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416U - Loading box of truck - Google Patents

Loading box of tru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416U
KR19990021416U KR2019970034913U KR19970034913U KR19990021416U KR 19990021416 U KR19990021416 U KR 19990021416U KR 2019970034913 U KR2019970034913 U KR 2019970034913U KR 19970034913 U KR19970034913 U KR 19970034913U KR 19990021416 U KR19990021416 U KR 199900214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ck
loading box
seating member
cargo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9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4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416U/en
Publication of KR19990021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416U/en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럭의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화물을 적재함에 적하시키기 위해 적재함에 승강하는 경우 용이하게 승하강을 이루도록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트럭의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box of a truck, and more particularly, a loading box of a truck that prevents safety accidents and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by making the lifting and lowering easily when the worker lifts the loading box to load the cargo It is about.

본 고안의 트럭의 적재함은 운전자의 승차공간이 캡(2)의 뒤편에 위치되어 소정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측벽을 형성하며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사이드게이트(4)와, 이 사이드게이트(4)의 후미를 형성하며 개폐가능하게 플로어패널(6)에 힌지 설치되는 리어게이트(5)로 이루어지는 트럭(1)의 적재함(3)에 있어서, 상기 리어게이트(5)의 내측 소정위치에 결합되며 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양 플랜지부(11)와, 상기 양 플랜지부(11)의 일측을 차폐하는 스톱퍼부(12)로 구성된 안착부재(10)와, 상기 안착부재(10)의 양 플랜지부(11)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축(30)을 통해 힌지고정되며, 이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안착부에 안착되거나 또는 안착부재(10)의 스톱퍼부(12)에 접촉되어 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는 판재형의 스텝(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oading box of the tru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de gate 4 which is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cab 2 so as to load a predetermined cargo and opens and closes, and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side gate 4. In the loading box (3) of the truck (1) consisting of a rear gate (5) hinged to the floor panel (6) to form a trailing edge and to be opened and closed, it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rear gate (5). Both flange portions 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a seating member 10 composed of a stopper portion 12 shielding one side of the flange portions 11, and a plan of the seating member 10; Located between the branches 11 and hinged through the hinge shaft 30,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30 to be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or in contact with the stopper portion 12 of the seating member 10 Including a plate-shaped step 20 forming a state protru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s broken.

Description

트럭의 적재함Loading box of truck

본 고안은 트럭의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화물을 적재함에 적하시키기 위해 적재함에 승강하는 경우 용이하게 승하강을 이루도록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트럭의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box of a truck, and more particularly, a loading box of a truck that prevents safety accidents and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by making the lifting and lowering easily when the worker lifts the loading box to load the cargo.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트럭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적재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적재함은 차량의 운행중에 화물이 도로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벽이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a truck is provided with a loading box for carrying cargo, and the loading box is provided with sidewalls for preventing cargo from falling onto the road while the vehicle is in operation.

도 1은 종래 트럭을 나타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ruck.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100)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탑승하여 차량을 운행시킬 수 있는 승차공간을 형성하는 캡(110)과, 상기 캡(110)의 뒤편으로 위치하여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을 갖는 적재함(12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ruck 100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to form a riding space for a driver to ride and drive the vehicle, and is positioned behind the cap 110 to load the cargo. It consists of a loading box 120 having a loading space that can be.

여기서 상기 적재함(120)은 화물 적재의 안전성과 화물의 승하적을 용이하게 하는 측벽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 측벽은 적재함(120)의 측방으로 형성하는 사이드게이트(121)와, 이 사이드게이트(121)의 후미에 제공되어 적재함(120)의 후미를 형성하는 리어게이트(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드게이트(121) 및 리어게이트(122)는 개폐 가능하도록 적재함(120)의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패널(미도시)에 힌지 설치되어 있다.Here, the loading box 120 is formed by sidewalls that facilitate the safety of cargo loading and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cargo, and the sidewalls are formed on the side gates 121 of the loading box 120 and the sidegates 121. A rear panel 12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tacker 120 to form a tail of the stacker 120, and the side gate 121 and the rear gate 122 form a floor of the stacker 120 to be opened and closed. Hinges are installed in

상기와 같은 적재함(120) 구조를 갖는 트럭(100)은 소정의 부피를 갖는 화물을 적하시키고, 상기 화물을 비닐커버로 덮어 고정시키거나 또는 끈이나 밧줄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The truck 100 having the structure of the loading box 120 as described above is loaded with cargo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the cargo is covered with a plastic cover or fixed using a rope or a rope.

그러나, 상기의 적재함(120)에 화물을 적하시킬 때 작업자가 적재함(120)에 승강을 요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리어게이트(12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사이드게이트(121)를 잡고 몸을 지탱한 상태에서 적재함(120)에 올라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when the cargo is loaded into the loading box 120, the worker may need to elevate the loading box 120. In this case, the sidegate 121 is opened while the rear gate 122 is opened by the worker. There is a discomfort to climb on the stacker 120 while holding the body holding.

