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831A -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831A
KR19990020831A KR1019970044306A KR19970044306A KR19990020831A KR 19990020831 A KR19990020831 A KR 19990020831A KR 1019970044306 A KR1019970044306 A KR 1019970044306A KR 19970044306 A KR19970044306 A KR 19970044306A KR 19990020831 A KR19990020831 A KR 19990020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key
area code
nam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3074B1 (ko
Inventor
조희호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44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0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9Automatic dialling or redialling systems, e.g. on off-hook or redial on bus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외통화를 하려는 사용자가 지역번호(DDD)를 숙지하지 못한 경우에 한글 지역명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자동으로 다이얼링 할 수 있도록 된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역명 한글입력 기능 선택을 위한 설정키 및 각 키버튼에 대하여 한글 문자가 대응되어 지정된 숫자키가 구비된 키입력부와, 이 키입력부의 각 숫자키에 대응설정된 한글문자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프로그램저장부, 이 프로그램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선택입력한 문자데이터를 저장하는 등록정보저장부, 한글 지역명에 대응되는 지역번호가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지역번호저장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의 숫자키를 조작하여 선택입력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지역명이 선택입력되게 되면 상기 지역번호저장부를 검색하여 선택입력된 한글 지역명에 해당되는 지역번호를 독출하여 기등록된 전화번호와 함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지역번호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등록정보저장부에 설정되는 지역명에 대한 지역번호가 다이얼링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본 발명은 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외통화를 하려는 사용자가 지역번호(DDD)를 숙지하지 못한 경우에 한글 지역명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자동으로 다이얼링 할 수 있도록 된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 가정 및 회사를 비롯하여 우리의 생활공간 도처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전화단말기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한 현대인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바, 최근에는 이러한 역할에 걸맞게 종래 제공되던 단순한 통화장치로서의 전화단말기 기능에서 벗어나 점차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도1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된 일반적인 전화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외부 국선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포트이고, 2는 상기 국선접속포트(1)를 통해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신호감지부, 3은 인가된 링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전화벨소리를 출력하는 링 발생부, 4는 통화로의 접속여부 및 장치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는 루프(loop)회로로서, 이 루프회로(4)는 대국과의 접속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국선접속감지부(4a)와 장치간 신호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4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5는 송수화기이고, 6은 이후에 설명할 마이크로프로세서(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로의 연결여부를 단속하는 통화로접속부, 7은 상기루프회로(4)와 통화로접속부(6)를 거쳐 상대 단말기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기능과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회로, 8은 사용자가 송수화기(5)를 들거나 놓음에 따라 이와 함께 연동되게 되는 훅스위치(hook switch)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훅검출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9는 단축다이얼 기능 등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고, 10은 상기 국선접속포트(1)를 통해 인가되는 DTMF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약정된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DTMF수신회로, 11은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하거나 특정 기능 실행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숫자키 및 기능키가 구비된 키패드이다.
한편, 참조번호 12는 상기 통화로접속부(6) 및 국선 접속 감지부(4a) 등에 의해 검지된 신호를 근거로 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고, 13은 상기 키패드(11)를 통해 입력된 소정키 입력에 대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의 제어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를 출력하는 DTMF발생회로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일반적인 전화기는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송수화기(5)를 들게 되면, 이에 따라 연동되는 훅스위치의 오프상태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훅검출부(8)를 통해 인지하여 상기 통화로접속부(6)를 온(ON)시키게 됨으로써 통화로를 연결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11)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DTMF발생회로(13)를 통해 사용자 키입력에 대응되는 호출 DTMF신호를 발생시켜 국선을 통해 송출 함으로써 호출동작을 실행하게 되며, 상기한 호출동작에 의해 호설정이 실행되게 되면 양측 통화자가 통신할 수 있도록 음성 통화로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전화단말기는 