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220U -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220U
KR19990023220U KR2019970035578U KR19970035578U KR19990023220U KR 19990023220 U KR19990023220 U KR 19990023220U KR 2019970035578 U KR2019970035578 U KR 2019970035578U KR 19970035578 U KR19970035578 U KR 19970035578U KR 19990023220 U KR19990023220 U KR 199900232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compressor
laminated
refrigerant
swa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진
Original Assignee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2019970035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3220U/ko
Publication of KR199900232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220U/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압축기 포트일측에 구비되는 머플러를 적층이 가능하게끔 하여 압축기의 성능에 따라 적절히 맥동현상을 상쇠시킬 수 있도록하여 압축효율의 증가와 에어컨시스템의 냉방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자동차 에어컨시스템중 냉매압축기의 구동시 발생하는 맥동현상을 상쇠하기 위한 적층형 머플러를 구비함에 있어서; 적층형 머플러(3)는 그 단면이 개략 박스형의 베이스머플러(30)가 압축기(1)의 하우징(10)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베이스머플러(30)의 상단에는 적층머플러(30')와 냉매유입홀(31)을 가지는 격판(32)을 구비하며, 적층형 머플러(3)는 접촉면부위(35)에 씰(36)을 개제하여 구성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인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는 맥동상쇠효과를 발하는 머플러의 적층 구성과 탈착이 용이하므로 압축기의 냉매압축성능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 맥동상쇠효과가 상승하고, 이로 인하여 진동과 소음이 감소하여 에어컨시스템의 냉방효율에도 기여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판식 압축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압력맥동을 감소하기 위한 머플러의 형상을 개선하여 압력맥동의 완화를 가져와 압축효율의 증가를 이루기 위함이다.
자동차의 에어컨시스템에 적용되는 냉매압축기가운데 사판을 이용하여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사판식압축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사판식압축기(1)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냉매의 기밀을 위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중심부를 관통하면서 사판(1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심축(12), 그리고 사판(11)에 결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피스톤(13)과 실린더(14)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는 각 커버(15, 16)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버(15, 16)와 하우징(10)의 사이에 밸브플레이트(1)를 각각 마련하여 압축실(17)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1)는 고온저압의 냉매를 실린더(14)내로 공급하여 피스톤(13)의 압축행정을 통해 냉매를 압축하고, 이어 밸브플레이트(2)에 형성된 토출공(18)을 통하여 컨덴서로 배출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2)에는 압축된 냉매가 배출되는 토출공(18)과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흡입공(19)이 마련되고, 흡입공(19)의 입구에는 석션밸브(20)를 구비하여 피스톤(14)의 배출행정시 고압냉매가 흡입공(19)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토출공(18)의 입구에는 디스차지밸브(21)에 의해는 피스톤(14)의 흡입행정시 고압의 냉매가 실린더(14)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처럼 압축기(1)는 피스톤(13)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는 고압으로 토출공(18)을 통과하는데, 이 때 압축기(1)에는 심한 맥동이 발생하고 이는 압축기(1)의 각 구성품에 진동으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맥동에 의한 진공은 구성품의 체결력을 저하하고 실린더(14)와 피스톤(13)의 접촉면(22)에 틈새를 형성하여 압축효율이 저하함은 물론 다대한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이와 같이 냉매의 압축과 토출시 발생하는 맥동의 폐해를 감소하기 위해서 압축기(1)의 일측에 맥동저감실인 머플러(muffler;23)를 구비하고, 여기서 냉매의 팽창을 유도하여 맥동현상을 최소화하려 하였다.
하지만, 상기 머플러(23)는 압축기(1)의 포트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가변적으로 행해지는 압축행정에 따라 변동하는 맥동현상을 적절히 완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압축기 포트일측에 구비되는 머플러를 적층이 가능하게끔하여 압축기의 성능에 다라 적절히 맥동현상을 상쇠시킬 수 있도록하여 압축효율의 증가와 에어컨 시스템의 냉방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사판식압축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 2 도는 종래 사판식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사판식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기3 : 적층형머플러
30, 30' : 머플러31 : 냉매유입홀
32 : 격판36 : 씰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사판식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을 한다.
자동차 에어컨시스템중 냉매압축기에 고압의 냉매가 압축되고, 토출될 때 발생하는 맥동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포트의 일측에 적층형 머플러를 구비한다.
