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535B1 -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535B1
KR102104535B1 KR1020180075441A KR20180075441A KR102104535B1 KR 102104535 B1 KR102104535 B1 KR 102104535B1 KR 1020180075441 A KR1020180075441 A KR 1020180075441A KR 20180075441 A KR20180075441 A KR 20180075441A KR 102104535 B1 KR102104535 B1 KR 102104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pipe
pipe
holder
spir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199A (ko
Inventor
장교영
Original Assignee
장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교영 filed Critical 장교영
Priority to KR1020180075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5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더를 나선형 파이프에 밀어 홀더의 탄성돌기가 나선형 파이프의 나선형 홈에 걸려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정의 단축으로 작업 시간을 줄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나선형 파이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Spiral pip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를 나선형 파이프에 밀어 홀더의 탄성돌기가 나선형 파이프의 나선형 홈에 걸려 결합되도록 하는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에 배선되는 전선이나 통신선을 수용하는 전선관 또는 통신관은 일정 길이로 제작되어 소켓이나 커넥터 등과 같은 연결장치로 연결하여 시공하고 있다.
상기 연결장치는 기밀력과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관부의 접속부를 용접하거나 나사 결합 등의 별도의 고정수단 및 스냅링과 같은 실링부재를 필요로 하므로 관 연결작업이 어렵고 조립 고정이 늘어나 시공비가 증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69482호로 파이프 연결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선 공개된 특허는 연결구의 연결 나사부에 일측 연결관체를 결합한 후, 조임너트를 연결 나사부에 체결하면서 조임너트의 체결력으로 협지링부가 일측 연결관체의 요입홈에 결합되어 고정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선 공개된 특허는 협지링부를 가압하는 압력돌기가 조임너트의 경사면에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어 나선형 파이프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임너트의 체결력으로 협지링부가 변형되면서 일측 연결관체의 요입홈에 결합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없으므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6948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위한 것으로서, 홀더를 나선형 파이프에 밀어 홀더의 탄성돌기가 나선형 파이프의 나선형 홈에 걸려 결합되도록 하는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를 나선형 파이프에 밀어 결합하므로 작업 공정의 단축으로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나선형 파이프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나선형 파이프의 연결장치는,
나선형 파이프에 밀어 결합하는 홀더와;
상기 나선형 파이프를 연결하도록 상기 홀더에 일측을 결합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나사산에 체결되어 홀더를 연결구에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나선형 파이프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홀더 몸체와, 상기 수용홈 상부의 홀더 몸체 외주면에 돌출되어 나선형 파이프의 나선형 홈에 결합되는 복수의 탄성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탄성돌기는 상기 나선형 파이프의 나선형 홈 기울기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탄성돌기는 상기 나선형 파이프의 나선형 홈에 걸릴 수 있도록 나선형 파이프에 결합되는 반대방향으로 홀더 몸체 외주면에 절곡되어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파이프의 연결장치는 나선형 파이프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삽입 결합되는 내부몸체(111-1) 및 상기 내부몸체(111-1)의 끝단에서 만곡되게 휘어지도록 연장형성되어 나선형 파이프가 수용되는 수용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나선형 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외부몸체(111-2)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111')에 나선형 파이프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밀어 결합되는 홀더(110); 일측 내면에 상기 외부몸체(111-2)가 밀착되도록 삽입 결합되고, 일측 외면에 나사산(122)이 형성된 연결구(120); 및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120)의 나사산(122)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홀더(110)를 상기 연결구(120)에 고정시키는 너트(13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몸체(111-2)의 끝단에는 상기 너트(130)의 내면에 의한 가압력이 전달되어 상기 외부몸체(111-2)를 상기 연결구의 일측 내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가압지지부(111-3)가 상기 수용홈(111')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111-1)에는 일정 간격으로 내부몸체(111-1)의 일부가 절개되어 예각으로 꺾여 올려져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112)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탄성돌기(112)는 상기 내부몸체(111-1)를 나사형 파이프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밀어 넣어 삽입 결합시킬 때 나선형 파이프의 나선형 홈(11)에 걸리도록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선형 파이프에 홀더를 밀어 결합하면서 탄성돌기가 나선형 홈에 결합되도록 하여 작업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를 나선형 파이프에 밀어 결합하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나선형 파이프의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나선형 파이프의 연결장치의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시공과정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나선형 파이프의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나선형 파이프의 연결장치의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 나선형 파이프의 연결장치(100)는, 나선형 파이프(1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홀더(110), 연결구(120), 너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110)는 상기 나선형 파이프(10)에 밀어 결합하는 구성으로, 홀더 몸체(111), 복수의 탄성돌기(112)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 몸체(111)는 내부가 관통되면서 나선형 파이프(10)에 내면에 결합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하단부를 상부로 절곡하여 수용홈(111')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탄성돌기(112)는 상기 수용홈(111') 상부의 홀더 몸체(111) 외주면에 일정각도 이격되게 돌출된다.
