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932A -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 Google Patents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932A
KR19990022932A KR1019970709402A KR19970709402A KR19990022932A KR 19990022932 A KR19990022932 A KR 19990022932A KR 1019970709402 A KR1019970709402 A KR 1019970709402A KR 19970709402 A KR19970709402 A KR 19970709402A KR 19990022932 A KR19990022932 A KR 19990022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trengthening
traction
patient
j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꼬보 베르나베 꼬보
Original Assignee
꼬보 베르나베 꼬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꼬보 베르나베 꼬보 filed Critical 꼬보 베르나베 꼬보
Publication of KR1999002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9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with legs in a kneeled 90°/90°-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장치는 고정 보드(5), 고정 보드(5)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한 이동 보드(6)로 구성된 환자용 테이블(1)과, 환자 몸체부 사이에 견인력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보드(6)는 수평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의 수평축(15)이 관하여 그리고 테이블의 세로축에 관하여 대칭인 2 개의 극단적인 위치 사이의 수직축에 관하여 회전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견인 수단은 견인력을 환자의 관절에 원하는 방향으로 적용시키기 위하여 케이블과 관련된 풀리(24, 37, 38, 40, 41 및, 42) 시스템에 하나 이상의 견인 케이블을 포함한다. 목과 허리 척추, 히프, 견부, 팔꿈치, 손목, 무릎 및, 발목 치료를 위해 제공된 본 장치는 그 자유자재로움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신장구와 유사하며 교환 가능한 부분이 있는 종래의 물리 요법 장치는, 예를 들면, 환자의 목과 허리부 뼈대 축방향으로 견인력을 적용시킨다.
무릎과 같은 특정 관절 치료용의 특정 장치가 또한 존재한다.
그러나 공지된 장치들은 보다 자유롭지 못하다는 단점을 갖는데, 그 이유는 상기 장치가 단지 특정한 형태로만 사용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것은 제작비용을 회수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형태의 장치가 전체 영역을 차지하게 되는 비교적 작은 치료 시설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게다가, 모든 동원 운동이 공지된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지 않으며, 상기 운동의 많은 부분이 수동으로 행해진다. 상기 공지의 장치에 관한 다른 단점은 견인력을 제어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시스템의 부재와, 각각의 특정 상황에서 작용되는 중에, 환자에게 적용되는 견인 사이클의 부재를 들 수 있다.
상술된 장치는 또한 환자 몸체 부분을 최적의 방식으로 고정시키지 못하며, 따라서 예를 들면, 견인력이 치료되는 관절에 제한적으로 적용시킬 수가 없게 된다는 또 다른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제어된 기계적 견인력을 적용하여 수동적 동원 수단에 의한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물리 요법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테이블 관련 부분의 측면도.
도 3 은 테이블 부속물의 사시도.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다른 테이블 부속물의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결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장치의 일정 부재의 위치를 단지 교환해줌으로서 목과 허리 척추골, 히프, 견부, 팔꿈치, 무릎 및, 발목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높은 이동성을 가지며, 이와 동시에, 견인 사이클의 적당한 제어가 가능하며 환자의 특정 상황에 적용가능한 물리 요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는 정지 보드로부터 멀어져서 분리가능한 이동 보드와 정지 보드로 구성된 환자가 눕는 테이블, 환자 몸체부 사이에 견인력을 적용시키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이동 보드는 수평 위치와 경사 위치 사이의 수평축에 관하여 회전가능하며, 테이블의 세로축에 관하여 대칭인 2 개의 단부 위치 사이의 수직축에 관하여 또한 회전가능하고, 환자 몸체부 사이에 견인력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은 하나 이상의 견인 코드와 견인력을 원하는 방향으로 환자의 관절에 견인력을 적용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드가 관련된 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이동 보드는 보드가 수평과 경사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테이블을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회전할 수 있는 수평 바아에 부착된 하부 베이스; 2 개의 대칭 단부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키기 위해서 수직축에 관하여 상기 하부 베이스를 회전시킬 수 있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예 고정되며, 그 위에서 이동 보드가 보드로부터 멀어져서 분리될 수 있도록 된 한쌍의 안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이동 부분들을 고정 보드예 고정시키며 테이블의 수직축예 관하여 대칭된 위치로 이동 부분들을 유지시킬 수 있는 탄성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정 보드는 제 1 수평축 주변에 연결된 제 1 단부 부재와, 고정된 제 2 단부 부재, 제 1 축에 평행한 제 2 수평축 주변에 연결된 제 1 중간 부재 및, 제 1 및 제 2 축예 평한 제 3 수평축 주변에 연결된 제 2 중간 부재로 구성된다.
