡(10)을 회전 시켜 주기만 하면 나선관의 체결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플렉시블 나선관(P)의 선단을 밀어 넣어 끼운 상태에서 슬라이드 작동 캡(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캡의 내면에 형성된 록킹부재 작동 홈(16)의 일 측이 가압 경사면(18)으로 형성되어 있어 텐션 록킹부재(13)를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됨으로 삽입 상태에 있는 플렉시블 나선관(P)의 외경 홀딩이 이루어지게 되며, 홀딩 완료지점에 이르게 되면 상기 록킹부재 작동 홈(16)의 가압 경사면(18) 끝쪽에 이르러 3단으로 상기 텐션 록킹부재(13)의 록킹 돌기(15)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록킹 될 수 있는 록킹 홈(1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렉시블 나선관(P)의 외경 크기에 따라 선택 삽입되면서 체결이 완료되는 것이며, 분리 시에는 반대로 슬라이드 작동 캡(10)을 역회전 시켜주기만 하면 텐션 록킹부재(13)가 슬라이드 작동 캡(10)의 록킹부재 작동 홈(16) 상의 록킹 해제부(17)에 이르게 되어 가압력이 해제됨으로써 텐션 록킹부재(13)는 탄성 복귀력에 의하여 원위치 되어 플렉시블 나선관(P)의 홀딩 상태를 해제하게 됨으로 플렉시블 나선관(P)이 분리 가능케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나선관 체결구를 컨트롤 박스에 체결고정 시킨 상태에서 플렉시블 나선관을 끼워 넣고 슬라이드 작동 캡을 정, 역회전시키는 것만을 간단히 체결, 분리되기 때문에 일정 수평 파형 굴곡을 갖는 파형 관은 물론이고 특히, 압출성형 방식에 의하여 저가에 제조 가능한 외면이 나선형으로 돌출된 나선관의 채용이 용이하며, 그 외 여타 관체의 외면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 가능하여 광범위하게 사용 할 수 있게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 본체의 하부 측이 나선관과 체결너트로써 컨트롤 박스에 체결고정 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되고, 상부 측은 내외 2중의 원통 체로 내관체(8)와 캡 체결관체(9)로 형성되어 사이에 플렉시블 나선관(P)을 삽입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작동 캡(1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체결, 분리될 수 있는 나선관 체결구(1)에 있어서, 상기 캡 체결관체(9)와 슬라이드 작동 캡(10) 간에 내측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나선관(P)을 홀딩, 해제하기 위한 체결, 분리수단을 전후방 선정 지점에 구비함에 있어, 상기 캡 체결관체(9)에는 록킹부재 작동 공(11)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 연접하여 상기 캡 체결관체(9)의 절반 정도의 두께로 텐션 연결부(12)를 가지며 외면이 일측 경사면(14)으로 되고 돌출된 일측 첨단 부에 록킹 돌기(15)가 형성된 텐션 록킹부재(13)가 상측 텐션 연결부(12)를 지지 점으로 하부 측이 전후 텐션 작용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설치되며, 이와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 작동 캡(10)의 내면에는 상기 텐션 록킹부재(13)가 본래 위치 상태로 있을 만큼의 깊이로 형성된 록킹 해제부(17)와, 그로부터 일측 경사로 깊이가 점점 낮아지게 형성되는 가압 경사면(18)과, 끝 쪽에 이르러 3단의 록킹 홈(19)이 형성된 록킹부재 작동 홈(16)을 대응 형성하여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 관접속 체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52125A KR100289893B1 (ko) | 1998-12-01 | 1998-12-01 | 배선용플렉시블나선관접속체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52125A KR100289893B1 (ko) | 1998-12-01 | 1998-12-01 | 배선용플렉시블나선관접속체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4075A true KR19990024075A (ko) | 1999-03-25 |
KR100289893B1 KR100289893B1 (ko) | 2001-05-15 |
Family
ID=3751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52125A KR100289893B1 (ko) | 1998-12-01 | 1998-12-01 | 배선용플렉시블나선관접속체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8989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8409B1 (ko) * | 2007-10-01 | 2010-05-18 | 김진민 |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4535B1 (ko) * | 2018-06-29 | 2020-04-24 | 장교영 |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5606Y1 (ko) * | 1998-10-13 | 2002-02-28 | 광 덕 장 | 배선용플렉시블튜브접속체결구 |
-
1998
- 1998-12-01 KR KR1019980052125A patent/KR10028989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8409B1 (ko) * | 2007-10-01 | 2010-05-18 | 김진민 |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89893B1 (ko) | 2001-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49455A (en) | Device for clamping the cable in electrical outlets or plugs | |
US5411228A (en) | Cable clip | |
CA2285397C (en) | Device for clamping the cable in electrical outlets or plugs | |
US20120328392A1 (en) | Toggle bolt fastener and method of operation | |
US7066701B2 (en) | Fastener for variously sized studs | |
US7096543B2 (en) | Clamp | |
IE862695L (en) | Fixing a handle on a tool | |
US6179539B1 (en) | Locking clip with moveable collet | |
JP2001097253A (ja) | スペアタイヤの留め構造 | |
JPH0645184U (ja) | パイプ保持具 | |
KR19990024075A (ko) |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 |
US6135803A (en) | Electrical plug lock | |
JP3197135B2 (ja) | スタッド固定具 | |
KR200255606Y1 (ko) | 배선용플렉시블튜브접속체결구 | |
KR200236761Y1 (ko) |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 |
KR101409003B1 (ko) | 다목적 고정홀더 | |
KR19990033405U (ko) | 배선용 플렉시블 튜브 접속 체결구 | |
CN216199681U (zh) | 防滑脱快速拆装紧固装置 | |
KR890002496Y1 (ko) | 전원코드 체결구 | |
JPH0579027U (ja) | ナットカバー | |
JP2532270Y2 (ja) | 配管固定具 | |
CN217334889U (zh) | 线材收纳扣 | |
KR200213070Y1 (ko) | 청소걸레 고정구 | |
CN217983825U (zh) | 一种可防拆的电连接器 | |
US3113795A (en) | Coupl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