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761Y1 -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 Google Patents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761Y1
KR200236761Y1 KR2019990004200U KR19990004200U KR200236761Y1 KR 200236761 Y1 KR200236761 Y1 KR 200236761Y1 KR 2019990004200 U KR2019990004200 U KR 2019990004200U KR 19990004200 U KR19990004200 U KR 19990004200U KR 200236761 Y1 KR200236761 Y1 KR 200236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ocking
cap
fastening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178U (ko
Inventor
남일선
Original Assignee
남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일선 filed Critical 남일선
Priority to KR2019990004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76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1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1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76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본인의 선출원 특허출원 제98-52125호 '배선용 플랙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선행 발명에 있어서는 금형이 상, 하분리됨을 감안 할 때 별도로 수평 분리구조가 여러 조각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금형 비가 고가로 되며 분리 작동이 여러 차례의 공정으로 이루어 져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 제작상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대두되었으며 또한, 구조상 텐션 록킹부재의 폭이 제약을 받게되어 넓게 형성될 수 없는 관계로 플렉시블 나선관을 잡아주는 면적이 나선관 둘레의 1/5 정도밖에 되지 않아 체결력이 약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캡 체결관체에 텐션 록킹부재를 형성함에 있어 캡 체결관체의 양측을 절취하여 캡 체결관체 자체가 텐션 록킹부재로 되도록 넓은 폭으로 형성하고 그 외면 일측에 2단의 록킹 홈을 형성하며 이와 대응 결합되는 캡 내면의 대응 지점에는 가압용 돌출 테이퍼부와 록킹 돌기를 형성하여 결합 체결되게 하므로 서 금형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체결력이 견고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Contract tool to link plexible spiral pipe for distributing wires}
본 고안은 배선용 플랙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인의 선출원 특허출원 제98-52125호 '배선용 플랙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에 대한 개량고안으로서 상세히는 각종 기기의 컨트롤 박스로 연결되는 수개의 전선들을 내장 배선하여 보호하기 위한 플렉시블 나선관의 단 부를 컨트롤 박스의 케이스에 접속 고정 시키는 체결 구로서 외면이 나선형으로 굴곡 형성된 관체의 단부 접속을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간단히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 각종 기기의 컨트롤 박스에는 각 기능부로 연결되는 여러 가닥의 전선들이 배선되는 바, 이들 배선이 노출 상태에 있게되면 단선에 합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 재의 플렉시블 나선 관으로써 전선을 내장시켜 보호하게 된다.
이때, 관체의 단 부를 컨트롤 박스의 케이스에 형성 한 배선 구멍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체결구들은 대부분 본체와 캡을 분리 형성하여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하고 그 내부에 조임력에 의하여 오그라들면서 나선관을 홀딩 할 수 있는 테이퍼 경사면을 갖는 분할된 홀더로써 파이프를 잡아 주도록 한 구조들이 대부분으로서 본체와 캡을 나사결합 체결하거나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선행발명 한국특허 제 104641호, 공고번호 96-6179호 '파형관 결합장치'가 선 등록 된 바 있으나 이는 원터치 방식으로 사용상 매우 편리한 이점은 있으나 본 발명이 추구하는 관체 외면이 나선형으로 돌출된 나선 관에는 적용이 불가능 한 구조로서 일정한 수평 파형 굴곡을 갖는 사출금형에 의하여 만이 제조 가능한 파형 관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단점이 있어 압출 방식에 의하여 저가로 제조 가능한 나선 관에는 전혀 사용 할 수 없게 