상기 복수의 탄성돌기(112)는 상기 나선형 파이프(10)의 나선형 홈(11) 기울기에 따라 높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탄성돌기(112)는 상기 나선형 파이프(10)의 나선형 홈(11)에 걸릴 수 있도록 나선형 파이프(10)에 결합되는 반대방향으로 홀더 몸체(111) 외주면에 절곡되어 돌출된다.
상기 연결구(120)는 나선형 파이프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연결 몸체(121), 제1,2 나사산(122)(122')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몸체(121)는 내부가 관통되면서 외주면에 회전안내면(1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2 나사산(122)(122')은 상기 연결 몸체(121)의 일측과 타측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너트(130)는 상기 연결구(120)의 제1,2 나사산(122)(122')에 각각 체결되는 통상의 너트이다.
또한, 상기 너트(130)와 상기 홀더(110) 사이 및 상기 너트(130)와 연결구(120) 사이에 장착되는 실링부재(130')를 더 포함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작 및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내부가 관통된 홀더 몸체(111)의 일단부를 상부로 절곡하여 홀더 몸체(111)의 하단부에 수용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111') 상부의 홀더 몸체(111) 외주면에 탄성돌기(112)를 복수로 형성되는 홀더(110)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탄성돌기(112)는 나선형 파이프(10)의 나선형 홈(11)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나산형 파이프(10)에 결합되는 반대방향으로 홀더 몸체(111)의 외주면에 일정각도 이격되게 형성되는데, 90°또는 120°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탄성돌기(112)는 나선형 파이프(10)의 나선형 홈(11)의 기울기에 따라 높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내부가 관통되는 연결몸체(121) 외주면에 다각형상의 회전안내면(121')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안내면(121')을 중심으로 연결몸체(121) 일측과 타측 외주면에 제1,2 나사산(122)(122')이 형성되는 연결구(120)를 제작하고, 상기 제1,2 나사산(122)(122')에 체결되는 너트(130)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홀더(110)와 연결구(120) 및 너트(130)가 제작되면, 나선형 파이프(1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너트(130) 및 실링부재(130')를 장착한 후, 도 4와 같이, 상기 홀더(110)의 단부를 일측의 나선형 파이프(10)에 밀어 결합한다.
이때, 상기 홀더(110)의 홀더 몸체(111)는 나선형 파이프(10) 내부로 이동되면서 홀더 몸체(111)의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탄성돌기(112)는 나선형 파이프(10) 내면의 가압으로 홀더 몸체(111) 내부로 이동된 후, 상기 나선형 파이프(10) 내면을 통과하여 나선형 홈(11)에 위치하면, 도 5와 같이, 자체 탄력으로 복원되면서 나선형 홈(11)에 걸리게 된다.
