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735Y1 - 브라운관의 소자 코일 지지구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의 소자 코일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735Y1
KR860000735Y1 KR2019840004786U KR840004786U KR860000735Y1 KR 860000735 Y1 KR860000735 Y1 KR 860000735Y1 KR 2019840004786 U KR2019840004786 U KR 2019840004786U KR 840004786 U KR840004786 U KR 840004786U KR 860000735 Y1 KR860000735 Y1 KR 860000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ece
crt
element coil
suppor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4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10562U (ko
Inventor
김선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 성 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 성 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 성 사
Priority to KR2019840004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735Y1/ko
Publication of KR8500105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105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7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9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demagnetisation or compensation of external magnetic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라운관의 소자 코일 지지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요부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설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고리편 6 : 지지구
7 : 삽입공 8 : 탄성걸림편
9 : 안내지지편 10 : 고리편
11 : 걸림돌기 12 : 연결지지구
본 고안은 텔레비젼 브라운관의 소자 코일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브라운관의 자계를 제거하기 위하여 브라운관 배면에서 사방의 철편고리에 걸림 고정되는 소자 코일을 탄성 걸림편에 의해 간격 조절이 용이하고 고리편이 형성된 지지구로 서로 브라운관 배면에 밀착되어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 통상의 브라운관의 자계를 제거하기 위하여 브라운관 배면에 소자코일을 설치함에 있어 브라운관 배면의 사방 모서리에 설치시킨 철편 고리에 소자코일이 걸려지게 설치하여 브라운관 배면의 둘레를 감싸지게 한바퀴 돌려 소자코일이 타원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철편 고리에 의해 지지되는 소자코일은 제품의 운반시나 충격, 진동 등에 의해 소자 코일이 움직이게 되어서 화면 상태의 불량등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브라운관 배면에 설치되는 소자코일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리편이 형성된 지지구의 타단에 안내 지지편을 형성하여 고리편이 형성되어 상면에 걸림 돌기가 다수 형성된 연결 지지구를 지지구의 안내 지지편에 걸림 고정되게 결합시켜 브라운관 배면 사방모서리의 철편고리에 고정된 소자 코일을 서로 유동없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라운관(1)의 배면에 소자코일(2)을 사방의 고정편(3)(3')(3")(3'")에 걸림 고정되는 철편고리(4)(4')(4")(4'")에 지지되게 설치함에 있어서 고리편(5)이 형성된 지지구(6)의 타단에 삽입공(7)이 통공되어 탄성걸림편(8)이 형성된 안내지지편(9)을 일체로 성형하여 일단에 고리편(10)이 형성되고 상면에 걸림돌기(11)가 다수 배열된 연결 지지구(12)를 상기 지지구(6)의 안내지지편(9)에 걸림 고정되게 결합시켜 고리편(5)(10)으로 소자코일(2)을 서로 걸어 고정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지지구(6)와 연결 지지구(12)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지지구(6)의 안내지지편(6)에 연결 지지구(12)의 상면 걸림돌기(11)를 도면 제1도와 같은 상태에서 밀어넣게 되면 안내 지지편(9)의 탄성 걸림편(8)은 도면 제3도의 가상선과 같이 연결지지구(12)의 삽입방향에서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려서 걸림돌기(11)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구(6)와 연결 지지구(12)의 고리편(5)(10)이 적당한 길이로 위치하였을 때 연결 지지구(12)의 삽입을 중단하면 도면 제3도 실선과 같이 걸림돌기(11)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 걸림편(8)이 걸림고정되어서 연결 지지구(12)의 삽입방향의 반대로 밀리는 일이 없이 견고하게 지지구(6)에 연결 지지구(12)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연결 지지구(12)를 지지구(6)로부터 빼낼 때에는 제3도 가상선방향으로 탄성 걸림편(8)을 누르면서 연결 지지구(12)를 빼면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브라운관(1) 배면의 철편고리(4)(4')(4")(4'")에 지지되어 있는 소자코일(2)에 도면 제4, 5도와 같이 지지구(7)와 연결 지지구(12)가 결합되어 연결된 고리편 (5)(10)을 상하의 소자코일(2)에 서로 걸어 긴축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어서 소자코일(2)이 브라운관(1)의 배면에서 유동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화면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제품의 운반이나 충격 및 진동에 소자코일(2)이 움직이는 일이 없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소자코일(2)을 상하로 지지구로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화면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지지구(6)와 연결 지지구(12)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며 정확한 설정위치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리편(5)이 형성된 지지구(6)의 타단에 삽입공(7)과 탄성 걸림편(8)이 형성된 안내지지편(9)을 일체로 성형하여 일단에 고리편(10)이 형성되어 상면에 걸림돌기(11)가 다수 배열된 연결 지지구(12)를 상기 안내지지편(9)에 걸림 고정되게 결합시켜 된 브라운관의 소자코일 지지구.
KR2019840004786U 1984-05-23 1984-05-23 브라운관의 소자 코일 지지구 KR860000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786U KR860000735Y1 (ko) 1984-05-23 1984-05-23 브라운관의 소자 코일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786U KR860000735Y1 (ko) 1984-05-23 1984-05-23 브라운관의 소자 코일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562U KR850010562U (ko) 1985-12-30
KR860000735Y1 true KR860000735Y1 (ko) 1986-04-24

Family

ID=1923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4786U KR860000735Y1 (ko) 1984-05-23 1984-05-23 브라운관의 소자 코일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7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562U (ko) 198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3845A (en) Heat sink clip assembly
US5131613A (en) Cable tie
US6115259A (en) Vibrationally isolated tuner
KR860000735Y1 (ko) 브라운관의 소자 코일 지지구
US5745348A (en) Printed circuit board coupling device for use with a cathode ray tube
US3369074A (en) Television tube shield and mounting structure
KR200204885Y1 (ko) 영상표시기기의 틸트코일 고정용 홀더
US4839921A (en) Telephone station comprising an optical display device
KR200174804Y1 (ko) 텔레비젼의 브라운관 고정장치
KR860003173Y1 (ko) 편향요크홀더의 구조
KR930006177Y1 (ko) 편향요크의 크로스아암 결합장치
KR880002992Y1 (ko) 편향요크의 수직 코일 유동 방지장치
KR19980064806U (ko) 텔레비젼의 스피커 고정 브라켓트 결합장치
KR890006377Y1 (ko) 편향 요크의 크로스아암 결착구조
KR200141285Y1 (ko) 브라운관 고정장치
JPH0629898Y2 (ja) ア−ス線取付用フツク
KR940004959Y1 (ko) 전원 코드 고정장치
KR19980024418U (ko) 브이씨알의 디지트론 고정구조
JPS6246390Y2 (ko)
KR0129257Y1 (ko) 클립
KR890002434Y1 (ko) 코일 디가우싱(Coil Degaussing)고정장치
JPS6228127Y2 (ko)
KR200159248Y1 (ko) 소자코일 고정장치
JPS6238111Y2 (ko)
KR910002781Y1 (ko) 스피커 보호판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