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074U - 상처커버재 - Google Patents

상처커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074U
KR19990023074U KR2019970035381U KR19970035381U KR19990023074U KR 19990023074 U KR19990023074 U KR 19990023074U KR 2019970035381 U KR2019970035381 U KR 2019970035381U KR 19970035381 U KR19970035381 U KR 19970035381U KR 19990023074 U KR19990023074 U KR 199900230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lm layer
layer
wound cover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3471Y1 (ko
Inventor
정덕영
황성학
Original Assignee
전기섭
주식회사 제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섭, 주식회사 제텍스 filed Critical 전기섭
Priority to KR2019970035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471Y1/ko
Publication of KR19990023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4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술한 환부에 부착하는 상처커버재이다. 종래는 비스코스 레이온섬유 부직포에 PE와 PP섬유 필름층을 형성한 기재에 밀착포를 부착시킨 것으로, 출혈량이 적은 환부에 한정되게 부착되며, 신축성과 충격흡수성이 낮고, 환부로부터의 제거가 쉽지 않은 경향이 있다. 본 고안은 비스코스 레이온섬유와 폴리에스터섬유를 혼합하여 결합시킨 부직포층(102)과, 폴리에틸렌(108)을 폴리프로필렌섬유(106)에 피복한 원사를 부직포로 가공하여 상기 부직포층(102)과 니들펀칭된 상태에서 표면에 요철(110)이 형성되도록 융착시킨 필름층(104)으로 이루어진 상처커버재이다.