상기 복수의 탄성돌기(112)는 일정각도 이격되면서 나선형 홈(11)의 기울기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나선형 홈(11)에 각각 걸려 고정되므로 나선형 파이프(10)로부터 홀더(110)가 분리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 파이프(10)로부터 홀더(110)를 분리하려면, 상기 홀더(110)를 회전시키는데, 상기 홀더(110)의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탄성돌기(112)는 나선형 파이프(10)의 나선형 홈(11)을 따라 이동하면서 나선형 홈(11)으로 이탈되어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110)가 나선형 파이프(10)에 결합되면, 도 6과 같이, 상기 홀더(110)에 연결구(120)의 연결 몸체(121) 일측을 결합하는데, 상기 연결 몸체(121)는 홀더(110)의 단부에 결합함과 동시에 나선형 파이프(10)에 결합된 실링부재(130')를 이동시켜 나선형 파이프(10) 단부로 이동시켜 수용홈(111)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 몸체(121)의 제1 나사산(122)에 너트(13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 나사산(122)에 체결되는 너트(130)의 체결력으로 너트(130)는 실링부재(130')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실링부재(130')는 너트(130)의 체결력으로 압축되면서 너트(130) 내주면과 나선형 파이프(10)의 외주면 및 수용홈(111')을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나선형 파이프(10)가 제1 나사산(122)에 너트(130)의 체결로 고정되면, 도 7과 같이, 제2 나사산(122')에 파이프(10')를 체결하면서 연결장치(100)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10')를 제2 나사산(122')에 체결고정할 때, 연결 몸체(121)의 회전안내면(121')을 회전시켜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연결장치 110: 홀더
120: 연결구 130: 너트

Claims (4)

  1. 나선형 파이프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삽입 결합되는 내부몸체(111-1) 및 상기 내부몸체(111-1)의 끝단에서 만곡되게 휘어지도록 연장형성되어 나선형 파이프가 수용되는 수용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나선형 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외부몸체(111-2)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111')에 나선형 파이프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밀어 결합되는 홀더(110);
    일측 내면에 상기 외부몸체(111-2)가 밀착되도록 삽입 결합되고, 일측 외면에 나사산(122)이 형성된 연결구(120); 및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120)의 나사산(122)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홀더(110)를 상기 연결구(120)에 고정시키는 너트(13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몸체(111-2)의 끝단에는 상기 너트(130)의 내면에 의한 가압력이 전달되어 상기 외부몸체(111-2)를 상기 연결구의 일측 내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가압지지부(111-3)가 상기 수용홈(111')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111-1)에는 일정 간격으로 내부몸체(111-1)의 일부가 절개되어 예각으로 꺾여 올려져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112)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탄성돌기(112)는 상기 내부몸체(111-1)를 나사형 파이프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밀어 넣어 삽입 결합시킬 때 나선형 파이프의 나선형 홈(11)에 걸리도록 고정되는 것인 나선형 파이프의 연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돌기는 상기 나선형 파이프의 나선형 홈 기울기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나선형 파이프의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돌기는 상기 나선형 파이프의 나선형 홈에 걸릴 수 있도록 나선형 파이프에 결합되는 반대방향으로 홀더 몸체 외주면에 절곡되어 돌출되는 나선형 파이프의 연결장치.
KR1020180075441A 2018-06-29 2018-06-29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 KR102104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41A KR102104535B1 (ko) 2018-06-29 2018-06-29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41A KR102104535B1 (ko) 2018-06-29 2018-06-29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99A KR20200002199A (ko) 2020-01-08
KR102104535B1 true KR102104535B1 (ko) 2020-04-24

Family

ID=6915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441A KR102104535B1 (ko) 2018-06-29 2018-06-29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5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893B1 (ko) * 1998-12-01 2001-05-15 남일선 배선용플렉시블나선관접속체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025B1 (ko) 1998-02-03 2000-06-01 박실조 파이프 연결장치
KR20150142713A (ko) * 2014-06-11 2015-12-23 김경복 전선관 및 배선박스 연결용 커넥터와 카푸링을 겸용한 연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893B1 (ko) * 1998-12-01 2001-05-15 남일선 배선용플렉시블나선관접속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99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88992A (en) Sealing attachment for electric cables or the like
US4145075A (en) Clamping device for cables, leads, hoses or the like
JP5646080B2 (ja) ケーブルアウトレット接続管片にケーブルを固定する装置
KR101692461B1 (ko) 파이프 조인트
US7420122B2 (en) Strain relieved wire connector
US8841562B2 (en) Cable feedthrough
JPH04229011A (ja) 電気コネクタ
US5752681A (en) Pipe and cable clamp with base part and receiving strap
JP6399633B2 (ja) ホース継手用スリーブ、ホース継手及びホース継手構造体
MXPA02002727A (es) Dispositivo de retencion axial de un elemento cilindrico y mas particularmente un cable.
KR101114497B1 (ko) 멀티소켓관과 드레인호스의 결합구조
KR102104535B1 (ko)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
US4238132A (en) Connector
JP6010831B2 (ja) 管継手構造
KR101682641B1 (ko) 니플 벤딩용 지그
KR101700063B1 (ko) 호스 연결구
JP5851944B2 (ja) 防爆形ケーブルグランドのケーブルクランプ装置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100751755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CN111952780A (zh) 防松脱连接器
KR102042072B1 (ko) 호스 체결용 니플 구조체
KR20190000417A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1990141B1 (ko) 파이프 연결구조체
KR20180000562A (ko) 호스 연결구
KR200223915Y1 (ko) 통신장비의 케이블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