다른 장점으로는 테이블의 높이가 또한 조정가능하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부재는 초기 대칭 위치로부터 각 방향으로 약 30도 이상의 각도로 수직축 주변을 회전할 수 있으며, 약 50도 이상의 각도로 수평축 주변을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또한 환자를 고정 보드와 이동 보드에 묶는 스트랩을 풀기위한 다수의 고정 포인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고정 포인트는 로드에 상응되는 개구를 가지며 고정 로드가 돌출되지 않을 만큼 충분한 두께로 된 가요성 재료로 덮인 상부면에 고정되는 보드의 상부면에 적용되는 수평 로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그 상부에 테이블이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장치되며 2 개의 견인 코드가 부착된 조정가능한 견인 모터용의 구조물이 장치되고, 상술된 풀리 시스템은 모터옆의 지지 구조물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구동 풀리와, 모터 지지 구조물이 근접된 베이스 단부예 위치된 한 개의 이중 귀환-풀리와, 상기 귀환-풀리에 대하여 대향된 베이스 단부예 위치되며 그 각각이 180도의 호형으로 2 개의 견인 코드들 중 하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수평 풀리 및, 장치의 베이스에 고정된 대응되는 세로 안내부를 따라 분리가능하며 그 각각은 그것이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되기 위해서는 2 개의 코드중 하나를 안내하도록 된 한 쌍의 풀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변경에 따르면, 풀리 시스템은 또한 모터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2 개의 안내부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풀리와,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모터 지지 구조물상에 장착된 안내부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풀리를 포함한다.
다른 변경예에서는, 풀리 시스템은 모터 지지구조물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목 및 척추 견인을 위하여 지지대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풀리를 포함한다.
장점으로는, 물리 요법 장치는 추가적으로 테이블의 측면으로 장착되며 그것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2 세트의 평행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를 따라 미끄럼운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측면 풀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장점으로서는, 상기 장치는 그 위에서 중앙 풀리가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보드의 하부 베이스에 부착되도록 장착되고, 실제적으로는 수직으로 부착되며, 테이블의 세로축상에 그 중심이 있도록 된 또 다른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상술된 풀리는 그것예 수직하게 장착된 코드-방향 안내부 풀리와 연관되며 그것이 복귀될 수 있도록 된 방식으로 장착된 회전축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이동 보드상에 조정가능하며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다리부용 지지대와, 장치의 베이스상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경사와 위치가 조정가능한 다리용 부착부를 포함한다.
고정 보드의 단부 부재들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어깨뼈를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 부착용의 상부 단부 로드에서 한 쌍의 수직한 삽입 바아와 베어링에 측면으로 고정된다.
상기 장치는 환자를 묶기 위한 스트랩 또는 견인 코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은,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곳으로 삽입되는 2 개의 코드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 2 개의 관형 기구와 연결된, 환자 몸체의 일부분으로 확장된 밴드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환자 몸체의 일부분 주위로 확장된 밴드를 가지며, 상기 밴드는 그 자유 단부를 보드 표면상에 제공된 상술된 고정 로드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고리를 형성하는 스트립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모듈은 조정가능한 견인 모터와 관련되어야 하며, 상기 모듈은 치료 파라미터와 개시 버튼을 가지며, 선택된 치료와 치료 상태를 나타내는 지시 불빛과 선택된 파라미터, 한 세트의 경보, 비상 정지 버튼 및, 원거리-제어 케이블용의 커넥터를 갖는다.
모터 제어 모듈은 견인력, 이완력, 견인 시간, 견인/이완 사이클 시간, 총 치료 시간, 견인 및 이완 속도등과 같은 다양한 치료 파라미터를 모니터하고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모듈은 치료를 위하여 표준 값을 저장하기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표준 프로그램은 따라서 각 경우에 실행이 가능하며, 하나, 몇 몇개 또는 모든 파라미터가 변경될 때, 시작된 상태의 신뢰를 떨어뜨리지 않고도, 상기 모든 힘들의 값, 각 상태의 시간, 견인 속도등, 병리학과 환자의 물리적 상태의 괴로움을 덜어주기 위하여 적합한 모든 파라미터들을 효과적으로 재-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터 지지 구조물은 2 개 이상의 풀 리 단부들 중 하나상에 제공된 한 쌍의 수평 삽입 바아에 적용된다. 이들 수평 바아는 원하는 정도로 목-허리부에 견인력을 유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물리 요법 장치는 테이블에 관하여 측면으로 장착되며 동일한 거리로 조정가능하고, 그것의 하나 이상의 단부상에서 2 개 이상의 풀 리가 구비된 수직 삽입 바아를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물리 요법 장치는 그것의 이송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3 부분 이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리 요법 장치가 도 1 에 사시도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그 상부에 견인 모터(10)용 지지 구조물(3)과 테이블(2)이 장착된 베이스(1)를 주요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테이블(2)은 그 높이가 조정가능하도록 삽입 칼럼(4) 수단으로 베이스(1)상에 장착된다.
도 2 의 측면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테이블(2)은 고정 보드(5)와 이동 보드(6)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테이블(5)은 제 1 수평축 주위에서 피봇팅되는 제 1 단부 부재(7), 제 2 고정 단부 부재(43), 제 1 수평축예 평행한 제 2 수평축 주위에서 피봇팅되는 제 1 중간 부재(8) 및, 제 1 및 제 2 축에 평행한 제 3 수평축 주위에서 피봇팅되는 제 2 중간 부재(9)로 구성된다.