Description

상처커버재
본 고안은 수술한 환부에 부착하는 상처커버재(Wound Covering material)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술 또는 수술하지 않은 환부에 부착하는 상처커버재로서 본 고안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는 독일 뫼른리케사의 상품명≪MEPORE≫가 있다. 이 제품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직포(1)의 이면에 필름층(2)를 형성시킨 것을 기재(基材)로 하고, 이 기재의 필름층(2) 외면에는 접착층(3)을 갖는 이면지(4)를 붙이고 있으며, 기재의 부직포(1) 상면에는 접착층(5)을 갖는 밀착포(6)를 부착시킨 것이다. 상기 기재의 부직포(1)는 비스코드 레이온섬유 부직포이고, 필름층(2)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섬유로 된 이중성분(bicomponent)으로서, 부직포(1)에 가열하여 얇게 융착시킨 것이다. 이 필름층(2)은 혈액의 엉김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의 상처커버재는 혈액 흡수량이 적기 때문에 출혈량이 적고 혈액이 이미 응고된 환부에만 사용할 수밖에 없다. 또, 망상부직포로 된 밀착포를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환부에 부착하는데 적합하며, 기재의 두께가 얇고 신축성이 적기 때문에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환부에 가하는 압박감을 줄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필름층의 외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환부에 밀착되어 혈액이 넓은 범위에 걸쳐 응고되기 쉬워 필름층이 갖는 본래의 목적을 상실하기 쉽다. 다시 말해서 필름층의 평활도가 높으면 혈액의 응고 후에 환부로부터 상처커버재가 잘 떨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출혈량이 많은 환부에, 부착범위에 좌우되지 않고 부착시킬 수 있으며, 신축성을 가지면서 충격흡수에 효과적이고, 또 환부로부터의 제거가 용이하며, 종래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상처커버재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상처커버재를 나타낸 분리단면도.
도 2는 일부를 확대한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필름층이 이루어지기 전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조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a, 23b : 혼합실,24a, 24b : 카딩기,
25a, 25b : 성형기,26 : 니들펀칭기,
27 : 롤 카렌더,102 : 부직포층,
104 : 필름층,106 : 폴리프로필렌섬유,
108 : 폴리에틸렌,110 : 요철,
127 : 가열드럼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스코스 레이온섬유와 폴리에스터섬유를 혼합하여 결합시킨 부직포층과, 폴리에틸렌을 폴리프로필렌섬유에 피복한 원사를 부직포로 가공하여 상기 부직포층과 니들펀칭된 상태에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융착시킨 필름층으로 이루어진 상처커버재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부직포의 강도가 증가하고, 신축성이 부여되며, 충격흡수력이 증가하고, 혈액흡수량이 증가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상처커버재 단면도이다. 부직포층(102)은 니들 펀칭에 의하여 결합된 혼합섬유 부직포로서, 비스코스 레이온섬유 75부피%와 폴리에스터섬유 25부피%로 이루어져 있다. 비스코스 레이온섬유는 흡수성이 좋기 때문에 사용하지만 이것 자체만으로는 상처커버재가 요구하는 인열강도와 인장강도면에서 떨어지고, 볼륨감이 떨어지며, 혈액의 흡수량이 적고, 신축성이 적으며, 충격의 흡수가 충분하지 못하다. 그래서, 이러한 물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터섬유를 첨가시킨 것이다. 폴리에스터섬유는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섬유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해 공중합하여 친수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필름층(104)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융점의 폴리프로필렌섬유사(106)에 저융점의 폴리에틸렌(108)을 피복시킨 이중성분의 단섬유 원사를 필름상으로 부직포화시킨 후 다시 융착시킨 것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선행기술과 유사하다. 그러나, 필름층(104)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특징적인 차이를 갖는다. 그것은 융착방법에 기인한 것으로, 표면이 평활하지 않은 표면을 얻는다. 표면을 평활하지 않게 하는 것은 피부 또는 환부로 부터의 불규칙한 간격을 조성하여 혈액의 응고가 넓은 범위에 걸쳐 고르게 뭉쳐지면서 응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는 것이고, 이렇게 하면 부직포를 환부로부터 제거하는데 어려움없이 실행할 수 있다.
부직포층(102)과 필름층(104)의 비율은 85중량% : 15중량%가 적합하다. 이렇게 하면 충분한 혈액흡수, 충격흡수,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축성 등의 면에서 수술한 환부에 가아제(gauze)를 매우 두껍게 덮으면서도 그 압박감이 매우 적고 통기성이 부여된 것과 같은 효과를 지니며, 또 환부로부터 부직포의 제거도 용이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직포층과 필름층을 얻기 위한 제조공정을 설명한 것이다.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부직포층의 부직포와 필름층의 부직포로 가공한 후에 니들 펀칭에 의하여 서로 결합시키며, 이렇게 결합된 부직포를 가열하여 융착시키므로서 상처커버재가 얻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부호 21a, 21b는 공급기이고, 22a, 22b는 베일오프너, 23a, 23b는 혼합실, 24a, 24b는 카딩기, 25a, 25b는 성형기, 26은 니들펀칭기, 27은 롤 카렌더, 28은 건조기, 그리고 29는 와인딩장치이다.
21a, 22a, 23a, 24a, 그리고 25a는 부직포층(102)을 얻기 위한 부직포의 가공공정이고, 21b, 22b, 23b, 24b, 그리고 25b는 필름층(104)을 얻기 위한 부직포의 가공공정이다. 그래서, 공급기(21a, 21b)에서 각각 공급되는 섬유를 베일오프너(22a, 22b)에서 각각 개섬(푸는 것)시키고, 개섬된 섬유를 혼합실(23a, 23b)에서 각각 혼합시킨다. 혼합된 각각의 섬유는 카딩기(24a, 24b)에서 얇은 시트상의 섬유층으로 성형시킨다. 그런후에는 각각 성형기(25a, 25b)에 넣고 시트상의 섬유층을 여러겹 겹쳐서 하나의 섬유상 시트로 성형시킨다. 이와 같이 각각 얻어진 2개의 부직포는 니들펀칭기(26)를 통과하면서 결속(결합)된다. 결속된 부직포는 롤 카렌더(27)을 통과시키면서 가열가압하여 부직포층(102)과 필름층(104)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공정에서 롤 카렌더(27)는 한쪽의 롤이 열풍이 불어나오는 가열드럼(127)으로 되어 있다. 가열드럼(127)은 외면에 작은 구멍들이 무수히 많이 형성되어 있어서 필름층(104)과 대접하여 융착시키면 필름층(104)에 도 2의 확대부분과 같은 웨이브상의 요철(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1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 또는 환부로 부터의 불규칙한 간격을 조성하여 혈액의 응고가 넓은 범위에 걸쳐 고르게 뭉쳐지면서 응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는 것이고, 이렇게 하면 부직포를 환부로부터 제거하는데 어려움없이 실행할 수 있다. 가열가압시에 폴리프로필렌섬유(106)는 그대로 있고, 저융점인 폴리에틸렌만(108)이 도 3의 점선부분내에서 녹아 부직포층(102)에 융착된다. 부직포층(102)과 필름층(104)은 그 전체의 두께가 0.6±0.4mm로 주어진다.
부직포층(102)과 필름층(104)으로 형성된 부직포는 건조기(28)에서 건조시킨 후 와인딩장치(29)에 감아 롤제품을 얻고, 최종적으로 상품화 과정에서 일정 크기로 재단되기도 한다. 병원 등에서는 환부에 맞는 크기로 재단하여 반창고 등을 이용하여 수술한 환부에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부직포층에 폴리에스터를 첨가하여 상처커버재에 적합한 물성으로 보강하여 부드러우면서도 강도와 신축성이 증가되고, 볼륨감이 증가되어 충격흡수가 우수하며, 혈액의 다량흡수가 가능해진다. 또, 얇은 필름층의 표면에 무수히 작은 요철을 웨이브상으로 형성시켜 주므로서 응고되는 혈액표면과의 부착력을 약화시켜 환부로 부터의 제거가 용이해지고, 환부의 크기에 관계없이 필요한 만큼의 크기로 잘라 쓸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하여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비스코스 레이온섬유와 폴리에스터섬유를 혼합하여 결합시킨 부직포층과, 폴리에틸렌을 폴리프로필렌섬유에 피복한 원사를 부직포로 가공하여 상기 부직포층과 니들 펀칭된 상태에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융착시킨 필름층으로 이루어진 상처커버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은 니들 펀칭에 의하여 결합된 혼합섬유 부직포이고, 비스코스 레이온섬유와 폴리에스터섬유를 혼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커버재.
  3. 제1항에 있어서, 부직포층과 필름층의 비율은 85중량% : 15중량%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커버재.
KR2019970035381U 1997-12-02 1997-12-02 상처커버재 KR200173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381U KR200173471Y1 (ko) 1997-12-02 1997-12-02 상처커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381U KR200173471Y1 (ko) 1997-12-02 1997-12-02 상처커버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074U true KR19990023074U (ko) 1999-07-05
KR200173471Y1 KR200173471Y1 (ko) 2000-03-02