되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제 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인의 선행발명 특허출원 제 98-52125호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에 있어서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수평 파형 굴곡을 갖는 파형 관은 물론이고 압출성형 방식에 의하여 저가에 제조 가능한 외면이 나선형으로 돌출된 나선관의 경우 또는 그 외 여타 외면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캡을 소정 각으로 틀어 정, 역회전시키는 것으로 간단히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체결 구(101)에 플렉시블 나선관(P)의 단 부를 밀어 넣어 끼우고 캡(110)을 체결 한 상태에서 캡(110)을 돌려 소정각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체결구(101)의 몸통체 양편 또는 사방지점에 형성된 텐션록킹 부재(113)가 캡(110)의 내면에 대응 형성된 슬라이드 경사 홈(116)의 내측 경사면에 의하여 밀려들어가 홀딩되고 캡을 역회전 시키게되면 텐션 록킹부재(113)의 반발 복원력에 의하여 홀딩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관체를 체결 구로부터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써 기존 방식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원터치 방식을 나선관에 적용시키게 되었으나 캡(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경사 홈(116)이 캠의 살두께 안쪽으로 들어가 형성되는 점과, 텐션 록킹부재(113)를 형성함에 있어 캡 체결관체(119)에 록킹부재 작동 공(111)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연접하여 상기 캡 체결관체(119)와 연결되게 하므로 써 텐션 작용 되도록 하였던 바,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작용 효과 면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금형이 상, 하 분리됨을 감안할 때 별도로 수평 분리구조가 여러 조각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금형비가 고가로 되며 분리 작동이 여러 차례의 공정으로 이루어 져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 제작 상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대두되었으며 또한, 캡 체결관체(119)가 원통형임을 감안 할 때 그 몸체에 형성되는 텐션 록킹부재(113)의 폭이 제약을 받게되어 넓게 형성될 수 없는 관계로 플렉시블 나선관(P)을 잡아주는 면적이 나선관 둘레의 1/5 정도밖에 되지 않아 체결력이 약하여 나선관에 인장력이 세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불리되어 버리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캡 체결관체에 텐션 록킹부재를 형성함에 있어 캡 체결관체의 양측을 절취하여 캡 체결 관체 자체가 텐션 록킹부재로 되도록 넓은 폭으로 형성하고 그 외면 일측에 2단의 록킹 홈을 형성하며 이와 대응 결합되는 캡 내면의 대응 지점에는 가압용 돌출 테이퍼부와 록킹 돌기를 형성하여 결합 체결되게 하므로 서 금형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체결력이 견고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체결구의 캡 분리 절개상태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체결구의 캡 분리상태 정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체결구의 요부발췌 작용예시 확대 단면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체결구의 조립 단면도
도 5 - 선행 발명의 체결구의 캡 분리 절개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나선관 체결구 3 - 슬라이드 접속구 5 - 본체 일체형 너트부
6 - 링형 고무패킹 7 - 링형 육각너트 8 - 나사관 체
9 - 내관체 10 - 캡 체결관체 11 - 경사면
12 - 텐션 록킹 편 13 - 관 홀딩돌기 14a,14b - 1,2단 록킹홈
15 - 경사 가압 돌출면 16 - 록킹 돌기 17 - 체결 홈
18 - 록킹 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외형적인 기본 구조는 선행발명과 대등 소이한 것으로서 본 고안 나선관 체결구(1)의 외형적인 전체적인 형상의 특징은 결합되는 각 부재들을 일치시켜 원통형체를 평단면상 육각으로 면취 한 비교적 좁은 면적의 수평면(2)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도시 생략된 컨트롤 박스에 체결 시 스패너 등의 공구를 물리기에용이하도록 하였으며, 그중 슬라이드 작동캡(3)의 외면에 형성된 수평면에는 두 줄씩의 파지요홈(4)을 형성하여 손으로 잡고 돌릴 때 미끄러짐이 없이 파지 하기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은 전체적 외형을 갖는 각 