이동 보드(6)는 하부 베이스(14)에 관하여 회전되는 방식으로 장착된 상부 플레이트(13)예 고정된 안내부(12) 상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하부 베이스(14)는 테이블상에서 바아(15) 수단으로 피봇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이동 보드(6)는 상기 바아 주위를 회전하므로서 경사지게 될 수 있다.
이동 보드(6)는 따라서 테이블(대략적으로 50도 이상까지)에 관하여 경사가가 가능하며, 보드 그 자체(대칭 중심으로부터 양 측면으로 대략적으로 30도 이상까지) 면에 수직한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고, 그리고 테이블의 고정 보드에 관하여 후진 및 전진 운동을할 수 있는 즉, 3 가지 운동이 가능하다.
일정한 스프링(16)이 이동 보드(6)를 고정 보드(5)에 가장 근접된 위치에 유지시키며, 상기 스프링력을 극복할 수 있도록 이동 보드(6)를 이동시킨다.
명확하게는, 상기 3 가지 이동 보드의 운동은 상술되고 도시된 것과는 다른 기계적 배열로 달성 가능하며, 더우기, 상기 운동의 각각은 수동으로 또는 전기공기식 작동 장치등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동 보드와 고정된 보드의 모든 부재들은 환지를 안락하게 하기 위하여 가요성 재료(17)로 덮여 있으며, 이들 커버는 다수의 개구를 가지며, 그 안에는 환자 몸체를 테이블에 묶기 위한 스트랩을 고정시키는 고정 포인트가 있다.
고정 포인트는 이동 보드(6)와 고정 보드(5)의 양 쪽에 제공된다. 특히, 고정 보드상에는, 제 1 중간 부재(8)가 양 측이 동일한 한 쌍으로 배열되고, 경사져 있으며, 팔꿈치 운동 훈련을 위하여 팔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4 개의 고정 포인트(8a)가 있다. 제 1 중간 부재(8)는 또한 어깨뼈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단부 부재(7)예 근접되게 조립된 한 쌍의 고정 포인트(8b)를 갖는다. 졔 2 중간 부재(9)는 히프 견인중에 골반을 잡아주기 위한 제 2 단부 부재(43) 옆으로 조립된 한 쌍의 고정 포인트(9a)를 갖는다. 중앙부와 상기 고정 포인트(9a)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허비 견인중에 흉부를 고정하기 위한 T-형태 고정 포인트에 조립된다. 제 2 단부 부재(43)는 허리 측면 견인중에 흉부를 잡아주고, 이동 보드(6) 측면에 위치되며 그 중심이 일치된 단일 고정 포인트(43a)를 포함한다. 이동 보드(6)는 골반을 고정하는 고정 보드(5)에 근접된 2 개의 오리피스(6a)를 포함한다. 이것은 또한 무릎 운동 훈련중에 허벅다리를 고정하는 상기 이동 보드(6)의 대향 단부상에 조립된다. 이동 보드(6)는 또한 환자가 착석했을 때 골반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 포인트(6c)를 갖는다.
모터(10)(도 1 참조)의 지지 구조물(3)은 많은 수직하고 직각인 관형 안내부(21)로 형성되며, 그 높이가 조정가능하고 양 단부상에서 2 개의 풀 리가 구비된 바아를 지지하는 수평 관형 안내부(22)를 가지며, 견인 운동과 관련된 측면운동을 위한 중앙 부착물 제어가 가능하다.
본 장치의 베이스(1)는 3 개의 세로형 관형 안내부(23)와 2 개의 귀환-풀리(24)가 구비된다.
본 장치는 또한 도 1 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하에 상세히 후술되는 다수의 풀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동 보드(6)에 부착될 수 있는 단일 유닛으로 된 다리용 지지대(26), 장치의 베이스(1)예 부착될 수 있으며 단일 유닛으로 된 발을 고정하기 위한 분리가능한 부착물, 상단부에 로드(29)가 있으며 스트랩 수단으로 환자의 견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테이블(5)의 제 1 단부 부재(7)예고정된 삽입 바아(28)와 같은 조정가능한 수직 바아(28) 및, 측면 견인이 필요할 때 그리고 그 안으로 슬라이더상에 장착된 풀 리가 고정될 수 있으며, 테이블의 다른 측면에 부착되는 2 개의 평행한 안내부의 측면 유닛(30)과 같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많은 부속물을 포함한다.
다리용 지지대(26)와 발을 위한 부착물(27)은 단지 필요할 때만 본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 의 개략적 사시도에 도시된 측면 유닛(30)은 서로 평행한 2 개의 수평 안내부(31, 32)를 가지며, 상기 안내부들이 테이블로부터 원하는 위치에 있을수 있도록, 대응되는 공동 안으로 삽입되는 커플링 바아(34) 수단으로 테이블의 양 측면에 관련되는 수직 바아(33)예 의하여 연결된다.