상기 적층형 머플러(3)는 제 3 도에서와 같이 그 단면이 개략 박스형의 베이스머플러(30)가 압축기(1)의 하우징(10)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베이스머플러(30)의 상단에는 적층머플러가 냉매유입홀(31)을 가지는 격판(32)에 의해 연결고정되며, 적층머플러(30')는 커버(33)를 이용하여 밀폐한 후 볼트(34)로 고정한다.
상기 적층형 머플러(3)는 토출공(18)과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머플러(30), 격판(32), 커버(33)의 접촉면부위(35)는 씰(36)을 개제하여 냉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효율의 저하를 막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압축기(1)의 하우징(10)과 일체로 성형된 맥동저감실인 베이스머플러(30)에 상단에는 다수 개의 홀(31)을 가지는 격판(32)을 구비하고, 이어 격판(32)의 상측에 베이스머플러(30)의 상단면과 동일한 조립면을 가지며 양측이 개방된 적층머플러(30')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머플러(30)의 상단에 고정된 적층머플러(30')는 커버(33)를 이용하여 개방된 형태에서 밀폐된 맥동저감실로 형성되고, 이를 유지하기위해 볼트(34)를 이용하여 커버(33)와 머플러(30')를 고정한다.
상기 적층형머플러(3)는 압축기(1)의 압축성능에 의해서 발생하는 맥동의 변화에 따라 2단 혹은 그 이상의 단(段)을 형성하여 최대한의 맥동상쇠효과를 이루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는 맥동상쇠효과를 발하는 머플러의 적층구성과 탈착이 용이하므로 압축기의 냉매압축성능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 맥동상쇠효과가 상승하고, 이로 인하여 진동과 소음이 감소하여 에어컨시스템의 냉방효율에도 기여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자동차 에어컨시스템중 냉매압축기의 구동시 발생하는 맥동현상을 상쇠하기 위한 적층형 머플러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머플러(3)는 그 단면이 개략 박스형의 베이스머플러(30)가 압축기(1)의 하우징(10)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베이스머플러(30)의 상단에는 적층머플러(30')와 냉매유입홀(31)을 가지는 격판(32)을 구비하며,
    상기 적층형 머플러(3)는 머플러(30), 격판(32), 커버(33)의 접촉면부위(35)에 씰(36)을 개제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머플러(3)는 2단 혹은 그 이상의 단(段)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
KR2019970035578U 1997-12-01 1997-12-01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 KR199900232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578U KR19990023220U (ko) 1997-12-01 1997-12-01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578U KR19990023220U (ko) 1997-12-01 1997-12-01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220U true KR19990023220U (ko) 1999-07-05

Family

ID=6969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578U KR19990023220U (ko) 1997-12-01 1997-12-01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322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5466A (zh) * 2013-07-18 2015-01-21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具有单头活塞的可变排量压缩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5466A (zh) * 2013-07-18 2015-01-21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具有单头活塞的可变排量压缩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6655B1 (en) Electrically-operated sealed compressor
JP4755374B2 (ja) ダイヤフラム真空ポンプ
JP2960409B2 (ja) 圧縮機の吸入マフラー
KR100235512B1 (ko) 압축기의 머플러 구조체
KR100317417B1 (ko) 피스톤식 압축기
US4836754A (en) Turbulence generating device adjacent the inlet end of each discharge port of a multi-cylinder piston-type compressor for providing internal pulsation and noise suppression
KR19990023220U (ko)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
US7150605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6374943B1 (en) Baffle plate of discharge muffler for hermetic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480087B1 (ko)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고정구조
JP3232839B2 (ja) 圧縮機の弁装置
KR20040091485A (ko) 밀폐형 압축기
JP3489339B2 (ja) 圧縮機のマフラ構造
JPH09264254A (ja) ピストン式圧縮機及びその組付方法
KR200215494Y1 (ko) 에어콘의 압축기 과부하 방지장치
KR100221139B1 (ko) 밀폐형 압축기용 토출밸브
KR100537922B1 (ko) 사판식 압축기의 머플러
KR101674577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9990010738U (ko)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의 밸브어셈블리
KR0134144Y1 (ko) 왕복동형 압축기
KR100238661B1 (ko) 냉장고용 압축기의 실린더 블록
JP2006300049A (ja) 圧縮機の吸入脈動低減構造
KR960018235A (ko) 압축기
KR19990000519U (ko) 자동차용 사판식압축기의 디스차지밸브구조.
KR20060047082A (ko) 자동차 압축기의 밸브유니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