부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통체 중앙부에 형성되는 본체 일체형 너트부(5)의 하부 측에는 통상 컨트롤 박스 케이스에 형성되는 배선 공에 맞추어 삽입한 후 케이스의 안쪽에서 링형 고무패킹(6)을 끼우고 링형 육각너트(7)를 체결하여 고정하게되는 나사관 체(8)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일체형 너트부(5)의 상부 측에는 내외 2중의 원통 체로 내관체(9)와 캡 체결관체(10)를 형성하되, 이들간의 사이는 플렉시블 나선관(P)이 삽입될 수 있는 폭보다 약간 넓은 간격으로 형성하여 플렉시블 나선관(P)을 삽입하였을때 관의 외측이 여유 간격이 되게 하며 내경이 상기 내관체(9) 외경의 하부 측에 타이트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상부 측은 하부 측보다 약간 좁게 형성하는 한편 상기 캡 체결관체(10) 상단보다 상측으로 그 높이를 좀더 높게 형성하므로 써 플렉시블 나선관(P)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였고 초기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내관체(9) 상부 측은 축소시켜 경사면(11)을 형성하므로 써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캡 체결관체(10)의 양면 수평상 중앙 상부 측을 절취하여 나머지 양편 살 부분이 텐션 록킹 편(12)이 되도록 형성하며, 그 각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관 홀딩 돌기(13) 수 개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외면 각일측에는 1단 록킹홈(14a)과 2단 록킹홈(14b)을 각각 형성하여 끼워 맞춤 결합되는 슬라이드 작동캡(3) 내면의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경사 가압 돌출면(15)과 록킹 돌기(16)가 결합 상태에서 상호 작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1단 록킹홈(14a)은 'V'자 형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어 록킹 돌기(16)의 1차 걸림 상태에서 힘을 더 가하여 슬라이드 작동캡(3)을 회전시키게 되면 록킹 돌기(16)가 1당 록킹홈(14a)에서 벗어나 2단 록킹홈(14b)에 끼워질 수 있으나 이 2단 록킹홈(14b)은 록킹 돌기(16)가 들어오는 쪽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이탈 쪽의 면은 90°직각으로 형성되어있어 슬라이드 작동캡(3)은 더 이상 회전 할 수 없게된 것이다.
한편, 제조 시는 각각 분리 형성하게 되나 제조완료 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작동캡(3)과 캡 체결관체(10)는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기 때무에 원터치 결합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작동캡(3)의 체결 단부 내 원주 상에는 체결 홈(17)을 형성하고 캡 체결관체(10)의 해당 지점 외주에는 끼워지는 쪽 면이 경사면으로 된 록킹돌기(18)를 돌출 형성하여 슬라이드 작동캡(3)을 밀어 끼울 때는 체결되나 일단 결합된 후에는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캡 체결관체(10)와 슬라이드 작동캡(3)이 일단 체결된 상태에서는 분리되지 않고 회전만 가능한 상태로서 일체형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에 있어서는 먼저, 나선관 체결구(1)의 본체 일체형 너트부(5) 하부측의 나사관 체(8)로부터 링형 육각너트(7)와 링형 고무패킹(6)을 분리시킨 상태에서도시 생략된 컨트롤 박스 케이스에 형성된 배선 공에 맞추어 외측에서 내부로 끼워 나사관 체(8)를 삽입하고 케이스의 안쪽에서 링형 고무패킹(6)을 끼우고 링형 육각너트(7)를 체결하여 나선관 체결구(1)를 컨트롤 박스에 체결 고정시킨다.
상기에서와 같이 나선관 체결구(1)를 먼저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내부에 전선들을 내장시키게되는 외면이 나선형 요철 면으로 된 플렉시블 나선관(P)의 선단을 밀어 끼워 놓고 슬라이드 작동 캡(3)을 회전 시켜 주기만 하면 나선관의 체결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플렉시블 나선관(P)의 선단을 밀어 넣어 끼운 상태에서 슬라이드 작동캡(3)을 회전시키게 되면 캡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 가압 돌출면(15)이 텐션 록킹 편(12)을 안쪽으로 밀어 조이게 됨으로 써 플렉시블 나선관(P)의 홀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홀딩상태 에서 2단으로 록킹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슬라이드 작동캡(3)의 가압 돌출면(15) 후측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록킹 돌기(16)가 캡 체결관체(10)의 텐션 록킹 편(12)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1단 록킹홈(14a)에 끼워지게 되며 록킹이 이루어지게 되며 좀더 세게 조여 록킹시킬 경우에는 슬라이드 작동캡(3)을 좀더 회전시켜 상기 록킹 돌기(16)를 2단 록킹홈(14b)에 끼워 록킹 시키게 된다.