안내부(31, 32)들 각각의 내부는 손잡이를 잡아주므로서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상부에 2 개의 풀리(37, 38)가 장착되며, 상기 풀리(37)는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그 축에 관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으며, 풀리(38)는 그 자신의 축 주위로 그리고 풀리(37)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제 2 풀리(38)는 코드가 항상 올바른 견인 방향을 갖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방식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부재와 조립되는 테이블(2) 측면상의 유닛(30)은 거리가 조정가능하며 테이블(2)이 관하여 측면으로 장착된 안내부(46)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의 상부에는 그것이 3 개의 풀 리(48)가 제공된 수직 삽입 바아(47)를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바아(47)는 팔다리 상부를 이동시키는 견인 운동을 전달한다.
상술된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견인 코드(도시되지 않음)가 치료되는 관절에 다양하게 의존되는 많은 풀리를 통해 견인 모터(10)로부터 통괴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견인력을 동일하게 발휘시키기 위하여 환자의 몸체를 묶는 것을 조정하는 스트랩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환자를 묶은 다음에는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야 하며, 예를 들면, 소정의 목적을 위해서는 고정 포인트를 사용하여 환자를 테이블에 묶어주는 다른 스트랩이 필요하다. 환자는 이렇게하므로서 치료를 위한 적절한 위치로 묶여지게 된다. 이하 특정 치료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상술된 장치는 많은 풀리가 사용되며, 그들중의 일부는 고정되계 되고, 다른 것은 조정가능한 위치에 있게 되므로서, 견인 코드나 코드가 장치의 다른 다른 방향을 향하여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들 풀리들 중의 일부가 도 1 을 참조로 하여 이하 후술된다.
모터 지지 구조물(3)은 구동 풀리(40)가 구비되며, 상기 풀리를 통하여 코드가 통과되고, 그 단부는 견인 모터(10) 출구에 부착된다. 베이스(1)상에는 2 개의 귀환 풀리(41)가 있으며, 이것은 코드가 세로 안내부(23)(중앙 안내부)를 따라 진행되도록 전환시키며, 테이블의 대향 단부에서는, 각각의 코드가 귀환 풀리(24)들 중 하나를 통해 통과되어 세로 안내부(23)들 중 하나를 따라 귀환된다.
이들 안내부들 상에는 안내부 길이 전체에 걸쳐서 그 위치가 조정가능한 풀리(42)가 제공되며, 이로부터 풀리와 코드는 장치의 다른 지점을 향하여 유도될 수 있다.
수직 관형 안내부(21)와 수평 관형 안내부(22)는 또한 위치가 조정가능한 풀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풀리 시스템은 또한 이동 보드(6)(도시되지 않음)의 하부 보드에 고정된 안내부안에 위치 조정가능한 풀리를 포함하기 때문에, 테이블 아래에 위치되고, 목과 척추 견인(도시되지 않음)을 위하여 모터 지지 구조물(2)에 부착되는 브래킷상에 장착된 풀리를 갖는다.
모터 지지 구조물(2) 상에는 그들 단부들 중의 하나가 3 개의 풀리(35)를 갖는 한 쌍의 수평 삽입 바아(44)가 제공된다. 이들 수평 바아(44)는 목과 척추의 견인력이 원하는 정도로 그리고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치료중에 환자 몸체를 고정하기 위해서, 또한 치료되는 관절에 견인력을 적용시키기 위해서, 많은 스트랩이 제공되며, 각각의 스트랩(환자 몸체를 테이블에 묶기 위하여 또는 팔다리에 견인력을 적용하기 위하여)과, 환자의 어느 부분을 묶는 스트랩인가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스트랩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중 몇몇이 이하 후술된다.
어떤 스트랩은 환자 몸체를 빙 둘르는 것이 가능한 밴드를 가지며, 2 개의 관형 부속품에 부착되는 상기 밴드는 그 안으로 삽입된 2 개의 코드상에서 타이트하게 하는 수단이 제공되며, 다른 것들도 환자 몸체를 빙 둘르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그 자유 단부가 보드 표면 상에서 적절한 위치가 재공되도록 일정한 고정 로드와 커플링시키기 위한 고리를 형성한다.
스트랩을 조이는 것은 벨크로-형태 (Velcro-type) 마감으로 이루어지며, 견인력을 받는(고정 부분 대신에, 테이블에 묶는 부분)환자를 묶는 스트랩은 견인 코드들 하나하나가 동일한 형태가 되는 수단을 갖는다.
환자 치료 요법에 따라 제한되는 관절 안에서 연결부가 일정한 호형으로 견인 운동을 하게되는 불리 요법 장치로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이 이하 후술된다.
a) 목 칼럼: 우측 또는 좌측 측방향 요소와 같이 견인되거나 축 방향으로 견인된다. 환자 위치: 목 부분의 이완이 없이 또는 등쪽 반대 팔꿈치와 같이 견인된다.
b) 허리 칼럼: 우측 또는 좌측 측방향 요소와 같이 또는 반대-척추전만 훈련과 함께 견인되거나 축 방향으로 견인된다. 환자 위치: 허리 부분 반대 팔꿈치의 적절한 정도로 등쪽 반대 팔꿈치와 같이 견인된다.