아울러 적재함(120)에서 내릴 경우에는 뛰어내려야 하므로 이로인한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is caused because it has to be jumped off the loading box 120.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적재함에 승하강을 하는 경우에 계단식의 발판을 밟고 승하강을 이루도록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트럭의 적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truck that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by stepping on the stepped foot when the worker ascends and lowers the loading box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oading box.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트럭의 적재함은 운전자의 승차공간이 캡의 뒤편에 위치되어 소정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측벽을 형성하며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사이드게이트와, 이 사이드게이트의 후미를 형성하며 개폐가능하게 플로어패널에 힌지 설치되는 리어게이트로 이루어지는 트럭의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리어게이트의 내측 소정위치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종방향의 양 플랜지부와, 상기 양 플랜지부의 일측을 차폐하는 스톱퍼부로 구성된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양 플랜지부 사이에 힌지축을 통해 힌지고정되며,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안착부재의 스톱퍼부에 접촉되어 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는 판재형의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ading box of the truc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sidegat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ab so that the driver's riding space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cab so that a predetermined load can be loaded, and the rear end of the sidegate is provided. In the loading of the truck comprising a rear gate formed and hinged to the floor panel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the two flang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rear gate and protrudes outwards, and one side of both flanges A seat member consisting of a stopper portion for shielding and a hinge between the two flange portions of the seating member are hinged and fixed, and the plate member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to contact the stopper portion of the seating member to protrude in a transverse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the step of.

도 1은 종래 트럭을 나타내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ruck,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트럭을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c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도 2의 "A"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part “A” of FIG. 2.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 : 트럭 2 : 캡1: truck 2: cap

3 : 적재함 4 : 사이드게이트3: loading box 4: side gate

5 : 리어게이트 6 : 플로어패널5: rear gate 6: floor panel

10 : 안착부재 11 : 플랜지부10: mounting member 11: flange portion

12 : 스톱퍼부 20 : 스텝12: stopper portion 20: step

21 : 요철 30 : 힌지축21: unevenness 30: hinge axi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트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c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 “A” of FIG. 2.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에 위치되어 운전자의 승차공간을 이루는 캡(2)과, 상기 캡(2)의 뒤편에 위치되어 화물을 적하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적재함(3)을 구비한 트럭(1)을 도시하고 있다.As shown, a truck (1) having a cap (2) located on the front side to form a driver's riding space, and a loading box (3) positioned behind the cap (2) to load cargo It is shown.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트럭(1)의 적재함(3)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승하강을 이룰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stacking box 3 of the truck 1 to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easily lifted and lowered by an operator,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여기서, 상기의 적재함(3)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측벽을 형성하는 사이드게이트(4)와, 이 사이드게이트(4)의 후미를 형성하는 리어게이트(5)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드게이트(4)와 리어게이트(5)는 적재함(3)의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패널(6)에 힌지 설치되어 개폐가능하게 이루어진다.Here, the loading box (3) is composed of a side gate (4) forming a side wall so as to load the cargo, and a rear gate (5) forming the rear of the side gate (4), the side gate ( 4) and the rear gate 5 are hinged to the floor panel 6 forming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3) to be opened and closed.

이러한, 적재함(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리어게이트(5)의 내측에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진 발판이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적재함(3)에 승하강할 수 있다.Such, the stacking box 3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rear gate (5) foldabl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ved up and down the stacking box (3).

여기서 상기의 발판은 리어게이트(5)에 결합되는 안착부재(10)와, 이 안착부재(10)에 힌지설치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텝(2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scaffold is composed of a seating member 10 coupled to the rear gate 5 and a step 20 hinged to the seating member 10 and rotatably installed.

상기 안착부재(10)는 리어게이트(5)의 내측 소정위치에 결합되며, 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양 플랜지부(11)와, 상기 양 플랜지부(11)의 일측을 차폐하는 스톱퍼부(12)로 이루어진다.The seating member 10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rear gate 5, and has both flange portions 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topper portion for shielding one side of the flange portions 11. It consists of 12.

그리고 상기 스텝(20)은 안착부재(10)의 양 플랜지부(11)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축(30)을 통해 힌지고정되며, 이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안착부에 안착되거나 또는 안착부재(10)의 스톱퍼부(12)에 접촉되어 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는 판재형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tep 20 is positioned between both flange portions 11 of the seating member 10 and hinged through the hinge shaft 30, and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30 to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Or it is made of a plate-like contact with the stopper portion 12 of the seating member 10 to form a state protru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또한, 상기의 스텝(20)은 일측면에 소정높이 돌출된 다수의 요철(21)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승하강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step 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unevenness 21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slipping when lifting.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트럭의 적재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The loading box of the truck made as described above acts as follows.