시외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역번호(DDD)와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해야 하는 바, 지역번호(DDD)를 숙지하고 있지 못한 사용자는 전화번호부를 통해 지역번호를 찾아보거나, 주위 사람들에게 물어 보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따라서, 시외통화를 하려는 사용자 주변에 지역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나, 지역번호를 알고 있는 사람이 없게 되면 시외통화를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시외통화를 하려는 사용자가 지역명을 한글로 입력함과 더불어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자동으로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된 일반적인 전화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블록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키패드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국선접속포트, 2 : 링신호감지부,
3 : 링 발생부, 4 : 루프회로,
4a : 국선접속감지부, 4b : 인터페이스회로,
5 : 송수화기, 5a : 송화부,
5b :수화부, 6 : 통화로접속부,
7 : 네트워크회로, 8 : 훅검출부,
9 : 메모리, 10 : DTMF수신회로,
11 : 키패드, 12, 29 : 마이크로프로세서,
13 : DTMF 발생회로, 20 : 키패드,
20a : 설정키, 21 : 프로그램메모리,
22 : 플래그레지스터,
23 : 등록정보저장부, 24 : LCD표시부,
25 : 지역번호저장부, 26 : 안내메시지저장부,
27 : 코덱(C0DEC),
28 :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는 지역명 한글입력 기능 선택을 위한 설정키 및 각 키버튼에 대하여 한글 문자가 대응되어 지정된 숫자키가 구비된 키입력부와, 이 키입력부의 각 숫자키에 대응설정된 한글문자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프로그램저장부, 이 프로그램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선택입력한 문자데이터를 저장하는 등록정보저장부, 한글 지역명에 대응되는 지역번호가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지역번호저장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의 숫자키를 조작하여 선택입력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지역명이 선택입력되게 되면 상기 지역번호저장부를 검색하여 선택입력된 한글 지역명에 해당되는 지역번호를 독출하여 기등록된 전화번호와 함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지역번호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등록정보저장부에 설정되는 지역명에 대한 지역번호가 다이얼링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한글로 입력되는 지역명 및 전화번호를 일시 저장하고 등록된 한글 지역명을 해당되는 지역번호로 전환하여 기등록된 전화번호와 함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함과 더불어 전화단말기가 오프 훅 상태이면 지역번호와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DTMF신호를 발생시켜 국선을 통해 송출 함으로써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도1에 도시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20은 지역명 한글입력 기능 및 해재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설정키(20a)와 다수의 숫자키(20b)가 구비된 키패드인 바, 이 캐패드(20)에 구비된 각 숫자키(20b)에도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이 대응되게 설정되어 있어서 연속하여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대응설정된 한글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참조번호 21은 상기 숫자키(20b)의 연속선택에 의한 한글입력기능을 위한 동작 프로그램 및 상기 숫자키(20b)에 대응설정된 한글문자의 코드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이고, 참조번호 22는 한글입력 기능이 선택되면 상태플래그를 제1레벨로 셋트시킴으로써 해당기능이 선택된 상태임을 설정하는 플래그 레지스터, 23은 상기 키패드(20)를 통해 입력되는 한글 지역명과 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등록정보저장부, 24는 전화단말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표시부, 25는 다수의 지역번호(DDD)가 저장되어 있는 지역번호저장부, 26은 한글입력 기능에 관한 안내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안내메시지저장부, 27은 이 안내메시지저장부(2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거나 반대로 상기 네트워크회로(7)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코드화하는 코덱(CODEC:COder-DECoder), 28은 이후에 설명할 마이크로프로세서(29)의 제어신호에 따라 코덱(27)으로부터 입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탈신호처리프로세서(DSP:Digital Signal Processor), 29는 한글입력 기능을 실행 제어함과 더불어 장치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20)의 설정키(20a)를 선택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9)는 상기 프로그램저장부(21)의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플래그 레지스터(22)의 상태플래그를 '1'로 셋트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DSP(28)를 제어하여 안내메시지저장부(26)로부터 음성데이터(예컨대, 한글지역명과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주십시오.)를 독출하여 코덱(27)을 통해 코드변환하고 네트워크회로(7)와 송수화기(5)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청음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한글 지역명과 전화번호가 입력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9)는 입력된 한글 지역명 및 전화번호를 등록정보저장부(23)에 저장하게 되며, 저장된 한글 지역명을 근거로 해당되는 지역번호를 상기 지역번호저장부(25)를 검색하여 독출함과 더불어 상기 LCD표시부(24)를 통해 입력된 지역이름에 대응되는 지역번호와 전화번호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한글 지역명 및 전화번호 등록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한글 지역명은 상기 키패드(20)의 설정키(20a)가 선택되게 되면 다수의 키버튼은 키버튼 위에 표시되어 있는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으로 인식되게 되며, 임의의 키버튼을 1회 누르게 되면 키버튼에 할당된 한글 중 첫 번째 한글(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되고, 2회 누르게 되면 두 번째 한글(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되게 된다. 