c) 견부: 적절한 외전의 관절 호형으로 축 방향 견인, 외전의 적절한 관절 호형으로 꼬리부-이송 견인, 병리학에 따른 굴곡작용의 적절한 관절 호형으로 측면 이송 견인이 일어난다. 환자 위치: 등쪽 반대 팔꿈치와 같이 견인된다.
d) 팔꿈치: 적절한 호형으로 등쪽 이송 운동이 일어난다. 환자 위치: 등쪽 반대 팔꿈치와 같이 견인된다.
e) 히프: 관절 외전 호형으로 축 방향 견인이 일어나거나 또는 관절 굴곡작용 호형으로 측면-이송 견인되거나, 관절이 제한된 상태에서 축 방향 외전이 일어난다. 환자 위치: 등쪽 반대 팔꿈치와 같이 견인된다.
f) 무릎: 내반족 또는 외번족 요소와 같이 일정한 관절 호형으로 축 방향 견인이 일어나며, 관절 굴곡작용 호형으로 등쪽-이송 견인이 일어나고, 관절 확장 호형으로 복부-이송 견인이 일어나며, 관절 굴곡작용과 확장된 호형으로 각도가 있는 운동이 일어난다. 모든 운동은 회전 요소와 함께 이루어진다. 환자 위치: 상기 훈련에 따라 착석되거나 팔꿈치가 떨어진다.
g) 발목: 축 방향 견인, 등쪽 이송 견인, 복부 이송 견인등 모든 것이 관절 호형으로 이루어진다. 환자 위치: 착석됨.
h) 손목: 굴곡작용 또는 확장 위치에서 축 방향으로 견인되고, 팔꿈치 또는 요골 이탈 요소가 원하는 대로 얻어진다.
이들 치료들 중 일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하 후술된다. 상기 치료방법의 각 경우에 있어서, 환자는 반드시 이동되지 않도록 적절히 고정되어야 하며, 이것은 각 치료들 사이에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양성이 중요한 것이된다.
예를 들면, 견부의 치료에 있어서는, 환자는 등쪽 팔꿈치가 평평하게 누워야 하며, 머리부가 테이블(도 1 에 도시됨) 고정 보드(5)의 제 1 단부 부재(7)에 위치되야 하고, 견부의 일부분은 그것을 치료하는 테이블의 대향 측면상에 위치된 조정가능한 수직 바아(28)에 고정된 스트랩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견인 코드는 그때 평행한 안내부(도 3) 유닛상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된 풀리(37, 38)를 통하여 대응하는 세로 안내부(23)상의 중간 포인트에 위치된 풀리(42)로부터 통과되도록 만들어지며, 환자의 팔을 묶는 스트랩에 부착된다. 적절한 견인 사이클은 그때 실행된다. 회전 풀리(38)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최적 견인 방향을 갖게 된다.
허리 치료에 있어서는, 환자는 또한 머리부가 고정 보드(5)의 제 1 단부 부재(7)상에 있도록 우치되어야 하며, 가슴이 스트랩 수단으로 고종 보드(5)에 고정되고, 복부가 다른 스트랩 수단으로 이동 보드(6)에 고정되고, 이동 보드(6)는 그때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되며, 2 개의 가능한 회전이 일어나고, 견인 코드는 이동 보드에 부착되고, 원하는 견인 사이클이 그때 실행된다.
발목 치료의 경우에는, 환자는 이동 보드(6)상에 앉아야 하며, 고정 보드(5)의 단부 부재(9)는 상승되고 이 경우에 브래킷으로 사용된다.
환자의 발은 적절한 스트랩 수단으로 부착물(27)에 고정되며, 원하는 견인 사이클은 발목 상부의 다리에 부착된 다른 스트랩을 통하여 실행된다. 견인이 등쪽 또는 복부로 일어나느냐에 따라, 견인 코드를 안내하는 안내부는 세로 안내부(23)를 따라 특정 우치에 위치하게 된다.
견인력을 각 경우에 가장 적절히 적용하기 위해서는 견인 모터(10)가 조정가능하여야 하며, 신뢰성이 있고 안전한 작동이 되기 위해서는 모터(10)가 구비된 장치는 치료 파라미터, 시작 버튼을 조정 및 세팅하기 위한 다수의 푸쉬버튼을 포함하며, 선택된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 하여야 하고, 지시기 불빛은 선택된 치료와 치료 상태를 나타내는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제어하여야 한다.
제어 모듈은 치료 형태(목, 허리부 척추등)와, 치료 시간, 그에 따라 모터가 정지되며 코드가 인장되지 않게 되고, 견인 및 이완 시간과 힘 및, 견인 및 이완 속도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허락한다.
일단 파라미터가 프로그램되면, 시작 버튼은 눌러 치료를 시작하게 되고, 장치는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견인과 이완 사이를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보다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한 세트의 경보기를 포함하며, 비상상태는 푸쉬버튼과 원거리 제어 케이블용 커넥터를 작동 정지시키기 때문에, 물리요법가와 환자는 치료를 중지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과부가가 걸리게 되거나, 스트레칭에 파열이 발생하거나, 견인력이 프로그램된 값의 10%를 초과할 때는 검출기가 있어서 장치가 자동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제어 모듈은 각각의 치료를 위한 표준 값이 저장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며, 치료가 일단 시작되면,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환자의 초기 치료를 보다 적절히 실행하기 위해서 제어 모듈로부터 변화된다.