작업자가 적재함(3)에 승하강을 이루기 위해서는 우선 적재함(3)의 후미를 이루는 리어게이트(5)를 개방시키고, 이어서 상기 개방된 리어게이트(5)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결합된 안착부재(10)에 끼워진 스텝(20)을 회동시켜 수평하게 위치시킨 다음 이 스텝(20)을 밟고 승하강을 이룰 수 있다.In order to make the worker lift and lower the loading box 3, first, the rear gate 5 forming the rear of the loading box 3 is opened, and then a seating member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open rear gate 5 ( The step 20 fitted in 10) may be rotated and positioned horizontally, and then the step 20 may be stepped on and descended.

즉, 상기의 스텝(20)은 안착부재(10)의 양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축(30)을 통해 힌지고정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스텝(20)의 일측, 즉 리어게이트(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의 상측을 잡고 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스텝(20)은 안착부재(10)에서 이탈되어 스톱퍼부(12)에 접촉되어 수평하게 위치된다.That is, since the step 20 is positioned between both flanges of the seating member 10 and hinged through the hinge shaft 30, the operator may move one side of the step 20, that is, the rear gate 5. When the upper side in the open state is grasped and rotated downward, the step 20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member 10 to b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part 12 and positioned horizontally.

또한, 상기의 스텝(20) 사용이 끝난뒤에는 스텝(20)을 안착부재(10)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스텝(20)은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안착부재(10)의 양 플랜지 사이에 끼워져 위치고정을 이루게 된다.In addition, if the step 20 is rotated toward the seating member 10 after the use of the step 20 is completed, the step 20 is formed between both flanges of the seating member 10 about the hinge shaft 30. To be locked in plac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트럭의 적재함은 작업자가 화물을 적하시키기 위해 적재함에 승하강을 하는 경우에 리어게이트측에 설치된 스텝을 밟고 올라서거나 내릴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truck's cargo box can be stepped up or down the steps installed on the rear gate side when the worker lifts and lowers the cargo to load the cargo, so that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s well as convenience for the opera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x is increased.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운전자의 승차공간이 캡(2)의 뒤편에 위치되어 소정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측벽을 형성하며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사이드게이트(4)와, 이 사이드게이트(4)의 후미를 형성하며 개폐가능하게 플로어패널(6)에 힌지 설치되는 리어게이트(5)로 이루어지는 트럭(1)의 적재함(3)에 있어서,The driver's boarding space is located behind the cab 2 to form sidewalls for loading a predetermined cargo and to be opened and closed, and to form an aft of the sidegate 4, and to open and close. In the loading compartment 3 of the truck 1 which consists of the rear gate 5 hinged to the floor panel 6, 상기 리어게이트(5)의 내측 소정위치에 결합되며 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양 플랜지부(11)와, 상기 양 플랜지부(11)의 일측을 차폐하는 스톱퍼부(12)로 구성된 안착부재(10)와;A seating member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rear gate 5 and having a flange portion 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topper portion 12 for shielding one side of the flange portion 11. 10; 상기 안착부재(10)의 양 플랜지부(11)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축(30)을 통해 힌지고정되며, 이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안착부에 안착되거나 또는 안착부재(10)의 스톱퍼부(12)에 접촉되어 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는 판재형의 스텝(20)을;Located between both flange portions 11 of the seating member 10 and hinged through the hinge shaft 30, and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30 to be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or the seating member 10 A plate-shaped step 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portion 12 and protrudes laterally;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A loading box of a truck,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20)은 일측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다수의 요철(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20) of the truck,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21) formed on one side for preventing slipping.
KR2019970034913U 1997-11-29 1997-11-29 Loading box of truck KR1999002141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913U KR19990021416U (en) 1997-11-29 1997-11-29 Loading box of tru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913U KR19990021416U (en) 1997-11-29 1997-11-29 Loading box of tru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416U true KR19990021416U (en) 1999-06-25

Family

ID=6969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913U KR19990021416U (en) 1997-11-29 1997-11-29 Loading box of tru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416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137B1 (en) Wing-body for cargo vehicles
KR101035476B1 (en) Vehicle with loading boxes or loading surfaces
GB2276592A (en) Transporting wheelchairs in road vehicles
GB2268133A (en) Wheelchair access system for vehicles
KR19990021416U (en) Loading box of truck
KR200395400Y1 (en) Cover apparatus of carrier box for truck
KR200483976Y1 (en) supporter for loading and unloading
KR102356421B1 (en) Step combined use rear gate system of vehicle
KR19990024563U (en) Loading box of truck
KR200425685Y1 (en) Load up and down tool with variable support angle
JPH0710915Y2 (en) Truck wing hood
KR200231184Y1 (en) a frieght car's container is equipped with a height-regulator
JPS6230823Y2 (en)
KR0118781Y1 (en) Transproting vehicle with loading tailgate
JPS6131871Y2 (en)
JP4153701B2 (en) Cargo handling equipment
JP3749701B2 (en) Car
JP2515337Y2 (en) Lorry
JPS638509Y2 (en)
JP2736204B2 (en) Lorry
JP2607734B2 (en) Lorry
KR20020065338A (en) a frieght car's container is equipped with a height-regulator
KR100196172B1 (en) Ramp device for a lorry
JPH0339312Y2 (en)
JPH0222452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