Family

ID=1951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381U KR200173471Y1 (ko) 1997-12-02 1997-12-02 상처커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4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471Y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4252A (en) Stabilized rayon web and structures made therefrom
US3967623A (en) Disposable absorbent pad
US3770562A (en) Composite nonwoven fabrics
JP4354651B2 (ja) 手で引き裂くことができるテープ
US5368668A (en) Stitchbonded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CA1325585C (en) Tearable nonwoven webs and products employing same
US3067747A (en) Cellulosic product
US5091240A (en) Laminate incorporating hot melt and water based adhesives
WO2010150611A1 (ja) 表面凹凸構造を有する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製品
KR20000010731A (ko) 내구성 스펀레이스 구조 직물
US6673980B1 (en) Absorbent product with creped nonwoven dampness inhibitor
EP1401642A1 (en) Laminate made of fibrous layers
CN102573736A (zh) 层合型吸收性片材
JP5884733B2 (ja) 積層不織布とその製品
KR20150117113A (ko)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마스크
JP3446349B2 (ja) 積層不織布、その積層不織布を用いた電気カーペット、及びその積層不織布の製造方法
JP2010284986A (ja) 吸音性積層材および吸音性積層材成形物
JP3096208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KR200173471Y1 (ko) 상처커버재
JP4431457B2 (ja) 吸水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36653A (ja) 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13954A (ja) 吸収性物品の表面素材または濾過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5082618A1 (en) Composit of absorbing sheet with visible holed film
JP2019127665A (ja) 吸水収縮性不織布
GB2145970A (en) Sanitary napk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