제어 모듈을 사용하면, 7 개의 모터 프로그램을 가지고 관절 또는 관절 그룹을 제어할 수 있는 견인 운동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장치의 이송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물리요법 장치는 3 부분 이상의 각 부분 또는 유닛으로 분리될 수 있다.

Claims (24)

  1. 고정 보드(5)와 상기 고정 보드(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는 이동 보드(6)로 구성되며, 그 위에 환자가 위치되는 테이블(2)과, 환자 몸체부 사이에 견인력을 적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드(6)는 수평 위치와 경사진 위치 사이에서 수평축(15)에 관하여 회전되는 방식으로, 그리고 테이블의 세로축에 관하여 대칭인 2 개의 단부 위치 사이에서 수직축에 관하여 회전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며, 환자 몸체부 사이에 견인력을 적용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하나 이상의 견인 코드와 원하는 위치에서 환자의 관절에 견인력을 적용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드가 관련된 풀리(24, 37, 38, 40, 41, 42, 45 및, 48)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보드(6)는 그것이 수평 및 경사진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테이블의 수직 기둥(4)에 관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수평 바아(15)에 부착된 하부베이스(14)와, 상기 2 개의 대칭 단부 위치 사이에서 효과적인 회전이 되도록 수직한 축에 관한 하부 베이스(14)에 관하여 회전될 수 있는 상부 플레이트(13) 및,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그 상부에서 이동 보드(6)가 고정 보드(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는 한 쌍의 안내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 보드(6)를 테이블의 세로축에 관하여 대칭 위치로 유지시키며, 고정 보드(5)에 근접되게 유지시키는 탄성 수단(16)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보드(5)는 제 1 수평축 주위로 마디가 있는 제 1 단부 부재(7), 고정된 제 2 단부 부재(43), 제 1 축에 평행한 제 2 수평축 주위로 마디가 있는 제 1 중간 부재(8) 및, 제 1 및 제 2 축에 평행한 제 3 수평축 주위로 마디가 있는 제 2 중간 부재(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5.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블(2)의 높이는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6. 제 1 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보드(6)는 대칭 초기 위치로부터 각 방향에서 30도 이상의 각도로 수직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으며, 50도 이상의 각도로 수평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7. 제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환자의 여러 부분을 고정 보드(5)와 이동 보드(6)에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 부착물을 분리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포인트는 보드(5, 6)의 상부면이 고정된 수평 로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보드는 상기 로드에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며, 고정 로드가 보드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그 두께가 충분한 가요성 재료(17)의 커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9. 제 1 항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그 상부에 테이블(2)의 수직 기둥이 장착된 베이스(1), 2 개의 견인 코드가 부착된 견인 모터(10)를 조정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3), 모터옆의 지지 구조물상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구동 풀리(40), 모터-지지 구조물에 근접된 베이스의 단부에 위치된 하나의 이중 귀환-풀리(41), 귀환-풀리(41)에 관하여 베이스(1)의 대향 단부에 위치된 한 쌍의 수평 풀리(24)를 포함하며, 각각이 180도의 호형으로 2 개의 견인 코드들 중 하나를 안내하고, 한 쌍의 풀리(42)는 상기 장치의 베이스에 고정된 대응되는 세로 안내부(23)를 따라 분리가능하고, 상기 분리가능한 풀리 각각은 2 개의 코드들 중 하나를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시스템은 모터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2 개의 안내부(21)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풀리와, 모터 지지 구조물(3)상에 장착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부(22)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11. 제 9 항 또는 10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시스템은 목과 척추 견인용으로 모터 지지대 구조물(3)상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지지대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12. 제 9 항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테이블이 측면으로 장착되고 그들의 위치가 조정가능한 2 개의 평행한 한 세트의 안내부(31, 32), 상기 안내부을 따라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35)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측면 풀리(37, 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13. 제 9 항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그것을 따라 중앙 풀 리가 이동할 수 있는 다른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는 이동 보드(6)의 하부 베이스이 장착되며, 실제적으로는 수직하게 되고, 테이블의 세로축상에 그 중심이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14. 제 9 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풀리는 그것에 수직하게 장착된 코드-방향 안내 풀리(38)와 관련되며, 귀환되는 방식으로 장착된 회전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15. 제 1 항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동 보드(6)상에 분리가능하고 조정가능하게 장착된 다리(26)용 지지대와, 상기 장치의 베이스(1)상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경사 및 위치가 조정가능한 발(27)을 위한 부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16. 제 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보드(5)의 단부 부재(7)들 중 하나는 한 쌍의 수직하며 삽입가능한 바아(28)의 측면으로 고정되며, 환자의 어깨뼈를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 부착물을 위한 상단부 로드에 베어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17. 