예컨대, 제주도 123-4567을 입력 등록하게 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20)의 설정키(20a)를 누른 후, '5'번 버튼과 '9' 번 버튼을 각각 1회씩 차례로 누르고, '0'번 버튼을 2회 누르면(제), '5'번 버튼과 '*'버튼을 각각 1회씩 차례로 누르면(주), '2'번 버튼과 '#'버튼을 각각 1회씩 차례로 누르면(도), 이어, 설정키(20a)를 누른 후 숫자키(123-4567)를 입력하게 됨으로써 한글 지역명과 전화번호가 입력 등록되게 되며, 상기 한글 지역명이 입력된 후 설정키(20a)가 입력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9)는 플래그 레지스터(22)의 상태플래그를 '0'으로 셋트하여 한글 지역명 입력 기능을 해제하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29)는 등록정보저장부(2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지역번호저장부(25)를 검색하여 제주도에 대응하는 지역번호 데이터를 독출하여 LCD표시부(24)를 통해 064-123-4567 표시함과 더불어 훅검출부(8)를 통해 훅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여, 훅스위치가 온(ON) 상태이면 DTMF발생회로(13)를 통해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DTMF신호를 국선으로 송출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한글 지역명 및 전화번호를 입력 등록시키게 되면 등록된 한글 지역명을 근거로 해당되는 지역번호로 전환하여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함과 더불어 오프 훅 상태이면 표시된 지역번호 및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DTMF신호를 국선으로 송출하게 됨으로써, 한글 지역명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자동으로 다이얼링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전화단말기에 적용하여 실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동단말기나 무선통신 단말기에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역번호(DDD)를 숙지하고 있지 못한 사용자가 어느 곳에서나 한글 지역명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자동으로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지역명 한글입력 기능 선택을 위한 설정키 및 각 키버튼에 대하여 한글 문자가 대응되어 지정된 숫자키가 구비된 키입력부와, 이 키입력부의 각 숫자키에 대응설정된 한글문자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프로그램저장부, 이 프로그램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선택입력한 문자데이터를 저장하는 등록정보저장부, 한글 지역명에 대응되는 지역번호가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지역번호저장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의 숫자키를 조작하여 선택입력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지역명이 선택입력되게 되면 상기 지역번호저장부를 검색하여 선택입력된 한글 지역명에 해당되는 지역번호를 독출하여 기등록된 전화번호와 함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지역번호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등록정보저장부에 설정되는 지역명에 대한 지역번호가 다이얼링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KR1019970044306A 1997-08-30 1997-08-30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KR100253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306A KR100253074B1 (ko) 1997-08-30 1997-08-30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306A KR100253074B1 (ko) 1997-08-30 1997-08-30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831A true KR19990020831A (ko) 1999-03-25
KR100253074B1 KR100253074B1 (ko) 2000-04-15

Family

ID=1952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306A KR100253074B1 (ko) 1997-08-30 1997-08-30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3336A1 (en) * 2005-04-15 2006-10-19 Mediatek Incorporation Dialing methods and systems, and related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3074B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47157A (ko)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WO2002098115A1 (fr) Appareil de communication
KR100253074B1 (ko)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KR19980014248A (ko) 한글코드를 전화다이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수신장치
KR2003007736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에 의한 제어방법
KR19980067883A (ko) 전화단말기의 한글문자입력장치
KR20000018394A (ko)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
KR200193157Y1 (ko) 음성인식 자동다이얼링 통화시스템
KR0148524B1 (ko) 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검색 및 발신 제어방법
KR100243900B1 (ko) 전화기의 문자 송수신장치 및 휴대용 문자 송수신장치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KR100247239B1 (ko) 전화번호 저장이 가능한 전화기, 그 전화번호의 저장방법 및 그 저장된 전화번호로 피호출자의 호출방법
KR100374986B1 (ko) 전화번호저장 및 표시장치
KR100712843B1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S6359093A (ja) 表示器付きボタン電話装置
KR950009425B1 (ko) 음성인식 전화기의 다이얼링 제어 방법
KR100590557B1 (ko)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
KR20030039154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전화번호부 구현 방법과 그 것을이용한 휴대전화기
KR20000045808A (ko) 음성인식에 의한 다단계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19990048911A (ko)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 통신 전화기
JPS61184952A (ja) 電話装置
JPH07111526A (ja) 電話機用表示アダプター
JPH1168912A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19980031432A (ko) 전화기에 있어 전화번호 안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