이때, 2단 록킹홈(14b)은 록킹 돌기(16)의 진입 면이 경사로 되어있어 삽입은 이루어지나 홈의 타측면은 90° 경사 벽으로 되어 있어 더 이상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고 역회전 시켜 풀어 주는 것만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플렉시블 나선관(P)의 외경 크기에 따라 선택 삽입되면서 체결이 완료되는 것이며, 분리 시에는 반대로 슬라이드 작동 캡(3)을 역회전 시켜주기만 하면 텐션 록킹 편(12)이 슬라이드 작동 캡(3)의 가압 돌출면(15)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가압력이 해제됨으로써 텐션 록킹 편(12)은 탄성 복귀력에 의하여 복귀되어 플렉시블 나선관(P)의 홀딩 상태를 해제하게 됨으로 플렉시블 나선관(P)이 분리 가능케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선행발명에서 대두된 구조상의 결점을 보완 해결하게 된 것으로써 캡 체결관체에 형성되는 텐션 록킹 편이 넓게 두쪽으로 형성됨으로써 플렉시블 나선관의 홀딩을 확실하고 견고하게 이룰 수 있게되어 인장력을 세게 작용하더라도 분리되어 빠지는 일이 없게되며, 구조적으로 금형을 상하 분리하여 성형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금형비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본체의 하부측에는 콘트롤박스와의 체결을 위한 나선관(8)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측에는 2중 원통형상으로 내관체(9)와 캡 체결관체(10)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내관체(9)와 상기 캡 체결관체(10)의 사이에 플렉시블 나선관(P)을 삽입하고 상기 캡 체결관체(10)의 외면에 삽입되어 있는 슬라이드 작동캡(3)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나선관(P)이 체결되도록 한 나선관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캡 체결관체(10)는, 그 상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텐션 록킹 편(12)과, 상기 텐션 록킹 편(12)의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나선관(P)을 홀딩하는 다수의 관 홀딩 돌기(13)와, 상기 텐션 록킹 편(12)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2단의 록킹홈(14a)(14b)과, 하부 외주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록킹돌기(18)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작동캡(3)은, 회전에 따라 상기 텐션 록킹 편(12)을 점차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텐션 록킹 편(12)과 대응되는 위치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경사 가압 돌출면(15)과, 상기 2단의 록킹홈(14a)(14b)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경사 가압 돌출면(15)과 인접한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16)와, 상기 캡 체결관체(10)의 록킹돌기(18)와 대응되는 위치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홈(17)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단의 록킹홈(14a)(14b)은 상기 록킹돌기(16)의 삽입/이탈이 가능하도록 단면상 'V'형으로 된 1단 록킹홈(14a)과, 상기 록킹돌기(16)가 유입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단면상 상기 록킹돌기(16)의 유입측은 경사되고 반대측은 직각으로 형성된 2단 록킹홈(14b)이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KR2019990004200U 1999-03-16 1999-03-16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KR200236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200U KR200236761Y1 (ko) 1999-03-16 1999-03-16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200U KR200236761Y1 (ko) 1999-03-16 1999-03-16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178U KR19990033178U (ko) 1999-08-05
KR200236761Y1 true KR200236761Y1 (ko) 2001-10-27

Family

ID=5475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200U KR200236761Y1 (ko) 1999-03-16 1999-03-16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7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09B1 (ko) * 2007-10-01 2010-05-18 김진민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09B1 (ko) * 2007-10-01 2010-05-18 김진민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178U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450B1 (en) Coupling assembly for securement in the open end of a pipe
US20100186340A1 (en) Reinforcing Bar Locking Device
US7096543B2 (en) Clamp
AU2002340628A1 (en) Clamp
US6832882B2 (en) Fastener
KR100839228B1 (ko) 앵커 볼트
CN106351935A (zh) 紧固件、紧固结构以及紧固方法
KR200236761Y1 (ko) 배선용 플렉시블 나선관 접속 체결구
US4000919A (en) Pipe coupler
US5015133A (en) Universal nut
KR20110080058A (ko) 호스연결구의 조립방법
US20090169294A1 (en) Reinforcing Bar Connector
US4238132A (en) Connector
CN108474403A (zh) 用于软材料的紧固件和紧固件系统
KR20023929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09053Y1 (ko) 파이프 이음구조
JPH01116395A (ja) 管継手
US1058454A (en) Pipe-holding tool.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US1271449A (en) Nut-lock.
KR200255542Y1 (ko) 인서트를 가진 파이프 연결장치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100289893B1 (ko) 배선용플렉시블나선관접속체결구
KR200275028Y1 (ko)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JP3018706U (ja) 弛み止めナ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