제 1 항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환자를 고정시키거나 견인 코드와 커플링시키기 위한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스트랩은 환자 몸체부 주위로 확장될 수 있는 밴드를 가지며, 상기 밴드는 동일하게 삽입되는 2 개의 코드용으로 조정 수단이 구비된 2 개의 관형 부속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스트랩은 스트랩은 환자 몸체부 주위로 확장될 수 있는 밴드를 가지며, 상기 밴드는 보드(5, 6) 표면상에 제공된 상기 고정 로드예 커플링시키기 위한 고리를 형성하는 자유 단부가 있는 스트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20. 제 9 항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조정가능한 견인 모터(10)와 관련되며, 상기 모듈은 치료 파라미터를 세팅하기 위한 다수의 푸쉬버튼, 시작 푸쉬버튼, 선택된 파라미터와 선택된 치료와 치료 상태가 표시되는 지시기 불빛, 한 세트의 경보, 비상 정지 버튼 및, 원거리-제어 케이블용 커넥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각각의 치료를 위한 표준 값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22. 제 9 항 내지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터 지지 구조물(3)은 2 개 이상의 풀리(45)가 제공된 그것의 단부상에 제공된 한 쌍의 수평으로 삽입가능한 바아(44)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23. 제 1 항 내지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그 거리가 동일하게 조정가능하며 테이블(2)에 관하여 측면으로 장착된 안내부(46)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그것 단부상에 2 개 이상의 풀리(48)가 제공된 수직으로 삽입가능한 바아(47)가 미끄럼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24. 제 1 항 내지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그것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3 부분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KR1019970709402A 1996-04-15 1997-04-10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KR19990022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P9600902 1996-04-15
ES009600902A ES2133215B1 (es) 1996-04-15 1996-04-15 Aparato de fisioterapia para el tratamiento de rigideces articula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932A true KR19990022932A (ko) 1999-03-25

Family

ID=829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402A KR19990022932A (ko) 1996-04-15 1997-04-10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02882A (ko)
EP (1) EP0848940B1 (ko)
JP (1) JPH11508803A (ko)
KR (1) KR19990022932A (ko)
AT (1) ATE207335T1 (ko)
DE (1) DE69707628D1 (ko)
ES (1) ES2133215B1 (ko)
WO (1) WO19970386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413B1 (ko) * 1999-09-02 2002-05-17 정원하 물리치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2451B2 (en) * 2002-01-11 2004-02-17 Suncepts, Inc. Passive motion apparatus providing a controlled range of motion
US7285128B1 (en) 2005-10-25 2007-10-23 Danzey William P Lumbar traction table
CN101933875A (zh) * 2010-07-21 2011-01-05 余姚市博安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液压颈椎牵引器
KR101213299B1 (ko) * 2012-02-06 2012-12-18 박의경 척추 교정 장치
CN104706500B (zh) * 2013-12-13 2016-05-25 何少敦 一种椎体牵拉床
CA161410S (en) * 2014-09-22 2015-11-16 Effective Work Force Solutions Ltd Physiotherapy apparatus
CN104352286B (zh) * 2014-12-02 2017-01-11 湖南中医药大学 一种用于建立大鼠红核脊髓束横断动物模型的手术台
US10420691B2 (en) 2016-02-24 2019-09-24 Richard Stewart Knee range of motion device utilizing tangential joint translation and distraction
CN106074076A (zh) * 2016-06-04 2016-11-09 浙江侍维波机器人科技有限公司 多模态感知反馈的医疗康复机器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80987A (en) * 1915-02-23 1918-10-08 Alva E Gregory Adjustment-table.
US1427004A (en) * 1917-05-12 1922-08-22 John V Mcmanis Treatment table
US1282580A (en) * 1918-02-23 1918-10-22 Leonard V Hosford Table.
US1950948A (en) * 1929-11-18 1934-03-13 Lester L Robinson Osteo-rotor
US2377940A (en) * 1942-12-29 1945-06-12 Robert C Hughes Stretcher
US2798481A (en) * 1955-09-06 1957-07-09 Walter E Matthews Portable traction table
US2950715A (en) * 1956-12-31 1960-08-30 Herman J Brobeck Orthopedic bed
FR1226506A (fr) * 1959-02-06 1960-07-13 Appareil de tracto-mécanothérapie et autres applications
US3420229A (en) * 1966-10-06 1969-01-07 John W Miller Osteopathic device
GB1211853A (en) * 1967-06-12 1970-11-11 Harry Burn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xercising apparatus
US3565217A (en) * 1968-10-10 1971-02-23 Alaska Elevator Corp Offshore elevator improvements
US3620210A (en) * 1969-03-21 1971-11-16 Paramount Health Equip Corp Sacroiliac rotator
US3771518A (en) * 1972-02-16 1973-11-13 Static Spa Apparatus for specific lumbar traction treatments
US4144880A (en) * 1977-03-11 1979-03-20 Daniels E Robert Orthopedic table
US4257410A (en) * 1979-12-31 1981-03-24 Dale Flewelling Traction device
US4356816A (en) * 1980-08-29 1982-11-02 Granberg Pump And Meter Ltd. Traction device
US4432356A (en) * 1980-09-05 1984-02-21 Chattanooga Corporation Therapeutic traction apparatus with monitoring circuit means
SE8104962L (sv) * 1981-08-21 1983-02-22 Leif Lundblad Anordning for behandling av ryggbesver
US4579109A (en) * 1982-11-29 1986-04-01 Leif Lundblad Apparatus for treating back ailments
WO1984002075A1 (en) * 1982-11-29 1984-06-07 Leif Lundblad Apparatus for treating back ailments
ES273787Y (es) * 1983-07-28 1985-01-01 Cobo Cobo Bernabe Aparato para realizar ejercicios de traccion y movilizacion pasiva en las extremidades inferiores.
