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921U -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921U
KR19990019921U KR2019970033319U KR19970033319U KR19990019921U KR 19990019921 U KR19990019921 U KR 19990019921U KR 2019970033319 U KR2019970033319 U KR 2019970033319U KR 19970033319 U KR19970033319 U KR 19970033319U KR 19990019921 U KR19990019921 U KR 199900199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abinet
fitted
fixing structure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3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921U/ko
Publication of KR19990019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921U/ko

Links

Landscapes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개시된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는, 캐비넷과, 스크린이 부착돠며 캐비넷의 상방으로부터 그 캐비넷에 끼워져서 지지되는 마스크와, 이 마스크의 상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방이탈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에 있어서, 상방이탈 방지수단은, 마스크에 형성되며 그 단부에 후크부를 가지며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탄성편과, 캐비넷에 마스크가 끼워진 상태에서 후크부에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그 작업공수를 줄여준다.

Description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
본 고안은 프로젝션 텔레비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넷의 전면에 마스크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개선된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텔레비젼과 같이 프로젝터(projector)로부터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여 화면을 형성하는 방식의 장치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0)의 전면에 스크린(25)이 결합된 마스크(20)를 고정하고, 그 캐비넷(10)내에 설치된 프로젝터(11)로 스크린(25)의 배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마스크(20)를 캐비넷(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 결합구조를 채용하였다. 즉, 마스크(20)는 캐비넷(10)의 상방으로부터 하강시키면, 캐비넷(10)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갈고리(12)가 마련되어 마스크(20)를 지지하고, 마스크(20)의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나사홈(13)이 형성되어 나사(23)에 의해 결합되면, 상방으로의 마스크(20) 이탈은 나사에 의해 방지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고정 구조에 의하면, 마스크(20)를 캐비넷(10)에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나사(26)를 결합시켜야 하므로, 조립을 위한 작업공수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나사의 조임작업이 많아짐으로써 조립 도중 스크린(25)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프로젝션 텔베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마스크와 캐비넷이 결합된 상태에서 후크부 부위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마스크와 캐비넷이 결합된 상태에서 위치결정부 부위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캐비넷 11.프로젝터 12.갈고리
13.나사홈 14.수평지지턱 15.측방지지턱
18.위치결정홈 20.마스크 23.나사
24.수평걸림턱 28.수직돌기 32.후크부
36.위치결정부 38.위치결정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캐비넷과, 스크린이 부착돠며 상기 캐비넷의 상방으로부터 그 캐비넷에 끼워져서 지지되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상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방이탈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방이탈 방지수단은, 상기 마스크에 형성되며 그 단부에 후크부를 가지며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탄성편과, 상기 캐비넷에 상기 마스크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에 걸리는 걸림턱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캐비넷에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에는 그 마스크가 상기 캐비넷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위치결정홈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캐비넷과 마스크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탄성편 부위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위치결정부의 위치결정홈과 위치결정돌기가 결합된 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는, 캐비넷(10)과 스크린(25)이 부착된 마스크(20)와, 마스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마스크(20)가 캐비넷(10)의 상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방이탈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마스크(20)는 스크린(25)이 부착되는 것으로서, 마스크(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후크부(32)와 위치결정부(36)를 포함한다. 캐비넷(10)은 마스크(20)가 상방으로부터 끼워질 수 있는 걸림턱(16)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즉, 마스크(20)의 하중을 견디며 전방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수평지지턱(14)이 "ㄴ"자 형상으로 복수개 마련되어 있어 마스크(20)의 "ㄱ"자형 수평걸림턱(24)이 걸릴수 있고, 마스크(20)가 끼워져 좌우측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측방지지턱(15)이 캐비넷(10)의 좌우에 각각 복수개 마련되어 마스크(20)의 수직돌기(28)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부인 상방이탈 방지수단은 상술한 마스크(20)에 형성된 복수의 후크부(32)와, 마스크(20) 하단부 중앙의 위치결정부(36) 및 캐비넷(10)에 형성된 걸림턱(16)과, 위치결정홈(18)을 구비한다.
복수의 후크부(32)는 각각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31a)를 가지는 탄성편(31)으로 이루어 진다. 이 탄성편(31)은 마스크(20)가 캐비넷(10)에 끼워질 때 마스크(20)의 전방으로 탄력 변형 가능하다.
도 3과 같이, 탄성편(31)은 캐비넷(10)의 걸림턱(16)에 결합되어 마스크(20)가 캐비넷(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스크(20)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도 2에는 마스크(20)에 두 개의 탄성부(32)가 도시되어 있지만, 그 두 개의 탄성부(32) 사이에 그와 동일한 형태의 탄성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위치결정부(36)는 마스크(20)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위치결정돌기(38)와 탄성변형가능한 탄성변형부(37)를 가진다. 여기서, 위치결정돌기(38)는 마스크(20)가 캐비넷(10)의 상방으로부터 끼워질 때 캐비넷(10)의 위치결정홈(18)에 결합되록 형성된다. 또한 탄성변형부(37)는 위치결정돌기(38)를 기준으로 양 후크부(32) 쪽으로 위치결정돌기(38) 양측에 형성하여 마스크(20)가 캐비넷(10)에 끼워질 때 마스크(20)의 전방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마스크 고정 구조체를 이용하여 캐비넷(10)에 마스크(20)를 고정시키는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캐비넷(10)에 마스크(20)를 고정시키기 위해 캐비넷(10)에 돌출 형성된 "ㄴ"자형 수평지지턱(14)에 마스크(20)의 "ㄱ"자형 수평걸림턱(24)이 끼워져서 마스크(20)가 캐비넷(10)의 하방, 전방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한편, 마스크(20)가 끼워져 좌우측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캐비넷(10)의 측방지지턱(15)에 마스크(20)의 수직돌기(28)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마스크(20) 하단부의 두 개의 후크부(32)를 그에 대응하는 캐비넷(10)의 걸림턱(16)에 체결하면, 마스크(20)가 캐비넷(10)의 상방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고정한다. 여기서, 위치결정홈(18)에 위치결정돌기(38)가 삽입되면, 마스크(20)를 캐비넷(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작업은 마스크(20)의 후크부(32) 및 위치결정부(36)의 탄성변형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소정 간격 변형된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이루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는, 나사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탄성변형 가능한 후크부와 위치결정부의 탄력적인 로킹결합을 이용하기 때문에, 그 조립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사 조립에 따른 스크린 손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2)