US4602619A (en) * 1984-10-02 1986-07-29 Wolf Susan G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variable spinal traction
US4850343A (en) * 1985-09-26 1989-07-25 Standex International Assist handle for chiropractic treatment table
US4700696A (en) * 1986-03-17 1987-10-20 Schoffstall Charles 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traction
FI874072A0 (fi) * 1986-11-19 1987-09-18 Kari Juhani Mustonen Straeckbehandlingsbord.
US5099828A (en) * 1989-06-30 1992-03-31 Duke Carl H Passive exercise apparatus for entire body
US5417634A (en) * 1989-08-30 1995-05-23 Pacific Fitness Corporation Exercise machine with pre-stretch adjustment feature
US5094228A (en) * 1990-07-19 1992-03-10 Reinert Otto C Apparatus for treatment of the back
US5320640A (en) * 1991-01-14 1994-06-14 United Apothecary, Inc. Continuous passive motion cervical spine therapy device
EP0501712B1 (en) * 1991-02-25 1996-07-17 Trent E. Andrews Surgery table
US5147287A (en) * 1991-03-18 1992-09-15 Ohio Medical Instrument Company Neck support means for cervical surgery
US5192306A (en) * 1991-04-04 1993-03-09 Standex International Chiropractic manipluation table with flexion/distraction headpiece
US5179745A (en) * 1991-04-08 1993-01-19 Hebert Neil H Elevating convertible wheelchair
US5308359A (en) * 1991-06-24 1994-05-03 Lossing Orthopedi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pinal distraction
US5217487A (en) * 1991-07-25 1993-06-08 Nordictrack, Inc. Back therapy system
US5300090A (en) * 1992-09-03 1994-04-05 Challenge Machinery (Proprietary) Ltd. Exercise machine
US5409452A (en) * 1993-02-10 1995-04-25 Aversano; Louis J. Non-invasive traction device
US5423861A (en) * 1994-01-13 1995-06-13 Leander Research, Manufacturing & Distributing, Inc. Chiropractic treatment table
US5865782A (en) * 1994-02-01 1999-02-02 Fareed; Donald O. Knee compression band
US5401236A (en) * 1994-03-10 1995-03-28 Summerville; Vernon R. Orthopedic traction apparatus
US5645079A (en) * 1994-12-02 1997-07-08 Zahiri; Hormoz Apparatus for mechanically holding, maneuvering and maintaining a body part of a patient during orthopedic surgery
US5575765A (en) * 1995-12-28 1996-11-19 Foster; Steven K. 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413B1 (ko) * 1999-09-02 2002-05-17 정원하 물리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8940A1 (en) 1998-06-24
WO1997038660A1 (es) 1997-10-23
ATE207335T1 (de) 2001-11-15
ES2133215B1 (es) 2000-03-01
EP0848940B1 (en) 2001-10-24
DE69707628D1 (de) 2001-11-29
JPH11508803A (ja) 1999-08-03
ES2133215A1 (es) 1999-09-01
US6102882A (en) 2000-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9850A (en) Exercising apparatus
CA2369226C (en) Device and method for a locomotion therapy
US6416448B1 (en) Therapy and training device
US20080176721A1 (en) Horizontal Lumbar Stretching Machine and Method
PL173405B1 (pl) Urządzenie do leczenia, fizykoterapii, rehabilitacji i treningu kręgosłupa i innych części ciała ludzkiego
KR19990022932A (ko) 관절 강화 치료용 물리 요법 장치
US5616110A (en) Device for muscular elongation, flexion and physiotherapy
US4905677A (en) Apparatus for the mobilization of a lower limb
US5520615A (en) Shoulder stretching and rotation machine
JP2002501405A (ja) 連続他動運動発生装置
EP2181687B1 (en) Exercise apparatus
US6932778B2 (en) Muscular relaxation machine for relaxation of leg muscles
US5324245A (en) Knee bending machine
GB2389533A (en) Stretching apparatus
US20210267832A1 (en) Pendular joint decompression device
US5335649A (en) Stretching device
JP3892476B1 (ja) 身体伸長矯正装置
US4732145A (en) Restraining device for spinal taps
SU725666A1 (ru) Аппарат дл механотерапии нижней конечности
US3735754A (en) Therapeutic exercising apparatus
US4660552A (en) Restraining device for spinal taps
US7766852B2 (en) Nerve treatment apparatus
EP0591568A1 (de) Bewegungssyteme für Möbel und Bewegungstherapie-Geräte
SU1106496A1 (ru) Стол дл выт жени позвоночника
RU22037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и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