  1. 캐비넷과, 스크린이 부착돠며 상기 캐비넷의 상방으로부터 그 캐비넷에 끼워져서 지지되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상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방이탈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방이탈 방지수단은,
    상기 마스크에 형성되며 그 단부에 후크부를 가지며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탄성편과, 상기 캐비넷에 상기 마스크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에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에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에는 그 마스크가 상기 캐비넷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위치결정홈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
KR2019970033319U 1997-11-21 1997-11-21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 KR199900199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319U KR19990019921U (ko) 1997-11-21 1997-11-21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319U KR19990019921U (ko) 1997-11-21 1997-11-21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921U true KR19990019921U (ko) 1999-06-15

Family

ID=6969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319U KR19990019921U (ko) 1997-11-21 1997-11-21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9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140B1 (ko) * 2002-05-30 2005-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140B1 (ko) * 2002-05-30 2005-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7789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 computer casing
KR100346711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
US5545061A (en) Panel lock connector
US6302189B1 (en) Engagement structure of a fan
KR19990019921U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마스크 고정 구조체
KR200154212Y1 (ko) 벽걸이형 제품의 벽면 고정용 장치
JP3412372B2 (ja) モニターテレビユニット
KR0114105Y1 (ko) 시알티-피시비 어셈블리(CRT-PCB Assembly) 지지구
US5410215A (en) Device for mounting a shadow mask in a color television tube
KR200198928Y1 (ko) 차량의 패널 지지구조
KR0137214Y1 (ko) A/v 단자부 고정장치
KR860000735Y1 (ko) 브라운관의 소자 코일 지지구
KR0120591Y1 (ko) 텔레비젼 내장형 스피커 캐비넷 고정장치
KR19980066871U (ko) 텔레비젼용 메인프레임과 프론트 마스크의 결합장치
JPS5832374Y2 (ja) ウラブタトリツケソウチ
JPH11159795A (ja) 空気調和機
KR0137215Y1 (ko) A/v 단자부의 터미널 고정장치
KR200160288Y1 (ko) 조립체와 조립체 홀더의 체결장치
KR920002653Y1 (ko) Crt 체결장치
KR19980064806U (ko) 텔레비젼의 스피커 고정 브라켓트 결합장치
KR100425960B1 (ko) 텔레비젼용브라운관과프론트마스크결합장치
KR100386195B1 (ko) 브라운관 고정용 리브를 가지는 모니터
KR19990004959U (ko) 모니터의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
KR19990000839U (ko) 모니터용 외장스피커 체결구조
KR20000001913U (ko) 복합 텔레비젼용 데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